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1/14 12:28:14
Name Andromath
Subject [디아3] 북미 2.1.2 패치 경험담
북미 서버에서 쓸쓸히 솔플을 즐기는 마법사입니다.

불과 몇 개월 전만해도 확장팩, 2.1.1 패치 등으로 게시판이 디아블로 이야기로 활기찼던 것 같은데, 이제는 조용하네요...
다름이 아니라 오늘 새벽에 북미 서버에는 2.1.2 패치가 적용되었고, 한국 서버에는 목요일 오전 5시부터 적용된다고 합니다. 시즌 1도 2월 초에 끝난다고 하고, 시즌 2 시작 전에 하는 패치라 어느 정도 대대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

자세한 패치 내용은 다음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kr.battle.net/d3/ko/blog/16802653/212-%ED%8C%A8%EC%B9%98-%EA%B3%B5%EA%B0%9C-%ED%85%8C%EC%8A%A4%ED%8A%B8-%EC%84%9C%EB%B2%84-%ED%8C%A8%EC%B9%98-%EB%85%B8%ED%8A%B8-12%EC%9B%94-9%EC%9D%BC-%EC%97%85%EB%8D%B0%EC%9D%B4%ED%8A%B8-2014-12-09
위 링크는 PTR 서버 패치 내력인데, 방금 북미 섭에서 받아서 해본 결과 저 위의 내용에서 전혀 변한 것이 없습니다 (고통받는 법사 ㅜㅜ)

아마 PTR로 이미 즐기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는 패치 적용 후 플레이하는 것은 오늘이 처음입니다. 일반 균열과 대균열 몇 판을 돌고 나서 발견한 점들이랑 어느 정도 패치 전보다 많이 변했다 싶은 부분들을 적어봅니다. 제대로 키운 캐릭터가 법사/부두/악사 밖에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 편중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대균열 몹들한테 좀 덜 아프게 맞습니다.
제 법사 솔플 최고 기록이 39단인데, 38단을 뱀점화기와 불새 보주로 장비를 교체하고 돌아본 결과 확실히 체력이 덜 깎인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단은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는 것 같은데요,
1-1) 고레벨 (67-70)에서 활력당 추가되는 체력 수치가 증가했습니다. 강인함을 보자면 패치 전에는 풀버프시 150만 정도였는데, 지금은 170만 정도로 늘었습니다.
1-2) 레벨 당 몹들의 공격력이 약화되었습니다 (패치 참조). 원래 같으면 한두대맞고 화면이 빨개지며 도움이 필요해를 외쳤어야 했으나, 지금은 두세대 맞는 정도로는 전체 체력의 절반 정도도 깎이지 않네요. 체감하건데 대략 5, 6단 정도는 난이도가 내려간 것 같습니다 (몹 공격력 기준). 하지만 체력은 패치 내용에도 언급이 없는 것을 볼 때 그대로인 것 같네요. 나름 상향되었다는 히드라를 위해 중급 뱀점+공속 장비+트리플 테테를 둘둘 장비하고 대균열에 도전하였으나, 예전 하급 용광로 가지고 다니던 시절과 클리어 시간이 거의 비슷하네요 (고통받는 법사 ㅜㅜ).

2) 도관의 수정관 너프
예전에는 도관의 수정관 버프를 받으면 그냥 다니면서 몹 학살이 되는 수준이었으나, 지금은 과장해서 말하면 잘듣는 독의 보석 도트 대미지 추가 된 정도 외의 효과가 없는 정도였습니다. 패치를 보면 무기 공격력에 비례해서 도관 공격력이 변화한다고 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바람직한 패치인 것 같습니다. 대균열 고단 성공이 순전히 도관/몹/맵에만 좌우하던 과거에 비하면요...

제가 보기에 1), 2)를 고려하면 며칠 내에 현 대균열 순위가 대폭 바뀔거라는 예감이 듭니다.

