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7/22 09:40:05
Name 영웅과몽상가
Subject [스타1] 김택용 vs 김명운 8강 최고의 매치업
어제 재경기를 끝까지 시청했는데, 정말 해설진과 오랜 시간 경기한 선수들 그리고 직관가신 분들 모두 수고많으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스베누 스타리그의 빅티켓은 바로 이경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4강이나 결승전에서 봐야 재 맛인 이 김택용 대 김명운이 나오다니요.

솔직히 정말 기대가 큰 것이 사실입니다.

제가 맵을 확인하려고 했으나 불판에서봐도 확인할 수가 없어서 주관적인 느낌을 적어보려합니다.

1,5 경기 신단장의 능선 김택용이 김명운선수와 이영한 선수에게 패한 맵.

아직도 생생히 기억나는건 역뮤탈의 무서움을 상기시켜준 이영한과 운영의 무서움을 보여준 김명운.

다전제에서는 김명운이 김택용을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또한 단판도 호각지세라고 알고 있습니다.

김택용이 김명운을 상대로 임팩트를 보여준 경기는 벤젠, 김명운의 임팩트는 아즈텍과 데스티네이션, 그리고 단장의 능선이었습니다.

김택용의 저그전은 토스전 중에서 확실히 강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최근 아프리카의 매치에서 김택용과 김명운 5전제를 보았지만, 김명운은 프로토스의 수읽기에 능한 모습과 올인인 듯하면서 히드라로

겁을 주어 캐논을 잘 강제하는 플레이, 김명운의 강점은 프로토스의 모든 체제를 잘 파훼한다는 점입니다.

비록 5판 3선승에 관한 트라우마가 최종 스타리그 4강인 티빙에서 허영무에게 3대 2로 패하긴 했어도 클라스 하나만큼은

그 탁월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현재 아프리카 내에서 김명운을 상대로 다전제에서 승리를 보장할 수 있는 선수는 아마 김택용이 유력합니다.

또한 저그 중에서 김택용을 요리할 선수는 김명운, 조일장, 박준오 등 다양합니다.

이들은 실제로 프로토스를 상대로 고승률을 보여주는 선수들이고 체제도 아주 유연하게 넘어갑니다.

김택용은 다시 맞이한 5판 3선의 저그전, 임홍규, 한상봉, 조일장을 넘었던 그 저그전의 판짜기가 나온다면

어느정도 김택용에게 우세를 부여할 수 있겠지만, 상대는 티빙최후의 저그였던 김명운입니다.

솔직히 팬심을 담아 김택용선수가 3대 2로 김명운 선수를 이겨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다전제는 늘 그렇듯이 1경기를 먼저 따내는 선수가 높은 확률이 올라가고 판짜기에서도 유리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양선수가 어떤 판짜기를 준비해올지, 정말 기대가 됩니다.

이런 빅매치를 앞두고 4일은 너무 긴 시간이네요.

정말 기다려 집니다.

