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1] 6/2 현재 변형 Elo Rating (ASL 시즌3 + SSL클래식 2017 시즌1 결승 진출자 확정)
[ ※ https://pgr21.com/?b=6&n=61360 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
ASL시즌3 / SSL클래식 시즌1의 결승 진출자가 모두 가려졌습니다.
양 대회 모두 4강에 진출한 김민철은 무려 5일 동안 4번의 다전제라는 강행군을 치렀고, 결국 SSL 3위, ASL 4위로 양 대회를 모두 마감하였습니다.
양 대회의 남은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선수 순서는 Rating 상위순).
6/04(일) ASL 결승(이영호 vs 이영한, 일명 "이영"록)
6/10(토) SSL 결승(김정우 vs 윤용태)
< 변형 Elo Rating 순위(2승 이상) >
※ 경기가 남아 증감가능성 있는 선수는 별도로 표시
Rank  성명  종족   Rating   승패
01  이영호   T   1402(△) 28승14패
   ※ ASL 시즌3 결승(6/4 vs이영한)
   ○ ASL 4강에서 김민철에게 3:2로 승리하면서 1위를 지켰습니다.
   ★ ASL 결승에서 0:3으로 셧아웃당하지 않는 한 1위를 유지하게 됩니다.
02  김택용   P   1366(△) 32승20패
   ● ASL 4강에서 이영한에게 1:3으로 패배하였으나,
   ○ ASL 3-4위전에서 김민철에게 3:1로 승리하면서 2위를 지켰습니다.
03  김민철   Z   1321(△) 26승17패
   ● ASL 4강에서 이영호에게 2:3으로 패배하였고,
   ○ SSL 준플레이오프에서 박성균에게 2:0으로 승리하였으나,
   ● ASL 3-4위전에서 김택용에게 1:3으로 패배하였고,
   ● SSL 플레이오프에서 윤용태에게 0:2로 패하여
   시즌을 마감하고 일단 3위로 올라섰습니다. 다만 김정우가 SSL 결승에서 승리하면 다시 3위를 내주게 됩니다.
04  김정우   Z   1320(―) 25승14패
   ※ SSL클래식 시즌1 결승(6/10 vs윤용태)
   ★ SSL 결승에서 0:3으로 셧아웃당해도 4위를 유지하게 됩니다.
   ☆ SSL 결승에서 승리하면 순위가 상승합니다. 만약 3:0으로 승리하면 2위로 올라갑니다.
05  김성현   T   1238(―) 21승16패
06  조기석   T   1226(―) 22승15패
07  염보성   T   1214(―) 20승19패
08  도재욱   P   1201(―) 15승11패
09  이영한   Z   1183(△) 10승04패
   ※ ASL 시즌3 결승(6/4 vs이영호)
   ○ ASL 4강에서 김택용에게 3:1로 승리하면서 8계단 올라섰습니다.
   ☆ ASL 결승 결과에 따라 5위까지 올라갈 수도 있고, 11위까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10  김승현   P   1166(―) 16승14패
11  김윤중   P   1164(―) 12승10패
12  최호선   T   1149(―) 17승22패
13  윤용태   P   1148(△) 14승15패
   ※ SSL클래식 시즌1 결승(6/10 vs김정우)
   ○ SSL 플레이오프에서 김민철에게 2:0으로 승리하면서 6계단 올라섰습니다.
   ☆ SSL 결승 결과에 따라 9위까지 올라갈 수도 있고, 18위까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14  임진묵   T   1148(―) 11승09패
15  김명운   Z   1145(―) 12승09패
16  박성균   T   1139(▼) 15승17패
   ● SSL 준플레이오프에서 김민철에게 0:2로 패배하면서 5계단 내려갔습니다.
17  이제동   Z   1137(―) 10승07패
18  조일장   Z   1127(―) 15승18패
19  김재훈   P   1101(―) 10승11패
   ※ 이하 모두 변동없음.
