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3/06 01:06:05
Name 반니스텔루이
Subject [LOL] 페이커 (SKT T1)를 5전 3선승제에서 잡았던 팀들
페이커의 데뷔부터 대회 상관없이 5전 3선승제, 그리고 페이커가 세트 전부 나왔었던 경기만 추려봤습니다 (예: MSI EDG전 같은 경우는 이지훈 선수가 1,2,3세트를 나와서 제외했습니다). 사진 출처는 전부 인벤입니다.




1. MVP 오존 - 2013 롤챔스 스프링 4강 (3:1) - 승패승승

Homme, DanDy, dade, imp, Mata




2. 삼성 오존 - 2014 롤챔스 스프링 8강 (3:1) - 승승패승

Looper, DanDy, PawN, imp, Mata




3. CJ Frost - 2014 NLB 스프링 8강 (3:1) - 승승패승

Shy, Swift, Coco, Space, MadLife




4. 삼성 화이트 - 2014 롤챔스 서머 8강 (3:1) - 패승승승

Looper, DanDy, PawN, imp, Mata




5. 삼성 화이트 - 2014 롤드컵 선발전 (3:0) - 승승승

Looper, DanDy, PawN, imp, Mata




6. 나진 실드 - 2014 롤드컵 선발전 (3:1) - 승승패승

Save, Watch, Ggoong, Zefa, GorillA




7. kt 롤스터 - 2016 롤챔스 서머 플레이오프 (3:2) - 패패승승승

Ssumday, Score, Fly, Arrow, Hachani


대충은 알고 있었지만, 역시 진짜 별로 없긴 하네요. 제일 많이 잡은건 역시 구삼화로 총 7번중에 4번이나 잡았었고, 이 중 댄디,임프,마타는 전부 포함되있습니다. 그 외 루퍼,폰이 3회입니다. 해외 팀은 없습니다.

년도별로 따지면 역시나 암흑기인 14년도에 무려 5번, 그 외 13년과 16년에 한번씩 잡혔습니다. 반대로 따지면 14년을 제외하고서는 2번밖에 안되는..

형제팀 시절에 6번, 통합 되고 나서는 kt한테 패패승승승으로 진게 유일하네요.

NLB전 같은 경우는 당시 스크가 인터넷이 터지는 바람에, 옆에 있는 진에어 숙소로 가서 경기 준비하느라 밴카드를 날려먹고 그랬었던 경기였던게 기억나네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무위키
17/03/06 01:14
수정 아이콘
다데 선수는 지금도 중국 리그에서 활약 중인가요?
반니스텔루이
17/03/06 01:23
수정 아이콘
아뇨 작년 11월에 계약 종료되었고, 현재 팀이 없습니다
나무위키
17/03/06 01:4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ad챔피언 흥하고 있는데 정말 아깝습니다..
일체유심조
17/03/06 01:20
수정 아이콘
삼성 덜덜덜
The xian
17/03/06 01:23
수정 아이콘
마치 프로레슬링 계층으로 "골드버그를 1:1 경기에서 이긴 레슬러들" 차트 보는 느낌이군요.
레드락
17/03/06 01:33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 2016 KT 정말 대단했네요
탱구와댄스
17/03/06 01:38
수정 아이콘
5전제에서 언제나 명경기의 희생양이 돼버린 구락스....
파이몬
17/03/06 01:39
수정 아이콘
kt가 15년 이후로 5전제 무패의 슼을 깨트린 유일한 팀이군요..
생겼어요
17/03/06 01:42
수정 아이콘
페이커의 5전제라면 맞는말인데 슼의 5전제라면 15MSI의 EDG가 있습니다
파이몬
17/03/06 01:43
수정 아이콘
아아 msi가 있었죠
반니스텔루이
17/03/06 01:42
수정 아이콘
MSI때도 한번 지긴 했죠 흐흐 ㅜ
파이몬
17/03/06 01:43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머리속에서 지우고 싶었던 기억인가 봅니다 크크 ㅠ
반니스텔루이
17/03/06 01:4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날 너무 슬펐던 하루입니다 크크
내가뭐랬
17/03/06 01:42
수정 아이콘
2016 역스왑은 정말 특별한 날이었죠
17/03/06 01:46
수정 아이콘
2014롤드컵 선발전은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었나요? 나진한테도 지고 삼성한테도 졌네요?
반니스텔루이
17/03/06 01:47
수정 아이콘
아뇨. 그때도 토너먼트 방식이었어요. 다만 그때 당시 서킷포인트 1,2위가 롤드컵 직행이었는데, 삼화랑 서킷포인트가 공동 2등으로 동률이어서 (1위인 삼블은 직행)

나머지 한자리 롤드컵 직행을 가리는 2위 결정전을 치뤘고, 거기서 승리한 삼화는 롤드컵 2번 시드로 직행.

