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8/25 20:51:50
Name 반니스텔루이
Subject [LOL] SKT 단일팀 이후, 5전 3선승제 전적 (수정됨)
15 스프링 플레이오프: SKT 3 : 2 CJ [패패승승승]

15 스프링 결승전: SKT 3 : 0 쿠 타이거즈 [승승승]

15 MSI 4강: SKT 3 : 2 프나틱 [승패승패승]

★ 15 MSI 결승전: SKT 2 : 3 EDG [승패패승패]

15 서머 결승전: SKT 3 : 0 KT [승승승]

15 롤드컵 8강: SKT 3 : 0 AHQ [승승승]

15 롤드컵 4강: SKT 3 : 0 오리진 [승승승]

15 롤드컵 결승전: SKT 3 : 1 쿠 타이거즈 [승승패승]

16 IEM 월챔 결승전: SKT 3 : 0 프나틱 [승승승]

16 스프링 준플레이오프: SKT 3 : 1 진에어 [승패승승]

16 스프링 플레이오프: SKT 3 : 0 KT [승승승]

16 스프링 결승전: SKT 3 : 1 락스 [승패승승]

16 MSI 4강: SKT 3 : 1 RNG [패승승승]

16 MSI 결승: SKT 3 : 0 CLG [승승승]

★ 16 서머 플레이오프: SKT 2 : 3 KT [승승패패패]

16 롤드컵 8강: SKT 3 : 1 RNG [패승승승]

16 롤드컵 4강: SKT 3 : 2 락스 [승패패승승]

16 롤드컵 결승전: SKT 3 : 2 삼성 [승승패패승]

17 스프링 결승전: SKT 3 : 0 KT [승승승]

17 MSI 4강: SKT 3 : 0 플래시 울브즈 [승승승]

17 MSI 결승전: SKT 3 : 1 G2 [승패승승]

17 서머 준플레이오프: SKT 3 : 0 삼성 [승승승]

17 서머 플레이오프: SKT 3 : 2 KT [패패승승승]

★ 17 서머 결승전: SKT 1 : 3 롱주 [패패승패]

17 롤드컵 8강: SKT 3 : 2 미스피츠 [승패패승승]

17 롤드컵 4강: SKT 3 : 2 RNG [패승패승승]

★ 17 롤드컵 결승전: SKT 0 : 3 삼성 [패패패]

★ 18 스프링 준플레이오프: SKT 1 : 3 KT [승패패패]

★ 18 롤드컵 선발전 1R: SKT  2 : 3 젠지 [승패승패패]

19 스프링 플레이오프: SKT 3 : 0 킹존 [승승승]

19 스프링 결승전: SKT 3 : 0 그리핀 [승승승]

★ 19 MSI 4강: SKT 2 : 3 G2 [승패승패패]

19 서머 준플레이오프: SKT 3 : 0 샌드박스 [승승승]

19 서머 플레이오프: SKT 3 : 0 담원 [승승승]

총 전적: 27승 7패

3:0 승 - 14게임
3:1 승 - 6게임
3:2 승 - 7게임
2:3 패 - 4게임
1:3 패 - 2게임
0:3 패 - 1게임

전설의 톰톰벵벵벵으로 이어진 극적인 역전승을 시작으로..

15 서머 결승~16 MSI 결승전까지 거둔: 5전 3선승 10연승과
16 롤드컵 8강~17 서머 결승전까지 거둔: 5전 3선승 8연승 기록이 있습니다.

중간에 16 KT가 한번 못끊었다면 20연승까지 했을지도 -_-;

최고 연패로는 17롤드컵 결승전~18 롤드컵 선발전까지 거둔: 5전 3선승 3연패 기록이 최고

역시 최고 암흑기 18년도..


승리를 거둬본 국내팀은 KT가 2승 4패 , 삼성(현 젠지) 2승 2패, 롱주(현 킹존) 1승 1패
해외팀은 EDG랑 G2(1승 1패)가 한번씩 잡았네요.

