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4/09 15:20:27
Name 피로링
Subject [기타] The Angry Joe Show의 닌텐도 저작권 사건
앵그리 죠 쇼는 유명 유튜버 죠 바르가스(Joe Vargas)의 게임리뷰 쇼입니다. 리뷰만 하는것은 아니고 플레이 영상을 올리거나 각종 게임 이슈에 대해 닉네임 그대로 분노하는 영상으로 유명해졌습니다. That Guy with the Glasses(노스텔지아 크리딧으로 유명한...)의 맴버이기도 했습니다.

리뷰 스타일로 보면 적당히 대중적이면서도 게임의 경제적 가치를 중시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좋아하는 리뷰어 중 하나였습니다.(리뷰라고 쓰고 사실 평론 수준인 얏지에 비해서는 말이죠.) 자신은 게이머의 편이라는걸 자처했고 겉으로 보기엔 그런 듯 했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 전업 유튜버로 개인 사업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말인 즉슨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고 광고 수익을 받는것이 직업이라는 말이죠. 그래서 유튜브의 무분별한 블라인드 정책 - 직접 e3가서 인터뷰 했는데 그 인터뷰 영상을 저작권을 이유로 막아버리거나(...) 트레일러 영상을 리뷰에 썼는데 블라인드 처리 되는 등. 에 대해선 강도높은 비판과 비난을 했었습니다. 여기까진 다른 사람들도 납득을 하고 동의를 했습니다.

그러던 중 위 유가 생긴 앵그리죠가(팬들의 자발적인 기부로 받았다고 하더군요.) 마리오 파티 10의 플레이 영상을 유튜브에 올립니다. 그리고 곧이어 영상은 비공개 처리가 되죠.

이 쯤해서 닌텐도의 유튜브 게임실황 정책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닌텐도 크리에이터 프로그램이라는게 있는데  닌텐도에서는 [수익창출을 건 영상에 한하여] 저작권 주장을 해서 수익의 40%를 가져갑니다. 60%는 2차 저작자가 갖게되죠. 또 여기에 자신의 채널을 등록하면 10%가 빠진 30%만 가져갑니다. 다만 등록하면 닌텐도 게임뿐만이 아니라 채널에 있는 다른 게임 영상의 수익도 가져가기 때문에 별 메리트는 없어보이더군요. 아무튼 그렇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닌텐도는 앵그리죠가 올린 마리오파티 10 플레이 영상에 대해 저작권 요청을 하고 블라인드 처리했으며 앵그리 죠는 크게 분노하며 바로 영상을 내려버렸습니다. 욕설이 섞인 분노 동영상과 다시는 닌텐도 게임 리뷰를 하지 않겠다는 말도 덧붙여서 말이죠.

앵그리죠가 주로 주장하는것은 유튜브에 영상을 올림으로서 홍보효과가 크고, 다른 게임회사도 그걸 알기 때문에 막지 않는것인데 닌텐도가 구세대적이고 멍청한 정책으로 인해 망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나아가서, 닌텐도가 이런 멍청한 정책을 철회하지 않으면 다시는 닌텐도 게임의 리뷰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죠.

물론 이런 격한 반응에 대해 반대하거나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그 중에는 갓 오브 워 제작자였던 데이빗 제피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앵그리죠가 빡쳐서 키배를 떴는데, 데이빗 제피가 신사적으로 우쭈쭈 한 덕분에 싱겁게 끝났죠.) 간단히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1차 저작권자가 홍보 효과를 볼지 말지에 대한 선택을 하는것은 아주 당연한것이며. 그것이 비효율적이고 손해를 가져온다고 하더라도 정당한 권리 행사라면 존중해줘야 한다.'정도로 정리해볼 수 있겠네요.

그리고 영상을 내려버린 앵그리죠의 행동도 비판받았습니다. 구독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독단적으로 영상을 내린것이며, 이것이 닌텐도에 대한 항의라면 굳이 영상을 내리지 않고도 수익활성화를 끄면 되는것이라는거죠. 결국 이 행동은 소위 '돈독이 올랐다'라고 비난을 받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닌텐도의 정책이 그렇게 구시대적이고 멍청한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좀 있습니다. 사실 어찌보면 합리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리뷰나 수익활성화를 하지 않는 영상은 제외하고, 플레이 영상으로 돈을 벌고 싶으면 1차 저작권자로서 저작권료를 받겠다. 즉, 저작권을 클리어 해주고 대신 수익을 나눠가지겠다는건데 크게 나쁠것 없어보이거든요. 완전 편집증적으로 자기들 게임 영상 있는거 찾아서 블록시켜버리는 세가나 캡콤에 비해서는 말이죠. 물론 전업 유튜버들이야 다른 게임회사에서도 너도나도 이런 정책을 펼치면 울상이 되긴 하겠지만.