패배한 스크는 3위로 선발전 꼭대기에서 시작했는데 당시 선발전 맨 아래부터 치고 올라오는 나진 실드의 무서운 포스에 졌습니다. (선발전 9승 1패)
17/03/06 01:51
수정 아이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반니스텔루이
17/03/06 01:53
수정 아이콘
13년도에도 그때 CJ랑 KT랑 서킷포인트 동률이어서 한경기 더했었죠. 그때는 3전 2선승제긴 했지만.. 14년도를 마지막으로 서킷포인트 동률이어도 한쪽이 갈리는 조건을 붙여서. 이제는 재경기 가능성이 없어졌지만요 흐흐
피지알중재위원장
17/03/06 02:06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허구헌날 마타,폰 외치는 이유죠.
SKT 큰 경기에서 이겨본 애들이 거의 쟤네밖에 없으니깐...
참고로 SKT는 창단 이후로 1년 빼고 롤드컵 다 우승한 팀입니다.
Eulbsyar
17/03/06 02:15
수정 아이콘
그 1년의 주인공들이니 폰과 마타...
Eulbsyar
17/03/06 02:14
수정 아이콘
페이커와 다전제를 제일 많이한 선수가 있는데 폰과 쿠로입니다. (총 4번)

폰은 1번 진 이후 다 이겼지만

쿠로는 싹 다 졌습니다.
17/03/06 02:19
수정 아이콘
여기에 롤마스터즈 결승전
2015 MSI 결승전에서도 스크가 졌으니 (페이커가 전경기 출전하진 않았지만)

폰, 데프트, 마타는 결국 가장 중요한 다전제에서 페이커를 좌절시켜본 선수들이라서..

먼가 과거팔이면서도 현재형이기도 한거 같네요..

지금도 최강이 SKT인데.. 가장 이길 확률이 높은건 결국 스맵/스코어폰/데프트/마타의 KT 니까..
17/03/06 02:29
수정 아이콘
이걸 보면서 느끼는게 씨제이,나진실드,kt는 그때당시 정말 팀컬러가 독특했단 생각이 드네요. 씨제이는 안좋은 방향성으로 드러날때 진짜 무진장 욕먹을걸로 기억하고,저때 당시 씨제이가 현재 실력이 급 하강 할줄은 몰랐네요..잘 풀릴땐 skt랑도 비벼볼만 했는데 엠비션 선수가 삼성가서 그렇게 잘될줄 몰랐어요.샤이 메라 코코 스페이스는 그 이후 참 선수로써 실력도 좀 줄고.. 한명은 은퇴하고..안타깝다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나진실드는 그때 진짜 기세가 너무 좋아서 다 털고 롤드컵 갔더니 다진퍼펙트쉴드.. 진짜 나진도 멋졌습니다. 롤드컵 당시 고릴라는 피지컬이 절정이었던걸로 기억하네요 광탈당하면서도 모르가나로 귀신같이 큐 궁 다맞추고 블랙쉴드 다걸었던 기억이...kt는 진짜 언제나 이기나 이기나 하다가 뭔가 안좋아질만하면 스고수가 모든걸 해결했다는 기억이 드네요.진짜 스고수는 kt의 보물 아닌가 싶어요.하차니가 공격적으로 싸우는게 눈에 보이고 썸데이는 좀 아쉬웠던게 강팀과의 경기에선 기복이 진짜 심했던게 아쉬웠고..애로우는 잘 기억은 안나지만 잘버텨줬던걸로 기억하고 운영의 중추가 스코어 하차니 플라이 이정도로 굴러가면 잘풀리고 아님 어렵고.. 그래도 정말 멋졌어요.
러블리너스
17/03/06 02:56
수정 아이콘
임프는 중국에서 잘 살고있나 궁금하네요. 요새 소식이 잘 안들려서..
보글보글차솥
17/03/06 03:24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보면서, 롤드컵때 한국팀 응원하는 입장에서는 별로 못 느꼈는데 상대하는 해외팀 입장에서는 페이커의 존재가 정말 짜증났을 거라는 생각이 새삼 들더라구요.
fishy boy
17/03/06 05:03
수정 아이콘
루키랑 카카오가 우승한 시즌에도 SKT를 한번 꺾었던 기억이 나는데 그건 5전 3선승이 아니었나봐요.
반니스텔루이
17/03/06 05:05
수정 아이콘
스프링 16강에서 같은조로 만났었고 그때는 3전 2선승제였습니다. 근데 8강에서 블레이즈한테 바로 탈락하고, 그 다음시즌에 우승했죠
중복알리미
17/03/06 12:10
수정 아이콘
3전 2선승은 아니고 2전이었습니다. 1대1이면 무승부 처리됐죠.
반니스텔루이
17/03/06 15:19
수정 아이콘
앗 그렇죠 참..,
로즈마리
17/03/06 06:10
수정 아이콘
마타의 위엄 같네요
버스를잡자
17/03/06 08:12
수정 아이콘
이건 왠지 KT의 위엄 자료 같네요

