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3/12/31 15:42:30
Name be-original
Subject 2003년의 팀을 고른다면?..
후보 팀은 역시
GO,KTF,ForU 정도로 압축될까?

2003년

[GO]
-온넴겟 서지훈우승
-MBC게임 강민 우승
-MBC게임 팀리그 2회연속 우승
-온겜넷 강민 준우승
(and. +@ 온겜넷 챌린지리그 박태민 우승)

[ForU]
-온겜넷 팀리그우승
-온겜넷 박용욱 우승
-MBC게임 최연성 우승

[KTF]
>>요건 2002년이군요.-_-빼고 보시길.-온겜넷 이윤열 우승
-온겜넷 홍진호 준우승
-MBC게임 홍진호 준우승
-MBC게임 이윤열 준우승

빠진거 있던가요? -_-;대충 생각나는거 열거했는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실비아스
03/12/31 15:49
수정 아이콘
홍진...호 선수;;.ㅡ.ㅜ
포유는 준우승은 필요없다!는 모토로 보이네요;
김평수
03/12/31 15:54
수정 아이콘
ㅇ_ㅇ;;2003년의 팀은 한빛스타즈..
03/12/31 16:00
수정 아이콘
엠겜 이윤열 선수 준우승 빠졌네요~
윤영환
03/12/31 16:05
수정 아이콘
go팀에 올인 입니다.
박서의꿈
03/12/31 16:07
수정 아이콘
4U 김성제 선수 제주 KBK대회 우승.
4U 임요환 선수 제주 KBK대회 준우승.
(그리고 온게임넷은 팀리그가 아니라 프로리그죠....^^;)
지노애완용히
03/12/31 16:09
수정 아이콘
G.O
뭔가 거창하고 눈이 확 쏠리는 그런 사건은 없었지만 은근슬쩍 우승도 많고 우승자도 많고 ^ ^
소문에 의하면 팀 지원에 있어서도 탄탄하고 앞으로도 더 기대 되는 팀
김환영
03/12/31 16:10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 제주 kbk3위햇습니다
남자의로망은
03/12/31 16:11
수정 아이콘
G.O 라고 봅니다. 말이 필요 없죠. 엠겜 리그에서 2회 연속 우승에, 서지훈 - 강민 의 원투 펀치. 그리고 임요환 선수는 kbk 4강에서 김성제 선수 만나서 떨어 지지 않았던가요?
지노애완용히
03/12/31 16:14
수정 아이콘
딴길로 하나만 샐께요..^^;;
박서의꿈님// 글보니까 생각나는데요
온겜넷도 팀리그로 명칭을 좀 바꿔줬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프로리그 = 프로게이머들이 하는 개인전리그 = 스타리그 (혼동의 도가니탕)
자꾸 이런식으로 생각이 가요 ㅠㅠ..
저그가되어라~
03/12/31 16:16
수정 아이콘
제주 KBK2위 선수는 한빛스타즈의 정재호선수입니다..
자일리틀
03/12/31 16:18
수정 아이콘
올해의 팀,,,
기록상으로 보면 단연 G.O팀이 좀 더 셉니다. 그렇지만, 올해의 활약 +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킨 팀은 4U팀 이죠..
솔직히 저는 이 두 팀을 모두 뽑고 싶습니다..
그리고, 지오팀은 항상 변화 하고 있는 팀이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작년 즈음에 지오팀을 처음 알았을때는 김정민, 최인규, 서지훈 선수 중심의 '테란 왕국'으로 불려졌습니다. 그러다, 올해 강민이라는 최고의 프로토스의 등장과, 이재훈 선수의 막강 화력을 앞세워 '프로토스 최강의 팀'으로 불리우다, 이제는 엔트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저그만 해도 현재 멤버로 5명이나 됩니다.. 새로운 저그군단이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팬인 저로써는 매우 즐겁습니다..^^
어쨋거나 두 팀 모두 2004년에도 파이팅하시길~
03/12/31 16:26
수정 아이콘
저도 한빛스타즈...^^
꾹참고한방
03/12/31 16:31
수정 아이콘
전반기는 SUMA G.O 후반기는 4U 두팀중에 올해의 팀을 뽑으라고 하니 난감하네요.. 50 : 50 입니다.
Classical
03/12/31 16:33
수정 아이콘
전 슈마G.O에 한표
박서의꿈
03/12/31 16:35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두선수가 결승에서 만난줄 알고...^^;
임요환 선수는 3위가 맞네요..^^;; 죄송~
03/12/31 16:45
수정 아이콘
4U에 올인입니다:)
최연성, 박용욱의 우승과 프로리그 우승.