아무튼 앵그리 죠의 경우를 한정하지 않더라도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지재권싸움도 좀 겹치고요. 과거 똑같은 논리로 응수를 한 모 bj도 떠오르는군요.(물론 그 사람은 그냥 불법복제때문에 그런거지만) 유튜버들의 플레이 영상과 리뷰로 광고효과가 생긴다면 과연 재미없게 게임을 하거나 낮은 리뷰 점수를 주고 까대도 광고효과가 있는것일까요? 그럴거면 그냥 돈주고 광고를 시키지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호철
15/04/09 15:2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닌텐도쪽이 100번 옳은 것 같고 앵그리죠는 대응이 치졸해 보이는군요.
피로링
15/04/09 15:37
수정 아이콘
저의 생각도 그렇기 때문에 글 자체가 좀 편향적이긴 합니다. 아마도 궁극적으로는 게임사가 유저의 자유를 저해하지 않아야하고, 유명 유튜버들이 방송해서 홍보효과를 내는것이 유통사나 게임사 입장에서도 윈윈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에서는 이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도 좀 다를겁니다.
15/04/09 15:33
수정 아이콘
자신의 영상이 홍보효과로 작용해 게임회사에 이득이 되는지 미래의 게임이용자들에게 스포로 작용해 손해가 되는지 자기가 어찌 알고 크크크 자기가 구입한건 개인적으로 게임할 권리지 그걸가지고 방송할 권리를 구입한게 아니죠
아리마스
15/04/09 15:3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BJ 몇명이 "우리는 홍보해주는거니까 불법다운 받아서 광고해도 회사에 이익인건데 왜 우리를 욕하냐" 하던게 생각나네요
정지연
15/04/09 15:35
수정 아이콘
닌텐도에 한표 던집니다.. 리뷰를 통해 광고효과가 생기는게 좋을지 저작권을 보호하는게 좋을지는 저작권자가 알아서 할 문제입니다. 2차 창작자가 거기에 대해 왈가왈부 할 수 없습니다..
나의규칙
15/04/09 15:38
수정 아이콘
닌텐도 정책이 잘못되어 보이지도 구시대적이라고도 보이지 않습니다. 앵그리죠가 닌텐도 게임을 리뷰하든 말든 상관이 없지만, 구시대적이라고 공격하는 것은 잘못된 주장으로 보이네요.

예전 스타1 지재권 사태처럼 게임회사에서 입장을 정확히 안 밝힌(한참 지나서 밝힌) 상황도 아니고.. 게임 내 영상을 이용하기 위한 절차가 고지되어 있는데... 닌텐도가 잘못한 것은 없어 보입니다.
이부키
15/04/09 15:42
수정 아이콘
개인 방송 자키들의 저작권 의식은 언제쯤 나아질까요
15/04/09 15:45
수정 아이콘
대도서관 생각나네요. 크크
티이거
15/04/09 15:49
수정 아이콘
본인이 돈벌려고 인기있는 게임리뷰하는거면서 거저먹으려하네요
15/04/09 16:07
수정 아이콘
이번에 문제가 된 영상은 리뷰 영상이 아니라, 그냥 지인들끼리 플레이하는 영상들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게임이 마리오파티10이었는데, 이건 닌텐도에서 방송 금지했던 게임이고요.
i제주감귤i
15/04/09 15:50
수정 아이콘
저도 대도서관이 생각났네요 흐흐
하카세
15/04/09 16:1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앵그리죠 편인게 닌텐도 제안을 받아들이게 되면 동영상을 올리기전에 닌텐도에 제출해서 허가승인을 받고 올려도 된다는 영상만 올려야되더군요. 이러면 닌텐도를 비판하는 영상은 당연히 못올라올테고 영상작업에 드는 시간과 노력도 아무런 보상을 못받으니 독재정부에서 언론검열하는 느낌이라 좋게보기는 힘듭니다. 작년에는 닌텐도가 모든 수익을 가져가는 조건하에 영상올리게 한적도 있어서 닌텐도 손을 들러주고 싶진 않네요.
피로링
15/04/09 16:49
수정 아이콘
리뷰는 여전히 수익을 올리면서 업로드가 가능하고 아니면 수익창출을 끄면 되죠. 게임 플레이 하면서 비판을 하면 얼마나 할까요.
15/04/10 15:02
수정 아이콘
저도 해당사안에 대해서는 앵그리죠 편입니다.