13스프링은 페이커 데뷔시즌이고, 14시즌은 푸만두 나간 SKT 암흑기 시절인걸 감안하면

16SKT를 박살낸 KT의 포스..(물론 뭐 이때도 잼구 and 변기 상태긴 하지만)
pppppppppp
17/03/06 08:13
수정 아이콘
와 마타 폰 덜덜
17/03/06 08:22
수정 아이콘
14년도엔 다양하게 많이도 졌군요.
물론 그 중에서 삼화가 제일 압도적이긴 하지만 다른 2팀도 이겨본 적이 있다는걸 봤을때 근2년간 첫패를 안긴 16kt가 희소성면에서는 좀 눈에 띄네요.

5판3선모드 SKT는 참 위대한거 같습니다.
17/03/06 09:02
수정 아이콘
나진쉴드 당신들은 대체...
안스브저그
17/03/06 09:37
수정 아이콘
4번에 14 썸머 삼화 skt k간의 경기는 4강이 아니라 8강전 경기입니다. 두 시즌 연속 삼화 skt k대진이 8강에서 나와서 많은 분들이 탄식햇엇죠.
반니스텔루이
17/03/06 15:20
수정 아이콘
크크 맞다. 8강에서만 두번 만났었죠. 그리고 삼블과 2번 연속 ㅜ
언뜻 유재석
17/03/06 09:47
수정 아이콘
16 그 압도적인 SKT를 롤드컵과 가장 가까운 써머에서 꺽었으니 KT는 당연히 롤드컵가서 SKT와 명경기 펼쳤겠죠?


ㅠㅠ
Chandler
17/03/06 09:57
수정 아이콘
ㅜㅠㅠㅠㅠㅠ
하 스코어의 위대한 플레이가 아직도 눈에 선하네요 전용준의 절규가...얘들아 내가할께!!!!이게 킬각이에요????
네~ 다음
17/03/06 11:52
수정 아이콘
진짜 안지네요 SKT... 이렇게 모아놓으니 ...

NLB땐 페이커가 자기 스타일이랑 안맞는 미드소라카 했던..

14년도만 삭제하면 그냥 히오스 2016년 상반기 엠블랙급이네요..
우소프
17/03/06 11:55
수정 아이콘
다전제에서 진 횟수를 손에 꼽는 팀이라니 크크크크
도뿔이
17/03/06 12:55
수정 아이콘
아마도 역대 다전제 최다패도 페이커겠죠?
왠만한 팀은 저 패수만큼 다전제를 하지도 못했을테니
중복알리미
17/03/06 16:23
수정 아이콘
5전 3선으로 치면 스코어일걸요?

