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8/16 11:11:58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서머 정규 + 롤드컵 선발전 일정 정리

- 남은 서머 정규시즌


8/19(토) 5시 : 서머 플레이오프 2라운드 -  KT vs SKT
8/26(토) 5시 : 서머 결승전 - 롱주 vs 2라운드 승자

* 위 결과를 통해서 롱주, KT, SKT 중 2팀은 롤드컵 직행, 1팀은 롤드컵 선발전 최종전으로 갑니다.


- 롤드컵 선발전 일정


8/28(월) 5시 : 롤드컵 선발전 1라운드 - 아프리카 vs MVP
8/30(수) 5시 : 롤드컵 선발전 2라운드 - 삼성 vs 1라운드 승자
9/02(토) 5시 : 롤드컵 선발전 최종전 - 미정 vs 2라운드 승자

* 최종전의 경우 롱주, KT, SKT 3팀중, 직행을 못한 1팀과 2라운드 승자가 붙습니다.
* 최종전에서 이긴 마지막 한 팀이 롤드컵 막차를 탑니다.



이제 5판 3선승제가 딱 5번 남았습니다


8/19일 경기로 '한국 첫번째 롤드컵 진출팀' 이 가려지며
8/26일 경기로 '한국 두번째 롤드컵 진출팀' 이 가려집니다

그리고 8/28일 경기로 '첫번째 롤드컵 진출 실패팀이'
8/30일 경기로 '두번째 롤드컵 진출 실패팀이' 결정되며
9/2일 경기에서는 마지막 롤드컵 진출팀과, 실패팀이 결정됩니다. 


이제 피날레가 다가오고 있네요. 

롱주, KT, SKT 3팀이 모두 롤드컵에 가거나.
아니라면 롱주, KT, SKT 중 2팀 + 삼성, 아프리카, MVP 중 1팀.  의 조합만 한국 대표가 가능해졌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선빈
17/08/16 11:16
수정 아이콘
섬머 결승 진출이 정말 크긴컸네요. 스프링 포시에도 못 든 롱주가 기존 3강과 롤드컵 진출을 어꺠 나란히 하다니 알다가도 모르겠네여
카발리에로
17/08/16 11:20
수정 아이콘
올해 선발전은 진짜 빠르게 진행하네요. 원래 2주 정도 간격으로 텀 두고 진행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17/08/16 11:22
수정 아이콘
롤드컵이 9월 중순 이후에 시작하기 때문에 -.-;; 빨리 뽑아야 되긴 합니다.

단지 한국은 유일한 3팀 모두 16강 직행 티켓이라서.. 한국팀 기준으론 시작이 9월 중순이 아니다보니 다른 나라보다 여유가 있긴 합니다만..
이선빈
17/08/16 11:35
수정 아이콘
리프트 라이벌즈떄문에 일정 늦춰진게 컸어여
카바라스
17/08/16 12:26
수정 아이콘
거기다 24개팀으로 확대된 첫월드컵이라.. 롤드컵 일정도 빡빡하죠. Lck는 전부 16강 시작이라 조금 낫지만
17/08/16 11:22
수정 아이콘
롱주를 응원하는 입장에서 지난 번 삼성전 승리가 이렇게 크네요. 결승을 패배하더라도 선발전 최종전까지는 확보 할 수 있다는게 정말 다행같습니다.

뱀다리로, 승강전은 롤드컵 선발전 다음인가요? CJ는 과연 올라올 수 있을 까요... 후...
양념반자르반
17/08/16 11:29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MSI 우승팀 -> 롤드컵 직행! 이라고 알고 있어서 SKT팬으로 걱정이 없었는데....ㅠㅠ
MSI 우승팀에게 주는 혜택이 정확이 어떤거였죠?
AirQuick
17/08/16 11:32
수정 아이콘
MSI는 우승해도 혜택같은거 없습니다
양념반자르반
17/08/16 11:33
수정 아이콘
아 언뜻볼때 롤드컵에 관련된 혜택이 있었던거같은데....잘못본거군요!
17/08/16 11:35
수정 아이콘
MSI의 혜택은

