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9/17 14:57:56
Name 반니스텔루이
Subject [LOL] 2019 롤드컵 참가팀들 역대 롤드컵 성적
LPL (중국)

1시드: 펀플러스 - 첫 출전


2시드: RNG - 4회 출전

시즌 6: 8강
시즌 7: 4강
시즌 8: 8강

4강 1회, 8강 2회


3시드: IG - 4회 출전

시즌 2: 8강
시즌 5: 16강
시즌 8: 우승

우승 1회, 8강 1회, 16강 1회


LCK (한국)

1시드: SKT - 5회 출전

시즌 3: 우승
시즌 5: 우승
시즌 6: 우승
시즌 7: 준우승

우승 3회, 준우승 1회


2시드: 그리핀 - 첫 출전


3시드: 담원 - 첫 출전


LEC (유럽)

1시드: G2 - 4회 출전

시즌 6: 16강
시즌 7: 16강
시즌 8: 4강

4강 1회, 16강 2회


2시드: 프나틱 - 7회 출전

시즌 1: 우승
시즌 3: 4강
시즌 4: 16강
시즌 5: 4강
시즌 7: 8강
시즌 8: 준우승

우승 1회, 준우승 1회, 4강 2회, 8강 1회, 16강 1회


3시드: 스플라이스 - 2회 출전

시즌 6: 16강

16강 1회


LCS (북미)

1시드: 팀리퀴드 - 2회 출전

시즌 8: 16강

16강 1회


2시드: C9 - 7회 출전

시즌 3: 8강
시즌 4: 8강
시즌 5: 16강
시즌 6: 8강
시즌 7: 8강
시즌 8: 4강

4강 1회, 8강 4회, 16강 1회


3시드: 클러치 게이밍 - 첫 출전


LMS (대만/홍콩/마카오)

1시드: J Team - 3회 출전

시즌 2: 우승
시즌 4: 16강

우승 1회, 16강 1회


2시드: ahq - 5회 출전

시즌 4: 16강
시즌 5: 8강
시즌 6: 16강
시즌 7: 16강

8강 1회, 16강 3회


3시드: HKA - 2회 출전

시즌 7: 32강

32강 1회


VCS (베트남)

1시드: GAM Esports - 2회 출전

시즌 7: 16강


2시드: Lowkey Esports - 첫 출전


CBLOL (브라질)

1시드: 플라멩구 - 첫 출전


LCL (독립국가연합)

1시드: Unicorns Of Love - 첫 출전


LJL (일본)

1시드: 데토네이션 FM - 2회 출전

시즌 8: 32강

32강 1회


LLA (라틴 아메리카)

1시드: 이수루스 게이밍 - 첫 출전


OPL (오세아니아)

1시드: 맘모스 - 첫 출전


LST (동남아시아)

1시드: 메가 - 2회 출전

시즌 5: 16강


TCL (터키)

1시드: Royal Youth - 첫 출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19/09/17 15:06
수정 아이콘
여기가 그 고인물들이 모인 곳인가요?
19/09/17 15:15
수정 아이콘
RNG에 대해서 햇갈릴 분들에게 추가 하자면..

시즌3~시즌4에 Royal Club 이 2연속 롤드컵 준우승을 한 뒤..

시즌5에 강등됫습니다 -.-;


그래서 2부리그에 간 Royal Club 을 버리고, 1부리그로 승격한 팀을 구단주가 새로 산 뒤 Royal Never Giveup (로얄은 죽지 않는다) 로 팀명을 고친 케이스라서

시즌3~시즌4 롤드컵 2회 준우승은 공식적으론 다른팀이 되어있습니다.
realcircle
19/09/17 15:29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같은기록으로 봐도 무방하지 않나요?
19/09/17 15: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떤 프로스포츠에서도 위 케이스를 같은팀 기록으로 보지 않습니다.
(대신 우지와 같은 선수는 저 기록을 다 가지긴 합니다.)

KBO만 해도 삼청태현의 역사를 넥센이 먹으려고 하지만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데요..

그 팀을 '그대로 넘겨받은' J Team이나 한화는 구성원이 싹 바뀌었어도 우승 기록을 들고가지만
Royal의 경우 전의 팀을 강등시킨 상태로 버리고 새로 팀을 세팅한거라서 기록이 날아갑니다.