그리고 더불어 김성제 선수도 점차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구요.
(아-_- 김현진 선수는 대체 언제?)
거기다가 임요환 선수도 물량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요즘 노력하려고 하구요-_-a
그리고 마지막으로 빼놓을 수 없는 스미스 감독님까지 포함하면:)
에고고고+ㅁ+; 4U는 정말 무서운 팀입니다+ㅁ+;
아스피린
03/12/31 16:54
수정 아이콘
SUMA G.O에 올인^^
from 여수
03/12/31 16:56
수정 아이콘
저는 슈마지오가 올해의 팀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4U도 놀랄만한 성적은 거두웠지만 아무래도 우승4번에 준우승1번의 압박은..
겸이스퇄
03/12/31 16:57
수정 아이콘
당연 한빛 이유는 게임맆트에가시면 altair님의 글에 한빛 3관왕^^
겸이스퇄
03/12/31 16:58
수정 아이콘
맆->리프^^;;
Ruppina~*
03/12/31 17:10
수정 아이콘
저도... 4U에 올인입니다. (이유불문의 아집을 섞어_-_)
드라마틱/ 센세이션/ ... 올 한 해 요동치고 물결 탄 팀이라 감히 주장합니다. 강렬한 인상을 남겼죠.
(선수 개개인 뿐만 아니라, 스미스 모드로 재등장하신 감독님까지... 그놈의 빛바랜 스톱 워치는.. 정말 >_<)
Wizard-X
03/12/31 17:12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이윤열 선수 우승은 작년 아닌가요? 파나소닉배
그리고 4U팀에 박용욱 선수 챌린지 리그 우승 정도도 있을 수 있겠네요. 2003 시즌이었지만 결승은 2004년에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Wizard-X
03/12/31 17:16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2002(2003에서 정정합니다) 시즌 결승은 2002년 12월 17일에 있었네요. -_-;
03/12/31 17:19
수정 아이콘
전 슈마GO , KTF , 4U , 한빛스타즈에게 각각 100분율로 30 : 25 : 25 : 20 으로 주고싶네요
RandomZZang
03/12/31 17:20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겜비씨 3위했지 않나요??
03/12/31 17:21
수정 아이콘
RandomZZang님/강민선수와 겨루었던 결승에서 준우승을 했죠
03/12/31 17:22
수정 아이콘
SUMA GO 올인!
다크고스트
03/12/31 17:26
수정 아이콘
슈마 GO - 개인리그 2회우승(서지훈, 강민), 1회 준우승(강민), 팀리그 2회우승
4U - 개인리그 2회우승 (박용욱, 최연성), 팀리그 1회우승...
두팀의 선수들 구성은 박빙이라 더 낫다하긴 힘들고 실적으로 봤을땐 슈마GO가 근소한 차로 앞서는거같네요...슈마GO에 올인...
03/12/31 17:28
수정 아이콘
이윤열 겜티비 3차리그 우승 이윤열 겜티비 챌린져 준우승
공후인
03/12/31 17:29
수정 아이콘
GO GO GO
As Jonathan
03/12/31 17:32
수정 아이콘
GO가 조금더 높이 평가되는군요. 실력에 비해 약간 저평가 받았던 GO가 이제는 최강의 팀이 되었으니까요.
서지훈, 강민 의 양대리그 우승 VS 최연성, 박용욱 의 양대리그 우승.
GO의 엠겜 팀리그 2연속 우승 VS 4U의 온겜 프로리그 우승
내가니애비다
03/12/31 17:51
수정 아이콘
단연코 SUMA GO !
La_Storia
03/12/31 17:55
수정 아이콘
올해의 팀이야 당연히
슈마지요. (김창선해설님의 하이개그;)
디길왕자
03/12/31 17:56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GO겠죠.
온게임넷의 서지훈 선수 우승, 강민 선수의 준우승 ,박태민 선수의 챌린지 우승 , 엠비씨 게임의 강민 선수 우승
온게임넷 에버컵 4강 , 엠비씨 팀리그 2회 우승
전체 리그에서 GO팀은 꾸준한 성적을 올렸죠.
03/12/31 18:00
수정 아이콘
슈마GO가 올해의 팀이아닐지! ^^;;
은빛사막
03/12/31 18:08
수정 아이콘
4U라고 생각되네요 박용욱, 최연성, 김성제 선수의 각 대회 우승과 임요환 선수의 프리미어 리그 리그 챔피언쉽 진출, 올림푸스배 스타리그 3위
게다가 가장 빛나는건 역시 온게임넷 프로리그 원년 우승팀이란 거죠

