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8/14 19:53:43
Name My Poor Brain
Link #1 https://www.esportsheaven.com/features/riot-changes-ruling-to-allow-7-player-rosters-for-playoffs/
Subject [LOL] 롤드컵 서브 확대 가능성
링크는 NA LCS에서 이번 플레이오프부터 서브 선수를 두 명까지 허용하도록 룰을 개정한다는 라이엇의 공지입니다. 띵장 강현종 감독이 CJ의 얼불주부 인수
이후 식스맨 제도를 활용하기 시작해 15년도부터는 리그 포맷에 정식으로 10인 규모의 선수단을 포함시키는 것을 목격한 롤챔스 시청자들에게는-당장 리그 첫날 개막전부터 페이커이지훈페이커 교체가 있었죠- 뭔 초뒷북인가 싶지만, 프랜차이즈제가 도입되고 나서 북미 씬에서는 나름의 발전인 셈입니다. 이 상황이 로스터 스왑으로 폭망하던 씨나인이 후반기 돌풍을 일으키고 2인 교체를 일요일에 성공적으로 해낸 덕분인 것으로 보이는 것은 확인은 불가능하지만 설득력은 있는 트리비아네요.

한국 팬들에게 의미있는 것은 로컬룰은 허용하되 항상 국제 대회 규정은 LCS에 맞췄던 폭동사기에 이 규정 변화가 이번 18 롤드컵에서도 그대로 갈 가능성이 꽤 높다는 거겠죠? 당장 15년 톰, 에지, 16년 스티치(최우범 감독은 봇듀오 조합을 거의 고정해 버렸으니) 17년 레이스, 프로핏, 운타라(요즘 스크 팬분들께는 그말싫이겠지만 작년 서머는 그럭저럭 괜찮았죠) 등 팀에 충분히 포함될만한 선수들이 엔트리조차 들지 못해서 아쉬웠었는데 세 명이 추가로 수혜를 볼 수 있겠네요. LPL 또한 선수단 규모와 교체 사용만큼은 LCK보다도 더 자유로웠던 지역이니 환영할 것 같고요. 로얄의 쯔타이 렛미 마라샹궈 카사 에이블 등은 특히나 기대되는 조합. 유럽에서는 익스펙트를 전략 코치삼아 영입한 프나틱 정도는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겠습니다. 사실 가장 타격이 큰 쪽은 선수풀이 부실할 수밖에 없어 5인도 채우기 힘들 오세아니아 등의 일부 와카지역인데-실제 6인 제한의 명분이었죠-, 대부분에겐 남일이죠.

최근 LCS 밴픽코치 제한도 2명까지 풀린 상황이라 이번 롤드컵에서는 더 많은 선수 코치들을 무대 위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14 19:59
수정 아이콘
kt는 러쉬랑 폰까지 롤드컵 갈 수 있겠네요. 다행입니다.
Helix Fossil
18/08/14 20:00
수정 아이콘
북미가 이제야 서브선수제도를 고민한다는거 자체가 얼마나 연습을 안하는지를 보여주네요.
분명히 스크림을 빡쎄게 하다보면 효율을 위해서 게임단 내에 1군선수들의 연습을 위한 선수들이 필요하다고 느낄 수밖에없는데요;;
나스이즈라잌
18/08/17 12:18
수정 아이콘
그 부분에대해서는 아카데미팀이 있지않나요?
18/08/14 20: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이 1위자리 뺏길거같으니까 귀신같이 서브2명으로 올리네요

