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0/21 18:03:45
Name Leeka
Subject [LOL] 여러가지 롤드컵에서의 재밌는 기록들 (수정됨)


1. 페이커 vs 우지


페이커와 우지는 '롤드컵에 같이 진출한 경우 항상 만났습니다'

13 롤드컵 - 결승에서 페이커가 이김
14 롤드컵 - 페이커 못옴
15 롤드컵 - 우지 못옴
16 롤드컵 - 8강에서 페이커가 이김
17 롤드컵 - 4강에서 페이커가 이김
18 롤드컵 - 페이커 못옴
19 롤드컵 - 16강에서 페이커가 이김


결론 : 결승, 4강, 8강, 16강 모두 페이커가 우지 이겨서 떨굼..


?!?!?

+@ 로얄클럽과 RNG는 공식적으로 다른팀이기 때문에.. 페이커&우지만 위 공식이 성립합니다...



2. 김정수, 역대 최초 코치로 4년연속 롤드컵 8강 달성. 

역대 감코진중 최초로. 롤드컵에서 4년연속 8강이상 진출하는 기록을 김정수가 달성했습니다. 



3. 더블리프트 & 북미 1시드.  

16년 - 3승 3패 탈락
17년 - 3승 3패 탈락
18년 - 3승 3패 탈락
19년 - 3승 3패 탈락


북미 1시드&덥립의 3승 3패는 과학인가...



4. 므시 우승지역은 8강에 3팀을 보낸다?

16 MSI 우승 SKT -> 8강 LCK 3팀 -> 우승 SKT
17 MSI 우승 SKT -> 8강 LCK 3팀 -> 우승 삼성
18 MSI 우승 RNG -> 8강 LPL 3팀 -> 우승 IG
19 MSI 우승 G2 -> 8강 LEC 3팀 -> 우승 ???


작년에 중국, 올해 유럽까지 8강에 3팀을 올려보내면서, 므시 우승지역을 확실히 무시하면 안된다는걸 보여준..

이렇게 보면 볼수록 15년에 몰락한 중국이 진짜 특이한 케이스..



5. 대만 2~3시드.   2년간 0승 24패 달성

말그대로. 대만 2~3시드가 '롤드컵 본선에서 2년간 0승 24패'의 대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심지어 17년은 대만 3시드가 아에 플레이인에서 3팀중 2등한 뒤, 플레이인 토너먼트에서 터키한테 져서 못왔습니다 -.-; 

내년부터 대만 시드가 소멸된게 참 다행이랄까. 



6. 그룹스테이지 전승팀

14 삼화,  15 SKT,  17 롱주.   이후 2년째 안나오고 있습니다. 




7. 중국 1시드의 비극?

14 롤드컵 - 8강
15 롤드컵 - 16강
16 롤드컵 - 8강
17 롤드컵 - 16강
18 롤드컵 - 8강
19 롤드컵 - ?!?

중국에 티켓이 3장이 지급된 이후
중국의 1시드팀은 언제나 8강~16강 따리..  를 유지하는 중국 1시드의 비극이 있는데요.

이번에 펀플러스는 과연?




8. 이게 2주차의 프나틱이다!

15년 ->  1주차 1승 2패,  2주차 3승 0패로 8강 진출
17년 ->  1주차 0승 3패,  2주차 4승 1패로 8강 진출 (전설의 패패패패 승승승승...)
18년 ->  1주차 2승 1패,  2주차 4승 0패로 8강 진출 (그해 디펜딩 챔피언 IG 상대로 2주차에 2번 다 이김..)
19년 ->  1주차 1승 2패,  2주차 3승 0패로 8강 진출..

프나틱은 1주차 승률이 4승 8패.. 지만   2주차는 14승 1패입니다. 

?!?!?


2주차는 IG건 SKT건 뭐건 다 밀어버리는 프나틱의 2주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감별사
19/10/21 18:06
수정 아이콘
4번 보니까 LEC에서 우승팀이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묘한 징크스가 있군요.
어쩌면 [어나더레벨] G2 혹은 FNC이 우승할지도...
블리츠크랭크
19/10/21 18:06
수정 아이콘
페이커의 사이클링 우지울리기...
타카이
19/10/21 18:09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잘못했다
피카츄 배 만지기
19/10/21 18:09
수정 아이콘
와 2년간 0승24패였어요? 진짜 제대로 죽은 경기 생산이네요.
LMS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으니, 시드 분배 잘 이루어져서 죽은 경기가 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핫포비진
19/10/21 18:11
수정 아이콘
2주차의 프나틱이란..
Dena harten
19/10/21 18:14
수정 아이콘
개최지역이 결승까지 간 경우가시즌 4 삼성 화이트가 마지막이란것도 특이하죠.
백년지기
19/10/21 18:18
수정 아이콘
정말 유럽의 분석이란..
그린우드
19/10/21 18:24
수정 아이콘
프나틱의 위엄이네요
다시마두장
19/10/21 18:25
수정 아이콘
페이커 피해자모임 국제 회장 우지......
19/10/21 18:28
수정 아이콘
우지챠...
19/10/21 18:32
수정 아이콘
우지가 페이커 죽빵 좀 날려도 이해 합니다...

