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12/07 16:24:27
Name 시나프
Link #1 https://www.facebook.com/GambitDiamondprox/posts/752296278208003 https://www.facebook.com/GambitDiamondprox/posts/752288018208829:0
Subject [LOL] 겜빗의 다이아몬드프록스가 페이스북에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친구들, 오랜만이야. 시간이 꽤 지났고, 이젠 내 주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는지, 또 일어나는지 설명해 줄 시간이 된 것 같아.


201597일로 돌아가 보자. 우리가 LCS에서의 우리 자리를 성공적으로 되찾은 직후에, 난 내 앞에 있는 되게 낯선 상황에 마주쳤어: 난 내 눈으로 볼 때는 되게 잘 플레이하고 있었고, 그리고 난 다가오는 어떤 토너먼트에서도 사람들을 매료시킬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동시에 나는 겜빗은 어떤 IEM에도 우리를 보내 줄 재원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 (그리고 나와 에드워드는 EU 비자 기간도 얼마 남지 않았었어. 내 기억이 맞는다면 10-14일 정도 남아 있었고, 이건 부트캠프와 토너먼트 참가를 동시에 진행하기엔 상당히 적은 기간이었지. 산 호세는 EU 비자 기간을 소모시키지는 않지만.) 난 경쟁에 엄청 굶주려 있었지만, 앞으로의 4개월 동안에는 우리에게 아무 것도 없었어.


그래서 나는 앉아서 모든 상황을 생각해 보기로 했어. 나는 카보차드가 다른 제안을 찾아보려 하는 것을 알고 있었고, 결과적으로는 우리에게 새로운 탑 레이너를 찾도록 하게 되겠지. 난 겜빗이 다음 시즌을 위해서 큰 스폰서들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래서 나는 조직과 게이밍 하우스 상황이 나아질 거라고 기대하고 있었어. 그리고 재계약 후에 내 플레이를 하고 싶은 소망이 더 실현됐지만, 나는, , 쉽게 말하면…… LCS 서머의 팀 분위기가 내 모든 행복을 앗아가 버렸어. 그래서 4개월 동안 아무 이벤트도 없는 상황을 고려해서, LOL로부터 커다란 휴식을 취하기로 결정했고, 그저 집에서 가능한 한 오래 휴식을 취하기로 결정했어. 이것은 겜빗에 더 오래 머문다는 의미도 됐었고, 난 조직을 믿었기 때문에 그걸로 괜찮다고 생각했지. 휴가를 가서, 나는 의식적으로 모든 일을 우리 매니지먼트의 앞날을 짊어질 팀의 새로운 멤버를 찾는 것에 쏟아부었어. 하지만 난 나를 그저 선수들을 찾고 랭크1을 가기 위해서 계속 솔로큐를 플레이하는 상황에 몰아붙일 수 없었어. 랭크1은 보상도 없고, 어뷰징을 하는 플레이어들과 싸우는 것을 필요로 했으니까.


휴식을 취하기로 결정한 후에, 난 드디어 내 여자친구,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었고, LOL 밖의 생활을 즐길 수 있었지. 그건 최고였어.


1110일까지 빠르게 건너뛰어서, 위에 설명된 큰 스폰서가 겜빗과 같이 일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들었어. 그리고 만약 겜빗이 이 스폰서를 잡지 못한다면, 조직이 겜빗의 자리를 판매할 거라는 것도. 2개월 동안 게임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황은 긴장되게 흘러갔고, 만약 겜빗이 엎어진다면 난 어떤 트라이아웃에서도 내 가치를 충분히 증명할 수 없을 거였지. 그리고 트라이아웃 자체에 지원하는 것도 힘들게 된 게, 1200lp 계정이 내 휴가 기간 동안 강등당했어 XD. 내 커리어에서 최초로, 나는 들어갈 만한 새 팀을 찾게 됐어. 솔직히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제안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은 되게 흥미로웠어. 20일 동안 겜빗 밖의 팀들이 어떻게 일하는지 많이 배웠지. 난 내게 관심을 보여 준 모든 팀들에게 고맙다고 말하고 싶어. 난 이렇게나 많은 관심을 전혀 기대하지 않았어. 이건 내 자긍심을 올려 주었고 내가 더 현명하게 선택하기 쉽도록 만들어 주었어.