1. LCK / LPL / LMS / EU LCS / NA LCS 중 '상위 성적을 거둔 4개 지역' 에 16강 탑 시드 부여

2. 나머지 8개 지역 리그 중(와카 리그) 상위 성적을 거둔 1개 지역에 '16강 직행 티켓 1장 추가 지급'

이 혜택입니다.
양념반자르반
17/08/16 11:42
수정 아이콘
아 자세한 정리 감사합니다!
야근왕워킹
17/08/16 11:35
수정 아이콘
서머 우승 준우승이 롤드컵 직행하는게 아닌가보네요? 8월19일에 진출팀 두팀이 결정되는게 아닌걸보면 뭔가 점수관계가 복잡한가봅니다.

꾸준히 챙겨보질 않으니 정리글을 봐도 모르겠네요 큐큐
cluefake
17/08/16 11:46
수정 아이콘
서머우승은 직행인데
서머 준우승은 아닙니다.
서머 우승 직행, 서킷포인트 합산해서 서머우승자빼고 1위직행(동점인 경우 서머포인트 우선) 선발전 최종승자
셋이 롤드컵갑니다
NightBAya
17/08/16 11:48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6&n=61804

롱주 우승 - 롱주 & 준우승팀 직행
롱주 준우승 - KT & SKT 직행
정리하면 이렇다고 합니다.
야근왕워킹
17/08/16 11:52
수정 아이콘
아 한참 생각중이었는데 크크
감사합니다
롱주서킷포인트때문에 이래됐나보네요
LEEKA님 말씀대로 19일 플옵승자는 무조건 진출이군요
미리보는 결승전 느낌이드는게 꼭 봐야겠네요
17/08/16 13:26
수정 아이콘
선발전은 진짜 바늘구멍이네요...
17/08/16 15:23
수정 아이콘
진짜 롤드컵 LCK에 4장 주면 딱인데..
17/08/16 15:39
수정 아이콘
8월 28일 '첫' 탈락팀이 결정된다기에는 이미 선발전에 조차 진출하지 못한 탈락팀들이 많이 있죠.
담배상품권
17/08/16 16:10
수정 아이콘
음... 스프링 비중이 이렇게 낮으면 그냥 시즌을 길게 가져가는게 나아보이는데 MSI보다 롤드컵이 워낙 중요하니까요
17/08/16 16:53
수정 아이콘
섬머 우승팀이 직행한다는거 제외하면 10점 차이니까 스프링 비중이 그렇게까지 낮은건 아니긴 하죠.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1년간의 대표를 선발하는데 시즌간 차등을 두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생각합니다만, 많은 분들이 시즌간 차등에는 찬성하시는 것 같으니 어쩔 수 없고 섬머 직행이라도 없앴으면 싶어요. 150점쯤 주더라도.
17/08/16 16:56
수정 아이콘
LPL , LMS, EU LCS, NA LCS 모두 LCK와 같은 점수제도를 쓰고 있기 때문에..
(정확히는 LCK는 6위 점수가 없지만.. 위 리그들은 6위 점수가 있으니 아주 똑같진 않습니다만.... 1~5위 점수는 같은 만큼)
특별히 바뀔일은 없지 않을까 싶네요.. 바뀐다면 다 같이 바뀌지 않을까..
17/08/16 17:04
수정 아이콘
네 다른 리그가 어쩌고와 전혀 무관하게 그냥 그 방식 자체가 불합리하다는 생각인지라 다른 리그도 같은 방식이라면 역시 그쪽도 바꿔야겠죠. 물론 대세와는 다른 마이너한 의견이고 아무 발언권없는 평범한 시청자의 의견에 불과합니다만.
17/08/16 17:11
수정 아이콘
뭐.. 지금 롤판은 라이엇 의도가 95%이상 반영되는 판이다보니.. 한국 시청자 의견은 과거 롤챔스때보다도 힘이 없죠 -.-;;;
17/08/16 16:55
수정 아이콘
시즌을 길게 가져가면 오히려 스프링 비중이 훨씬 올라갑니다.
시즌이 길었다면 롱주는 서머 정규 1위가 아니라 스프링때 해먹은 성적이 합쳐져서 순위가 훨씬 낮을텐데요...


