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7/25 03:08:13
Name 이웃집거지 용
Subject 우린 아직 토스의 꿈을 덜 꾸었다...(1)
   제가 처음 강민선수를 본 건 어바웃스타크래트라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두 자인데다 만화책 주인공같은 이름에 호기심을 느껴 무심코 그냥 보게되었죠. 상대가 누군인지 기억은 잘 안나지만, 로템에서 8시 더블넥이후에 무난한 한방러시로 끝내더군요. 이승원 해설꼐서 "정말 열심히 하고 잘하는 선수인데, 이상하게 방송경기에선 약한 모습이네요." 하시니까 수줍은 웃음을 띄시며 올해는 제 해로 만들겠습니다라고 강민선수는 말했습니다.

   그 후, 그 말대로 엠비씨 게임에서 승승장구하며 승자조로 결승까지 가게 됩니다. 도중에 이윤열 선수, 임요환 선수를 잡아내는데 이 중 임요환 선수와의 경기가 기억남는 명승부였죠.
   첫경기에선 초중반 넥서스가 날라가는등 불리한 상황이었는데 임요환 선수의 '함부로 시즈모드 탱크'에 '발업안된 아장아장질럿'으로 센터싸움에서 몇차레 승리를 거두고 뒤이은 캐리어로 승부를 마무리합니다.(임요환선수의 락다운도 멋있었죠.) 2차전에선 섬맵강자들 답게 정말 미친듯이 치고박고 하다 임요환 선수의 핵이 떨어질려는 찰나 강민선수가 지지를 칩니다. 3차전에선 임요환 선수의 전진팩토리를 조기에 저지해 무난한 승리를 가져갑니다.
   결승상대는 '굿바이쥬뎀므미나'라는 아이디로 전태규 선수와의 승부에서 0:2로 뒤지다 3:2로 뒤집어버린 괴력의 이윤열 선수였습니다. 첫경기 채러티에서 예의 안정된 운영으로 무슨 마린처럼 나오는 골리앗들을 차례로 막아내며 승리를 거두고, 2차전에서 당시로선 어이없을 전략인 '옵드라군인척하며 다크드랍'으로 완벽한 승리를 거둡니다. 그냥 호기심으로 눈여겨 봤던 선수가 우승까지 하고, 더구나 그동안 보아오던 토스들과는 전혀다른 모습으로 승리를 하니 저는 점점 강민선수에게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듀얼토너먼트를 치르게 됩니다. 이윤열선수의 '투가스먹은것같은 원가스탱크부대'를 셔틀스톰으로 한부대가량 탱크를 잡아내지만, 3분쯤뒤 더 많은 탱크가 나오며 김창선 위원의 '이젠 이윤열 선수가 최강이란걸 인정해야죠..'라는 명언을 남긴 경기에서 패해합니다.
   하지만, 이주영선수와의 경기에서 형리버가 50킬 정도, 동생리버가 15킬정도하며 쌍리버로 경기를 끝내고 마이큐브 스타리그로 가게됩니다. 자신의 엠비씨 우승이 운이 아니라는 걸 증명하는 이들 경기들에서 강민선수는 장안의 화제로 떠오르게 되고, 더불어 토스의 대저그전에서 원게이트 플레이를 유행시키게 됩니다.

   제가 가장 멋있어 하는 마이큐브 첫경기는 홍진호 선수와의 대결이었습니다. 저로썬 상상조차 할수 없었던 드라군-리버 조합으로 강민 선수는 승리를 합니다. 물론, 중간에 '은근슬쩍 질럿 3마리'의 공이 컸고 리버 대박도 났다하지만, 저글링은 셔틀리버, 히드라는 드라군 뭐 이런 발상의 전환이 정말 너무나 멋있어보였습니다.
   다음 조용호 선수와의 경기에선 길로틴 최강의 전략 '눈치더블넥'을 선보입니다. 조용호 선수의 공성계가 실패한 이후 강민 선수의 역공성계가 성공하고 이 과정에서 질럿이 히드라를 쌈싸먹는 일명 '엠신공'을 선보이게 됩니다. 마지막 이윤열 선수와의 경기는 본진 몰래 게이트가 들통나 다소 쉽게 패배하고 이,홍,강 선수가 재경기로 가지만 이윤열 선수를 같은 맵에서 복수하며 조2위로 8강에 오르게 됩니다.