내가 새로 들어간 팀에 대해서는, 계약을 마저 끝내고 새 팀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되면 바로 다른 포스트를 쓸게. 하지만 지금은 겜빗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하고 싶어:


벌써 4년이나 지났어! 난 우리가 팀으로써 거쳐온 모든 것을 생각할 때 닭살이 돋아. 처음에는 오전 5시까지 계속된 상금 $100의 온라인 토너먼트였어. 그리고는 첫 번째로 비행기를 타게 됐고 (세상에 난 조종사라던가, 그런 게 되고 싶었어), 그리고 나만큼이나 LOL을 즐기는 4명의 다른 사람들을 만나게 됐지. 첫 번째로 무대에서 게임을 했고 (IEM 키예프), 첫 번째로 CIS (독립 국가 연합) 바깥으로 여행을 했고 (IEM 하노버), 처음으로 사인을 해 달라는 요구를 받았고 (난 되게 이상한 느낌을 받았어. “왜 이 사람은 내 사인을 원하는 거야? 난 이 사람한테 아무것도 아닌데” – 당시 내 생각이 이랬어). 그리고 우리가 무적이 아니라는 것을 고생하면서 배웠어. (Dreamhack 서머 2012). 모든 토너먼트가 크리스마스와 같은 느낌을 받으면서 넌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미리 준비를 해야 하지. 그리고는 팀으로 있기에는 커다란 문제를 겪고 처음으로 우리의 꿈이 부서지게 되고 (시작하기에 얼마나 좋아!), 그리고는 우리의 제일 힘들었던, 역겹게 못했지만 각각 엄청난 노력으로 4위로 올라가게 되는 토너먼트를 겪게 되었지 (IPL5). 우리 팀의 소유주가 구속당하고, IEM 카토비체에서 처음으로 다른 조직에서 우리를 증명해야 했고, 어떻게 해서 이 토너먼트에서 딱 1승으로 그룹 스테이지를 통과하고 그 뒤로 모든 경기를 이기긴 했지. 일주일에 2LCS에 참가하기 위해 독일을 왕복하는 것을 경험하고 (이게 귀찮아지기 전까지는 되게 재밌었어), ESL 스튜디오와 쾰른을 둘러보고 (라인 강이 둘러싼 도시는 진짜 아름다웠고 우리는 강가에 있는 호텔에서 머물렀지). 그리고 내가 좋아했던 LCS의 플레이어들과, 팬들과 친구들과 이야기하면서 영어를 배웠지.


월드 챔피언십 2013이 다가오고코펜하겐 울브즈와의 스크림에서 115패를 기록했지만, 토너먼트가 진행되면서 계속 발전하고 거의 8강을 통과할 뻔했지. EUNA의 최고의 팀들이 참전한 IEM 쾰른 2014를 부숴버리면서 우리는 스프링 시즌을 시작했어. 두 시즌 동안 LCS의 바닥에서 구르고, 그 잿더미에서 팀을 재건하고 또다른 IEM 쾰른을 우승했지. 그리고 그건 내게 일어난 놀라운 일들 중 표면적인 것일 뿐이었어.


상승과 하락이 있었고, 성공과 실패가 있었고, 달콤한 승리와 가혹한 패배가 있었지. 이게 다 어떻게 끝났는지는 상관이 없지만, 내게는 장대한 모험이었고 모든 우리의 실패는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후회하지 않아 우리는 아직 살아 있고, 난 내 실수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우리의 성공에서 커다란 즐거움을 느꼈어.


이 팀은 내 커다란 일부였어 난 내가 미래에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아무 생각이 없을 때 팀에 들어왔고, 요행과 M5는 날 프로 플레이어로 만들었고 이때까지 플레이를 하면서 마침내 나는 내가 원하는 모든 것이, 내가 좋아하고 내 성과의 한계가 내 생각의 한계만으로 이루어지는 업계에서 일하는 것이라는 걸 깨달았어. 그리고 그건 게임 업계였고. 난 내가 좋아하는 걸 계속할 거고, 난 가능한 한 잘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거야. 하지만 지금은 이 메시지의 가장 중요한 파트로 건너뛸게:


지금까지 날 도와준 M5/겜빗에게 고마워! 선수단에 날 데려와 준 에드워드도 고맙고. 나와 같이 플레이한 모든 팀원들과, 우리와 함께 일해준 모든 사람들에게 고마워. 긴 시간 동안 우리에게 환호해주고 비판해준, 하지만 끝까지 우리를 믿어준 팬들에게 고마워. 개별적으로 흐르는 무언가 마법적인, 하지만 함께 함으로써 완벽한 그리고 약속을 지키기 위해 일해준, 끝까지 우리를 믿어준 겐자, 다리엔, 에드워드와 알렉스에게 가장 고마워. 난 이 팀에서의 최고의 기억을 평생 가져갈 거야.