꼭 그렇게 다 가져가야만 속이 후련했냐!
창술사
19/10/21 18:35
수정 아이콘
두번째경기 마지막에 우지 죽인것도 페이커 라이즈였는데..
19/10/21 18:35
수정 아이콘
7번은 이번 시즌도 가능성 높아보이네요. 도인비가 훌륭한 선수인건 맞지만 8강부터는 서포팅형이 아니라 칼챔을 잡고 팀을 이끌어야 하지않을까..
Le_Monde
19/10/21 18:40
수정 아이콘
동양 팀들이 매 경기에 최선을 다하는 식으로 한다면 EU팀은 확실히 큰그림 그리길 좋아해요. 첫주차는 완전 탐색전을 해버리죠. 그 덕분에 조별리그보다 토너먼트 때 성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19/10/21 18:54
수정 아이콘
우지랑 스코어가 만나서 페이커한테 화내는 프로그램 하나 나오면 좋겠네요 크크
-안군-
19/10/21 19:14
수정 아이콘
한명이 뒤에서 잡고 한명이 앞에서 멱살잡아도 인정...
55만루홈런
19/10/21 19:35
수정 아이콘
그러기엔 우지는 페이커만 만나면 세상 행복한 미소, 웃음만 보여줘서...크크
불굴의토스
19/10/21 18:57
수정 아이콘
6승은 어렵지만 6패는 쉽다.
밀크카밀
19/10/21 19:1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우지는 최강 전력이기도 했고 페이커가 없던 작년이 우승 적기였는데 G2가!!!!!!
19/10/21 19:38
수정 아이콘
우지가 페이커보다 더 롤드컵 개근했었군요.
Rorschach
19/10/21 19:42
수정 아이콘
8번에 그해 디펜딩 챔피언 에서 디펜딩은 빼야겠네요.

0승24패는 진짜 좀 너무했다...
클레멘티아
19/10/21 19:57
수정 아이콘
0승 24패는 너무 하다곤 하지만 현실은
플래이인에서 LMS 2,3번 시드를 다른 국가가 못이겨서 이 사단이 난거라.. 어중간한 체급의 한계라 봐야죠
wersdfhr
19/10/21 21:13
수정 아이콘
사실 17년에는 lms 3시드는 플레이인도 못 뚫었죠;;
19/10/21 19:59
수정 아이콘
의외로 프나틱이 결승 갈 수도 있다고 봅니다.
andeaho1
19/10/21 20:33
수정 아이콘
네메시스나 브위포가 조금만 더 각성하면 불가능은 아니죠
19/10/21 20:3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브위포도 브위포지만 브록사가 작년 롤드컵 폼 되찾는게 급선무 같아요. 그룹스테이지 2주차에서는 확실히 잘 해주긴 했는데 작년 그 퍼포먼스에 비하면 부족한 것 같아요.
스덕선생
19/10/21 21:50
수정 아이콘
펀플러스는 1위팀 최약체라 충분히 업셋 가능하다고 보는데 그리핀 vs IG 승자를 이길까요...
만약 IG가 올라오면 일말의 가능성이라도 있다고 보는데, 그리핀이 올라오면 말 그대로 국물도 없을거라 봅니다
불굴의토스
19/10/22 00:15
수정 아이콘
CG와의 졸전에서 기이하게 혈이 뚫린 느낌...

SKT,RNG전에선

CG와의 경기로 주화입마 걸린상황에서 내공을 돌려 임독양맥 타통된 수준의 경기력이더군요

결승은 잘 모르겠지만, 펀플러스는 이길것 같습니다.
다레니안
19/10/21 20:37
수정 아이콘
13년부터 우승팀 징크스도 이어져왔습니다.
1. SKT가 롤드컵을 우승한다. (13/15/16)
2. SKT가 아니면 자국리그 우승이 없는 팀이 롤드컵을 우승한다. (14삼화/17삼성/18IG)
올해에도 G2, 펀플럭스를 제외한 나머지 6팀이 우승하면 징크스가 이어지니 꽤 확률이 높죠. 크크
솔로15년차
19/10/21 21:33
수정 아이콘
대만 시드를 탓하기에는, 올해와 작년엔 3시드가 플레이인 뚫고 올라왔어서.
대만이 많이 약하지만, 다른 지역은 아직 더 약한거죠.
대만이 북미보다 나은 성적을 내면서 메이저지역을 5대로 만들었는데, 이제 베트남과 자꾸 비비면서 평가가 떨어지네요. 사실 비빈다고 하기엔 항상 베트남보다는 나은 성적이긴 했는데.
19/10/21 21:45
수정 아이콘
대진운이 있긴했죠