   8강 첫 경기에선 전태규 선수를 노스에서 만나 첫 싸움 승리후 꽃밭을 선보이며 승리를 가져갑니다. 둘째 경기에선 임요환 선수를 만납니다. 임요환선수는 쓰리책벌처였고 강민선수는 리버테크를 올립니다. 벌처가 강민선수의 입구에서 진을 치고 있을때 언덕 밑의 마인 한 개가 요상하게 반응을 해 드라군이 죽어버리며 벌쳐가 난입하게 되고 강민선수는 위기에 처합니다. 하지만, 이미 출발한 리버가 정말이지 말도안되는 SCV대박을 내며 어영부영 벌쳐를 막아낸 강민선수가 승리를 가져갑니다. 마지막 박용욱 선수와의 경기에선 쓰리게이트 물량을 두 게이트로 일정시간 비등비등하게 막아내며 몰래다크로 승부를 결정짓습니다.
   4강 상대는 박정석 선수. 1차전에선 몰래 멀티가 성공하며 승리를 가져가지만, 2차전에선 박정석 선수의 다크아칸의 마인드컨트롤에 패스트캐리어가 무너지며 패배합니다. 3차전에서 리버가 제구실을 못하며 다시 패배, 강민선수는 벼랑끝까지 몰리게 됩니다. 하지만 4차전에서 한방물량으로 박정석 선수를 밀어내며 2:2승부를 만든다음 다시 강민틴에서 박정석 선수의 다크드랍을 로비틱스 체력 3남기고 막아내 승리를 가져옵니다.
   처절했던 4강을 거쳐 결승상대인 박용욱 선수를 만나게 됩니다. 이미 스타최강자로 대접을 받게 된 강민선수였기에 일방적 우세가 점쳐졌지만, 부담이 너무 컸을까요? 강민틴에서 분노의 한방러쉬로 승리를 거둔 것 외엔 박용욱 선수의 완벽한 경기 운영 앞에 무릎을 꿇고 맙니다. 처음보는 강민선수의 입술을 깨무는 듯한 표정과 운동장에 주저앉은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선명합니다.

   이렇게 마이큐브스타리그가 막을 내릴 동안, 강민선수는 최연성이라는 괴물을 탄생시킨 TG삼보배 스타리그에선 어이없이 탈락을 합니다. 개막전에서 이병민 선수의 3만년 조이기에 맥없이 무너졌고, 패자조에서 박용욱 선수를 잡았지만 장진수선수에게 센터에서 병력이 어이없이 잡히며 패배하고 맙니다. 강민의 시대가 오는가 싶었던 한 시기에서 이렇게 강민선수는 약간 주춤거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곧바로 뒤 시즌에서 강민 선수는 더욱 강력해진 모습으로 스타계를 정복하러 나옵니다...

P.s) 1. 순수 제 기억만으로 쓰는 글이라 다소 틀린 부분이 있더라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2.  그냥 하나의 글에 다 쓸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너무 길어져 두 글로 나누겠습니다. 왠지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담벼락옆 에스
04/07/25 03:23
수정 아이콘
그 꿈에 한주가 재미 있었는데, 요즘은맥이 풀리네요. 그래서 스타관련 방송을 보지 않습니다. 다만 마음 속으로 강민선수가 그 이름값을 하길 바라는 기도를 합니다.
마음속의빛
04/07/25 03:46
수정 아이콘
/이웃집거지 용토로 저는 엠비시를 보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강민..전형적인 대기만성형 선수같더군요. 강도경 선수와 같이 활동해서 마이큐브때 엄청난 활약..그리고... 다름 시즌에서 우승!!! 챌린지 예선으로 가게 되어 참 아쉽습니다.ㅜ.ㅜ
마음속의빛
04/07/25 03:47
수정 아이콘
/담벼락옆 에스레로 리플을 보다가 깜짝놀랐어요 [다만 마음 속으로] 부분에서 제 아이디인 줄 착각했다는..^^;; 아이디 잘 지었죠?
