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8/24 21:04:34
Name 반니스텔루이
Subject [LOL] 롤드컵 중간 점검
진출 확정 순입니다.


1. SK Telecom T1 - 한국 지역 (시드 불분명)

스프링 우승과 더불어 서머에서도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향후 성적과 관계없이 가장 먼저 롤드컵을 확정지은 SKT입니다. 서머 결승전에서 kt를 이기면 1시드이고 지면 2시드입니다.


2. ahq e-Sports Club - 타이완, 홍콩, 마카오 지역 (1시드)

모든 지역을 포함해 서머 시즌이 가장 일찍 끝나는 지역이라, ahq가 서머를 우승하며 롤드컵을 확정지었습니다. 서문갓이 있는 ahq인데, MSI에서도 SKT 상대로 1만 골드까지 벌린 전력이 있습니다. 4강에서 허무하게 3:0으로 무너지긴 했지만..


3. yoe Flash Wolves - 타이완, 홍콩, 마카오 지역 (2시드)

이어서 곧바로 치뤄진 2위 티켓은 요이 플래쉬 울브즈가 가져갔습니다. 최종 결정전인 홍콩 이스포츠 클럽과의 경기에서 3:2 접전 끝에 롤드컵 진출을 확정지었습니다. 첫 진출이네요. 으로 우리나라 선수로는 아마추어 원딜 중에 유명했던 쫀 끄레이머 선수가 있네요.


4. LGD Gaming - 중국 지역 (1시드)

중국 서머를 우승한 LDG가 곧이어서 합류했습니다. 지난 스프링 결승전때도 EDG와 박빙의 승부를 펼치며 아쉽게 MSI에 진출하지 못했는데, 역시 이번에 롤드컵에 처음으로 출전하게 되었습니다.


5. Fnatic - 유럽 지역 (1시드)

유럽 서머 정규 시즌 전승으로 당당히 1위를 차지했고, 결승에서 오리진과의 3:2 접전끝에 서머 시즌 우승도 차지했습니다.


6. Team SoloMid 북미 지역 (2시드)

북미 지역에서 가장 먼저 롤드컵을 확정지은 TSM이나 결승전에서 CLG에서 3:0 셧아웃 일격을 맞으면서 2시드로 내려가게 되었습니다.


7. H2k-Gaming 유럽 지역 (2시드)

서머 시즌 프나틱이 오리진을 잡으면서, 자연스럽게 서킷포인트로 진출이 확정된 H2k입니다. 류 선수가 페이커 선수의 재만남이 과연 성사될 수 있을지..


8. Counter Logic Gaming (1시드)

TSM을 3:0으로 잡으면서, 당당히 북미 지역 1시드를 확정지었습니다. 더블리프트도 시즌1 이후로 무려 4년만에 롤드컵 진출이네요..


남은 티켓 현황

한국 (2자리): KOO, kt, CJ, 나진, 진에어

선발전
준플레이오프: 나진(5위) Vs 진에어(6위)
플레이오프: CJ(4위) Vs 준플레이오프 승자
결승전: KOO or kt(3위) Vs 플레이오프 승자

서머 결승전에서 SKT가 kt를 잡으면 kt가 선발전에 가며 KOO가 롤드컵 직행, kt가 SKT를 잡으면 kt가 롤드컵 직행을 하며 KOO가 선발전에 가게 됩니다.


중국 (2자리): EDG, Qg, IG, Snake

선발전

4강 EDG(2위) Vs Snake(6위)
4강 Qg(3위) Vs IG(4위)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승자조와 패자조에서 각각 결승에 오른 두 팀이 최종적으로 롤드컵에 진출하게 됩니다.


유럽 (1자리): UOL, Origen, Team ROCCAT, Giants Gaming

선발전
준플레이오프: Team ROCCAT(5위) Vs Giants Gaming(6위)
플레이오프: Origen(4위) Vs 준플레이오프 승자
결승전: UOL(3위) Vs 플레이오프 승자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모두 하위팀이 상위권들을 차례차례 상대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북미 (1자리): Team Liquid, TIP, C9, Gravity

선발전
준플레이오프: C9(5위) Vs Gravity(6위)
플레이오프: TIP(4위) Vs 준플레이오프 승자
결승전: Team Liquid(3위) Vs 플레이오프 승자


와일드카드 (2자리)

칠레 지역: paiN Gaming, Hard Random, Kaos Latin Gamers
터키 지역: DetonatioN FocusMe, The Chiefs eSports Club, Bangkok Titans, Dark Passage