3) 고대 전설템 추가
고대 전설 자체는 일반 전설과 비슷한 노란 기둥으로 드랍되고, 일반 전설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예를 들어 용광로의 고대 전설 버전인 고대 용광로). 고대 전설템은 해당하는 일반 전설과 비교해볼 때 차이점이
1) 무기일 경우 더 높은 무기 공격력 (+30% 정도?)
2) 모든 장비의 경우 높은 주 스탯 (+30% 정도?), 예를 들어 오늘 고대 목걸이를 하나 주웠는데 지능이 900 넘게 붙더군요.
3) 공속, 극확, 극피, 속피의 경우 영향 없음.
고로 요약하자면 무기와 주스탯이 붙는 장비들의 경우에는 고대템을 먹으면 도움이 될 것 같고, 주스탯 지우고 쌍극/트리플+홈으로 가는 추세인 목걸이나 반지들의 경우에는 고대템을 먹는 것이 의미가 없겠더라구요. 그래서 패치 전에도 반지들은 계속 갬블을 했으나... 흑흑.

여기서 재미있는 것이 제작으로도 고대 전설템을 만들 수 있다는 건데요, 지금 현재 각 직업에게 중요한 코어 전설템 (예를 들어 용광로)를 갖고 있다고 해도, 무기 공격력과 주스탯 높은 고대 전설템을 제작하면 현재 무기보다 좋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 같습니다. 제작으로 만들 수 없는 전설의 경우 고대 전설템은 굉장히 낮은 확률로 떨어진다고 하니, 지금 아이템에 만족하지 못하신 경우 고대 전설템을 제작하시면 더 좋은 급의 고대 전설을 먹지 않는 이상 플레이가 수월할 듯 하네요...

4) 직업 별 변화
4-1) 악사
습격사의 헌신 세트가 대폭 변경되었고 예전처럼 자동 쇠뇌를 깔아놓고 다니는 플레이가 아닌 능동적인 플레이가 강요된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 되겠는데요... 딜을 더 올라갔다는 말들이 있네요. 저는 아는 사람이 없이 팟플을 못하고 있는지라 제대로 해보지는 못했습니다...
그리고 한 몇 개월동안 핫 하던 구상 악사가 관으로 들어갔습니다. 5막 큐브런하면서 몇 개 모은 덫 지옥들은 이제 창고행으로...
4-2) 부두
현재 팟플의 핵심인 공포 부두는 여전한 것 같고, 무한 메즈가 전혀 변경 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팟플에서의 위상은 그대로일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상족이 부두를 따라 독침을 쏘게 하는 전설템 악의 탈이 변경되면서 우상족 독침이 독침 기술 피해를 따라가게 되었는데요 (팟플 기준으로 우상족 한 명 당 5천만 - 1억까지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네요). 저는 악의 탈이 없으니... 독침 부두는 좋겠네요...
4-3) 법사
히드라 대미지가 약화된 대신 공속이 빨라지고 또한 이게 플레이어 공속을 따라간다는 말을 듣고 플레이해봤는데요, 유의미한 차이는 느껴지고  좀 더 다듬으면 기존의 용광로 플레이보다 좋을 '수'도 있을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상급 용광로에는 따라갈지 모르겠네요.
다만 팟플에서는 현재 파열히드라+뱀점 법사가 최고 딜을 뽑는 빌드기 때문에 어느 정도 딜이 올라가지 않을까 싶네요. 하지만 패치가 된들 법사를 대균열 파티에 끼워줄지 모르겠네요, 고통받는 법사 ㅜㅜ

5) 새 장비
5-1) 아리스의 후광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38&l=507923
효과는 10% 체력 감소시 서릿발 시전, 얼갑의 근접 대미지 감소 효과 증가인데요, 위 링크 동영상을 보면 조건이 어느 정도 괜찮아 서릿발이 자주 발동되는 것 같고, 면역 목걸이랑도 호환된다고 하니 메즈 용으로 팟플을 가는 용도는... 공포 부두처럼 무한 메즈를 거는 것도 아니니 무리인 것 같고, 에폭법사 용으로 유용할 수도 있겠네요. 일단 하나 먹어보면 해보겠습니다.
그 외 악사, 성전사 추가 장비나, 부두, 야만, 수도 변경 장비는 경험이 얕아서 언급하기가 어렵네요. 죄송합니다...