이런 방식(검토후 업로드)으로 진행되게 되면, 요컨데 리뷰와 게임플레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니, 점차 비판사항을 올리지 못하게 하는 방향으로 악용될 소지가 크죠. '저작권 이라는 무기를 활용해서요.

5분 플레이 영상은 리뷰고, 10분 플레이 영상은 게임 플레이다? 이런 룰이 잇는것도 아니고 그게 맞는것도 아니구요.
수부왘
15/04/09 16:15
수정 아이콘
다른건 상관없는데 다른 게임 영상에서 나오는 수익까지 가져간다는건 이해가 가지 않네요. 가령 리뷰한 게임 제작사들이 각기 채널 전체에 대한 수익배분을 요구한다면 리뷰어에게 떨어지는 몫은 없을테니까요.
피로링
15/04/09 16:51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은 저도 의아하긴 했습니다. 그럴 권리가 있나 싶기도 하고요. 아마 채널링 비슷하게 하면서 그 대가로 받는게 아닌가 싶은데 유튜버들이 그냥 10% 더주고 말지 채널 등록을 할거 같진 않아요.
하심군
15/04/09 16:21
수정 아이콘
앵그리 죠가 말하는 구시대적이라는 표현은 현재 저작권 전체에서 벌어지고 있는 저작권에 대한 재설정을 말하는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특허의 경우에는 발명가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막에서 대기업이 휘두르는 무기로 전락한지 오래됐고 저작권의 경우는 엄밀하게 적용하면 아무것도 못할 정도로 빡빡한 것은 사실이라...저작권 전체범위인 만큼 자게에서 심도있게 논의를 해야하고 답도 그만큼 없는 상황이지만 저작권 상황이 이대로는 안된다는 건 확실합니다.
Rorschach
15/04/09 16:27
수정 아이콘
저도 닌텐도에 한 표요.
히카세님 말씀처럼 허가승인을 받고나서야 올릴 수 있다는 점은 문제이긴 한데 그건 그걸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달린 것 같고요,
게임사의 게임을 이용해서 2차적인 수익을 발생시키는 상황이라면 제작사의 동의가 먼저 필요한 것이 맞다고 봅니다.
swordfish-72만세
15/04/09 16:31
수정 아이콘
앵죠를 보면 뭐 전형적인.인터넷 스타의 성장과 몰락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
팬에.가까운 사람으로 참 씁쓸하네요
BravelyDefault
15/04/09 16:48
수정 아이콘
내가 영상으로 게임 홍보해주는데 왜 돈을 내고 허락을 받아야 하나! by 앵그리죠
내가 대회로 게임 홍보해주는데 왜 돈을 내고 허락을 받아야 하나! by 케스파
The xian
15/04/09 17:50
수정 아이콘
에이. 그래도 지적재산권 분쟁 당시에 케스파는 무려 '우리도 정품 사서 쓴다'라고 말했었지요.
15/04/09 17:15
수정 아이콘
닌텐도가 당연히 옳은것 같네요. 게임으로 밥먹고 사는거면 상응하는 댓가를 지불해야죠.
제정신인가.
15/04/09 17:38
수정 아이콘
글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The xian
15/04/09 17:54
수정 아이콘
원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저작권자가 홍보효과를 노리고 묵인할지. 아니면 저작권을 주장하여 2차적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지에 대한 선택을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지요. 저작물을 가지고 방송을 하려면 허가를 받는 게 원칙이고, '우리는 홍보해 주는 거니까 영상으로 수익을 올려도 회사에 이익이다'라는 건. 원저작자가 결정할 일이지 그걸 방송으로 만드는 이들이 원저작자의 입장까지 맘대로 해석해서 결정할 일이 결코 아닙니다.