20  윤찬희   T   1080   07승10패
21  이재호   T   1069   09승13패
22  정윤종   P   1062   08승12패
23  박수범   P   1056   03승01패
24  고석현   Z   1038   03승03패
25  김경모   Z   1022   02승02패
26  한두열   Z   1016   03승05패
27  송병구   P   1013   04승07패
28  진영화   P   1012   04승07패
29  임홍규   Z   1004   05승12패
30  김건욱   Z   1000   03승03패
30  박성준   Z   1000   03승03패
32  유영진   T     996   04승09패
33  구성훈   T     981   02승03패
※ Rating이 동일할 경우 순위는 다승 순입니다.
< 변형 Elo Rating 순위(1승 이하) >
Rank  성명  종족   Rating   승패
34  김태영   T   1006   01승02패
35  장윤철   P   1004   01승02패
36  박지호   P   1002   01승02패
37  변형태   T   1001   01승02패
38  문기호   Z     986   00승02패
38  변현제   P     986   00승02패
40  김기훈   P     983   00승02패
41  최영현   P     981   00승02패
42  김규회   P     980   00승02패
42  김범성   Z     980   00승02패
44  강정우   T     970   01승02패
44  김재현   T     970   01승02패
44  서문지훈  Z     970   01승02패
44  한상봉   Z     970   01승02패
48  김봉준   P     970   00승03패
49  이예준   Z     960   00승04패
50  김상곤   Z     980   00승02패
50  박세정   P     950   00승02패
50  박재현   P     950   00승02패
50  신상문   T     950   00승02패
50  심대성   Z     950   00승02패
50  정윤성   P     950   00승02패
※ 1승 이하의 경우에는 얼마나 강한 상대를 만나서 졌느냐는 지표에 불과하여 큰 의미는 없습니다.
< 종족별 평균(전체) >
선수 전체 1066.4 (55명)
T 1096.2 (16명)
P 1051.8 (20명)
Z 1056.8 (19명)
< 종족별 평균(2승 이상자) >
T 1149.3 (11명)
P 1128.9 (10명)
Z 1109.4 (12명)
※ 테란의 예선통과자가 가장 적지만, 본선 생존률은 매우 높습니다.
※ 프로토스가 가장 예선통과를 많이 했지만, 1라운드 탈락률이 매우 높습니다.
< ASL 시즌3 현황 > 
= 결승 진출자 =
Rank  성명  종족   Rating
01  이영호   T   1402(△)
 ※ 16강 시드자(ASL 시즌2 우승)
 ※ 16강 A조 1위(vs고석현/이영한 승)
 ※ 8강 vs김성현 3:0 승
 ※ 4강 vs김민철 3:2 승
09  이영한   Z   1183(△)
 ※ 24강 B조 2위(vs윤용태 승, vs김정우 패, vs장윤철 승)
 ※ 16강 A조 2위(vs김경모 승, vs이영호 패, vs고석현 승)
 ※ 8강 vs윤찬희 3:1 승
 ※ 4강 vs김택용 3:1 승
= 3위 =
Rank  성명  종족   Rating
02  김택용   P   1366(△)
 ※ 24강 C조 1위(vs변현제/김재훈 승)
 ※ 16강 B조 2위(vs김민철 패, vs염보성/김정우 승)
 ※ 8강 vs최호선 3:2 승
 ※ 4강 vs이영한 1:3 패
 ※ 3-4위전 vs김민철 3:1 승
= 4위 =
Rank  성명  종족   Rating
03  김민철   Z   1321(△)
 ※ 24강 A조 2위(vs윤찬희 패, vs문기호/김윤중 승)
 ※ 16강 B조 1위(vs김택용/김정우 승)
 ※ 8강 vs도재욱 3:2 승
 ※ 4강 vs이영호 2:3 패
 ※ 3-4위전 vs김택용 1:3 패
= 8강 진출자 =
Rank  성명  종족   Rating
05  김성현   T   1238
 ※ 24강 F조 1위(vs고석현/임홍규 승)