위 케이스를 인정하게 되면 승강전이 의미가 없죠.
강등되도 승격된팀 걍 돈으로 사서 커리어 유지가 가능한건데..


그래서 작년 롤드컵에서도 라이엇 공식 소개가 아래와 같이 나갑니다.


Royal Never Give Up(RNG)은 올해 경이로울 정도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LPL 스프링 및 서머 스플릿, 리프트 라이벌즈, 2018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을 포함해 2018년에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죠. RNG는 2015년 창단 이후 개최되었던 세 번의 월드 챔피언십에 모두 LPL 대표로 출전했고, 최고 성적은 4강이었습니다. 이제 남은 최종 목표는 단 하나, 2018 월드 챔피언십 우승뿐입니다
RedDragon
19/09/17 16:07
수정 아이콘
맨 마지막 부분 감회가 새롭네요. 15 슼도 못했던거라 이때 정말 RNG는 해내나? 하고 긴장했었는데... 결국 RNG도 못했네요 크크
realcircle
19/09/17 16:31
수정 아이콘
선수만 그러면 기록을 가지고 가게 되는거군요
저런경우가 흔한경우는 아니라서 제가 착각한것 같습니다.
RedDragon
19/09/17 16:04
수정 아이콘
아 어쩐지 14년 롤드컵 직관에서 우지랑 RNG를 본거 같았는데 그건 뭐지?? 하고 있었는데... 댓글에 바로 답을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크크
19/09/17 18:33
수정 아이콘
아니.. never give up인데 시작부터 give up 한거잖아요...
영수오빠야
19/09/17 22:48
수정 아이콘
돈은 give up 하지 않죠
DownTeamDown
19/09/17 15: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프나틱은 우승, 준우승, 4강, 8강, 16강 한번이상 다 해본팀이죠.
물론 시즌1의 한국,중국,대만 빠진 유럽-북미에 동남아 일부팀 꼈던 대회우승이라 평가가 많이 깍여서
진정하게 전부 다해봤다고 하려면 우승 한번 더하셔야겠지만
정답은해체입니다
19/09/17 15:41
수정 아이콘
이런 부류의 자료를 볼 때마다 생각나는 흑우추
남들은 있는거 없는거 다 자기들 역사로 끌고가려는데 개발사부터 인정해주는 역사를 스스로 버릴줄이야
Placentapede
19/09/17 15:42
수정 아이콘
레알
진짜 사고방식이 다르더군요.
정답은해체입니다
19/09/17 15:44
수정 아이콘
이 건에 관해서는 기적의 논리라고 밖에 할 말이 없습니다
cluefake
19/09/17 17:11
수정 아이콘
세이브파일 승계는 받았으나
내가 깬 업적만이 업적이라 생각하는 게이머에 제일 가까운 거 같습니다. 근데 그래도 진짜 말이 안 되는 행동인데
19/09/17 15:45
수정 아이콘
원래 역사를 인정 받으려고 현질하는건데... 기묘하긴 하죠 -.-;;
19/09/17 15:57
수정 아이콘
진짜 이쯤되면 삼화 기록말살형은 사실인듯 크크
R.Oswalt
19/09/17 16:05
수정 아이콘
삼성 갤럭시의 역사는 없애고 싶어 하지만, 가슴팍에 붙여 놓은 SAMSUNG SSD는 어쩔... 모순을 이겨내는 것이 진정한 구단주의 모습인 것 크크
다시마아스터
19/09/17 17:11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입니다 크크. 뭘 그리 애써 우승을 없는 역사로 만드려 하는지..
스톤에이지
19/09/17 17:35
수정 아이콘
근데 젠지 사무실에는 삼성때 우승한 트로피는 있던데요 뭐지
작별의온도
19/09/17 16:08
수정 아이콘
레퍼드 이번에도 조별리그에서 슼 만나고 담원 피해서 8강 가는 거 아니냐는 얘기 하고 있던데 그 얘기 듣고 찾아보니 김정균 감독과 같이 롤드컵 간 경우에는 무조건 같은 조에서 만나서 무조건 8강을 갔더라고요. 15년 EDG 16년 C9 17년 C9 모두 조 2위로 올라가서 8강에서 떨어짐.. 슼없던 작년에 4강갔구요 크크.
