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9/25 16:23:30
Name 내일은해가뜬다
Subject [LOL] ESPN 선정 라인별 best 5 (수정됨)
전통과 신뢰를 자랑하는(...) espn에서 롤드컵 시즌에 맞춰서 라인별 best 5를 선정해서 발표했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모든 라인에 이름을 넣은 현 세체팀 RNG와 LCK 1시드인 kt 롤스터라고 봅니다.
과연 이들이 만났을때 어떤 경기가 나올지 기대가 되네요


탑 라이너

1. 스멥(kt롤스터)
2. 기인(아프리카)
3. 더 샤이(IG)
4. 썸데이(100 thieves)
5. 렛미(RNG)


정글러

1. 스코어(KT롤스터)
2. 카사(RNG)
3. 스피릿(아프리카)
4. Xmithie(팀 리쿼드)
5. Ning(IG)

미드 라이너

1. 루키(IG)
2. 쿠로(아프리카)
3. 유칼(kt롤스터)
4. 샤오후(RNG)
5. 캡스(프나틱)

원딜

1. 우지(RNG)
2. 데프트(kt롤스터)
3. 룰러(젠지)
4. 재키러브(IG)
5. 더블리프트(팀 리쿼드)


서폿

1. Swordart(flash wolves)
2. 마타(kt롤스터)
3. Ming(RNG)
4. 코어장전(젠지)
5. Meiko(EDG)



http://www.espn.com/video/clip?id=24787791


여기에 자세한 설명도 같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러블세가족
18/09/25 16:29
수정 아이콘
전 라인 몰아줄 수 없으니 서폿을 배려분배하는 유구한 ESPN의 전통인가....
18/09/25 16:33
수정 아이콘
이미 올리셔서 댓글로 팀별로 분류하면

KT와 RNG는 모든 선수가 탑 5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


KT - Smeb (1위) - Score (1위) - Ucal (3위) - Deft (2위) - Mata (2위)
RNG - Letme (5위) - Karsa (2위) - Xiaohu (4위) - Uzi (1위) - Ming (3위)

IG - The Shy (3위) - Ning (5위) - Rookie (1위) - Jackeylove (4위)

AFs - Kiin (2위) - Spirit (3위) - Kuro (2위)

Gen.G - Ruler (3위) - CoreJJ (4위)
TL - Xmithie (4위) - Doublelift (5위)

FW - Swordart (1위)
100T - Ssumday (4위)
FNC - Caps (5위)
EDG - Meiko (5위)
18/09/25 16:36
수정 아이콘
유럽 최후의 자존심 캡스 ㅠㅠ
안채연
18/09/25 16:38
수정 아이콘
espn의 소드아트사랑은 여전하군요
지나가다...
18/09/25 16:42
수정 아이콘
현재 최고 존엄인 우지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에서 KT를 RNG 위에 놓았네요. 중국 팬들은 불만일 듯.
그리고 탑은 기인이 더 위가 아닐까 싶기도 하고, 렛미의 순위가 좀 낮지 않나 싶기도 하고...
티모대위
18/09/26 15:02
수정 아이콘
늦대댓이지만
스멥 > 기인 >>>> 춘봉박
이라고 생각합니다.
다크템플러
18/09/25 16:43
수정 아이콘
너무 늦어서 그런가요 크크 하루에 한포지션씩 던지는게 espn의 특징이었는데 한번에 뽝 나오네
18/09/25 16:44
수정 아이콘
espn 소드아트 사랑이란
18/09/25 16:48
수정 아이콘
밍 마타보다 소드아트가 위에 있을 이유가 대체 무엇인지 크크크
18/09/25 16:49
수정 아이콘
밍 저평가도 꾸준한듯
akb는사랑입니다
18/09/25 16:56
수정 아이콘
다른 포지션은 제 생각이랑 별 차이없고
정글 카사>스코어로
서폿은 밍>코어장전>마타>소드아트로 고치고싶다
비역슨
18/09/25 17:15
수정 아이콘
소드아트는 1위는 애매하지만 그에 상당하는 리스펙트를 받아야할 선수라고 봅니다. 마타 밍 코장이 기량에서 소드아트에 밀린다는 생각은 절대 안 들지만 이렇게나마 칭찬받을 기회가 있는것이 다행이다 싶기도 하네요.
카바라스
18/09/25 17:36
수정 아이콘
애매하다기보단 espn 특유의 뻘짓이죠. 17msi에서도 울프 제껴놓고 소드아트1위로 올려놨다 먼지나게 털리고 결국 그대회 mvp를 울프가 먹었으니
비역슨
18/09/25 17:56
수정 아이콘
뭐 저는 어그로를 위한 순위라고는 생각지 않고 진짜 높게 평가받을 만한 선수라고는 생각해서요.
카바라스
18/09/25 18:50
수정 아이콘
저도 어그로가 아니라 진심으로 저렇게 생각한다고 봅니다. 물론 저래서야 공신력 있는 지표가 될리가 없죠.
불굴의토스
18/09/25 17:19
수정 아이콘
큐베는 지난 2년간 롤드컵 최고의 탑인데...
18/09/25 21:36
수정 아이콘
선발전, 롤드컵'에서만' 최고의 탑이라 정규리그 지표로는 등수가 안나오죠.
18/09/25 17:22
수정 아이콘
소드아트가 왜 밍 마타보다 위죠?????
불굴의토스
18/09/25 17:22
수정 아이콘
이젠 북미 유럽 별로 배분도 안해주네요...