6) 기타 사항으로 고블린이 미니맵에 좀 더 이쁘게 표시된다는 점이 있었고요.

결론을 보자면, 직업 간 불균형은 별로 바뀌지 않은 것 같고, 큰 차이라면 관짝에 들어간 레코르 야만 법사와 구상 악사 (그래도 일단 화습 악사가 있으니...), 그리고 대균열 난이도가 좀 더 좋게 변했다는 정도인 것 같습니다. 고대전설템의 존재 자체는 나쁘지 않은 것 같고요, 제작으로도 일정 확률로 고대 전설을 만들 수 있다고 하니 다음 주에 바쁜 일을 끝내는 대로 시도해보고자 합니다...

그럼 모두 즐겁게 디아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리미
15/01/14 12:36
수정 아이콘
악사의 경우 습격셋이 변하면서 테테가 쓰레기템이 되어버렸죠 자쇠가 더이상 공속 영향을 받아서 증오소모기를 쓰지는 않으니까요

다만 습격6셋의 효과와 자쇠가 본체의 증오소모기를 따라서 쓰기때문에 전보다 순간적인 폭딜은 좋아진 느낌입니다
Andromath
15/01/14 12:42
수정 아이콘
오...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민첩 테테를 먹은 적이 없어 다행이었습니다 ㅜㅜ
그럼 악사 고유 공속이랑 자감이 중요하겠네요. 테테를 빼고 대신 다른 장갑을 넣고 (습격자 장갑?), 그러면 왕실 끼면 장비가 하나 비네요. 그럼 이제 대신 실추를 차려나요?
하르피온
15/01/14 13:31
수정 아이콘
생각날때마다 가끔하는유저인데
북미도 최근에 만들어서 야만만렙, 부두 60정도입니다 크크 정복자는 35인가.
골드가딸려서 축제자 노려보고있는데 잘 안뜨네요
Andromath
15/01/14 13:38
수정 아이콘
제가 정렙 400가까이 먹을 동안 고블린런하면서 고블린만 한 천 마리 잡았던 것 같은데 안 나왔었습니다 ㅜㅜ 그러다가 2주일 전에 나왔네요^^
화이팅입니다.
15/01/14 17:19
수정 아이콘
보통이나 고행1~2로 하면 느낌상 더 잘뜨더군요.
특히 보통에서 잘 뜨는 것 같습니다.
15/01/14 13:32
수정 아이콘
아아 어제자로 습격셋을 맞췄는데....
Andromath
15/01/14 13:37
수정 아이콘
습격셋 자체는 아직 유효하니 잘 맞추신 겁니다~ 왜려 드랍율 극악인 테테가 필수템이 아니게 되었으니 템 맞추시기는 더 편하실거에요. 실추는 호라드림 상자에서 나오고 사신 손목은 제작템이니까요.
세상의빛
15/01/14 14:11
수정 아이콘
공포부두가 하고 싶어서 쿠크리가 먹고 싶어서...
흑흑 정말 꿈크리네요 정복자렙 600 될 때까지 구경도 못했습니다.
하아 부두 접어야 하나 봐요.

수도사는 뉘우치는 방의 가락지까지 포함해서 모든 템이 다 있는데
이번 시즌 2에서 꽤 좋다고 해서 기대 중입니다.