Hi again, my friends. It's been awhile, and now it's the time to shed some light on what was/is going on on my side.


Let's jump back to the 7th of September 2015. After we successfully reclaimed our spot in the LCS, I've had a really strange situation in front of me: I've been playing really good in my eyes and I was ready to crush ppl on any upcoming tournament, but at the same time I knew that GMB had no resourses to send us to any of IEM's(also me and Eddy had not so much days left in our EU visa's. 10-14 days, if I remember correctly. and it's a pretty low amount for a bootcamp+tourney together. Though San Jose wouldn't eat EU days.). I was superhungry for competition, but there was none of them in the following 4 months for us.


So I sat and thought about the whole situation. I knew Cabo was going to look for other offers, what in the end would probably force us to search for a new toplaner. I knew that GMB was in-talks with big sponsors for the next split, and I was hoping that Org/GH situation would improve aswell. Also dispite my will to play much more after we finished relegations, I was, ehm... easier to say that the LCS-summer team-atmosphere sucked all the happiness out of me. So in-light of not having any events for 4 months, I decided to take a huge break from LoL and just relax at home as much as I could, which also meant that I stay with GMB for longer, but I trusted the org and was fine with that. By going on vacation I consciously put all the work for scouting new members for a team on the shoulders of our management. But I couldn't force myself to play soloq just to scout players and to get rank1, when rank1 doesn't even have a reward for it and requirs you to fight with some players who abused mmr at the time.


After making decision of taking a break, I finally spent a lot time with my gf, with my family, enjoyed the life outside of League. It was great.


Fastforward comes ~10 of November, where I get news that big sponsor, which was mentioned above, is by a big chance not going to work with GMB. And if GMB doesn't get this sponsor, the org is going to sell it's spot. The situation becomes tense because I didn't play for 2 months and if GMB is screwed, I'll not be able to prove my full worth on any tryouts. It also became harder to even get to tryouts, because my 1200lp account decayed to Ball's league over the time I was on vacation xD. First time in my career I was looking for a new team to join. It was actually very interesting to talk with a lot of ppl and to see the difference in all the offers. I learned a lot in the past 20 days about how teams work outside of GMB. I want to say thx to all the org's which were interested in me - I didn't expect so much attention at all. It buffed my self-esteem and made it easier to choose wiser.


I'll make another post about the team I join, right after I sign up and will be allowed to talk about it. But right now I want to talk a bit about GMB:


It were a hell of 4 years, guys! I get goosebumps every time I'm thinking about all the things we've gone through as a team. At first it were online 100$ tournaments 'till 5 a.m., then first time flying on a plane (god I want to be a pilot of something like it), then meeting 4 other people who enjoyed the League as much as I did irl. Playing on the stage for the first time (IEM Kiev), first time traveling outside of CIS (IEM Hannover), first time being asked to sign something (I felt so strange doing that. "Why would this guy want my signature? I am noone for him" - my thoughts at that time). Then the hard way of learning that we are not unbeatable (DH Summer 2012). Having a feeling that every tournament is like a Christmas - you prepare for it in advance to get an enjoyment of it. Then having big troubles as a team and getting our dreams crushed for the first time (and what a place it was to start!), then starting out the hardest tournament (IPL5) while playing disgustingly bad and by a huge effort from each player and Groove getting to the 4th place. Getting owner of our team jailed and having to prove ourselves for the first time in another organization on IEM Katowice, somehow getting out of groups of this tourney with only one win and still winning the whole thing after. Expiriencing 2 travels a week to and from Germany on LCS (it was big fun, untill became a bit annoying), exporing ESL studio and Cologne (the city is truly beautiful around the Rhein and we were staying in the hotel on it's coast). Then learning english by speaking with players from LCS whom I liked, fans and friends.


Coming close to World Championship 2013 and having 1-15 score in scrims against CW, but still improving over the course of the tourney and almost making it out of quarters. Destroying IEM Cologne 2014 with the best EU/NA teams in it on our way to the Spring Split. After that decaying in skill to the bottom of LCS through two splits, but then rebuilding the team from it's ashes and winning another IEM Cologne with it... And it's only a superficial overview of all the awesome things that happened to me throughout this time.


There were ups and downs, hits and misses, sweet victories and harsh losses. No matter how it all ended, it was an epic adventure for me and I have no regrets, because all our failures were not crucial - we are still alive, I learned a lot from my mistake and had HUGE enjoyment from our successes.