5년 전쯤인가 온라인 게임하면서 처음으로 지은 아이디예요..^^ 히히
04/07/25 04:06
수정 아이콘
마이큐브.. 글과 관련없이(-_-;;) 박경락 선수 팬으로써.. 가장 기대했던 시즌이었고.. 가장 아쉬웠던 시즌이기도 했던.. 암튼 제게는 가장 재밌는 시즌이었던;;;
강민 선수가 16강에서 홍진호 선수에게 찍힌 후에 이윤열 선수 지목하고.. 그리고 조용호 선수까지.. 아무튼 16강에서 8강 그리고 4강 결승진출전까지.. 정말 강민은 정말 대단했습니다.(-_-;) 물론 아쉽게 3:1 패배했지만..
암튼.. 다음 시즌 그의 모습을 볼수있길 (-_-+)
04/07/25 04:42
수정 아이콘
죄송;;; 글의 압박이 너무 심해서;;;;;;
허브메드
04/07/25 09:56
수정 아이콘
강 민 화이팅~!
04/07/25 10:54
수정 아이콘
아휴~
은근슬쩍 질럿3마리....
최고의 눈치!!!!!!!!!
↓동감?
04/07/25 10:57
수정 아이콘
리치와의 4강(마이큐브)전에서 마지막 5경기..
프로브 비비기는 정말 가히 乃
04/07/25 15:48
수정 아이콘
그.. 어바웃 스타크래프트에서 상대가 박신영 선수였을 겁니다..
제게는 스타를 플레이하는데 대한 마인드를 심어줬었죠..
한상 저그나 테란이 뭘 하는지 보고 맞춰 "대응"만 했었는데;;
날라는 먼저 주도적으로 흔들라고 말하더라구요.,.그래서 기억에 남았습니다..
저도 그때 강민선수를 처음 보았던 듯 하네요^^
04/07/26 00:49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 강민선수 지는 모습에 너무 안타까워서...그럼 안되는데 지는 경기는 보지도 않았네요 ㅡㅡ;; MSL 선전을 기대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63 맵에 대한 여러가지 잡담.. [8] Dark..★3355 04/07/29 3355 0
6462 [잡담]성인은 게임을 즐기면 안되는건가요..? [10] 향자3405 04/07/29 3405 0
6461 어제 또 누군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24] 나라키야3630 04/07/29 3630 0
6460 [亂兎]사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당신을 사랑합니다……. [9] 난폭토끼3278 04/07/29 3278 0
6459 프로 게임에 대하여 [1] 나엘나무나뭇3252 04/07/29 3252 0
6458 컴퓨터라는 친구와의 첫만남 [7] 미츠하시3114 04/07/29 3114 0
6457 [잡담] "스피드도둑" 을 아십니까? [14] 동네노는아이3818 04/07/29 3818 0
6456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 나도현 선수를 거울로 삼으라! [15] 영웅을 꿈꾸며3682 04/07/29 3682 0
6455 스포츠에 있어 스타플레이어가 주는 영향력.. [11] 뉴[SuhmT]3341 04/07/29 3341 0
6454 하루의 일상,스타에 관한 나의 이야기들 [9] legend3289 04/07/29 3289 0
6452 스타는 본능을 이긴다 [5] 문준철2740 04/07/29 2740 0
6450 [자작 단편소설]세상과의 단절 [2] 비의종소리3137 04/07/29 3137 0
6449 [초필살잡담]알아두면 나쁠건 없지만 딱히 좋을 것도 없는 얘기들 [14] 어딘데2907 04/07/29 2907 0
6448 [Gillette 결승 오시는길.노선안내]★ [7] 장준혁3476 04/07/28 3476 0
6447 이번주 듀얼 사진+후기(부제 : 스타리그 물갈이) [7] Eva0104636 04/07/28 4636 0
6446 17살 사춘기. [8] lovehis4337 04/07/28 4337 0
6445 습관을 변화하는것은. [2] zenith3298 04/07/28 3298 0
6442 사과의 말 올리겠습니다. [9] The Siria4844 04/07/28 4844 0
6440 김창선 해설위원님께 [106] 마젤란 Fund9021 04/07/28 9021 0
6438 저그전에 울트라?!@.@ [10] 클리너3629 04/07/28 3629 0
6436 [잡담]돌아오라 세계최강의 공격수... [26] 잠지는크나4923 04/07/28 4923 0
6435 잡담~잡담~잡담~ 여행을 떠나봐요~^^ [2] 기억의 습작...3320 04/07/28 3320 0
6434 변길섭 선수가 웃지 않는 이유 [43] 타임머슴5499 04/07/28 549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