*오해의 소지가 생기게 표현하여 죄송합니다. 댓글은 수정안하겠습니다
후추통
18/08/14 20:08
수정 아이콘
라이엇은 오히려 한국 저격용 패치를 롤드컵 앞두고 많이 했었어요 5.18의 다리우스 가렌 등 돌격형 전사 패치는 유일하게 중국만 대회버전으로 리그 플옵을 진행했고 6.18의 라인스왑 봉쇄 패치는 아예 해외전문가들만이 아닌 선수들 조차도 노골적인 한국 저격패치라고 말할정도였습니다. 이건제가볼땐 딱히 한국 띄워주는 룰 변경은 아닌거 같습니다
다크템플러
18/08/14 20:16
수정 아이콘
되돌아보면 그나마 돌격전사패치는 대회에서 처음써본 한국이 시즌5를 압살한 비결이 되었죠 크크 마린-스멥-썸데이를 막을수가없음...
치토스
18/08/14 20:22
수정 아이콘
전혀요. 라이엇은 중국을 밀어주면 밀어주지 고의로 한국을 밀어주진 않습니다.
18/08/14 20:32
수정 아이콘
서브 늘수록 중국이 유리하죠
18/08/14 20:34
수정 아이콘
라이엇 : 아 맞다....! 다시 1명이 나을까?
한국이 드디어 롤드컵 우승 못하고 중국북미유럽 중 하나가 먹는다면 라이엇은 파티를 열면 열었지 슬퍼할 일은 없는데요 크크
집에서나오지맙시다
18/08/14 20:37
수정 아이콘
지금 중국은 서브 멤버가 드글드글합니다
18/08/14 20:44
수정 아이콘
정신차립시다.
Otherwise
18/08/14 20:48
수정 아이콘
라이엇의 이스포츠 정책은 일관되게 중국 위주로 해줬습니다.
은경이에게
18/08/14 21:08
수정 아이콘
롤이 어디나라 회산데 덜덜
lizfahvusa
18/08/14 21:08
수정 아이콘
왜 그렇게 되나요?
작별의온도
18/08/14 21:17
수정 아이콘
로스터 꽉꽉 넘치게 채우던 건 중국이 먼저일 거에요..
18/08/14 21:42
수정 아이콘
1도 공감안가는 발언이네요.
18/08/14 21:45
수정 아이콘
라이엇이야말로 롤드컵에서 한국이 한번쯤 미끄러져주기를 가장 바랄 것 같은데요?
예니치카
18/08/14 22:05
수정 아이콘
한국이 이미 충분히 흔들리니까, 즉 한국에게 페널티를 준다는 목적을 어쨌든 달성했으니까 일단 서브 관련 정책을 약간 풀어본다....전 이 리플 이렇게 해석했는데....
18/08/14 23:18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말을 잘못했네요...
원래 1위였던 한국이 내려올 기미가 보이니까, 그거에 탄력을 주려고 (한국을 1등에서 끌어내리려고) 서브를 2명으로 늘렸다는 뜻입니다.

오해 죄송합니다
바다표범
18/08/14 20:14
수정 아이콘
늦었지만 이제라도 해서 다행이네요.
다크템플러
18/08/14 20:18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소식입니다. 러쉬&폰, 크라운&하루, 모글리&에이밍 특히 이 세팀에겐 천만다행
링크의전설
18/08/14 20:23
수정 아이콘
라스칼 & 커즈도 꽤 짭짤하죠.
다크템플러
18/08/14 20:26
수정 아이콘
아 라스칼도 있었네요. 플옵팀엔 그리핀빼고 다 좋군요.
18/08/14 20:19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팀이 환영할만한 소식이네요.
아이오아이
18/08/14 20:36
수정 아이콘
민호 생각하면 참 맘이 착찹했는데 정말 잘 된 소식입니다. 물론 선발전을 뚫어야하지만...
18/08/14 21:08
수정 아이콘
프로스포츠라는걸 감안하면 사실 포지션당 한명정도씩은 설수있게 해줘야죠.
풀때문에 잡고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좀 풀어줬음 좋겠습니다.
즐겁게삽시다
18/08/14 21:12
수정 아이콘
그러고 보니까....
내년도 부터 LCK가 라이엇 주관이 되면
로스터 등록에 제한 거는 건 아니겠죠??