p.s 김택용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육점쿠폰
15/07/22 09:47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에 한동안 관심끊고 있었는데 이건 챙겨봐야겠네요.
뉴욕커다
15/07/22 10:05
수정 아이콘
최후의 저그!
빈즈파덜
15/07/22 10:06
수정 아이콘
어제 소닉 대표님 대단하시더군요~ 관람객에게 피자도 쏘시고 차비도 주시고...정말 스타에 대한 열정이 엄청나다라는 느낌을 받았네요~
도바킨
15/07/22 13:22
수정 아이콘
저도 그런거 보면서 참 신경 많이 쓴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방송 댓글을 보면
'스X누는 까도 소닉은 까지마라~'라는 글이 있던데 어찌나 공감이 되던지..
영웅과몽상가
15/07/22 13:36
수정 아이콘
어제 진짜 끝까지 보는 데 저녁에는 햄버거와 콜라를 돌리지 않나, 또 피자에 차비까지 정말 동갑이지만 부럽습니다.
파란아게하
15/07/22 10:12
수정 아이콘
전에 김명운 선수가 개인리그 인터뷰에서 상대의 단점이 있는 것 같나? 질문했더니 '저를 상대로 토스라는 거?'라고 자신만만해했던 기억이 나네요.
김택용 선수가 저그를 자기 시드 조에 몰아넣을 정도의 자신감도 동시에 기억나고요.
명경기 만들어주세요~~~
착하게살자
15/07/22 13:23
수정 아이콘
그래놓고 그 조를 통과한적 없다는게 함정..? 아닌가요 제기억엔 그런데 크크
파란아게하
15/07/22 13:25
수정 아이콘
그그그그그그 그렇...... 괜히 까기 미안해서......
영웅과몽상가
15/07/22 13:33
수정 아이콘
그 당시 이제동, 박성준, 박xx를 지목을 했죠. 저는 솔직히 곰tv시즌 4에서 그 조를 뚫을거라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 떄부터 비수류가 바닥이 나기 시작하고 네오사우론이 흥하면서 저그전은 너무 힘들어졌죠....
Bisu피버스
15/07/22 10:14
수정 아이콘
5전제로 바뀌었지만 김명운선수가 온게임넷 8강에서 안좋은 기억이 상당히 많은데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택신이 중국행사로 금요일날 한국으로 온다는데 과연 얼마나 연습할수있을지 궁금하네요 빅매치 기대합니다 흐흐
저그네버다��
15/07/22 10:27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김명운이 또 김택용 상대로 3베이스 vs 1베이스로 졌죠... 무난한 운영 싸움이 되면 김명운이 이길 것 같은데, 저런 노림수 툭툭 던져주면 김택용이 이길 것 같네요.
15/07/22 10:48
수정 아이콘
제가 요새 스1리그는 안봅니다만 이 경기는 꼭 챙겨보고 싶네요. 혹시 경기 날짜와 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시겠습니까?
영웅과몽상가
15/07/22 10:59
수정 아이콘
7월 26일 19시 입니다.
15/07/22 11: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뚜루루룹
15/07/22 10:55
수정 아이콘
맵만 무난하면 김택용이 이길거 같은데 저그가 좋은맵이 있어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겠네요
BloodElf
15/07/22 11:08
수정 아이콘
단능 2승으로 저그 승 예상
윌모어
15/07/22 11:53
수정 아이콘
아슬아슬한 줄타기 경기 기대해봅니다!!
SwordDancer
15/07/22 12:17
수정 아이콘
얼마 전 5전 3선승 경기서 김택용이 3:2로 이겼더군요. 과연 그 경기의 재판이 될 것인지..
도바킨
15/07/22 13:14
수정 아이콘
무난한 후반전으로 가면 김명운 선수가 승리할거 같고..
김택용 특유의 전략이 얼마나 성공적이냐에 따라 승부가 갈리겠군요.

김명운 선수는 무난한 후반전을 위해 안전하게 할텐데..
김택용 선수는 안전하게 하는 김명운을 상대로 통할 정도로 전략을 갈고 닦아 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영웅과몽상가
15/07/22 13:18
수정 아이콘
후반전으로 가면 양측모두 장담할 수 없다는 게 제 의견입니다.
김택용 선수도 한 판짜기 하는 선수라 아마 2판은 잡아내지 않을 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김명운 선수는 도바킨님 말씀처럼 무난한 후반을 준비해올 듯 싶은데, 김택용선수의 후반전 뒷심도 장난이 아니기에.
확실한 건 1set를 반드시 잡아야 양선수 모두 준비한 데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1set 어떤 변수를 준비해줄 지 기대가 됩니다.
생겼어요
15/07/22 13:14
수정 아이콘
가장 큰 변수는 이번시즌 맵이 저그에게 너무 웃어준다는 점입니다. 종족상성이라는게 김택용이 저그전을 잘하는거지 토스가 저그한테 좋은게 아닌데 어찌 맵이... 풀세트까지 가는 수준 높은 경기를 기대하는데 듣기로 김택용이 지금 중국에 머물고 있다는데 경기력이 어떨지 걱정이네요
영웅과몽상가
15/07/22 13:19
수정 아이콘
택신을 괜히 믿었다가 역레발도 많았던지라 확실한 건 8강 저그전에서 패한 적이 없다는 것을 위안으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msl에서는 한상봉, fix에서는 임홍규 등 8강에서 저그에게 지지 않은 걸로 알고 있기에 저는 그냥 믿으려고 합니다.
착하게살자
15/07/22 13:32
수정 아이콘
언급하신 그 두 명의 저그보다는 김명운 선수가 최소 두단계는 높은 클라스라 걱정이되네요.. 전 김택용 선수 팬입니다만
영웅과몽상가
15/07/22 13:34
수정 아이콘
그렇습니다. 최소 2단계는 높죠. 막판에 오히려 이제동보다 더 나은 개인성적을 보여주는 김명운이었으니까요.
특히나 김명운은 스스로 변수를 잘 만드는 불리한 상황도 뒤집을 수 있는 선수이기에 더욱 김택용과 김명운의 첫 5판 3선승 대진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lupin188
15/07/22 14:07
수정 아이콘
오랜만의 방송경기 다전제이네요.
택신의 건승을 빕니다.크크크크
러브투스카이~
15/07/22 15:27
수정 아이콘
사실상의 결승전 매치업이네요!
플플토
15/07/22 15:46
수정 아이콘
오 꼭 봐야겠네요 !
울트라면이야
15/07/22 17:21
수정 아이콘
김택용의 5전3승제는 무패아닌가요? 09년 변형태전 이후로....흐흐
우주모함
15/07/22 19:36
수정 아이콘
무패죠. 무패의 택신.

