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9/18 11:59:42
Name Leeka
Subject [LOL] 4대리그를 대표하는 선수들과 팀들이 나오는 롤드컵


- LCK : SKT - Faker

사실 SKT와 Faker는 LCK를 대표하는 팀이라기보단, 롤판 최고의 팀이기에 설명은 생략..



- LPL : RNG - Uzi

RNG는 사실 시즌3~시즌4 시절의 역사를 강등된 후에 다른 팀을 사서 갈아끼우면서 공식적으로 증발하긴 했지만..

우지는 13 롤드컵 준우승 - 14 롤드컵 준우승 - 16 롤드컵 8강 - 17 리라 우승 - 17 롤드컵 4강 - 18 MSI 우승 - 18 리라 우승 - 18 아겜 우승
18 스프링, 서머 우승은 덤..

을 해내면서 중국을 대표하는 명문팀이면서 중국 최고의 선수기도 합니다.
(IG의 더샤이랑 루키는 용병이다보니.. )


우지는 롤드컵에 6번째 나오는 상태고.  RNG는 4년 연속 롤드컵에 나옵니다.

덧붙이자면 우지는 RNG에 1년 반동안 없었습니다만..  이미지 상으로는 계속 RNG에 있던 느낌...




- LEC : FNC - 레클레스


시즌 1롤드컵 우승 - 시즌3 롤드컵 4강 - 시즌5 롤드컵 4강 - 시즌 8 롤드컵 준우승

그 외 롤드컵 16강, 8강 기록들은 덤..

유럽의 전통의 명문팀이면서, 그 팀에 가장 오랜시간 있는 선수인 레클레스입니다.


사실 레클레스도 프나틱에 붙박이로 있진 않았고. 중간중간 없던 시즌이 있다는 점에선 우지랑 비슷한 면도..

한국의 페이커, 중국의 우지처럼. 유럽에서 레클레스의 인기는 엄청나다고 생각하셔도..



- LCS : C9 - 스니키 //  더블리프트


모두가 알듯,  창단이후 롤드컵 7연속 진출.

지난 6번의 롤드컵중 5번을 8강 이상 진출.  
롤드컵에서 한국팀을 3:0으로 박살내고 4강에 진출한 적이 있는 팀.

언제나 북미 최후의 롤드컵 생존팀.


그리고 그 팀에 프렌차이즈 스타인 스니키.  가 북미를 대표하는 팀입니다.



하지만 다른 지역과 다르게 북미에는 '팀을 옮겨다니면서 커리어를 폭풍처럼 쌓고 롤드컵에 7번 나온' 더블리프트..가 있어서

선수는 스니키보다 더블리프트가 더 유명하긴 한.... 인기도 많고...


덥립의 커리어는 참고로
15 CLG - 16~17 TSM - 18~19 TL 에 있었는데
5년간 7회 우승, 1회 준우승입니다[...]

사실상 북미는 덥립이 있던팀이 우승하는 리그.....였다고 봐도..





4대리그 팀들 중에서도 SKT - RNG - FNC - C9는 롤을 챙겨봤던 팬들이라면 다 아는 지역을 대표하는 명문팀이기도 하면서.. 
그 팀에 정말 오랜시간 있던. (페이커, 스니키처럼 7년 내내 있거나..   우지, 레클레스처럼 잠깐 없던적이 있거나). 인기 스타를 보유했다는 점에서도..