 ※ 16강 D조 2위(vs조일장 승, vs최호선 패, vs이제동 승)
 ※ 8강 패배(vs이영호 0:3 패)
08  도재욱   P   1201
 ※ 16강 시드자(ASL 시즌2 4강)
 ※ 16강 C조 2위(vs윤찬희 패, vs김재훈/김승현 승),
 ※ 8강 패배(vs김민철 2:3 패)
12  최호선   T   1149
 ※ 24강 D조 1위(vs정윤종/조일장 승)
 ※ 16강 D조 1위(vs이제동/김성현 승)
 ※ 8강 패배(vs김택용 2:3 패)
20  윤찬희   T   1080
 ※ 24강 A조 1위(vs김민철/김윤중 승)
 ※ 16강 C조 1위(vs도재욱/김승현 승)
 ※ 8강 패배(vs이영한 1:3 패)
= 16강 진출자 = 
Rank   성명  종족  Rating
04  김정우   Z   1320
 ※ 24강 B조 1위(vs장윤철/이영한 승)
 ※ 16강 B조 3위(vs염보성 승, vs김민철/김택용 패)
07  염보성   T   1214
 ※ 16강 시드자(ASL 시즌2 준우승)
 ※ 16강 B조 4위(vs김정우/김택용 패)
10  김승현   P   1166
 ※ 24강 E조 2위(vs김경모 패, vs송병구/박지호 승)
 ※ 16강 C조 3위(vs김재훈 승, vs윤찬희/도재욱 패)
17  이제동   Z   1145
 ※ 16강 시드자(ASL 시즌2 4강)
 ※ 16강 D조 3위(vs최호선 패, vs조일장 승, vs김성현 패)
18  조일장   Z   1087
 ※ 24강 D조 2위(vs김기훈 승, vs최호선 패, vs정윤종 승)
 ※ 16강 D조 4위(vs김성현/이제동 패)
19  김재훈   P   1101
 ※ 24강 C조 2위(vs이재호 승, vs김택용 패, vs이재호 승)
 ※ 16강 C조 4위(vs김승현/도재욱 패)
24  고석현   Z   1038
 ※ 24강 F조 2위(vs김성현 패, vs진영화/임홍규 승)
 ※ 16강 A조 3위(vs이영호 패, vs김경모 승, vs이영한 패)
25  김경모   Z   1022
 ※ 24강 E조 1위(vs김승현/박지호 승)
 ※ 16강 A조 4위(vs이영한/고석현 패)
= 24강 진출자 =
Rank  성명  종족   Rating
11  김윤중   P   1164
 ※ 24강 A조 3위(vs문기호 승, vs윤찬희/김민철 패)
13  윤용태   P   1148(△)
 ※ 24강 B조 4위(vs이영한/장윤철 패)
21  이재호   T   1069
 ※ 24강 C조 3위(vs김재훈 패, vs변현제 승, vs김재훈 패)
22  정윤종   P   1062
 ※ 24강 D조 3위(vs최호선 패, vs김기훈 승, vs조일장 패)
27  송병구   P   1013
 ※ 24강 E조 4위(vs박지호/김승현 패)
28  진영화   P   1012
 ※ 24강 F조 4위(vs임홍규/고석현 패)
29  임홍규   Z   1004
 ※ 24강 F조 3위(vs진영화 승, vs김성현 패, vs고석현 패)
35  장윤철   P   1004
 ※ 24강 B조 3위(vs김정우 패, vs윤용태 승, vs이영한 패)
36  박지호   P   1002
 ※ 24강 E조 3위(vs송병구 승, vs김경모/김승현 패)
38  문기호   Z     986
 ※ 24강 A조 4위(vs김윤중/김민철 패)
38  변현제   P     986
 ※ 24강 C조 4위(vs김택용/이재호 패)
40  김기훈   P     985
 ※ 24강 D조 4위(vs조일장/정윤종 패)
= 예선탈락자 중 상위랭커 =
Rank  성명  종족   Rating   
06  조기석   T   1226
 ※ 서울예선 11조 4강 vs 한두열 0:2 패(한두열도 서울예선 11조 결승에서 정윤종에게 0:2로 패하여 탈락)
 ※ 부산예선 8조 결승 vs 김민철 1:2 패
14  임진묵   T   1148
 ※ 서울예선 11조 8강 vs 조기석 0:2 패
 ※ 부산예선 9조 4강 vs 김재훈 0:2 패
16  박성균   T   1139(▼)
 ※ 서울예선 9조 결승 vs 장윤철 1:2 패
 ※ 부산예선 8조 4강 vs 이영한 0:2 패
= 상위랭커 중 불참자 =
Rank  성명  종족   Rating   
15  김명운   Z   1145
 ※ 5/11 군입대
< SSL클래식 시즌1 현황 >
※ 승수가 동일할 경우 본선리그 순위는 승자승 순.