두 지역에서 각각 나눠서 개최하는데요. 와일드카드팀은 딱히 아는게 없어서.. 일본팀의 선전을 기대합니다 크크
각각 풀리그를 펼쳐서 상위 두 팀이 최종 결승전을 치뤄서 올라오는 방식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손연재
15/08/24 21:07
수정 아이콘
롤드컵 일정은 나왔나요? 기대되는군요~
반니스텔루이
15/08/24 21:11
수정 아이콘
10월 1일~31일까지. 한달간 치룹니다
만트리안
15/08/24 21:08
수정 아이콘
더블리프트는 세시즌만에 롤드컵 아날리스트 데스크 진출에 실패하네요. 팬으로서 아쉽습니다 (?)
정글의법칙
15/08/24 21:16
수정 아이콘
16강 탈락하면 8강부터 합류할수도 있습니다.
만트리안
15/08/24 21:17
수정 아이콘
으앙
15/08/24 21:19
수정 아이콘
이분 너무하시네요 크크
15/08/25 01:29
수정 아이콘
오마이갓.. 크크크크크
15/08/24 21:18
수정 아이콘
중국
edg랑 스네이크 경기는 언젠가요?
반니스텔루이
15/08/24 21:20
수정 아이콘
아마 다음주 금요일인걸로
다레니안
15/08/24 21:42
수정 아이콘
OMG는 우지와 쿨의 불화설이 돌더니만 결국 선발전도 못갔군요
과연 OMG는 다음시즌도 순혈중국팀으로 갈지, 외국인을 영입할지 궁금하네요
쇼미더머니
15/08/24 21:42
수정 아이콘
한국은 아직 2자리 남은거 아닌가요?;; 한자리야 일요일에 바로 결정나긴 하겠지만;;
다레니안
15/08/24 21:44
수정 아이콘
서머 결승에 의해 한자리는 결정나버리니까요.
SKT 우승 -> SKT / 쿠 직행
KT 우승 -> KT / SKT 직행
특이한 방식의 중국 빼고는 다 한자리 남았다고 봐야겠죠
쇼미더머니
15/08/24 21:45
수정 아이콘
다투는 팀이 적어서 그렇지 어찌됐건 두자리는 두자리니까요;;
순간 다섯팀 중 한팀만 가나? 생각을 해버렸네요;
다리기
15/08/24 21:5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랬어요. 헷갈릴 여지가 있죠. 1자리 밑에 5팀 적어두면 일견 저 중에 1팀만? 오타인가 싶어 다시 보게 됐어요.
1자리 남은 북미, 2자리 남은 중국은 그대로 표기하고 2자리 남은 한국은 별다른 부연 없이 1자리라고 돼있어서.
반니스텔루이
15/08/24 22:10
수정 아이콘
엌 잘못 적었네요 죄송 크크
아트스
15/08/24 21:59
수정 아이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보기편해요 서머결승도 남았고 롤드컵진출전도 많아서 기분이좋네요 롤챔스는 5판3선승제가 진짜보는재미가 있거든요 크크
반니스텔루이
15/08/24 23:35
수정 아이콘
^~^
15/08/24 22:3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어제 lpl 결승보면서 그렇게 인상적인 경기력은 아니었는데 이어지는 eu결승보면서 아 중국이 잘하긴 잘하는구나 했어요 크크크크크
15/08/25 08:06
수정 아이콘
물론 이래놓고 결승전 경기력이 구릴수도 있지만 경기력 자체는 케이티대쿠가 왕이었던거같아요. 합이 잘 맞아서 그랬나...
8월의고양이
15/08/25 12:35
수정 아이콘
팀 리퀴드는 원래 어떤 정도의 팀인가요?? 피글렛선수가 합류하면서 더 강해진건가요?
제가 외국리그는 정말 몰라서ㅠ
카르타고
15/08/25 13:13
수정 아이콘
전신이 커스게이밍이라고 지난해 롤드컵 3~4위전에서 희대의 역전패 승승패패패를 당하며 롤드컵어 못간팀입니다. 제기억으론 아마 그전시즌도 4위...원래 우승권은 아니고 원래 중~중상워권이였는데 서머정규시즌 2위까지 치고올라갔었죠.
전라인 전력이 탄탄한편인데 운영이 안좋은게 약점 같습니다. 한국인은 진에어 미소로 활동했던 닉스와 피글렛이 있습니다.
8월의고양이
15/08/25 14:08
수정 아이콘
닉스선수는 몰랐네요ㅠ 상위권 도약이 가능하다는 말씀이군요?? 눈여겨 볼게요~ 감사합니다~
카르타고
15/08/25 14:11
수정 아이콘
오타에요 피닉스 ...
야근왕오버워킹
15/08/26 12:04
수정 아이콘
엌크크크크크크 뜬금없이 터졌네요
하늘기사
15/08/25 13:33
수정 아이콘
선수들 개개인의 실력은 좋은데...이상하게 팀적인 운영이나 한타가 정말 OME급인 팀입니다. 분명 라이너 개개인의 기량으로는 북미 최상급인데 진짜 한타가 특히 너무......
8월의고양이
15/08/25 14:10
수정 아이콘
윗분도 그렇고;; 한타가 얼마나 안좋길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카르타고
15/08/25 13:08
수정 아이콘
더블리프트 시즌2...
무지방.우유
15/08/25 14:18
수정 아이콘
LGD가 우승한번 없이 1시드 받으면 그것대로 개그가 될뻔했으나....