LCS도 로스터는 10명 이렇게 제한없이 등록가능한가요?
18/08/14 21: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작만 그렇고 사실 로컬룰자체는 프로게임단이랑 라이엇이 공동으로 어느정도 입은 맞춘걸꺼라서 크게 변화하진 않을겁니다.
뭐 아니면 lcs처럼 바뀌는거면 시즌중에도 영입 및 방출 그리고 로스터 추가가 되는거라서(리미트 기간은 있음)
그것 또한 나쁘지는 않습니다. 선수들은 뭐 연습생 형태로있엉야 하니 나빠보일테지만
즐겁게삽시다
18/08/14 21:2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예전에도 2팀 체제를 강제로 1팀 체제로 바꿔버렸을 때 엄청 짜증났었는데
또 막 휘저어질까봐 걱정이네요.
솔로13년차
18/08/14 21:53
수정 아이콘
애초에 서브인원에 제한을 두는 것을 이해할 수가 없어서. 자격요건에 제한을 두면 모를까.
그러면서 부상등의 이유로 참석 못 할 경우, 본래 서브도 아니었던 다른 팀 사람을 채우곤 했었죠. 대체 '서브'를 뭐하러 두는 건지.
집에서나오지맙시다
18/08/14 21:58
수정 아이콘
롤드컵 올 때 어느 팀은 10명 대리고 오고 어느 팀은 다섯 명 오고 그러면 곤란해서 아닐까요...?
솔로13년차
18/08/14 22:09
수정 아이콘
그게 곤란하다는 인식 자체가 라이엇이 제한하면서 생긴 일이라고 봅니다.
라이엇은 딱 선수 5명, 코치 1명, 혹은 자기들이 정한 인원만큼의 부대비용만 지급하고 나머지 더 데리고 오고 싶으면 니들 돈으로 알아서하라고 하면 그만이죠.
다만 그 경우 무분별하게 데려올수도 있으니까, 1부리그의 다른 팀에서 몇 경기 이상 뛴 선수는 불가라든지 자격요건에 제한을 둘 수야 있겠지만, 선수수급에 제한을 두는 건 너무 이상하잖아요. 스타 시절 프로리그에서 프로팀간에 결승을 하는데, 숫자에 제한을 두는 거나 마찬가지죠.
아저게안죽네
18/08/14 23:52
수정 아이콘
다른 종목의 팀 스포츠도 로스터 제한을 거는게 대부분이라 제한 자체는 별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포지션 별로 최소한 한명의 교체 인원은 두어야 정상인데 한명뿐이라는 건 좀 많이 이상하죠.
솔로13년차
18/08/15 01:58
수정 아이콘
솔직히 다른 스포츠에서 제한을 거는 것도 마음에 안드는 편입니다만(대표적으로 야구요.),
다른 스포츠에서 제한을 거는 이유도 팀들의 전력차를 줄이려는 목적이 크죠.
롤드컵의 경우, 로스터 제한을 푼다고 해서 전력차를 줄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애초에 리그별로 선수 연봉의 격차가 꽤 큰데, 그 연봉의 격차와 성적이 비례하지도 않으니까요.
18/08/15 03:50
수정 아이콘
선수수급에 제한이있나요?
솔로13년차
18/08/15 04:36
수정 아이콘
제가 '선수수급'이라 표현했는데, 오해를 부를 표현인 것 같아요. 제가 적은 의미는, 당장 경기에 출전할 선수를 수급하는데 제한을 둔다는 의미였습니다. 시즌에 참여할 선수를 수급하는데 제한 있는 것은 아니고, 경기에 출전할 선수를 제한하고 있죠.
트리키
18/08/14 22:28
수정 아이콘
라이엇은 미국기업이고 그 라이엇을 인수한 텐센트는 중국기업인데 상식적으로 한국에 득에 되게 패치를 할리가
진짜 인터넷에는 별별 사람이 다 있습니다.
1등급 저지방 우유
18/08/14 23:17
수정 아이콘
세상은 넓고 뭐...그런거죠...크

솔로13년차님 말처럼 굳이 왜 6인으로 제한한건지..
18/08/15 01:15
수정 아이콘
슼아 서브 두 명 한 번 써보자 흑흑... 왜 바뀌니까 먹질 못하니.. 흑흑
아마존장인
18/08/15 09:08
수정 아이콘
6인은 에바죠. 주전급 7명인 팀은 어쩌라고..
렛미 쯔타이 에이블 중 하나만 데려가는거 에바
삼성도 하루크라운 중 한명 두고가야하고.
18/08/15 10:20
수정 아이콘
KT : 러쉬, 폰
그리핀 : 래더
킹존 : 라스칼, 커즈
아프리카 : 모글리, 에이밍
젠지 : 하루, 크라운
SKT : 피레안, 블라썸(?), 울프(?)