하긴 그동안 성적 생각하면 도저히 넣을선수가...
18/09/25 17:24
수정 아이콘
우지를 띄우기 위해 다른 포지션의 순위를 낮춘다는 느낌?
그러지 않아도 우지는 충분히 압도적 1위라고 생각할 텐데 왜 굳이..
18/09/25 17:28
수정 아이콘
소드아트??? 말곤 대부분 납득 가네요. 밍과 마타가 1,2위를 가져가야 했을텐데
시작버튼
18/09/25 17:33
수정 아이콘
아겜때 보니까 rng 정글러 수준이 장난이 아니던데.. 스코어가 더 위군요.
카바라스
18/09/25 17:33
수정 아이콘
저는 무진이 올라가고 소드아트가 내려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제내린비
18/09/25 17:36
수정 아이콘
본문 미드 순위가 바뀌었네요.
링크 가서 보니 쿠로가 2위, 유칼이 3위로 나와있네요.
내일은해가뜬다
18/09/25 18:26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신과함께
18/09/25 17:37
수정 아이콘
큐베까지 넣으면 탑이 전부 한국인이라서 뺀건가...
생각안나
18/09/25 17:39
수정 아이콘
이건 중국 쪽에서 부들부들 할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크크
18/09/25 17:41
수정 아이콘
북미팀은 좀 빼자...
18/09/25 17:46
수정 아이콘
미드는 쿠로가 2위..
치토스
18/09/25 17:57
수정 아이콘
다른거 다 그러려니 하는데 소드아트에서 웃고 갑니다 크크
신공표
18/09/25 18:31
수정 아이콘
???: 자네, 아부지가 ESPN 출신인가?

소드아트 분명 잘하는 선수기는 한데, 항상 고평가 받더라구요 크크크

엑스미시도 저기 이름 올리기에는 좀 모자라지 않나 싶은데 크크

제 개인적으로는 라인별 1위는

탑: 기인
정글: RNG 정글 듀오(mlxg, karsa)
미드: ???(유칼은 개인적으로는 보여준거에 비해 고평가 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루키는 제가 경기를 안봐서 모르겠음)
원딜: 우지
서폿: 밍

