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8/01 22:53:44
Name 테리아
Subject wcg가 세계게임올림픽이 되려면..
wcg2001 때입니다.

hey, first penalty for u!(카스심판:당신! 첫번째 경고입니다.)
러시아 카스선수 한명이 상대방에게 저격을 당한후(게임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죽임을 당한사람은, 자신의 편에게 지시를 할수없습니다.)팀동료에게 적의 위치등을 말한뒤, 심판에게 첫번째 경고를 받았습니다.

hey, now you also said that, so ur team forfeit!!(카스심판:당신, 지금 또 말을했습니다, 그러므로 당신팀은 실격입니다.)
심판말을 무시하고 다시 자신의 팀동료에게 지시를 내리자, 심판을 러시아 카스팀에게 실격을 선언합니다.
(wcg 카스 rule중에는 심판에게 2번이상의 경고를 지적받으면, 실격처리가 된다라는 rule이 적용되었습니다.)

자국팀의 실격이 확정되는 순간, 4명의 러시아 카스게이머들이 의자를 박차고 일어나, 팀을 실격으로 몰아 넣은 그 선수를 둘러싸고 여러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몰매를 주기 시작하였습니다. 자국팀이 실격을 어이없이 당해서 화난선수들이었지만, 팀동료를 그렇게까지 공개적으로 몰매를 준것은 너무나도 심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런데 몰매를 준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러시아정부에서는 wcg 카스부문에서 자국팀이 우승을 하게되면,
러시아 카스팀에게 대학입학의 특전과 함께 4년장학금 특전을 지원해준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wcg는 그들에게 무척이나 매력있는 대회였던 것입니다.
[결국 wcg2002에서는 러시아 카스팀이 우승을 하게되었습니다. 우승후 러시아선수들을 서로를 붙잡고 울고, 웃고, 춤추고, 환호하고 정말 열광적으로 좋아하였습니다.몰매를 맞았던 선수는 나오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이렇게 세계곳곳에서 wcg의 브랜드가치는 높아만 가는데,  왜 최고의 wcg지원국이며, 개최국이였던 한국에서는 브랜드가치조차 없으며, 흥행(?)에 참패하게 되었을까요?

그 문제점들을 찾아봅니다.


wcg의 흥행참패 이유1


진짜 어이없는 듯하지만, wcg2002, wcg2003 이 개최된 일주일동안의 관객수가 온게임넷 결승전(2~3만명)의 반도 되지 않았습니다. 정작 경기를 관람하는 분들도 wcg스텝,통역,외국인게이머, 외국인 관광객등 한국에서 개최된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과연 이곳이 한국이 맞는지 의심조차 생길정도로 한국인 관객들을 찾아보기가 무척 힘들었습니다.
즉 제대로된 국내의 대회홍보가 무척이나 미비하였으며, 한국관객들의 구미를 땡기는 이벤트및 메리트가 없었따는걸 알수 있었습니다.( wcg2003의 국가대표선발전 6개월전 icm(한국조직위원회)측에서는 임요환선수에게 우승자시드배정이 없어졌음을 공지하였습니다. 그에따라 임요환선수는 여러 리그들의 예선준비 및 스케쥴문제로 wcg의 예선에조차 참가하지 못하였습니다.그에따라 임요환선수의 팬들과 외국의 임요환선수를 좋아하는 게이머들이 실망이 대단히 컸었습니다.[icm 측을 두둔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번 wcg2004 의 그랜드파이날은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지만, 추후 몇년후 한국에서 열릴수 있는 wcg는 이러한 문제들은 보완해야 할것입니다.



