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8/18 22:45:17
Name 한글날기념
Subject [LOL] 젠지 3세트 정글 바텀의 실수 및 담원의 확실한 근거(재업+) (수정됨)
캐니언 사일러스 정글이 좋은 유지력을 바탕으로 거의 풀 체력으로 상대편 레드 쪽을 들어갑니다.
피넛의 세주아니는 레드를 사냥하던 중 캐니언 사일러스 정글의 습격으로 인해 서로 점멸이 빠지고
부랴부랴 세주아니는 본진으로 돌아갑니다.



여기서 피넛은 자기 레드 위쪽 정글까지 다 털릴 걸 생각하고 아래 쪽 정글로 들어가는 판단이 아닌
다시 본인 레드 위쪽 골렘 쪽으로 들어갑니다만 먹다 남은 찌꺼기만 있었습니다.
그곳에 이미 와드가 설치되어 있어 캐니언은 피넛의 동선을 완벽히 파악하고 위쪽 바위게를 기분 좋게 먹었고 피넛은 완전히 말리는
상황입니다.(그리고 캐니언 본인 정글은 남아있습니다.)





이후 할 게 없어진 피넛은 미드 쪽으로 돌려 찌릅니다. 본래라면 피넛의 동선을 완벽히 파악한 쇼메이커의
카르마는 가볍게 흘려야 했으나 미드 로치 아트록스의 적절한 스킬 사용으로 인해 점멸을 사용하고 맙니다.
그렇지만 이미 동선이 파악된 노노 강제된 피넛은 아래 쪽 바위게를 속절없이 내주고 겨우 두꺼비를 챙깁니다.





이미 피넛의 강제된 동선 상황과 수정초의 사용을 본 캐니언은 '당연히' 바텀 쪽 삼거리 옆 윗 부쉬에 잠깐 대기합니다.
여기서 피넛의 선택지는 망한 자신의 상황을 인지하고 갱킹보단 6렙을 찍기 위한 동선을 짜는 것이 아닌 바텀
아래 쪽 부쉬에 대기하는 선택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선택은 말린 상황을 풀기 위한 상당히 위험한 운에 맡기는 플레이에 가깝습니다.

굳이 바텀 쪽을 봐주려했다면 아랫 쪽 부쉬에 대기할 것이 아닌 위 쪽에서 대기하는 게 적절했겠지만 이미 말린
상황을 풀기위해 무리한 판단을 하게 되고 같은 프로 정글인 이상 이미 강제된 상대방 정글의 동선을 맞받아치는 건
매우 쉬운 일이고 결국 바텀 쪽 대참사가 일어납니다.

이후 룰러의 바루스가 바텀 텔을 타지 말아야 할 곳에 타게 되고 결국 바텀을 폭파되고 결말은 다들 알다시피.



이번엔 되겠지요? 근데 글삭제한 게 그냥 남아있군요.








하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8/18 22:46
수정 아이콘
잘 보입니다. 그런데 뭔가 아쉽네요(?)
19/08/18 22:46
수정 아이콘
이젠 보여요 !선생님!
미카엘
19/08/18 22:49
수정 아이콘
잘 보입니다 크크
55만루홈런
19/08/18 22:49
수정 아이콘
사일 정글이 패치로 정글을 못한다 듣긴 했는데 그러면 담원에겐 쪼금 안좋은 소식이긴 하네요 진짜 캐니언이 사일 정글을 넘 잘해서 크크
서지훈'카리스
19/08/18 22:53
수정 아이콘
바루스는 왜 텔을 탔는지, 대참사 아닌 소참사로 끝날수도 있었는데
GREYPLUTO
19/08/18 23:08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황제의마린
19/08/18 23:11
수정 아이콘
잘 보이는데 뭔가 그 아쉽네요 마지막에 짤방에 콜드 넣어주시지 크크크크
황제의마린
19/08/18 23:12
수정 아이콘
전 마지막에 바루스 텔이 진짜 젠지 선수들의 콜이 좀 안 맞는다고 느낀게..