이 캐릭 나빠지면 저거 하고 이런식으로 해서 제대로 된 캐릭은 없는데요.
매일 퇴근 후면 이 게임하고 있습니다.
균열 2번 대균열 1번 이런 식으로 짧게 하기에는 디아만한 것이 없어서요.
Andromath
15/01/14 16:29
수정 아이콘
그런 것 같습니다. 사실 균열 몇 판 도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도 아니고 나오는 보상이 확실하니 라이트하게 즐기기에는 좋은 컨텐츠인 것 같아요.
배글이
15/01/14 15:26
수정 아이콘
부두하는 입장에선 별로 달라진게 없으니.. 복귀의욕이 막 불타지는 않네요..
아직 하고 있는 친구들이 있으니 다시 접해보긴 하겠는데..
악사가 딜을 얼마정도 할수 있느냐가 관건이겠네요
법사하는 제 친구는 과연 패치후에 파티에 낄수 있을지가 자기한텐 제일 중요하다고하네요 크
42단이었나 43단이었나 아무튼 50위안에 들어가는 친구인데도 이런걱정을 하는거보면 직업간 불균형이 심합니다
부두같은 경우도 공부 없었으면 파티에 낄 엄두도 못냈을테구요
딜러는 악사로 통일! 분위기니..
저도 100위안에는 들었었는데 그떄가 39층이었으니.. 지금은 몇층일지 모르겠지만요
각 직업마다 역활이 있다지만 탱커란게 의미가 없는 디아이니 딜러가와 메즈 둘뿐인데
메즈는 공부와 성전 나머지 딜러자리를 두고 피터지게 싸우니 뭔가 변화가 있어야할듯 합니다
Andromath
15/01/14 16:26
수정 아이콘
사실 패치 방향을 보면 어떤 식으로 대균열 파티가 구성되는지는 제작진에서도 아는 것 같긴 한데요... 그래도 존재하는 상대적인 격차라는게 큰 이유인 것 같습니다.
일단 법사 상향 목록을 보면 전부 히드라 관련이었고, 이걸 보면 대균열에서 딜러가 어떻게 딜을 넣는지에 대해 인식을 하는 것 같긴 합니다 (자쇠, 소환수 등등).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사가 너무 세네요...
공부때문에 딜러가 강인함을 생각할 필요가 없어지니 순수딜로 따지면 악사를 따라올 직업이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법사가 그렇다고 생존이 강하느냐면 그것도 아니고... 연막 기민함이랑 불안정 불새부활 비교하면 눈물만 납니다 ㅜㅜ
결론은 딜과 생존 모두 법사가 악사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상 답이 없을 것 같아요.
15/01/14 16:14
수정 아이콘
레코르 관짝행인가요???? ㅠㅠ
진짜 레코르만큼 재밌는게 없었는데....
Andromath
15/01/14 16:17
수정 아이콘
아주 관짝은 아닌데 예전 레코르 야만이 솔플 52단까지 돌고 했던 시기보다는 많이 너프되었다는 것 같습니다.
15/01/14 17:02
수정 아이콘
일단 고대 전설도 노려야겠군요.. 일단 악사입장에서 제작템으로 따지면 고대 비전 미늘을 노려야 하지만요.
Andromath
15/01/14 17:30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오늘 영혼 20가량 써서 초토화 고대 전설 3개 정도 제작했는데 하나는 아주 쓸 만한 것이 나왔습니다. 라말이 없어서 그냥 홈 마부했는데 쓰고 있던 하급 용광로 무공 3300짜리보다 DPS가 15%는 더 나오네요. 그리고 고대 전설 확률이 그렇게 낮지 않은 것 같습니다, 대략 6-7개에 한 개 정도? 악사라면 비전 미늘 노리셔야겠네요.
q평e평r평q평e
15/01/14 19:10
수정 아이콘
테섭 4인 랭킹 1등 먹어봤었는데.. 사실 고대전설나오는거 제외하고는 이전이랑 다를게 없어서....

레코르바바 너프되기전에 접었었는데 어떻게 패치되든 공부 무한메즈를 안건드리는 이상 플레이패턴에는 크게 변화 없을겁니다.