스프링에 90~10점, 서머에 직행~20점을 배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스프링이 일정수준의 비중이 있는거죠.


시즌을 길게 가져갔으면 MVP는 선발전도 못갈 성적이였을텐데.. 시즌을 나눠놨기 때문에 선발전이라도 가는거고요.. (스프링 점수로)
카르타고
17/08/16 16:13
수정 아이콘
Kt는 5판3승 최대 세번의기회중 딱 한번만이기면 롤드컵 직행이군요
아 sk도 마찬가지인가
무더니
17/08/18 17:39
수정 아이콘
선발전 버전도 7.15로진행되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121 [LOL] 선발전은 역시 젠지! - SKT의 올 시즌 마지막 경기로 끝난 1라 후기 [44] Leeka7040 18/09/12 7040 6
64116 [LOL] 선발전 1라운드 프리뷰 - 젠지 vs SKT [105] Leeka10414 18/09/11 10414 1
64112 [LOL] LCK, LPL, EU, NA, LMS 선발전 대진표 모두 확정 [22] Ensis6823 18/09/11 6823 2
64109 [LOL] 선발전 버전은 8.15입니다(feat. 클튜브) [137] 카바라스9709 18/09/10 9709 0
64088 [LOL] LCK 결승과 롤드컵 선발전을 앞두고 보는, 현재 주목할 만한 챔피언들 [3] bemanner5109 18/09/08 5109 1
63965 [LOL] 와일드카드전 결과에 따른 롤드컵 직행 및 선발전 경우의 수 [100] Luv.SH11478 18/08/13 11478 3
63930 [LOL] 아프리카 포스트 시즌 막차 합류! + SKT 롤드컵 선발전 진출 확정!! [36] Leeka8870 18/08/08 8870 0
63828 [LOL] 다소 이르지만 계산해보는 롤드컵 및 선발전 경우의 수 (수정완료) [48] Luv.SH7589 18/07/23 7589 0
63781 [LOL] kt가 롤드컵 선발전에 가면 안되는 이유 [52] 니시노 나나세13227 18/07/12 13227 0
62046 [LOL] LCK 대표팀들의 서머~선발전 다전제 성적 [12] Leeka6277 17/09/19 6277 1
61947 [LOL] 롤드컵 진출팀, 총 19팀이 확정되었습니다 + 선발전 가벼운 리뷰 [20] Leeka9500 17/09/03 9500 2
61944 [LOL] 2017 롤드컵 선발전 최종전 삼성 대 KT 후기(수정) [84] 바스테트9264 17/09/02 9264 4
61926 [LOL] 진작 엠비션을 썼어야 - 선발전 2라운드 후기 [109] Leeka10952 17/08/30 10952 5
61908 [LOL] 꺼내기 아쉬웠을 아프리카의 필살기. 선발전 1라운드 후기 [42] Leeka9713 17/08/28 9713 0
61811 [LOL] 롤챔스 서머 정규 + 롤드컵 선발전 일정 정리 [26] Leeka6433 17/08/16 6433 1
61804 [LOL] 롤드컵 경우의 수 (직행 및 선발전) [9] 바스테트5426 17/08/15 5426 1
61747 [LOL] 썸머 순위에 따른 롤드컵 선발전 순위 [28] 루체시6854 17/08/07 6854 2
61733 [LOL] 롤드컵 선발전 현황과 상대전적 정리 [17] Leeka7100 17/08/05 7100 2
61709 [LOL] 포스트시즌과 롤드컵선발전. 모두다 멀어진 진에어 [27] Leeka8900 17/07/30 8900 1
61689 [LOL] MVP의 롤드컵 선발전 도전!! 막판을 향해 달려가는 롤챔스 서머 [18] Leeka5267 17/07/26 5267 1
61633 [LOL] 2017 선발전 경우의수를 정리해봤습니다. [45] 다크템플러8806 17/07/16 8806 0
59871 [LOL] LMS 롤드컵 선발전 감상 (부제 : AHQ 격찬) [42] legend9274 16/09/05 9274 4
59840 [LOL] 올해 상대 전적으로 보는 LCK 롤드컵 선발 [56] 눈팅용8435 16/08/29 8435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