제일 많이 진 팀은 역시나 구 락스.. 4번 모두 붙어서 전부 패배
해외팀으로는 우지챠가 있는 RNG. 3번 붙어서 전부 패했습니다. (16 MSI때는 다른 원딜러긴 함)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9/08/25 20:52
수정 아이콘
저 패패승승승이 그 코코 이겼다 -> 절망의 표정 클로즈업된 경기인가요 크크
반니스텔루이
19/08/25 20:57
수정 아이콘
네. 코코가 4세트때 그냥 미드 밀어서 끝냈어야 한다고 말하던 그 시리즈..
19/08/25 20:58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그냥 건물만 쳤으면 끝났을텐데 선수들은 보는 입장이 아니다보니 ㅠㅠ
니나노나
19/08/25 22:15
수정 아이콘
아.... 시제이 ㅠㅠㅠㅠ
Bemanner
19/08/25 20:58
수정 아이콘
(대충 우지가 되돌아가는 짤)
19/08/25 20:59
수정 아이콘
15년도부터 17결승전까지 다전제 4번 졌네요. 확실히 왕조 얘기 나올만한 시대였던 것 같습니다.
피카츄 배 만지기
19/08/25 21:00
수정 아이콘
구 락스는 skt가 정말 밉겠네요.
skt만 아니었어도 롤 역사에 이름을 박아넣을 수 있는 강한 팀이었는데
우지 역시 skt가 너무 밉겠네요 크크크크크크
정글러(물리)
19/08/25 21:01
수정 아이콘
준결승전에서 잡은게 위대한 정글러 한번뿐인거죠?
반니스텔루이
19/08/25 21:02
수정 아이콘
16년때랑 18년도 이렇게 2번 이겼습니다. 크크
19/08/25 21:03
수정 아이콘
젠지 기록이랑 비교하면 재밌겠네요 크크크 16-18동안 롤드컵 기록은 슼삼 둘다 우승 준우승 1회인데 LCK다전제 성적은 크크크
마법사9년차
19/08/25 21:07
수정 아이콘
그냥 창단 이후(시즌3이후) 열린 대회에서
롤드컵은 6회중 4회결승 3회 우승으로 우승률 50%
msi는 5회중 3회 결승 2회 우승, 우승률 40%
LCK는 14회중 8회 결승 7회 우승, 우승률 50%
절반을 혼자 다 해먹었죠.
19/08/25 21: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매치의 '높이'(이걸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음)로 비교하면

결승전 : 11승 2패
플옵&준결승 : 8승 4패
준플옵&8강 : 5승 2패
선발전 : 1패

이렇게 되네요. LCK 준플옵이랄 롤드컵 8강을 동치하기는 좀 그렇긴 한데... 좀 애매하시면 롤드컵 8강 4강은 다 이겼으니 그만큼 빼시고 MSI 결승 한번 4강 한번 이렇게 패배 / MSI 4강 승리 3번 빼시면 수가 맞을 겁니다.

손으로 센 거라 맞을지 모르겠네요.
정은비
19/08/25 21:08
수정 아이콘
이겨본 미드가 폰, 플라이, 크라운, 비디디, 캡스가 끝이군요
반니스텔루이
19/08/25 21:12
수정 아이콘
유칼도 있..
19/08/25 21:13
수정 아이콘
유칼도있어요;
정은비
19/08/25 21:21
수정 아이콘
18스프링때도 유칼이었네요. 왜 그때까진 폰으로 기억을..
반니스텔루이
19/08/25 21:41
수정 아이콘
원래 폰이었다가 막판에 유칼로 교체되었죠
책 읽어주세요
19/08/25 21:13
수정 아이콘
쿠로가 대부분의 다전제에서 페이커만 만나면 심하게 못했죠...
오안오취온사성제
19/08/25 21:14
수정 아이콘
17 롤드컵 토너먼트 3대2 두번은 이겼지만 진짜 온몸에 기를 다 쓴 느낌이었죠. 번아웃 올만 했음..
다레니안
19/08/25 21:34
수정 아이콘
이게 강팀의 품격이죠.
롤드컵 진출을 위해 자국리그 성적을 내듯, 다전제를 하기 위해 리그성적을 내는 것이니 다전제에서 강한 팀이 진짜 강팀입니다.
리나시타
19/08/25 21:49
수정 아이콘
19년도 lck에서 한건 다 3:0이네요;;
이번 결승이 정말 궁금합니다
19/08/25 21:49
수정 아이콘
올해는 3:0으로 4번 이겼네요.
그리핀도 3:0으로 이기면 리얼 어나더레벨이네
19/08/25 21:56
수정 아이콘
다시보니 3:0으로 이긴건 14번인데 3:0으로 진건 1번밖에 없네요. 팬 입장에서 체감차가 심할만도 합니다. 유일한 3:0 패배는 17롤드컵 결승...
파이몬
19/08/26 00:03
수정 아이콘
흑흑 ㅠㅠ
이른취침
19/08/26 01:29
수정 아이콘
이걸 검은수염이... 준식아 행복해라ㅠㅠ
니나노나
19/08/25 22:15
수정 아이콘
그 마오카이 텔이 아니었다면.... 어케되엇을까요 흑
파이몬
19/08/26 00:04
수정 아이콘
킹린.. 그립읍니다..
네~ 다음
19/08/25 22:21
수정 아이콘
이번년도 SKT는 그야말로 왕좌를 다시 찾으러가는 그런 느낌입니다.