킹존이 특히 도움이 많이 될 거 같네요. 6인이면 커즈 데려가겠지만 칸이 또 과호흡이나 건강문제가 있을지 몰라서 라스칼도 꼭 필요했을테니...
이른취침
18/08/16 16:02
수정 아이콘
슬프지만 SKT는 서브 누가 갈까보다 전원 못 갈 가능성이 더...
18/08/15 21:04
수정 아이콘
너무 늦게서야 확대한 감이 없지 않지만 환영합니다!! 16년도 롤드컵 끝나고 진작에 확대할 것이지
18/08/15 23:00
수정 아이콘
스프링때부터 한명늘린다는 소문이있었는데 만약에 확정이된다면야 거의 모든팀이 환영할만한 소식이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95 [LOL] 역대 SKT의 스크림 관련 썰들과 스크림에 대한 잡담 [55] 베스타13681 19/11/13 13681 5
66801 [LOL] 늦었지만 오늘 씨맥 방송 요약본(펌) [34] 대패삼겹두루치기8986 19/10/21 8986 6
66664 [LOL] 2019년 롤드컵 특집 다큐 - Giantslayers [33] 내일은해가뜬다9245 19/10/01 9245 0
66387 [LOL] 젠지, 최우범 감독 담원전 패배 이후 인터뷰 [101] 반니스텔루이12238 19/08/21 12238 4
66134 [LOL]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 kt 롤스터 [77] 비역슨9572 19/07/12 9572 14
66090 [LOL] 롤챔스 서머, 2라운드 로스터가 나왔습니다. [44] 라이츄백만볼트7892 19/07/08 7892 0
65742 [LOL] 두 번의 국제대회에서 연이어 성과를 낸 서구권 [20] 비역슨4896 19/05/18 4896 3
64736 [LOL] 오늘까지 확정된 LCK 팀별 로스터 [33] Vesta9648 18/12/13 9648 0
64562 [LOL] 시즌 8을 돌아보며 [9] Vesta8441 18/11/04 8441 17
64539 [LOL] 롤드컵 결승전 후기 [172] TAEYEON11188 18/11/03 11188 4
64507 [LOL] c9 래퍼드 롤드컵 후기 부분 요약 [84] 읍읍16617 18/10/31 16617 18
64493 [LOL] 롤드컵 4강 2일차 후기 [88] TAEYEON11046 18/10/28 11046 3
64446 [LOL] 몰락한 것은 LCK가 아니라 프로리그다 [72] 그렇습니까9049 18/10/21 9049 14
64380 [LOL] 롤드컵 16강을 치룬 젠지를 돌이켜보며 쓰는 글 [15] 마음속의빛5373 18/10/17 5373 0
64212 [LOL] 2018 롤드컵 상금 분배가 공개되었습니다. [21] Leeka12044 18/09/26 12044 0
64197 [LOL] 뇌신 최우범 감독의 AMA 요약글 [117] 피카츄백만볼트14993 18/09/23 14993 5
64046 [LOL] 중국의 영웅 우지. 아시안게임도 재패하다. [43] Leeka8809 18/08/29 8809 2
64043 [LOL] 8월 29일 수요일 오늘의 방송 일정 [12] 발그레 아이네꼬6915 18/08/28 6915 0
64037 [LOL] 8월 28일 화요일 오늘의 방송 일정(수정1) [24] 발그레 아이네꼬9267 18/08/27 9267 1
64031 [LOL] 8월 27일 월요일 오늘의 방송 일정(수정) [17] 발그레 아이네꼬7841 18/08/26 7841 1
63973 [LOL] 롤드컵 서브 확대 가능성 [44] My Poor Brain10182 18/08/14 10182 0
63863 [LOL] 아쉬운 포스트 시즌 일정.. [18] Leeka6200 18/07/28 6200 0
63812 [LOL] 클템과 빛돌의 2018 SUMMER 팀별 분석 [92] 내일은해가뜬다15519 18/07/18 15519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