창단 초기만 해도 임요환 원맨팀이라는 소릴 들었는데... 이제는 정말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최고의 팀이 되었네요 올 해의 팀으로서는 손색없다고 봅니다 ^^;;
03/12/31 18:1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저는 AMD드리팀이 좋습니다;;
텐도 시로
03/12/31 18:16
수정 아이콘
지오팀이요~! 현재 성장가능성을 보나 2003년의 성적을 보나 뭐 하나 떨어지는 것도 없고^^ 올해 정말 잘했다고 생각해요~
PeculiarDay
03/12/31 18:19
수정 아이콘
슈마 go팀! ^^ (제가 슈마go팀 팬이니까!)
"임연성*최요
03/12/31 18:24
수정 아이콘
4U입니다!!!!

그런데 질문이 뭐죠?....ㅡㅡ;;
03/12/31 18:48
수정 아이콘
단연코 슈마GO팀이아닐지... 온게임넷 프로리그4강도 한경기만이기면 거의 진출에 비해 4u는 원년우승팀 답지않게 정말 아슬아슬한 상태죠..
03/12/31 19:03
수정 아이콘
당근 4U죠~~전 무조건 사유에 올인입니다~
03/12/31 19:09
수정 아이콘
G.O팬의 한 사람으로서 G.O에 한표~
대박드랍쉽
03/12/31 19:24
수정 아이콘
GO는 역시 MBC팀리그 원년 우승에 2연패까지 했지요...^^;;
우산놀이
03/12/31 19:29
수정 아이콘
4U!!! 사유팀에 올인입니다~
분홍색도야지
03/12/31 19:41
수정 아이콘
4U !! 나 당신들에게 모든 걸 걸겠소!! oov
Greatest One
03/12/31 19:42
수정 아이콘
슈마 지오라고 생각 되네요.
물론 4U 팀도 좋은 성적을 냈고 센세이션을 일으켰어도.. 항상 저조했던 성적과 팀 분위기의 GO가 최강의 팀으로 군림하지 않았습니까.
WizardMo
03/12/31 19:47
수정 아이콘
글쎄요 올해 최고의 성적을 낸 팀이 아니라 올해 최고의 팀이라면 4u에 걸겠습니다.
03/12/31 20:16
수정 아이콘
2004년은 AMD, 아니 이젠 Dream Team 이군요
Dream Team 의 해가 되기를..
장진남 선수의 저글링이 수많은 일꾼들을 잡기를,,
장진수 선수는 다시한번 대플토전 최강이 되시길
베르트랑 선수는 선글라스의 힘을 보여주시길
기욤 선수는 리버/다크 로 수많은 선수들을 울려주시길
그리고 마지막으로 조정현 선수는 2004년형 신검담 러쉬로 우승하시길
Dream Team 화이팅입니다!^-^*
꿈꾸는scv
03/12/31 21:11
수정 아이콘
혹시나 해서 로그인 했는데. 이제 글을 쓸 수 있군요..^^ 저도 최고의 성적이 아니라 최고의 팀이라면 우리의 4U팀에 올인하겠습니다^^ 2004년 4U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Dream Team도 화이팅!!)
03/12/31 21:37
수정 아이콘
마냥 부럽기만 한 팀들이로군요.. ^ㅡ^
be-original
03/12/31 21:38
수정 아이콘
이윤열 준우승 했던거 하나 빠져서 추가했습니다.^^
이윤열 우승이 2002년이었나요? ㅡ,.ㅡ
햇갈리는군요.. 결승이 2003년 초반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뭐지.-_-
03/12/31 21:54
수정 아이콘
4U에 올인.^^
ILoveDreaD
04/01/01 00:31
수정 아이콘
4U란 말에 동의
너의나라
04/01/01 01:30
수정 아이콘
저도 4U요~ (그치만 제게 최고의 팀은 언제까지나 한빛스타즈입니다...!!)
04/01/01 08:59
수정 아이콘
2003년 처음과 마지막의 변화를 보면 단연 4U에 올인~
마린걸
04/01/01 11:59