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리골드
18/09/25 18:41
수정 아이콘
대충 4강은 KT RNG + 아프리카 젠지 IG중 두팀에서 나온다고 예상하나 보네요
치킨백만돌이
18/09/25 19:06
수정 아이콘
퍼스트팀
탑:기인
정글:karsa
미드:쿠로
원딜:우지
서폿:밍
나의다음숨결보다
18/09/25 19:2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젠지는 바텀빼고는 측정이 불가능해서 넣기가..
선발전때 갑툭한 크라운,하루도 그렇고 큐베도 경기력이 갑자기 올라와서 정규리그만 보면 이게 뭐야 할 것 같아요.
크로니쿠
18/09/25 19:32
수정 아이콘
LCK팀이 올해 RNG처럼 모든 대회 우승 중이었다고 치면,
한두 포지션만 1위아니라도 꽤 이상하다고 생각했을 것 같습니다.
18/09/25 19:46
수정 아이콘
스코어가 아겜에서도 리라에서도 정글로 완전히 밀린적은 거의 없고 이길 때가 더 많아서 1위여도 전혀 문제없죠
헤나투
18/09/25 19:50
수정 아이콘
스코어 평가가 이리좋은건 갠적으로는 의외입니다.
못하는 선수라서가 아니라 롤드컵에서 인상적인 모습을 보인적이 없다보니...
lck에서 꾸준히 잘해준걸 높게 평가해줄줄 몰랐네요.
1등급 저지방 우유
18/09/25 20:04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좋은 선수이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하는건 맞지만,
국제대회라고는 작년과 올해 RR과 아시안게임이 전부인데, LCK서머 우승만으로 고평가라는게 다소 의외긴하네요.
18/09/25 22:26
수정 아이콘
스코어 롤드컵 경험있고 그때부터 이미 팀의 기둥이자 최고선수였습니다. 애초에 스라가스, 스코어가 잘 안 풀렸는가=KT패배 밈이 유행타게 만든 게 당시 퍼포먼스 덕인데요.
헤나투
18/09/25 22:28
수정 아이콘
물론 그건 알죠. 근데 그게 lck팬이나 그렇게 생각하지 외국에서는 모를거라 생각했거든요.
실제로 스코어가 롤드컵 갔을때도 썸데이가 더좋은 평가를 받은걸로 기억해요.
FRONTIER SETTER
18/09/26 19: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코어 롤드컵 간 해는 스코어 정글 전향 첫해인데 그때는 그게 당연한 거죠... 첫해에 꾸준한 모습으로 고평가를 받을 수가 없잖아요. 단순 기량만 봐도 첫해도 잘하긴 했지만 스코어가 흥하면 이기고 망하면 지는 패턴과 위대한 정글러 모드는 그 다음 해부터 나왔구요
18/09/25 23:50
수정 아이콘
해외해설진도 스코어 고평가하긴 해서요
아마 lck 내에서의 꾸준한 퍼포먼스를 높게 쳐준것 같습니다
불굴의토스
18/09/26 09:22
수정 아이콘
롤드컵으로 순위매기면 해외팀들은 더 처참해야죠. 루키는 8강찍은적도 없는데..
다크템플러
18/09/25 20:01
수정 아이콘
항상 롤드컵 전엔 이거랑 Top20, 주제곡이 나와야 롤드컵다운맛이나는데 노래는 언제나올까요....
레딧에 블랙핑크가 부른다는 썰이있긴하던데 증거는없지만;;
마그너스
18/09/25 20:38
수정 아이콘
블랙핑크는 좀...롤드컵 주제곡은 웅장하고 지르는 맛이 있어야 하는데...
18/09/25 21:59
수정 아이콘
워리어스랑 레전네버다이가 짱짱맨이었는데..
링크의전설
18/09/25 20:08
수정 아이콘
저는 kt가 rng랑 다전제붙어서 질거 같지 않습니다 솔직히 전라인 우위일거 같습니다
18/09/25 20:20
수정 아이콘
밍도 아니고 소드아트?;
굿럭감사
18/09/25 21: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소드아트는 고평가받을만한 선수라고 생각합니다. fw가 한국팀킬러로 주목받았을때도 카사와 함께 둘이 고군분투하기도 했구요.

제일 중요한건 과거 최강이던 한국팀들의 바텀 라인전과 유일하게 비등비등갔을때도 소드아트의 몫이 컸죠. 특히 좀 모자란 원딜들을 데리고도 이런 퍼포먼스는 해외팀중 소드아트 빼고는 전무합니다.

작년 향로메타 때문에 소드아트는 주력챔프들을 사용하지 못했고 어울리지 않는 룰루 잔느등을 했었는데 올해는 알리스타나 라칸이 각광받는만큼 기대에 부응 할것같네요.