17SKT 롤드컵 결승전 충격의 셧아웃

18SKT SKT 뿐만 아니라 LCK 자체가 충격이었던 한 해.

19SKT 초반에 흔들거리다가도 시간이 지나자 완성형이 되어버림. 그리고 롤드컵 진출 확정까지.

역시 롤드컵에는 SKT가 있어야 뭔가 안심이...
19/08/26 02:05
수정 아이콘
유일하게 skt 상대로 패패승승승 해본팀 16kt
중심의 위대한정글러 스코어...ㅠ
오늘보다 나은 내일
19/08/26 02:38
수정 아이콘
19슼은 lck 다전제 승률이 지금까진 100% 인거네요.
스프링 킹존, 그리핀
섬머 샌박, 담원

분명 리그에선 호각이었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444 [기타] wow 클래식 - 모두가 인생 2회차라면 ? [15] 꿀꿀꾸잉9514 19/08/27 9514 1
66443 [기타]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새로운 SRPG의 틀을 완성하다. [40] 잠이온다14548 19/08/27 14548 4
66442 [LOL] 최근 LCK에 대한 간단한 감상 [107] Vesta16336 19/08/27 16336 3
66441 [기타] (랑그릿사) 엘리+레라 픽업 대방출쇼 [105] 길갈9270 19/08/27 9270 0
66440 [기타] 클래식wow )오리지널을 풍미한 아이템들.. [59] 암드맨20716 19/08/27 20716 4
66439 [기타] [와우 클래식] 갖고싶던 드랍아이템들은 어떤 게 있었나요? [45] 세인트14234 19/08/27 14234 0
66438 [LOL] 생애 첫 플래티넘 달았습니다. [20] K. De Bruyne7196 19/08/27 7196 3
66437 [LOL] LEC 세대교체의 중심에 선 로그 [19] 비역슨9172 19/08/27 9172 0
66436 [LOL] 33살, 2개 아이디를 골드에 안착시키며 [21] 여기7461 19/08/27 7461 1
66435 [기타] 와우 클래식 출시기념 오리지널 PVP 종족 이야기 [85] 피정13736 19/08/27 13736 0
66434 [LOL] 결승전에서 등장할만한 깜짝픽은 무엇이 있을까요? [77] Luv.SH12263 19/08/27 12263 0
66433 [LOL] 오늘자 BTS Glol 쇼 초간단 정리(수정) [34] roqur12849 19/08/26 12849 1
66432 [기타] [WOW] 와우클래식 오픈이 코앞입니다 [36] HALU9521 19/08/26 9521 0
66431 [LOL] 롤린이를 위한 롤챔스 상식강의(초장문) [116] 라이츄백만볼트14813 19/08/26 14813 19
66430 [오버워치] 2019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최종 결과 [21] 손금불산입9150 19/08/26 9150 0
66429 [LOL] 4대 빅리그에서 앞으로 남은 다전제는 총 20경기 & 경기 날짜 [12] Ensis8528 19/08/26 8528 0
66428 [LOL] 현재까지의 롤드컵 진출 확정팀 + 티켓 배정 방식 정리 [4] Leeka7826 19/08/26 7826 0
66427 [LOL] 제2차 문도피구대회 결과 [14] 진성6852 19/08/26 6852 1
66426 [LOL] 터키의 SKT? 울프와 프로즌의 슈퍼매시브 [11] qtips10372 19/08/26 10372 2
66425 [LOL] LPL 포스트시즌 4강 대진표 확정 & 롤드컵 직행 모든 경우의 수 정리 [13] Ensis9572 19/08/26 9572 2
66424 [기타] Mr. Bullet - 푱푱 날아가는 사랑의 총알 [3] 及時雨8698 19/08/25 8698 0
66423 [LOL] 한 주 앞서 쓰는 LCK 서머 결승전 프리뷰 [32] roqur11595 19/08/25 11595 0
66422 [LOL] 국제대회 정글러 식스맨? 구시대적 발상이 아닐까 [25] 삭제됨8449 19/08/25 844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