그나저나 중국도 선발전 장난 아니겠습니다
진짜 이러다 EDG 롤드컵 못가면 그것도 그것대로 개그...
15/08/25 14:29
수정 아이콘
LGD 우승해서 EDG는 한 숨 돌렸네요.
QG가 우승했으면 첫경기 iG여서 힘들었을텐데 말이죠.
근데 설마 EDG가 스네이크한테 지진 않겠죠?
폰과 데프트, 롤드컵에서 꼭 가서 SKT와 경기하는게 보고 싶네요.
리비레스
15/08/25 16:51
수정 아이콘
yoe Flash Wolves는 시즌 3 롤드컵 8강 직행팀이었던 Gammania Bears 가 SKT에게 패한뒤 쏟아지는 자국의 엄청난 비난 여론 + 17살 나이규정에 못이겨 무늬만 해체한 뒤 이름만 바꾼 팀이라...사실상 두번쨰 진출이나 다름 없는...크크. 실제 멤버만 봐도 정글러 빼고 시즌 3랑 똑같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223 [LOL] 올스타 라인업 확정됬네요 [17] 유캐한하루7925 15/11/22 7925 0
58183 [LOL] [LCS] 영원히 고통받는 H2K [52] aSlLeR10780 15/11/15 10780 3
58105 [LOL] 더블리프트의 해명이 나왔네요 [44] 윤하홀릭12117 15/11/05 12117 1
58086 [LOL] CLG의 더블리프트 방출 해명 [37] 윤하홀릭11070 15/11/03 11070 4
58085 [LOL] 아프로무: 더블리프트/코치/구단에 관해 [30] 캬옹쉬바나9348 15/11/03 9348 1
58074 [LOL] CLG가 만드는 충격과 공포의 북미 이적시장 [66] sand11116 15/11/02 11116 1
58070 [LOL] TSM은 북미의 Fnatic이 될 수 있을까요. [39] 이시스7434 15/11/02 7434 0
57903 [LOL] 롤드컵 5일차 해외 분석데스크 요약. [25] 줄리9839 15/10/09 9839 8
57857 [LOL] 롤드컵 1,2일차 간단 점검 및 차후 예상 [22] becker7437 15/10/03 7437 4
57826 [LOL] [롤드컵 하루 전 기념] 지극히 주관적인 경우의 수 : 최고와 최악의 상황 [51] aSlLeR6959 15/09/30 6959 9
57817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Counter Logic Gaming [21] becker6813 15/09/29 6813 15
57664 [LOL] CLG 정글러인 Xmithie 대신 Huhi 선수가 출전한다고 합니다 [33] 하늘기사8051 15/09/12 8051 0
57623 [LOL] KOO와 KT의 건투를 응원합니다 [69] 하늘기사9515 15/09/06 9515 12
57501 [LOL] 롤드컵 중간 점검 [30] 반니스텔루이8393 15/08/24 8393 1
57498 [LOL] NA LCS 결승 직관 후기 & 리뷰 [36] becker7185 15/08/24 7185 4
57495 [LOL] LOL 포지션별 올타임 넘버원(역체선)을 선정한다면? [111] 만트리안18705 15/08/24 18705 4
56854 [LOL] CLG LINK가 팀을 떠나면서 팀과 자신에 관한 글을 남겼네요. [89] 키토10262 15/05/14 10262 1
56466 [LOL] 성장이 멈춰버린 롤챔피언스 코리아 [91] 다레니안10405 15/03/15 10405 5
56308 [LOL] e스포츠 선수생명 연장하기 [42] 중서한교초천10157 15/02/16 10157 2
56302 [LOL] [레딧번역] GE Tigers vs SKT1 [19] The Special One11042 15/02/15 11042 2
56248 [LOL] [핵스압] 로코도코 이야기 2편 [45] Lustboy36556 15/02/09 36556 48
56188 [LOL] 북미소식 - 칼리스타 탑티어 등극, 임팩트-피글렛 데뷔전 패배 + 피글렛 소식추가 [44] becker12805 15/02/01 12805 2
55318 [LOL] 한중의 본격적인 대결 시작!, OMG가 멤버를 교체하다 - 롤드컵 8강 4일차 프리뷰 [57] Leeka8403 14/10/06 84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