vallalla
19/09/17 16:21
수정 아이콘
C9이 SKT랑 같은조일때는 슼 덕을 많이 봤죠. 슼이 조별리그에서 압도적 1위 해줘서 훨씬 편해진
vallalla
19/09/17 16:19
수정 아이콘
역시 명문구단 프나틱이군요.
19/09/17 17:44
수정 아이콘
SKT의 기록 보면서 경악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그리고 프나틱 역시 대단하네요!
엘제나로
19/09/17 18:30
수정 아이콘
로얄은 지금도 2부리그에 있으니까요
네버 기브업은 다른팀이죠
엘제나로
19/09/17 18:35
수정 아이콘
SKT의 4샷 3킬 1어시
프나틱의 근본력
C9의 생존력
대단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503 [스타1] 스타크래프트, 스타리그 그리고 음악 [70] 플라톤19248 20/12/24 19248 8
70335 [기타] 나는 그대, 그대는 나 페르소나 시리즈 노래 모음 [26] 라쇼15405 20/12/03 15405 3
69974 [LOL] 브위포가 한국팬들에게 글을 남겼네요 [132] 디오라마18478 20/11/09 18478 2
69847 [LOL] 2020년의 쑤닝을 보내며 (번역) [15] FOLDE8900 20/11/03 8900 8
69688 [스타2] 굿바이? 굿바이… 스타크래프트Ⅱ [22] Love.of.Tears.17379 20/10/17 17379 12
69543 [LOL] LPL 3시드, 쑤닝 선수들 이야기 [20] FOLDE14328 20/10/02 14328 33
69433 [LOL] ESPN 롤드컵 팀 파워랭킹 [42] ELESIS11812 20/09/16 11812 0
69272 [기타] [응원 혹은 감사] 무제 Love.of.Tears.8763 20/09/03 8763 15
68671 [LOL] 황부리그. LPL의 개인 수상들 정리 [7] Leeka9350 20/06/12 9350 0
67947 [기타] [DJMAX] 디제이맥스 리스펙트V 3월 12일 정식 출시(첫 DLC 공개) [17] 은하관제9044 20/03/03 9044 1
67786 [기타] 당장, 워크래프트Ⅲ를 돌려놓아라 [33] Love.of.Tears.18328 20/02/08 18328 11
67651 [기타] VA-11 Hall-A Cyberpunk : Human Naver Change. [28] 잠이온다10246 20/01/01 10246 1
67592 [LOL] LPL 이적시장 정리 [18] 신불해12805 19/12/21 12805 1
67591 [기타] [리뷰]훌륭한 전략게임, 인투더브리치 - (1) 이 게임에 스토리가 있다고? [14] 아이작존스10909 19/12/20 10909 3
67569 [기타] 데스 스트랜딩 : 메인 스토리 #14 "샘 브리지스" 은하관제10707 19/12/16 10707 1
67557 [기타] 데스 스트랜딩 : 메인 스토리 #13 "다시 미국 동부에서" 은하관제9348 19/12/15 9348 2
67473 [기타] 데스 스트랜딩 : 메인 스토리 #6 "미국 서부에서" [2] 은하관제7987 19/12/10 7987 1
66653 [LOL] 국적별로 보는 롤드컵 로스터 [17] 반니스텔루이9634 19/09/29 9634 0
66581 [LOL] 2019 롤드컵 참가팀들 역대 롤드컵 성적 [25] 반니스텔루이7994 19/09/17 7994 2
66580 [LOL] Worlds 2019 - 참가팀 소개 [56] 소야테12558 19/09/17 12558 22
65845 [LOL] LPL 2019 서머 로스터 정리 [12] 카멘라더7749 19/05/31 7749 0
65798 [LOL] LPL 이적시장이 혼돈으로 가나요? [46] 카멘라더11643 19/05/23 11643 0
65791 [LOL] UoL 팀이 LCL섬머에 참가합니다 [10] 다크템플러6977 19/05/23 697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