12-13 윈터 4강 2번, 13 스프링 8강, 서머 결승, 윈터 4강, 14 스프링 8강, 15 서머 결승, 16 스프링 PO, 16 서머 결승

이게 LCK 뿐이고 롤드컵 관련해서

13 국대 결승, 14 국대 1라운드, 15 롤드컵 8강, 16 국대 결승

NLB는 기억이 안 나네요. 제 기억에 한번인가 있었던 것 같은데. 제 기억에만 13번을 졌네요.. ㅜㅜ 엠비션도 세어봐야 겠지만 경력이 워낙 깡패들이라서

저 스코어의 패중 상당수를 함께한 류도 고려해 봐야합니다. 유럽에서 2년 4번의 시즌동안 꼬박꼬박 5전 3선승제 패를 최소 하나씩 적립했거든요.
리커트
17/03/08 11:17
수정 아이콘
14년 skt 전적보면 답 나오죠. 14년 skt의 가장 컸던건 주작논란이라고 생각합니다. 삼화때문에 무너졌다고하기엔 삼화 말고도 조별예선에서 kta에 완패하고 nlb에선 프로스트한테 완패, 선발전서 나진쉴드한테도 완패하는등 그냥 딱 8강권 팀이었다 생각해요.
삼겹살에김치
17/03/09 13:50
수정 아이콘
조별예선은 kta일거에요...
리커트
17/03/10 04:16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147 [LOL] 플레이오프 - KT vs 삼성의 경기를 본 뒤 평 [46] 삭제됨13265 17/04/15 13265 4
61146 [LOL] KT의 포스트시즌 전승. 통신사더비 결승 확정 [30] Leeka10393 17/04/15 10393 5
61144 [LOL] 해외리그 단신 몇가지 [12] 후추통8419 17/04/15 8419 3
61143 [LOL] LSPL 결승전, 그리고 라일락 이야기 [65] 셰리11579 17/04/15 11579 35
61140 [LOL] 일본 리그 LJL 소식 전하기 [7] 라덱8613 17/04/14 8613 9
61118 [LOL] 아쉬운 안티 KT 분위기... [189] Archer17373 17/04/12 17373 8
61117 [LOL] 2017 LOL 챔피언스 스프링 준플레이오프 후기 [34] 톰가죽침대8916 17/04/11 8916 2
61103 [LOL] MVP 이야기-팬을 대하는 태도에 관하여 [49] 셰리10997 17/04/09 10997 26
61101 [LOL] MVP의 켠김에 왕까지와 4대천왕 대결 [18] Leeka9828 17/04/09 9828 3
61088 [LOL] SKT T1의 중국 개인방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링크 포함) [18] 어리버리12875 17/04/07 12875 0
61087 [LOL] LCK10팀의 정규시즌 순위로 알아보는 바텀라인의 위상 [60] LowCat10947 17/04/06 10947 2
61085 [LOL] 시즌에 한번 글쓰는 50세 향해가는 아재 플레달성 감상 [30] 티터9367 17/04/06 9367 22
61078 [LOL] 새로운 발견: 바스타야! [52] 피스12012 17/04/05 12012 1
61076 [LOL] 2017 스프링 특정챔프 최고 승률 선수 TOP 30 [36] Ensis10421 17/04/05 10421 3
61072 [LOL] 해외리그 몇가지 단신 [6] 후추통8684 17/04/04 8684 1
61071 [LOL] [자챔발] 복수의 원혼 '에슈린'(우지 스토리 추가) [2] 을씬6810 17/04/04 6810 1
61070 [LOL] 롤챔스 포스트시즌 팀 선수들의 MSI & 롤드컵 커리어.. [16] Leeka9458 17/04/03 9458 1
61069 [LOL] [LOL] 처음으로 10연승했습니다!! [10] 챔쁜이8287 17/04/03 8287 0
61068 [LOL] 2017 LCK Spring Split + PS - 각 팀에 대한 소고와 전망 [48] Vesta11381 17/04/03 11381 22
61060 [LOL] 정규시즌 종료 시점에서 돌아보는 LCK 최악의 챔피언들 [53] tjsrnjsdlf9818 17/04/03 9818 1
61052 [LOL] 개인적으로 뽑은 LCK 퍼스트팀 세컨 써드 그리고 워스트팀 [79] Eulbsyar10071 17/04/02 10071 1
61039 [LOL] 2017 스프링 LCK 기대이상 5인 골라봤습니다. [57] tjsrnjsdlf10642 17/03/31 10642 2
61037 [LOL] 2017 롤챔스 스프링 최악의선수 5선 [67] Gloomy12165 17/03/31 1216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