저는 닌텐도의 대응이 좀 빡빡한 데는 있어 보이지만, 상식에서 벗어나지는 않았다고 봅니다.
양념게장
15/04/09 17:56
수정 아이콘
누구 생각나네요... 크크
파벨네드베드
15/04/09 18:03
수정 아이콘
저도 역전재판 방송하시던 모 bj님이 생각나네요 크크
설명왕
15/04/09 18:47
수정 아이콘
"판단은 내가 한다."
오큘러스
15/04/09 19:5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는 이미 대도서관이라는 워낙 유명한 사건이 있어서
BakkyFan
15/04/09 20:07
수정 아이콘
닌텐도의 대응도 옳고 유튜버의 대응도 옳은거죠. 리뷰 안하겠다는건 개인의 자유 아닙니까?

자기 노력 투자해서 유튜버로 수익올리는데 수익 못 얻게 하면 당연히 리뷰 안하는거죠. 자원봉사로 리뷰하는게 좋은 사람은 하면 되구요.
피로링
15/04/09 22:10
수정 아이콘
리뷰로는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 영상은 그냥 플레이 영상이었고 그래서 블락된겁니다. 또한 수익 전부를 가져가는것도 아니고요.
15/04/10 15:04
수정 아이콘
리뷰와 게임플레이 영상은 어떻게 구분하죠?
피로링
15/04/10 15:51
수정 아이콘
위에도 비슷한 리플 쓰셨길래 이 리플 하나만 쓸게요. 그게, 의외로 명확한 기준이 있습니다. 웃긴건 이게 앵그리죠가 나는 리뷰하는거지 게임 플레이 동영상 올린게 아니다 그러니까 블라인드좀 하지 말라고 올린 동영상중 일부에서 나온 얘기입니다.

공정 이용(fair use, 공정 사용)이란 기본적으로 저작권으로 보호되는 저작물을 저작권자의 허가를 구하지 않고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미국 저작권법상의 원칙으로, 학문 연구나 평론에 이용되는 것이 그 예이다. 넓게는 저작권을 제한하는 법원칙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공정 이용에 대해 저작권 침해 주장에 대한 방어 법리라는 소극적 시각과 저작물의 공정 이용 영역은 이용자가 갖는 권리라는 적극적 시각으로 대립된다.

단순히 말해서 미국에서 리뷰 목적으로 규정된 몇초 이하 보여주는건 공정 이용상 합법이며. 그 이상은 저작권 위반입니다. 한국에서도 부분적으로 공정 이용을 인정하고 있고 일본은 공정 이용의 개념이 없다고 하지만 유튜브는 미국 사업자인 구글이 가지고 있고 죠 바르가스도 미국인이니 소송을 건다면 미국 법정에서 하게되겠죠.
15/04/10 15:57
수정 아이콘
저 공정이용 법리에 대해서도 논란이 실제로 많습니다.(우리나라 저작권법에도 법제화되었습니다.)

다만 리뷰를 위한 것인지 아닌 것인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은 아직도 남습니다. 몇초? 라고하셧는데, 실제 다른 리뷰를 보셔도 몇초이상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죠. 그렇다고 그게 다 저작권법 위반으로 보냐면 그건 당연히 아닙니다. 게임리뷰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요컨데 드라마 리뷰나, 영화리뷰를 생각해보세요. (최근에 진짜 영화리뷰는 영화 내용을 거의 결론빼고 말해주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그렇게 저작권 위반을 넓게 보고 있지 않은게 현실입니다. 막상 왜 게임만? 이라고 하면 뭐라고 하실건가요?

게임 플레이 영상과 리뷰를 어떻게 구분하느냐? 이건 문제일수밖에 없고, 게임리뷰자체도 위축되버리는 효과는 너무나도 자명합니다.

게임의 단점을 막 떠들기 위해서(요컨데 이런버그가 있어요!) 하기 위해서 1분 정도 버그영상을 보여주면 그 리뷰는 저작권 위반이 되는건가요?