Rank  성명  종족   Rating
04  김정우   Z   1320
 ※ 본선리그 6승1패 1위
 ※ 결승(6/10) vs윤용태
13  윤용태   P   1148(△)
 ※ 본선리그 4승3패 2위
 ※ 플레이오프 vs김민철 2:0 승
 ※ 결승(6/10) vs김정우
03  김민철   Z   1321(△)
 ※ 본선리그 4승3패 4위
 ※ 준플레이오프 vs박성균 2:0 승
 ※ 플레이오프 vs윤용태 0:2 패
16  박성균   T   1139(▼)
 ※ 본선리그 4승3패 3위
 ※ 준플레이오프 vs김민철 0:2 패
18  조일장   Z   1127
 ※ 본선리그 3승4패 5위
22  정윤종   P   1062
 ※ 본선리그 3승4패 6위
21  이재호   T   1069
 ※ 본선리그 2승5패 7위
12  최호선   T   1149
 ※ 본선리그 2승5패 8위
변형 Elo Rating을 만들게 된 경위에 관하여는 
https://pgr21.com/?b=6&n=61309 글을 참조하시고, 계산방법은 읽는 분들의 편의를 위하여 다시 적어 놓습니다.
변형 Elo Rating의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값은 
[대국민 스타리그 32강 조1위 1,040, 조2위 1,030, 조3위 1,000, 조4위 980]에서 시작됩니다.
 - 이후의 대회에서는 각 대회의 예선을 
[처음으로] 통과할 경우 
[1,000점]이 자동부여됩니다.
 - 예선통과자의 기존 Rating이 1,000점 이상인 경우에는 예선통과가 Rating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예선통과자의 기존 Rating이 1,000점 미만인 경우 예선통과 당일 1,000점으로 
[리셋]됩니다.
 - 따라서 아래 표에서 1,000점 미만인 선수는 방송경기 1라운드 탈락 후 다시 예선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 초청제 대회(다방 ASL 팀배틀, SSL클래식 시즌1)의 경우에는 리셋 없이 본인의 종전 점수로 시작합니다.
  ※ SSL클래식이 시즌2 이후에도 계속 팬투표 형식을 취할 경우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며, 이후의 대회에서 예선을 치르는 것으로 변경한다면 그 대회부터 리셋이 적용됩니다.
 - 다만 초청제 대회 참가선수가 종전 점수가 없다면, 이 경우에 한하여 1,000점을 부여합니다(ex. 박수범)
2. 
[승리할 때는 20점이 증가]하고, 
[패배할 때에는 10점이 감소]합니다.
 ① 이에 따라 Rating의 총량은 매 경기 10점씩 늘어납니다.
 ② 이전 대회의 1라운드 탈락자가 예선통과할 경우 1,000점으로 리셋되므로, 각 대회 예선일에 그만큼의 총량이 증가합니다.
 ③ 한편 2회 이상 연속탈락자의 경우 Rating을 감소조정하므로, 각 대회 예선일에 총량의 감소도 함께 발생합니다.
 - ①이 가장 크고, ②가 가장 작으며, ③이 그 중간 정도이므로, 대회마다 전체적인 총량은 조금씩 늘어납니다.
3. 경기 전 승자의 Rating이 패자의 Rating보다 50점 이상 높을 경우 감소 보정값이 적용됩니다.
 - Rating 차이가 클수록 감소 보정값도 증가합니다.
 - 이른바 “양학”이 이루어졌을 때 Rating의 증가가 크지 않다는 것입니다.
4. 경기 전 승자의 Rating이 패자의 Rating보다 50점 이상 낮을 경우 증가 보정값이 적용됩니다.
 - Rating 차이가 클수록 증가 보정값도 증가합니다.
 - 예컨대 첫 예선통과자가 직전 대회 우승자를 꺾으면 매우 큰 Rating 증가를 보이게 됩니다.