This team was a big part of me - I joined it when I had no idea of what I'd like to do in my future. Then a fluke+M5 made me a pro-player and after playing all this time I finally realised that everything I want is to work in the industry which I like and here the limits of my performance are only the limits of my thinking. And it's a gaming industry. I'll keep doing what I like and I'll try to do it as good as possible. But for now lets jump to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message:


Thank you M5/Gambit for supporting me through all this years! Thank you Edward for bringing me into original roster. Thank you all my teammates and subs we ever had for playing with me. Thank you all the people who worked with us. Thank you true fans, who were cheering and bashing on us through those years, but who still kept their trust in us to the end. Biggest thanks to Genja, Darien, Edward and Alex for being something magical that's having flows singly, but being perfect together and to Groove for keeping your words, working your ass off on our team and believing in us untill the very end. I will keep the best memories from this team with me for ever.


(자체적으로 번역한 거라 오역, 의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로 달아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2/07 16:37
수정 아이콘
아 뭔가 뭉클하면서 아련하네요... 저도 이런데 김동준 해설은 어떤 기분이실지
바다표범
15/12/07 16:46
수정 아이콘
에드워드 선수는 이미 다른 팀과 컨택했다는데 다이아몬드 선수도 빨리 팀구했으면 좋겠네요.
시나프
15/12/07 17:54
수정 아이콘
글을 보면 이미 구했는데, 아직 공개하지 못하는 상황인 듯해요.
15/12/07 16:52
수정 아이콘
모스꼬우 뽜입! 모스꼬우 뽜입! 땡스 다프! 앞으로도 정글 메타를 선도하며 우릴 즐겁게 해주길.
페스티
15/12/07 16:54
수정 아이콘
질풍노도 그 자체.. 인성으로 지적받던 선수가 이렇게 성장을 했군요.. 인섹과의 에피소드도 그랬었지만 참 호감가게 글 잘쓰네요.
15/12/07 16:57
수정 아이콘
M5는 제 첫 팀이었습니다 으으
불굴의토스
15/12/07 17:04
수정 아이콘
은퇴...는 아니죠?? 그냥 팀만 나가는 거고...

M5는 아쉬운게 비자문제도 있고 게임 외적 문제가 많아서...안정적으로 크기 어려운 여건이 아니었나 싶네요.