더나아가 리뷰도 게임플레이도 아닌건 어떻게 평가해야할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hFtQWqKSA0g&feature=youtu.be 요컨데 이런건 게임플레이인가요 리뷰인가요?
피로링
15/04/10 16:07
수정 아이콘
포키님?
피로링
15/04/10 16:10
수정 아이콘
흠흠 아무튼 몇초 이하라고 얘기한건 잘못 표현한거 같고(노래 클립 얘기랑 헷갈렸네요) 컨텐츠중 일부일겁니다. 그걸 누가 판단하느냐? 법원이 정하겠죠.
15/04/10 16:12
수정 아이콘
이걸 전부 법원에 가는건 어려울거고, 현재 제도자체는 너무 저작권자에게 이익이되게 (저작권자가 내 영상(조금이라도)이 들어가있어!! 하면 블라인드되는 상태이니.) 되어 있는게 문제이긴하죠. 양쪽이 주장하여 평가하는게 아니라 한쪽이 주장하면 그냥 없어져버리는거니까요.
피로링
15/04/10 16:20
수정 아이콘
저작권법도 문제가 있긴 합니다만 그건은 빡죠가 말했듯이 유튜브의 정책이 더 문제가 큽니다. 뭐 개인적으로는 돈 잘버는 사람들이 대리 회사에 위탁해서 알아서 소송한거 처리하고 하는데 별로 걱정할 필요가 있나 싶지만요. 팬보이라면 입장이 좀 다를려나요. 아무튼.
15/04/10 16:24
수정 아이콘
유튜브의 정책은 DMCA 법에 의해서 딱 할만큼 한겁니다.

애초에 저 저작권법은 '요청하면' '내려주는' 것이 원칙이라서요.

저작권이 너무 한쪽의 손만 들어주는 형태로 결국 표현의 자유를 제약하는 (저 게임은 쓰레기야!! 이런멘트가 있으면 저작권자가 '정당한 권리행사' 로 1분 남짓의 인용에도 리뷰로 안보고 내려버리고, 아무리 게임인용이 많아도 '이게임은 환타스틱해요' 하면 문제삼지 않는 방식으로) 방향으로 가는게 전 안타깝습니다.

닌텐도도 마찬가지구요.
피로링
15/04/10 16:33
수정 아이콘
빡죠가 그런식으로 음모론 재기하다가 훅 가기 시작한거죠. 누가봐도 캠콤 usa와 캡콤 재팬의 정책이 달라서 자기 영상이 내려간건데, 내가 캡콤에 대해 쓴소리를 해서 저격당한거라며 분노 영상을 올렸었죠. 정말 비판을 해서 영상이 날라간거라면, 빡죠가 최악의 평가를 했던 소닉 프리라이더는 왜 안내려갔을까요? 에어리언 콜로리언 마린즈는? 만점을 준 스카이림은 왜 블록당했을까요. 빡죠 말은 앞뒤가 안맞는게 너무 많습니다.
15/04/10 16:35
수정 아이콘
피로링 님// 어떠한 사안에서 그렇다 그렇지 않다가 아니라.

그렇게 하더라도 막을수 있는 방안이 없다가 더 문제라는 겁니다...
피로링
15/04/10 16:39
수정 아이콘
일어나지 않는 일을 일어나고 있는것처럼 말하는게 음모론자의 미덕이죠. 차라리 리뷰어한테 뒷돈 찔러주고 말지, 인터넷에서의 비판 영상을 다 막을수도 없고 그러고 있지도 않습니다.
15/04/10 16:41
수정 아이콘
피로링 님// 유명한 리뷰어라면 그렇게 하는게 좋져.

다만 안유명한 리뷰어라면요?

아니 애초에 이말이 나온 배경 즉 (리뷰와, 플레이의 차이점, 그리고 그것을 현재 전적으로 저작권자가 구분하는게 맞는가?) 에 대해서는 아무말씀도 구분을 못하시면서,

단순히 음모론 취급하는게 솔직히 기분나쁘네요,.
Monstercat
15/04/09 20:56
수정 아이콘
이걸 대도서관이 크크크
샤르미에티미
15/04/09 21:45
수정 아이콘
닌텐도가 낫다 죠가 낫다 이런 문제가 아니라 둘 다 자기가 유리한 대로 하는 거죠. 죠도 돈 안 되면 안 하는 거고 닌텐도도
자기 작품으로 돈 버는데 수수료 안 주는 건 못 봐주는 거고요. 다만 닌텐도는 상식적인 선에서 대응을 했고 죠는 현명하지
못 한 대응을 한 느낌입니다. 거기서 비판 받을 여지는 충분히 있다고 보네요.
15/04/09 22:20
수정 아이콘
소위 후빨러들때문인진 몰라도 비제이들 보면 사리분별을 제대로 못하는 느낌입니다.