다른 라인에서 주도권 가지고 미는 상황이라 투텔을 타면 라인을 태우는 상태도 아니였어요
19/08/18 23:19
수정 아이콘
스톤콜드 형님 사진도 좀
이웃집개발자
19/08/19 13:4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아 개운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423 [LOL] 한 주 앞서 쓰는 LCK 서머 결승전 프리뷰 [32] roqur12381 19/08/25 12381 0
66422 [LOL] 국제대회 정글러 식스맨? 구시대적 발상이 아닐까 [25] 삭제됨8793 19/08/25 8793 0
66421 [기타] [클래식와우] X골마, 천골마를 위한 골드 수급 [11] 칠리콩까르네11882 19/08/25 11882 1
66420 [LOL] 2019 플레이오프 1R 2R 직관 후기 [16] 203589015 19/08/25 9015 7
66419 [LOL] SKT 단일팀 이후, 5전 3선승제 전적 [30] 반니스텔루이11713 19/08/25 11713 1
66418 [LOL] 롤드컵 진출 확정! SKT. 그리고 첼코 3인방의 연전연패 [304] Leeka20674 19/08/25 20674 2
66417 [기타] 카트 그거 한국만 하는거 아닌가? - 상상이상이었던 해외 선수들의 실력 [11] 신불해13930 19/08/25 13930 4
66416 [기타] 이게임을 아시나요? (젤리아드) [16] zenith9484 19/08/25 9484 2
66415 [LOL] J Team 이 5번째로 롤드컵 진출을 확정지었습니다. [15] Leeka10608 19/08/24 10608 0
66414 [LOL] EDG 탈락, LPL 롤드컵 대표 선발전 남은 경우의 수 [16] MiracleKid12379 19/08/24 12379 0
66413 [LOL] 현재 이적시장 선수들 [42] 1등급 저지방 우유13021 19/08/24 13021 0
66412 [LOL] 섬머시즌 결산 단순무식 지표 - 4대리그 다 합친 포지션별 지표 TOP 10 [29] Ensis12773 19/08/24 12773 2
66411 [LOL] 리그와 다전제 경기력, 팀의 고점과 크랙에 대한 잡담 [105] Leeka14507 19/08/24 14507 5
66410 [오버워치] 222 딜러 배치고사 후기 [29] 레드로키11078 19/08/24 11078 1
66409 [LOL] 롤드컵 개최지의 팀을 외면해왔던 역대 롤드컵 결승전 징크스 [11] skylarcs11212 19/08/24 11212 0
66407 [LOL] 담원 vs SKT. 롤드컵 직행을 두고 펼치는 결전 프리뷰 [41] Leeka12172 19/08/23 12172 1
66406 [LOL] 도인비는 진짜 하늘이 롤드컵 가라고 밀어주네요 [7] 카멘라더11128 19/08/23 11128 1
66405 [LOL] 롤 프로씬에서 감코진의 중요성이 오늘 IG를 통해서 드려나네요 [40] 카멘라더13811 19/08/23 13811 0
66404 [LOL] 변경된 LEC의 롤드컵 시드 규정 [19] 비역슨8188 19/08/23 8188 0
66403 [LOL] 플레이오프 1라운드 후기 - 멘탈의 순환과 트라우마 극복 [10] Arcturus9075 19/08/23 9075 0
66402 [LOL] 슈퍼스타들의 등장, 압도적인 플레이오프 1R 후기 [87] Leeka13830 19/08/23 13830 2
66401 [LOL] Pro View LCK가 오픈했습니다. [37] Leeka14367 19/08/23 14367 1
66400 [LOL] 2019 lck 서머 기준 챔프풀 + 챔프폭으로 고생한 선수들 [51] 라이츄백만볼트10341 19/08/23 10341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