작년 겜빗이나 올해 유니콘 만났으면 대만 3시드는 못뚫었다고봐서..
스덕선생
19/10/21 21:47
수정 아이콘
대만 시드가 낭비였던건 맞는데 다른 지역 줘봐야 똑같이 승점자판기죠.
심지어 올해는 4대 지역(?)이라 불리는 북미도 한끼 식사거리로 전락한 마당이라서요

그렇다고 올해 롤드컵 우승지역에 한장 더 준다고 하는건 롤드컵의 취지에 좀 안 맞는거같고...
실제 월드컵의 아시아지역처럼 어쩔 수 없다 싶습니다.
젤나가
19/10/21 22:05
수정 아이콘
근데 비메이저 지역 중 그나마 최고라고 평가받던 VCS가 꿀조라고 평가받던 B조에서 딱 한 경기 이긴걸 생각하면 다른 데 티켓 더 주는 게 아무 의미가 없어 보이긴 하죠
에베레스트
19/10/21 22:52
수정 아이콘
우지가 롤드컵 최다 참가자인가요?
롯데올해는다르다
19/10/22 0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더블리프트 7회
우지 소아즈 6회
페이커 임펙트 프레이 마타 카사 등등 ... 5회

순으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432 [LOL] 역대 LOL 올스타 [9] Dango10974 19/12/06 10974 0
67313 [LOL] 비역슨, 더블리프트. 올스타 참가 포기 [51] Leeka13097 19/11/26 13097 3
66964 [LOL] 슈퍼팀 G2, LCk 패배원인과 미래. [76] 월광의밤11526 19/11/04 11526 8
66869 [LOL] NA vs KR 역대전적 [39] ELESIS10101 19/10/26 10101 4
66825 [LOL] 여러가지 롤드컵에서의 재밌는 기록들 [35] Leeka10892 19/10/21 10892 1
66814 [LOL] ESPN의 D조 선수들 평점 [71] 신불해11101 19/10/21 11101 2
66811 [LOL] 그룹스테이지 북미팀 멸망 후기 [53] 암드맨9989 19/10/21 9989 9
66768 [LOL] 여러모로 여러가지 스토리의 종착역인 느낌이 나는 이번 롤드컵 [23] 랜슬롯10809 19/10/17 10809 6
66729 [LOL] 북미 1시드 잔혹사(feat. 더블리프트) [44] 카바라스10722 19/10/13 10722 0
66721 [LOL] [응원글] 2015년의 악몽을 딛고, 2019년은 다르길. [8] 초갼5756 19/10/12 5756 4
66713 [LOL] Jatt & Vedius의 2019 롤드컵 탑 20 [27] 비역슨10510 19/10/11 10510 3
66610 [LOL] 젠지가 룰러와 3년 재계약을 했습니다. [58] Leeka9404 19/09/23 9404 0
66596 [LOL] 주관적으로 매겨본 4대 리그 롤드컵 진출팀 선수들 티어 및 간단한 평 [81] 99종자10783 19/09/20 10783 0
66586 [LOL] 4대리그를 대표하는 선수들과 팀들이 나오는 롤드컵 [22] Leeka8787 19/09/18 8787 0
66574 [LOL] 내 마음대로 매겨보는 롤드컵 진출팀 파워랭킹 (그룹스테이지 + 플레이인 1시드) [72] Luv.SH9216 19/09/16 9216 0
66478 [LOL] 4대리그 맹주들의 격돌.. Worlds 현재까지 잡설 [41] Leeka11316 19/09/01 11316 1
66395 [LOL] LCS 2019 서머 결승, TL vs C9 프리뷰 [20] 비역슨7022 19/08/22 7022 0
66377 [LOL] 개인적으로 시상해보는 4대 빅리그 섬머시즌 부문별 어워드 수상자들 [10] Ensis6819 19/08/20 6819 3
66363 [LOL] 롤드컵을 확정지은 4팀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 [10] Leeka6913 19/08/19 6913 0
66336 [LOL] MVP 후보 및 2019 LCS 서머 수상내역 [11] 비역슨5670 19/08/17 5670 2
66185 [LOL] 롤 올타임 선수 랭킹 [255] Pokemon17034 19/07/19 17034 1
66117 [LOL] 프로겐의 올 시즌은 어떤 식으로 끝날 것인가 [28] 신불해9749 19/07/10 9749 11
65889 [LOL] 유럽뽕이 가득찬 LEC 개막오프닝 [50] 내일은해가뜬다11075 19/06/08 11075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