진 적이 없기에 최강일 수 밖에 없는..
영웅과몽상가
15/07/23 08:53
수정 아이콘
코랜드파일날
장무기
15/07/22 23:13
수정 아이콘
김명운 선수 건승을 기대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342 [스타1] 임이최X 택뱅리쌍 콩의 데뷔후 전적 [57] 전설의황제11401 15/07/29 11401 4
57341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8강 2일차 Preview [8] JaeS4981 15/07/29 4981 2
57338 [스타1] 트위치 테켄크래쉬에 나왔던 스타1 리그 BGM들 [6] SKY9212337 15/07/27 12337 5
57331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8강 A조 결과 및 내용요약 [16] 쿠우의 절규6945 15/07/26 6945 3
57330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8강 1일차 Preview [11] JaeS5146 15/07/26 5146 1
57311 [스타1] 무모한 도전의 첫 걸음이 시작됩니다 (오늘 저녁 슈퍼파이트8 예고) [27] JaeS8505 15/07/23 8505 7
57304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중간점검 [14] Bisu피버스6692 15/07/22 6692 3
57303 [스타1] 김택용 vs 김명운 8강 최고의 매치업 [31] 영웅과몽상가7816 15/07/22 7816 2
57301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재경기 결과 및 내용요약 [11] 쿠우의 절규5383 15/07/22 5383 3
57279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6경기 결과 및 내용요약 [16] 쿠우의 절규6120 15/07/19 6120 1
57268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5경기 결과 및 내용요약 [10] 쿠우의 절규7111 15/07/15 7111 3
57264 [스타1] 추억의 명경기 리뷰 - 센게임 MSL 패자조 4강, 강민 vs 이윤열, 제 2경기 @ U-Boat [13] 이치죠 호타루9479 15/07/15 9479 14
57257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5일차 Preview [14] JaeS6379 15/07/13 6379 2
57250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4경기 결과 및 내용요약 [10] 쿠우의 절규6420 15/07/12 6420 1
57241 [스타1] 선수는 오만, 팬들은 실드 - 어이없던 김정우의 사과방송 (전문포함) [87] Alan_Baxter36691 15/07/11 36691 4
57239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4일차 Preview [6] JaeS5935 15/07/10 5935 5
57236 [스타1] 스베누 시즌2 오프닝 [12] 빵pro점쟁이5657 15/07/10 5657 1
57226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3경기 결과 및 내용요약 [4] 쿠우의 절규5733 15/07/08 5733 0
57223 [스타1] 하드캐리의 진수.avi [31] SKY9210010 15/07/08 10010 1
57222 [스타1] (콩두컴퍼니) 김정우 선수 관련하여 이스포츠 팬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사죄 말씀 드립니다. [107] 노랑오리부채21725 15/07/07 21725 5
57220 [스타1] 리쌍시대의 종막, 진에어 스타리그 & 허영무. [89] 우주모함11542 15/07/07 11542 9
57212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16강 2경기 결과 및 내용요약 [13] 쿠우의 절규7008 15/07/05 7008 0
57211 [스타1] 2001 테란콜라배 스타리그 [85] 저글링앞다리11425 15/07/06 11425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