특히 내가 이거 리뷰'해주면' 너네도 광고효과 보거든? 라는 태도들은 정말 꼴불견이구요
15/04/09 22:43
수정 아이콘
내가 역전재판 홍보해줬는데 감사해 할줄은 모르고 말이야... by.드드스그
15/04/09 22:5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이번 사건 보면서 이 사람은 그냥 공신력을 잃었다고 생각합니다.
누가 광고해달라고 했던 것도 아니고, 결국 돈 놓고 싸우는 건데...
앞으로 얼마나 열을 내며 게임과 게임사를 비판할지는 모르겠지만, 이번 사건으로 자기도 도긴개긴이라는 걸 인증한 꼴이라.
멜랑콜리
15/04/09 23:1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실황이나 유투브 보고 게임 하고 싶어질때가 없는건 아닌데, 그걸로 돈 받고 싶으면 만든 쪽과 협의해야지, 아니면 돈 받을 생각은 안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그리고 모든 판단의 볼은 저작권자가 갖는게 맞구요.
15/04/10 14:58
수정 아이콘
저작권자가 저작권을 행사하겠다고 했으니, 이부분은 큰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더 나아가 그런 정책에 반발하여 난 닌텐도 리뷰안할거라고 하는 것도 무슨 문제인지 전 전혀 모르겠네요.

게임사도 돈을 위해 저작권을 주장하고, 리뷰어도 돈을 위해 저작권의 회피를 주장하는데, 게임사는 돈독이 안오른거고 리뷰어는 왜 돈독이 오른거죠? 이해 불가능합니다.
Frezzato
15/04/11 13:40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454 [기타] 겨울 시즌 신규 모바일 게임 기대작들 [51] 이사무8613 16/12/08 8613 0
59682 [기타] 나이를 먹을수록 경쟁하는 게임이 버겁네요. [137] 최작가16599 16/08/01 16599 13
59608 [기타] 요즘 게임계 이슈들과 게임에 대한 생각들 [70] mooooon9346 16/07/18 9346 1
59583 [기타] 서든2 실패와 롤, 스타2, 오버워치 등 흥행과 부진에 대한 개인적인 시각입니다. [152] mooooon14293 16/07/14 14293 23
58465 댓글잠금 통합 규정 공지 2015.12.25 release [1] 항즐이13346 15/12/23 13346 0
58854 [기타] 내가 블리자드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 [74] Drone7665 16/03/19 7665 3
58704 [기타] 스트리트 파이터 5에 대한 욕 [70] 타네시마 포푸라10598 16/02/18 10598 0
43021 통합 공지사항 v1.2 [88] 항즐이144362 04/05/06 144362 10
58426 [기타] 채정원&김성회의 고전게임 오락실을 기억하며 [30] 무관의제왕8899 15/12/19 8899 4
58243 [공지] 제2차 글 써서 남 주기 대회가 자정부터 시작됩니다. OrBef4904 15/11/24 4904 0
58229 [공지] 제2차 글 써서 남 주기 대회 (부제 - 폭풍이 온다) 가 시작됩니다. [12] OrBef5603 15/11/20 5603 0
58210 [기타] 패드립과 gg 사이에서... [39] 이진아7573 15/11/19 7573 8
58136 [기타] 액션불감증을 날려버릴 액션RPG, 이스 (ys) [17] 타네시마 포푸라6965 15/11/09 6965 4
57780 [기타] [우왕] GTA5 일기 [8] 바위처럼5395 15/09/23 5395 3
57408 [히어로즈] PTR서버 패치노트가 공개되었습니다. [36] 은하관제7260 15/08/11 7260 2
57388 [기타] [풋볼데이] 운영진이 리그에 개입하고 유저를 조롱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39] 슈퍼집강아지8039 15/08/07 8039 0
57293 [기타] 원래 그런 게임이야 [41] Secundo6810 15/07/21 6810 1
57070 [히어로즈] 1등급 찍었습니다.(매칭시스템 빡침이라...혐입니다) [41] 대경성6837 15/06/18 6837 3
57049 [히어로즈] LOL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간략 비교 [77] 뀨뀨12344 15/06/13 12344 2
56949 [히어로즈] 이것만 알면 원숭이도 1인분은 한다 #2 [403] Leeka32274 15/05/28 32274 207
56647 [기타] The Angry Joe Show의 닌텐도 저작권 사건 [50] 피로링7841 15/04/09 7841 2
56502 [디아3] 결국, 또다시 성역의 문턱을 넘으며 [25] 리듬파워근성11008 15/03/19 11008 26
56402 [기타] [콘솔] 엑원 홍보대사가 불법개조업자? [26] [레콘]영웅왕8199 15/03/02 819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