여기보면 팀성적과 개인의 등수를 동일시하는데 모든 구기종목들은 개인의 퍼포먼스와 실력을 다르게 봅니다. 농구에서도 탐슨이 우승횟수가 더 많다고 하든위로 보지는 않죠.
크로니쿠
18/09/25 22:25
수정 아이콘
고평가는 충분히 받아왔다고 봐요. 단지 향로 서폿이든 라칸 알리든 다 더 잘하는 밍이나, 그간 롤드컵 국제대회를 석권해온 lck선수들 다 제치고 1위라니 우스운거죠.
소드아트는 올해 msi, 리라, 아겜 토너먼트에서는 전패이고 상대서폿보다 존재감이 남달랐던 적도 없어요.
리라에서 확인했듯 지독할 정도로 약한 lms에서의 활약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도 모르겠고요
굿럭감사
18/09/25 22:40
수정 아이콘
팀상황도 보셔야죠. 원딜은 솔직하게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이 0이고 탑또한 마찬가지입니다. fw는 예전부터 카사와 소드아트가 꾸역꾸역 캐리하던팅이에요. 그 자랑하던 대체미 메이플은 비역슨한테도 퍼포먼스가 밀렸을정도구요

막말로 fw에 전성기 마타나 울프가 갔더라도 결과는 차이가 없었을겁니다. 여기보면 소드아트 국제성적으로 등수를 뭐라하는데 엄밀히 개인등수와 팀성적은 분리해서 봐야한다고 봅니다.
굿럭감사
18/09/25 22: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 예로 14 mvp였던 마타 또한 15시즌 중국으로 가서는 롤드컵진출을 실패했습니다.

소드아트의 팀구성(국제무대에서 경쟁력없는 탑과 원딜 평범한 미드)으로서는 최고의 퍼포먼스를 여태 보여줬었구요. 제가 생각하기에 소드아트는 국제경쟁력이 없는 팀에서도 잘해줬다고 봅니다.
크로니쿠
18/09/26 02:49
수정 아이콘
테디를 lck 그냥 정상급 원딜이 아니고, 1등 원딜이라 주장하면서 팀이 약한데 꽤 잘했다를 근거로 세우면 됩니까?
그냥 정상급 서폿도 아니고 세계1위라는 자리를 아마 강팀에 있었으면 아마 개쩔었을 거라는 선수한테 주는 게 맞다고 보십니까?
굿럭감사
18/09/26 04: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테디는 지표상으로도 데프트 룰러보다 낮아서 깜떡지가 없는데요? 그리고 쩔었다는 표현은 참 저속하네요.

소드아트가 매년 전문가들에게 고평가를 받는건 이유가 있어서죠. 전세계 코치진들이나 선수들평 또한 좋구요. 방구석전문가 말보다는 훨씬 근거가 있다고 보여지네요.

또 일례로 FW에 있을때 매년 top3에 든 카사도 고평가받는다는 사람들 의견이 많았지만 RNG가서 증명을 했죠.

FW팀 자체가 카사 소드아트가 이끌었던 팀이고(답없는 탑 원딜에 평범해진 메이플) 올해 카사가 빠진 상황에서도 팀 캐리롤을 맡고 잘수행하고 있습니다. 솔랭또한 한국 대만섭 같이 돌리면서도 항상 최상위권이기도 했구요