wcg의 흥행참패이유2


wcg2001 겜비시, wcg2002 겜tv , wcg2003 넷마블
지금까지 wcg의 경기들을 중계한 방송사및 회사들입니다.
wcg2001 겜비시때는 방송이 생방송으로 중계가 되었고, 방송스케쥴조정상황도 괜찮았다고 생각했습니다. wcg2002때는 겜TV 측은 모회사의 자금난과 운영부실로 인하여 방송사 홈페이지에는 아무런 WCG 관련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개막식,폐막식만 생방송으로 중계되었고, 게임경기들은 오직 녹화중계방송들만 하게되었습니다. 이로인해, 스포일러를 알고있는 게이머들에게 박진감과 긴장감을 떨어트렸으며, 게임경기에대한 흥미를 반감시켰습니다.
wcg2002 폐막식과 임요환선수와 홍진호선수의 결승전은 애당초 야외에서 진행되기로 하였는데, 겜TV측의 무대설치 문제및 여러 제반사항의 힘든점을 들어 좁은 실내의 홀에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인해, 실내 홀에 입장하지 못한 임요환선수와 홍진호선수의 팬분들과 대전시민분들은 야외에서 스크린으로 경기를 보게되었습니다. 몇몇분들의 항의와 몸싸움이 발생하기까지 하였습니다. 몇몇 외국인관광객인듯한 분들은 눈쌀을 찌푸리며 그냥 되돌아가기까지 하였습니다.
wcg2003의 경우에는 외국에서 인터넷으로 시청하는 사람들에게는 무료시청권한을, 국내에서 경기를 시청하는 사람들을 IP 필터를 통하여 무료시청을 제한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유료로 시청을 하여야만 했는데, 서버렉이 굉장히 심하였고, 끈김현상또한 심하여 유료서비스가 맞는지조차 의문을 표하는 네티즌들의 WCG에 항의를 표명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여러 문제들을 거울삼아 앞으로 ICM 측에서는 중계 방송사선정과 관련하여 신중해야 할것입니다.
이번 WCG2004 샌프란시스코 중계는 어느 방송사에서 할지 궁금할 따름입니다.
온게임넷에서 맡아 중계를 해보는 것도 좋은 듯 한데 온게임넷의 특성상 불가능할것 같습니다.
(모든 온게임넷 프로그램들을 올스톱하고 중계를 계속할수는 없지 않습니까?)



WCG의 흥행참패이유3


WCG 든 온라인대전을 통한 게임대회들은 항상 어뷰저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우리가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할 뿐이죠. 대책이 없기 때문입니다.
현재 WCG의 국가대표를 선발하는 방식은, 스타에 한하여 1차 온라인예선에서 상위랭커들을 뽑아 2차 오프라인예선에서 특정수의 상위선수들을 뽑아 국가대표 최종선발전에 진출시킵니다. 또, 프로게이머 자격자들에 한하여 토너먼트를 거친후 최종선발전에 진출시킵니다. 또 icyberpark(wcg 공식 pc방)에서의 전국대회 우승자 2명에게도 국가대표 최종선발전에 진출권이 주어집니다.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부문은 온라인 예선 상위랭컨들의 어뷰저문제인데, 현재 점수제 방식은 경기대전 system정보가 블리자드 서버에 기록된후, hack 프로그램 사용유무만을 체크한후 wcg 서버에 보고를 하는 형식입니다.
온라인예선의 대부분의 실격자들의 사유는 hack 사용자거나 고의드롭자, 욕설사용자들입니다. 현재 wcg 에서는 어뷰저를 단속할만한 규정이 제정되 있지 않습니다.아마 icm 자체 내에서도 많은 논의가 있는 걸로 압니다. 선량한 고수게이머들이 피해를 입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clickarena , weg, Latin cup, wcg 들은 세계게임대회들입니다.  
이 중 가장 돈을 많이 들인 대회는? wcg 입니다. 몰라도 각국에 대회지원비들을 합치고 그랜드파이날까지 예산들을 합쳐본다면 몇백억을 들입니다.(사실입니다.)
wcg 는 국내보다는 남미,유럽,러시아 쪽에서 인기가 대단히 높습니다. 물론 이런 지역에서의 삼성전자 제품판매률을 나날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wcg에 한국이 돈을 가장 많이 내고도, wcg의 주체가 되지 못한다면 그것 또한 큰 문제가 될것입니다.

상업성을 추구하는 올림픽이 진정한 올림픽일까요? wcg도 그렇습니다. 단지 상업적인 목적으로 wcg가 열린다면 없는게 차라리 낫습니다. 국위선양을 하는것도 좋지만, 진정으로 게이머와 관객들이 하나가 되는 게임의 축제, 올림픽이 된다면 그것이 진정한 wcg 가 될꺼라고 저는 믿습니다.

ps. 흠.. 아래로 갈수록  주제가 흐트러 버렸네요 . 써놓고도 가닥을 잡을수가 없어서 T.T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8/02 01:44
수정 아이콘
하긴... 2001년도에 wcg보면서 열광했던 것을 잊을수가 없군요.
2002년도에도 그랬었지만... 2003년도는... 언제 했는지도 모르게 넘어
가버렸네요... (박서팬으로서 박서의 불참이 가장 컸겠지만...)

어뷰저문제는 너무도 오래되었기에 익숙해져 버린듯 싶습니다.
이번에 이렇게 분위기가 무르익은 이상 뿌리뽑아야 한다고 봅니다.