근데 적고보니 페이커 빼곤 다 원딜이잖아.. 역시 원딜이 진짜 귀족..............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18 12:05
수정 아이콘
페이커 빼고 다 원딜이니 페이커 서폿알리 시키고 저 셋이랑 듀오띠게 합시다
더치커피
19/09/18 12:13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캡잭이랑만 듀오하길 원해서..
내일은없다
19/09/18 12:11
수정 아이콘
legends never die가 올해 롤드컵 음악이었도 굉장히 어울렸겠네요
하하맨
19/09/18 12:11
수정 아이콘
롤드컵은 정말 고인물 오브 레전드..
애플주식좀살걸
19/09/18 12:19
수정 아이콘
저선수들은 진짜 하도봐서 정듬 크크
사다하루
19/09/18 20:27
수정 아이콘
이거레알 크크크
저는 제가 우지한테 정이 들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크크
19/09/18 12:27
수정 아이콘
스트리밍 시청자로 따지면 스니키>덮립 아닌가요
유니폼 판매량이랑 팀뷰어 숫자도 C9 > TL 인거로 알고있습니다.
아웅이
19/09/18 13:19
수정 아이콘
끠자배달부 스니키..
1등급 저지방 우유
19/09/18 12:29
수정 아이콘
롤을 조금이라도 챙겨본 사람이라면 다 알법한 해당리그를 대표하는 선수들이군요.
올드라고 해도 될만한 선수들인데,
신인들이 활약하는 것도 기대가 되지만, 오랫동안 정상의 자리를 지켜온 선수들이 활약하는 모습도 기대가 되긴 합니다.
Legends never die.
리프시
19/09/18 12: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레클레스는 14년 끝나고 15년도 스프링까지 엘리멘츠(얼라이언스) 간거 빼면 다 프나틱에 있었죠 13년도쯤 기록상에 있는 팀들은 다 프나틱 소속으로 임대형식으로 간거라... 엘리멘츠만 안갔으면 정말 페이커도 뛰어넘는 한 구단에서 가장 오래있는 선수 타이틀을 가질수도 있었을겁니다 레클레스는
카르타고
19/09/18 19:05
수정 아이콘
스코어가 올타임 넘버원일까요?
다크템플러
19/09/18 13:22
수정 아이콘
사실 저선수들 15년쯤이후엔 0~1번말곤 개근해서 거의 다 있었....크크크
19/09/18 13:46
수정 아이콘
전 아직도 성적과 관계없이 북미하면 TSM이..
아이고배야
19/09/18 14:14
수정 아이콘
이름부터 근본넘치는 팀 미드혼자
aDayInTheLife
19/09/18 14:38
수정 아이콘
올해도 밈으로만 등판하실 비역슨..
카르타고
19/09/18 19:08
수정 아이콘
각지역의 대표 혹은 원조강팀을 세세하게 따지면
북미는 TSM 혹은 CLG
중국은 EDG 혹은 WE쪽이긴 하죠.
HA클러스터
19/09/18 15:02
수정 아이콘
자국민 쿼터 받으면서 인기있는 선수들은 슬슬 그나라 대표 선수로 인정해줘도 되지않나 싶네요.
티모대위
19/09/18 17:22
수정 아이콘
원딜이 날카로운 피지컬이 가장 많이 필요한 포지션이라, 선수가 기량 유지하기에도 가장 어렵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까 패치가 어떻게 바뀌어도 게임 전체에서 원딜의 [영향력 크기]가 바뀌는거지, 원딜 플레이의 메커니즘은 바뀐 적이 없더라고요.
그래서 메타 적응 등의 문제를 덜 겪고 롱런하면서 각 지역 최고스타로도 자리매김하게 되는 듯...
카르타고
19/09/18 19:09
수정 아이콘
챔피언도 사실 시즌2때 쓰던 이즈리얼 베인 케틀 아직도 쓰고 크크
크로니쿠
19/09/18 19:00
수정 아이콘
사족 같지만 17리라때 우지는 부상휴식중으로 불참했던걸로 기억합니다. 17리라 결승때 우지없는 RNG vs 전력상 LCK최약체 였던 MVP의 4세트는 서로 처절한 명승부였고요. 중국뿐 아니라 해외선수 중에 첫 손에 꼽히던 우지지만 데뷔5년간은 우승기록은 전무했던, 진퉁 콩라인이었죠.
Euthanasia
19/09/18 19:16
수정 아이콘
Best ap in the world가 없는 게 아쉽네요
전립선
19/09/19 07:48
수정 아이콘
레클레스는 시즌1 우승멤버는 아니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58 [기타] 플래닛 주 베타 후기 - 갓겜의 향기 [11] 다크템플러12164 19/09/29 12164 2
66657 [LOL] 유럽에서 부는 AP 비원딜 열풍 [65] 비역슨18704 19/09/29 18704 0
66656 [LOL] 폰 선수의 은퇴. 강박증에 관해서 [42] 민트밍크15064 19/09/29 15064 11
66655 [LOL] 폰에게 보내는 마지막 찬사 [47] 기세파12931 19/09/29 12931 15
66654 [스타2] 2019 GSL 시즌3 코드S 결승전 우승 "이병렬" [4] 김치찌개9939 19/09/29 9939 1
66653 [LOL] 국적별로 보는 롤드컵 로스터 [17] 반니스텔루이11198 19/09/29 11198 0
66652 [LOL] [실험] 가고일은 지크의 데미지도 감소시킬까? [3] Cookinie6879 19/09/29 6879 11
66651 [스타2] 2019 마운틴듀 GSL 시즌 3 결승전 직관기 [6] 及時雨10330 19/09/28 10330 0
66650 [기타] 보드게임을 시작하고 반년이 지났습니다. [47] 소이밀크러버11171 19/09/28 11171 0
66649 [LOL] 2019년 롤드컵 특집 다큐 - 거인을 겨눈 화살 [33] 내일은해가뜬다13752 19/09/28 13752 0
66648 [LOL] This or That - 롤드컵 특집 [33] Arcturus12475 19/09/27 12475 2
66647 [LOL] 다른 스포츠로본 해임후 우승의 력사..(업셋?) [47] Brandon Ingram12978 19/09/27 12978 0
66646 [LOL] 14~18 4대리그 1시드팀들의 결과 [12] Leeka8747 19/09/27 8747 0
66645 [LOL] 디그니타스, 이블 지니어스, 임모탈스의 LCS 복귀 [21] 비역슨10229 19/09/27 10229 1
66643 [LOL] 아직 씨맥 전감독 해임의 진짜 구체적인 이유는 모르는 겁니다 [164] 민트밍크19998 19/09/27 19998 4
66642 [LOL] 씨맥 입장발표 [85] 월광의밤18617 19/09/26 18617 1
66641 [LOL] 씨맥, 성적부진 이유로 해고 (풀영상 첨부) [215] 스위치 메이커21230 19/09/26 21230 3
66640 [기타] [닌텐도스위치]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플레이 후기. [19] 킥킥킥이나12964 19/09/26 12964 3
66639 [LOL] 그리핀이 김대호(cvMax) 감독과 상호해지 하였습니다 [549] 修人事待天命39866 19/09/26 39866 0
66638 [LOL] 내멋대로 LCK 파워랭킹 [66] roqur12187 19/09/26 12187 0
66637 [LOL] ESPN 파워랭킹 9위 너구리 선정 이유(번역 발퀄 주의) [23] SuperSlam11322 19/09/26 11322 1
66636 [LOL] 롤토체스 수치와 향후 대락적 계획이 나왔습니다. [27] 마빠이9932 19/09/26 9932 0
66635 [LOL] ESPN 선수 파워랭킹 TOP 20 나왔습니다 [88] 스톤에이지13420 19/09/26 1342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