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8/30 04:51:34
Name 랜스
Subject [LOL] 힘내라 KT! 롤드컵으로!
저는 스타1때부터 SKT 팬이였습니다. 정확히는 SKT 라기보다는 임요환, 최연성, 정명훈, 김택용, 도재욱 선수들을 좋아했었고 그렇기때문에 그 선수들이 속해있던 SKT를 좋아했습니다. 당연한말이지만 그렇다보니 롤에서도 SKT 팀이 창단되고 나서 또 응원했습니다. 그런 저에게 KT는 이겨야할 적이였죠 항상 그랬듯이.

사실 이번 결승전이 어제인지도 모르고 있다가(.....) 응원글을 올릴까 말까 고민하다가 벌써 결승전이 끝났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늦게나마 KT 응원글을 짧게 적어보려고합니다.


KT가 정말 못한다라고 말할만큼 성적이 낮은 팀은 아니였습니다. 적어도 중간이상, 잘할때는 결승전도 여러번 올라갔죠. 또한 KT를 거친 선수들을 보면 하나같이 각 라인에서 최고중 한명이다 라고 말할 수 있을정도로 그 기량이 뛰어난 선수들이였습니다. 인섹, 카카오, 류, 스코어 등 사실 우승을 해도 이상하지 않을 멤버들이였죠.

아마 KT 선수들에게 가장 아쉬운 경기를 뽑으라면 누가 뭐라해도 SKT 와의 전 결승전이겠지만 이미 벌어진일 어쩌겠습니까

참고 와신상담해야죠.


어제 결승전을 찬찬히 둘러보면서 느낀건 정말 준비를 잘했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계획은 잘 짰으나 그에 맞받아치는 SKT의 거센저항에 그 계획을 이루지못한 느낌이랄까요. 예상치도 못했던 바이 르블랑 픽이나 3경기의 갱플랭크(!) 픽이나. 사실 KT가 신생팀은 아니지만 멤버들이 바뀌고 올라온 처음 결승전이라고 봐도 무방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1경기를 잡는게 KT 우승을 향한 조건중 가장 중요했던 조건이라 생각하지만, 이미 끝난 결승전가지고 왈가왈부하는 건 큰 의미가 없겠죠.

지금 KT선수들에게 필요한건 사실 각오라고 생각합니다.

이지훈 감독님은 사실 스타1시절에도 결승에서 SKT에게 무너진적도 있지만 결국에는 우승컵을 몇번이고 드셨던 분입니다. LCK에서 SKT에게 아쉽게 패배하긴 했으나 가장 중요한 건 롤드컵입니다. 결승전에서 패배해도 롤드컵을 우승하면 되는겁니다. 최후에 우승하는자가 웃는 자니까요.

그런의미에서 저는 KT 선수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되 냉정하게 자신이 한 잘못들을 반성하고 전략들을 가다듬어서 꼭 롤드컵에 진출했으면 좋겠습니다.

3:0 패배보다야 3:2 패배가 좀 더 낫겠지만 3:0이든 3:2든 결국 준우승은 준우승입니다, 그렇게 그냥 이미 끝난 결승전 미련남기지말고 다가올 롤드컵에 온 정신을 집중해서 결승전에서는 패배했지만 롤드컵에 올라가서 반드시 이기겠다 라는 마음가짐으로 이를 악물고 게임했으면 좋겠습니다.


KT 파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소프
15/08/30 05:11
수정 아이콘
KT 선수들 다시 한번 일어서주길 바랍니다. KT 화이팅!
그러지말자
15/08/30 05:24
수정 아이콘
준결승에서 3:0으로 지고도 세계2위먹었을 때처럼 스스로의 강함을 의심하지 않는다면 좋은결과 있을거라 믿습니다.
헤나투
15/08/30 06:08
수정 아이콘
선수들이 무너지지않고 잘 추슬러서 롤드컵 꼭 갔으면 좋겠습니다.
15/08/30 07:08
수정 아이콘
2세트 끝나고 애로우선수 우는게 너무 마음아프더라고요. 절치부심하셔서 꼭 롤드컵 진출하시길 바랍니다.
15/08/30 10:58
수정 아이콘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일찍 끝내서 준비할 시간도 더 벌고 체력도 덜 소모되고 무엇보다 전략을 다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결승은 모든점이 kt에 불리했죠. kt 말곤 다른 팀들은 다 skt가 우승하는게 유리하니 스크림도 하기 쉽지 않고...

이제 롤드컵 결정전만 남았습니다. 화이팅입니다.
무지방.우유
15/08/31 13:58
수정 아이콘
아직 여름은 뜨겁다
힘내라 이자식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032 [LOL] 아프리카 프릭스 덕분에 매우 즐거운 시즌이었습니다. [9] 로즈마리6006 16/04/13 6006 10
59025 [LOL] LCS EU 선수 2인 북미 이적 원해 + TIP 시드권 매각 시도 재개 [23] 후추통6150 16/04/12 6150 0
58700 [LOL] NA LCS 주관적인 평가 (BY 후추통 에디션+레니게이즈 추가) [16] 후추통7025 16/02/17 7025 4
58697 [LOL] LCS EU 주관적인 팀 평가 [26] sand8165 16/02/16 8165 0
58645 [LOL] 몇가지 이야기들+다프이야기 [41] 후추통11089 16/02/04 11089 3
58607 [LOL] 락스 타이거즈 : 이번엔 다르다! [31] The Special One7732 16/01/28 7732 5
58587 [LOL] e-mFire = 구(나진)? [158] Finding Joe13499 16/01/24 13499 0
58485 [LOL] NA의 두가지 소식 [24] 후추통9647 16/01/01 9647 1
58355 [LOL] TG 호진 선수와 위즈덤 선수가 팀을 떠납니다 [30] 철혈대공10258 15/12/07 10258 0
57825 [LOL]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5 월드 챔피언쉽 조별 분석 [25] 장어의심장6464 15/09/30 6464 4
57821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Team SoloMid [31] becker7677 15/09/29 7677 9
57817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Counter Logic Gaming [21] becker6863 15/09/29 6863 15
57696 [LOL] LOL은 문화가 될 수 있을까 [70] 다크템플러11737 15/09/14 11737 36
57609 [LOL] 후회 남기지 않는 승부를 하기를. [33] 랜스6956 15/09/05 6956 2
57555 [LOL] 힘내라 KT! 롤드컵으로! [6] 랜스5958 15/08/30 5958 3
57498 [LOL] NA LCS 결승 직관 후기 & 리뷰 [36] becker7243 15/08/24 7243 4
57435 [LOL] EDG 롤드컵 1번시드 탈락, LPL 롤드컵 경우의 수 [61] becker8886 15/08/16 8886 0
56848 [LOL] Edward Gaming in MSI - Day2 [24] Otaru5697 15/05/14 5697 8
56693 [LOL] 2012년 윈터, 만약 4강 대진이 달랐더라면? [45] 니나노나7690 15/04/17 7690 0
56656 [LOL] 바늘구멍을 통과하라 '변방의 리그' [15] zelgadiss6705 15/04/11 6705 3
56557 [LOL] 무승부 제도 재도입의 필요성, 그 외 기타 이야기 [92] 네오9220 15/03/26 9220 0
56360 [LOL] 변하지 않으면 힘들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238] 새파란달11993 15/02/26 11993 1
56248 [LOL] [핵스압] 로코도코 이야기 2편 [45] Lustboy36661 15/02/09 36661 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