5. 3항과 4항이 적용되는 경우 상대방에게는 같은 값의 증감 보정값을 적용합니다.
 - 따라서 쌍방의 Rating 차이는 Rating 총량에 변동을 미치지 않습니다.
 ※ 계산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검증값을 넣었는데, 이 검증값의 기준이 Rating 총량입니다.
6. 2015. 11.부터 시작된 대국민 스타리그 이후의 
[오프라인 중계 경기 성적만 반영]되어 있습니다.
 - SSL클래식 시즌1은 오프라인 방송경기의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포함됩니다.
 - 중계가 있더라도 오프라인 경기가 아닌 온라인 경기의 성적은 포함하지 않습니다(ex. 아재리그, 니너스 스타리그).
 - 오프라인이라 하더라도 중계가 없는 경기는 포함하지 않습니다(ex. ASL 예선).
 ※ 말코비치님의 신pgr21랭킹과 같이 예선 성적도 포함해 보려고 했습니다만, 너무 양이 많아져서 포기했습니다.
7. 예선탈락한 선수의 Rating은 다음과 같이 조정합니다.
 - 1회 예선탈락의 경우에는 Rating에 영향이 없습니다.
 - 2회 연속 예선탈락한 경우에는 신규 예선통과자(1,000점) 선수와 1경기를 치러 패배하였다고 가정하여 Rating을 조정합니다.
 - 3회 이상 연속 예선탈락한 경우에는 그 탈락 시마다 신규 예선통과자(1,000점) 선수와 대결하여 0:2로 패배하였다고 가정하여 Rating을 조정합니다.
 - 불참은 사유를 가리지 않고 탈락과 동일한 것으로 봅니다.
 - 실력이 감소하였으나 예선탈락으로 방송경기 패배가능성이 사라져 감점이 발생하지 않는 현상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 위 방식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 특정 대회의 예선에 탈락하였으나 같은 기간에 치러지는 다른 대회의 예선을 통과할 경우 예선탈락으로 보지 않습니다.
  ② 초청제 대회에서 경기를 치러 감점의 기회가 있었던 경우 예선탈락의 연속횟수는 그 초청제 대회가 종료된 때 리셋됩니다.
8. 한번이라도 본선 1라운드를 통과하거나, 2개 대회 이상 진출하여 합계 2승 이상을 기록한 선수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선수보다 Rating이 낮더라도 상위 순위를 부여합니다.
 ex) 유영진, 구성훈
※ 예선 등의 비방송경기를 포함한 정치한 랭킹을 원하시는 경우에는 말코비치님의 신pgr21랭킹(
https://pgr21.com/?b=6&n=61371)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신pgr21 랭킹(구 KeSPA 포인트 방식)과의 차이점
 - 신pgr21 랭킹은 진출라운드 기준 
[누적] 방식이나, 변형 Elo Rating은 각 경기 승패 기준 
[증감] 방식입니다.
 - 신pgr21 랭킹은 누적 방식이다 보니 초청제 경기를 포함하지 않지만, 변형 Elo Rating은 증감 방식이므로 초청제 경기도 중계가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경기는 모두 포함합니다.
 - 신pgr21 랭킹은 누적 방식이므로 
[일정 기간이 경과된 성적에 대하여는 감점]을 하나, 변형 Elo Rating은 
[패배 시 감점]이 이루어지므로 실력 대비 고득점자는 이른바 "승점셔틀" 내지 "밥집" 이 되어 저절로 내려가게 됩니다.
 - 신pgr21 랭킹은 
[예선 경기 결과를 포함]하나, 변형 Elo Rating은 
[예선 경기 결과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대신 Rating이 낮은 선수가 예선을 통과하면 Rating을 리셋합니다.
  ※ 다만 김명운의 예와 같이 상위 랭커가 군대를 가버린다든가 예선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기존 Rating이 깎이지 않아 랭킹이 적절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2회 이상 예선 불참 또는 탈락의 경우에는 감점도 함께 적용합니다.
재미로 보셨으면 합니다.
시즌이 결승까지 모두 끝나면 다시 정리해서 올려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