러시아면 다른팀 가도 의사소통도 쉽지 않을 테고..
시나프
15/12/07 17:54
수정 아이콘
겜빗이 LCS 시드권을 매각하면서 팀이 공중분해 (...) 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는 영어 할 줄 아니까 의사소통은 해결될 듯해요.
Igor.G.Ne
15/12/07 17:17
수정 아이콘
안녕? 한국은 망해가고있어. 하하하!
트와이스
15/12/07 17:23
수정 아이콘
모 해설님의 눈가가 촉촉해 지셨답니다...ㅜㅜ
저 신경쓰여요
15/12/07 17:23
수정 아이콘
10년 넘게 케텝빠였지만 케티 롤 팀이 생기고도 롤에서는 M5를 제일 좋아했었습니다. 제일 좋아했던 팀의 중심 선수이니 부디 잘 되면 좋겠네요.
15/12/07 17:26
수정 아이콘
다프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시즌2 M5가 롤드컵을 우승하길 빌었는데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15/12/07 17:35
수정 아이콘
팀을 떠나며 팀원 디스안하고 훈훈하게 떠나서 보기 좋네요.
Betelgeuse
15/12/07 17:50
수정 아이콘
M5...아..
제 롤 소환사 아이콘은 아직도 겜빗입니다ㅠㅜ
이름없는자
15/12/07 17:53
수정 아이콘
롤 이스포츠 사상 가장 위대한 게이머를 꼽으라면 어떤 사람은 페이커를 꼽을 것이고 또 어떤 사람은 토이즈나 다른 선수를 꼽겠지만 전 다이아몬드프록스와 알렉스 이치 이 두 선수를 꼽겠습니다.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가든 이미 보여줬던 것 만으로도 영원히 빛날 선수!! 모스꼬우뽜이브!! 모스꼬우뽜이브!!
살려는드림
15/12/07 18:18
수정 아이콘
저에게 있어서 역대 세계 최고의 정글러를 뽑으라면 주저없이 다이아몬드를 꼽을것같습니다
앞으로도 더 잘하길 바랍니다
스웨트
15/12/07 18:30
수정 아이콘
동준이 형 보고 있어..? 형도 나처럼 흘리고 있지?? 눈물 말이야 ㅠ
후천적파오후
15/12/07 20:46
수정 아이콘
프록신 안되 ㅠㅠ
15/12/07 21:13
수정 아이콘
다프의 도마뱀 이블린을 보고 오 저거 꿀이다 싶던 와중에 피지알의 공략을 보고 순식간에 골드를 달고 플레까지 달았던게 기억나네요. 지금도 1선발은 이블린이라 뭔가 되게 공허하네요.
레오나
15/12/08 04:33
수정 아이콘
소한사 아이콘 젤 처음으루산게 겜빗이었는데 ㅠㅠ
랜슬롯
15/12/08 08:47
수정 아이콘
M5라. 크 정말 안타까운팀이죠. 시즌2에 정말 절정이였고 경기력도 소름돋을정도로 무서웠던 팀인데 완벽하게 맞춤형전략을 들고온 TPA에 무너진, 개인기량은 TPA를 다 압도했으나, 롤드컵에서 요릭을 들고오고 질리언을 쓰고 이긴팀인데. 체계적인 준비만 되어있었어도 아마 역사에 남을만한 팀이였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안타깝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459 [LOL] 크리스마스에 올리는 티어 올려주는 꿀챔 찾는 방법 [18] 콜라중독 북극곰8141 15/12/25 8141 2
58458 [LOL] 훌륭한 판단의 표본이로군 잘쓰면 열쉔키! 쉔공략 [52] aura11473 15/12/24 11473 2
58457 [스타2] 2015년 12월 셋째주 WP 랭킹 (15.12.20 기준) - 김준호, 6주만에 1위 탈환! [6] Davi4ever5093 15/12/24 5093 2
58456 [기타] ‘2015 e스포츠 실태조사 및 경제효과’ 프로게이머 연봉에 대한 입장 [34] 한국e스포츠협회9345 15/12/24 9345 3
58455 [LOL] LOL 매니저 웹 게임 'LOL GM'를 소개합니다 [14] 삭제됨17668 15/12/24 17668 4
58454 [히어로즈] 히어로즈 영웅 간단한 분석(2) [18] 세이젤6240 15/12/24 6240 4
58453 [기타] 스팀 겨울 기간, 당신이 첫 스팀구매라면? [66] minyuhee9473 15/12/23 9473 6
58452 [LOL] 소환사의 협곡에서 혼자 레이싱 게임하는 정글 사이온 공략. [5] 삭제됨7204 15/12/23 7204 1
58451 [기타] iOS GAB 에뮬레이터 사용법 & 후기.. [10] 파란만장11297 15/12/23 11297 0
58450 [스타2] GSL 한국어 중계를 트위치에서도 보고 싶습니다 [23] Love.of.Tears.8927 15/12/23 8927 1
58449 [기타] 최근에 프로게이머 평균연봉에 관한기사에 통계 오류가있다고 주장하네요 [20] Rated8030 15/12/23 8030 1
58447 [기타] 테라가 한게임과의 퍼블리싱을 종료하고 넥슨으로 갈아탑니다 [54] 누구라도10384 15/12/22 10384 0
58446 [스타1] 대회기간 정말 길었던 개인리그.txt [39] SKY929773 15/12/22 9773 0
58445 [스타2] SPOTV 스타리그 방식, 마음에 드십니까? [17] 고러쉬6930 15/12/22 6930 1
58444 [기타] [워크3] 4년만의 밸런스 패치 예정이 있을지? (Focus발) [132] 지포스213493 15/12/22 13493 2
58443 [스타1] 이영호 전 선수에게 고맙습니다. [18] 하민수민유민아빠10175 15/12/22 10175 9
58442 [스타2] 협동전 잡담 [26] 김연우9995 15/12/22 9995 0
58441 [스타1] 택뱅리쌍 이전 주요 프로게이머 팀단위리그 성적 [18] 전설의황제8087 15/12/21 8087 0
58440 [히어로즈] 히어로즈 영웅에 대한 간단한 분석. [36] 세이젤7037 15/12/21 7037 8
58439 [기타] 야생의 땅 듀랑고 [19] 이쥴레이7905 15/12/21 7905 5
58438 [LOL] 소환사의 협곡에서 혼자 포트리스하는 정글 자크 공략. [22] 삭제됨10439 15/12/21 10439 1
58437 [LOL] 당분간 글을 올리지 못할거 같습니다. [25] ReSEt8470 15/12/21 8470 14
58436 [기타] 2015 e-Sports Awards in PGR21 - 후보 추천 & 투표 당첨자 발표 [20] kimbilly4428 15/12/21 442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