그리고 님 논리면 16 세체정 세체탑은 블랭크 듀크입니까?
크로니쿠
18/09/26 12:34
수정 아이콘
제 논리대로면 블랭크 듀크가 16세체입니까?라는 말씀이 진심이라면 막댓입니다. 굳이 말하자면 롤컵전에 16 하운쳐나 루퍼를 고평가해줄 순 있어도 1위를 주는 건 말이 안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18/09/25 22:11
수정 아이콘
미드에 페이커가 없으니 허전하네요. 없을만 해서 없는 거지만...
보라도리
18/09/25 22:18
수정 아이콘
다 그래 그래 하다가 소드 아트 에서 짜게 식네요.. 다전제 에서는 서폿 역활이 큰데 다전제 에서 fw 보면 그냥 팀이 형편 없다 이런 소리 수준으로 떨어지는데..
암드맨
18/09/25 22:22
수정 아이콘
저도 소드아트 높게 칩니다. FW를 국제대회서만 보는 분이면 그냥 대만에서 최고의 선수 5명 집단 아닌가? 하겠지만..
사실 소드아트와 나머지 4명은 꾸준함과 클래스차가 꽤 많이 납니다. (물론 카사 나간이후 이야깁니다)
오안오취온사성제
18/09/25 22:36
수정 아이콘
샤오후 최소 2위인것같은데 기대컨 느낌;;
18/09/25 23:52
수정 아이콘
스맵 랭킹은 맞다고 봅니다
결승전은....춘봉박이었죠 크크크

아이고 매부야...ㅠ
레몬커피
18/09/26 00:40
수정 아이콘
역시 올해도 북미특별전형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375 [LOL] 롤드컵 7일차 후기 [95] TAEYEON9664 18/10/16 9664 1
64328 [LOL] 롤드컵 3일차 후기 [120] TAEYEON12234 18/10/12 12234 3
64282 [LOL] 대권에 도전하는 팀들에 대한 짧은 프리뷰 [21] Leeka7219 18/10/09 7219 2
64239 [LOL] 역대 최악의 롤드컵 중계 [57] 푸른음속12292 18/10/02 12292 17
64208 [LOL] ESPN 선정 라인별 best 5 [61] 내일은해가뜬다9105 18/09/25 9105 0
64197 [LOL] 뇌신 최우범 감독의 AMA 요약글 [117] 피카츄백만볼트15025 18/09/23 15025 5
64182 [LOL] (번역) 레딧 유저가 선정한 롤드컵 선수 파워랭킹 20 [81] Ensis14506 18/09/21 14506 7
64076 [LOL] 서머 결승전이 빨리 열리는 LCK와 롤드컵 현재까지 확정팀 [26] Leeka8012 18/09/05 8012 4
63810 [LOL] 진화와 고착화 – 2018년 롤판의 “페르소나 실험”은 어디까지 왔나 [45] becker12997 18/07/17 12997 74
63677 [LOL] 시즌 8 롤드컵이 아주 조금 걱정되는 이유 [19] 딴딴6980 18/06/23 6980 2
63562 [LOL] 우지만 보는 조합 vs 우지만 보는 조합. 결승전 이야기 [34] Leeka9043 18/05/22 9043 1
63545 [LOL] 자신의 말을 입증한 레클레스! MSI 4강 1일차 후기 [42] Leeka8654 18/05/18 8654 1
63540 [LOL] 역대 최고의 국제대회! MSI 그룹스테이지 후기 [72] Leeka11769 18/05/16 11769 4
63516 [LOL] 드디어 MSI 본무대가 시작됩니다. [24] Leeka8665 18/05/11 8665 2
63507 [LOL] [해외번역] 킹존 죽이기 [39] The Special One11508 18/05/09 11508 13
63470 [LOL] 최강 원딜 대전이 펼쳐지는 MSI 2018 프리뷰 [25] Leeka9364 18/04/29 9364 1
63321 [LOL] 4월 8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7] 발그레 아이네꼬5412 18/04/07 5412 0
63291 [LOL] NA LCS 결승전 관련 팀리퀴드의 리퀴드112의 트윗 [9] 후추통5606 18/04/04 5606 0
63286 [LOL] 더블리프트 모친상 [31] 솔루13173 18/04/03 13173 0
63278 [LOL] Team liquid의 LCS na 결승에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26] 키토8254 18/04/02 8254 3
62875 [LOL] 2018 LCS 개막 전, 팀들을 정리해보자 (북미편) [12] 후추통7123 18/01/12 7123 1
62656 [LOL] Jacob Wolf의 팟캐스트 썰 요약 (ESPN, 북미 소식 위주) [11] 비역슨7283 17/11/29 7283 0
62604 [LOL] 윤곽이 보이는 lcs 로스터 정리 및 잡담 [25] 파핀폐인7845 17/11/25 78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