멋진 분석 잘보고 갑니다.. 오늘 결승전때문에 어제까지 논란이였던
wcg문제와 어뷰저가 순식간에 잊혀진듯... 후후...
초콜렛
04/08/02 02:30
수정 아이콘
글 잘 읽었습니다. 몰랐던 사실을 알게되서 무척 흥미로운 글인데 줄라이와 리치의 결승. 특히 저그 최초 우승자가 탄생한 시점이라 글이 묻혀버렸네요. 좀 안타깝군요. 차후에 다시 WCG에 대한 논란이 나오면 꼭 다시 올리기를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WCG 운영을 어떤 회사에서 하는지 모르겠지만 예선 진행만을 보더라도 심하게 부족한 회사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_- 삼성은 아무리 거대 기업이지만 좀 무심한 부분도 있구요.

솔직히 WCG보러 샌프란시스코에 함 가볼까 잠깐 생각했던 사람으로써-_- 이번 2004 wcg가 좀 제대로 치뤄졌으면 좋겠는데요. 예선부터 잡음이 많다는 건 좀 그렇네요.
레드드레곤~
04/08/02 02:39
수정 아이콘
wcg 흥행 참패의 원인은 국내 게임계에서 찾아볼수 있슬듯 하군요.
주 흥행몰이인 스타크의 영향으로요.
또 다른 요인을 들자면, 국내 게임계에서 최고의 인기를 끌고 있는 임요환 선수의 불참, 지금이야 임선수가 없더라도(예선 탈락을 하더라도) 다른 선수들이 어느정도 그것을 매꿀수가 있지만 1년전만 하더라도 메이저대회의 기준이 임요환 선수의 출전 유무와 상관이 있게 느껴질 정도였스니간요.
임진록보단임
04/08/02 18:42
수정 아이콘
한국은 오직 스타크래프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31 [MBC게임 팀리그 결승전 주관적 분석!]경기결과 되버렸네요;; [49] Milky_way[K]4321 04/08/28 4321 0
7159 전 프랑스대표팀 감독 에메자케가 한국에서 강연한 내용입니다. [8] KuclassiC4350 04/08/24 4350 0
7131 비꼬는게 재미있나요? [35] 총알이 모자라.3996 04/08/23 3996 0
7113 김호곤감독을 왜 싫어하시나요? [31] 비롱투유3263 04/08/23 3263 0
7031 [완결]빙화(氷花)14~20편 모음 서지훈, 이윤열, 강민 등장 무협소설 [7] blue wave3681 04/08/19 3681 0
6916 [픽션] 빙화(氷花) 14 + 오늘은 제 생일입니다. [9] edelweis_s3380 04/08/15 3380 0
6874 맵핵의 추억 [11] 소유3208 04/08/13 3208 0
6851 Us-West 서버의 추락 현상 [42] 소수마영5393 04/08/12 5393 0
6656 등급 조정과 삭제 그리고.. [19] homy3142 04/08/04 3142 0
6607 Beyond the Game (게임. 그 이상의..) [7] 테리아3095 04/08/02 3095 0
6562 wcg가 세계게임올림픽이 되려면.. [4] 테리아3141 04/08/01 3141 0
6267 우노헤어 사건 일단락 된듯 보이네요 [60] SEIJI8145 04/07/22 8145 0
6265 악플. [2] 비롱투란3043 04/07/22 3043 0
6187 단어가 가지는 무거움 [10] steady_go!3729 04/07/19 3729 0
5991 그저 불쌍할 따름입니다. [9] 라뉘3240 04/07/13 3240 0
5865 게시판 삭제 규정의 명문화 [11] skzl3279 04/07/08 3279 0
5745 맵에 대해서 [5] 최연성같은플3002 04/07/03 3002 0
5677 [기사] 오마이 뉴스에 실린 N.EX.T 기사에 대한 신해철의 기사 [14] 한빛짱3921 04/07/02 3921 0
5663 유재순씨가 밝힌 전여옥 - <일본은 없다> 표절의혹 전말 [33] 샤오트랙4308 04/07/02 4308 0
5600 노인공경... [20] Rush_Rush3003 04/06/29 3003 0
5594 [펌]한국의 군사력.. 그 정확한 실체는 무엇인가?(3편) - 수정편 [16] 스타광3380 04/06/29 3380 0
5568 요즘의 PgR 안타깝습니다. [4] 세이시로3143 04/06/28 3143 0
5239 PGR에선 욕쟁이 할머니를 만날 수 없을까? [10] 生가필드3551 04/06/15 355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