수정 아이콘
GO
04/01/01 15:49
수정 아이콘
슈마GO를 꼽고싶네요. 그동안 실력에 비해 저조한 성적으로 선수들과 감독님 마음 고생 심하셨는데 올해 굉장히 좋은 성적을 거뒀죠. 이제야 빛을 본다고 생각합니다.
04/01/01 19:33
수정 아이콘
한빛
지혀뉘~
04/01/02 14:26
수정 아이콘
슈마go가 팀리그 2번째 우승 한거 첨 알았네요 와~ 온겜넷 팀리그 우승은 하두 인기가 많아서 다시보고 감동을 얻었는데 엠겜 2번째 팀리그는 피쥐알에서도 크게 거론 되지 않은듯 싶네요;; 올해의 최고의 팀은 단연 포유입니다^^;; (지오팀의 강민선수도 무척 좋아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6 2003년 12월 31일에 일어난일 -_-; [10] 높이날자~!!3571 04/01/01 3571 0
635 [謹賀新年]PgR21 회원 여러분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24] for。u”2970 04/01/01 2970 0
631 오늘 있었던 엽기적인 일.. [9] intothestars3872 03/12/31 3872 0
630 10대의 마지막밤을 pc방에서 보내며... [41] 지영훈4675 03/12/31 4675 0
629 행복한 새해가 되시길 바라며... [4] 총알이 모자라.2898 03/12/31 2898 0
628 2003, 비공식 올해의 얼짱 선발대회!!! [...] [106] 세츠나7274 03/12/31 7274 0
627 [초절정 잡담] 사부를...스타를 가르쳐 줄 사부를 찾습니다-ㅁ-; [14] 햇살의 흔적3712 03/12/31 3712 0
626 4U 팀의 재계약을 앞두고 궁금한점과 몇가지 주절거림. [16] Loser5735 03/12/31 5735 0
625 2003년 PGR21award Progamer Festival~* [14] 낭만드랍쉽4873 03/12/31 4873 0
624 pgr여러분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2] djgiga2720 03/12/31 2720 0
622 [잡담]엉뚱한 맵, 엉뚱한 상상 강용욱2993 03/12/31 2993 0
621 만약 프로게임계를 프로레슬링 처럼 한다면,,, [13] 사일런트Baby4167 03/12/31 4167 0
620 2003년 가기전 들렸습니다 +_+ [5] 어린왕자_-v2787 03/12/31 2787 0
619 자퇴서...... [16] 사담 후시딘4029 03/12/31 4029 0
618 이런 맵은 왜 없을까요? [12] "임연성*최요4113 03/12/31 4113 0
617 2003년의 팀을 고른다면?.. [60] be-original5782 03/12/31 5782 0
616 [바둑과 스타]기풍(棋風) vs Game Style - 또 다른 생각 [9] 스톰 샤~워4765 03/12/31 4765 0
615 [잡담]냉정과 열정 사이에는... [2] estrolls4344 03/12/31 4344 0
613 까마귀... [5] Mechanic Terran3191 03/12/31 3191 0
612 KT-KTF 프리미어 리그 챔피언쉽 2배 재미있게 보기 [43] Altair~★6610 03/12/31 6610 0
611 [부탁]대저그전 전략입니다. [8] ForAdun3189 03/12/31 3189 0
610 2003 년에 읽은 책 [18] 웃다.3828 03/12/31 3828 0
609 (잡담)최고 인기를 끌수 있는 덕목 [28] from 여수4491 03/12/31 44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