그리고 도관이 너프되었다해도, 4인기준 62단 이상 플레이해야하는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도관이 있길 바랄수밖에 없습니다. 다른 수정탑은 나와도 딜에 한계가 있어요. 시험은 4인보다 성전+2악사 3인팟이 더 고단석 뽑기에 좋구요.
15/01/15 13:48
수정 아이콘
지금 디아하시는분들은 다 시즌리셋 때문에 하시는거죠?
제가 운도 좀 좋았긴 하지만 많이 하기도 해서 시즌제 적용되기전에
진짜 전 캐릭 전 셋트 전 전설템 다 먹어놨어서(대부분 다 최상급)
솔직히 파밍할게 없어져서 남들 쩔만 다니다가 접었는데
(캐릭터도 슬롯 빈 자리 없이 다 만랩으로 가득 채워놨었음;;
또 지금은 구할수 없는 구 시리즈 템도 다 있고요;)

지금 다시해도 큰 재미를 못느끼겠죠? 아니면 시즌제로 들어가서
멘땅에 해딩하면 재미있을려나요? 파밍게임인데 파밍을 다해놔서
할게 없었는데....... 매 시즌마다 멘땅으로 하시는 분들이 많나요?
아니면 그냥 일반으로 하시는 분들이 많나요?
세상의빛
15/01/15 16:08
수정 아이콘
시즌1은 성전사의 규탄 방패를 제외하면 시즌 전용 드랍 아이템이 일반 게임보다 장점이 거의 없었습니다
시즌2는 시즌 전용 전설 보석, 시즌 전용 전설템이 늘어서 시즌을 하는 맛이 날 거라고 예상합니다

올케릭 코어템 그것도 최상급으로 다 있으시다니 부럽군요 오늘 패치되었으니까 고대 전설템을 노리고 다시 파밍하시는 것은 어떨지요. 같이 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668 [기타] T1 북미 발로란트팀 로스터에 CS:GO 승부조작 멤버가 포함 [25] 실제상황입니다10753 20/06/11 10753 0
68202 [기타] 발로란트, 유럽/북미 클로즈베타 시작 [14] 비역슨9748 20/04/08 9748 1
68130 [기타] 발로란트, 4월7일 북미/유럽 제한적 클베 시작 [39] 마빠이9718 20/03/31 9718 0
64890 [기타] 2018년 북미 & 일본 패키지 게임 판매 순위 [16] Leeka5995 19/01/17 5995 0
64855 북미 2018년 비디오게임 판매 차트 TOP 10 [51] Leeka8057 19/01/07 8057 0
64854 2018 북미 아마존, 비디오게임 부분 판매순위 [25] Leeka5329 19/01/02 5329 0
64477 [LOL] 북미 유럽 롤스타전 최종 득표 결과.jpg [40] MystericWonder10746 18/10/25 10746 0
60920 [히어로즈] 히어로즈 오브 더 돔 : 북미 대학생들의 히오스 도전기 [13] 은하관제10069 17/03/12 10069 0
59902 [기타] 북미 지역 e스포츠 협회가 설립되었습니다. [18] 성수6606 16/09/10 6606 2
58764 [히어로즈] 북미 글로벌 챔피언쉽 대표 선발전 리뷰 [14] OPrime5644 16/02/29 5644 4
56841 [히어로즈] 북미 패치노트가 공개되었습니다. [11] Leeka6062 15/05/13 6062 0
56038 [디아3] 북미 2.1.2 패치 경험담 [18] Andromath8747 15/01/14 8747 0
56034 [히어로즈] 히어로즈 북미 패치노트 부분 번역 [18] Leeka6909 15/01/14 6909 2
55775 [히어로즈] 북미에 제이나 추가 및 벨런스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35] Leeka6362 14/12/03 6362 0
55415 [기타] 플스4. 북미 NPD 9월 대 기록 달성 [19] Leeka6141 14/10/17 6141 0
54509 [기타] 북미게임이 한국에서 성공하기 어려운 이유는? [38] 진자임7828 14/06/29 7828 1
52828 [기타] 북미 매체가 뽑은 역대 e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선수 TOP 10 [19] 김치찌개9958 13/11/23 9958 0
50703 [기타] IPL6 취소를 통해 살펴본 북미 e-Sports 씬의 현 주소 (본문 수정) [39] dopeLgangER13505 13/03/03 13505 23
49557 [LOL] 북미 서버 프리시즌 공식 패치 노트 공개 [49] AirQuick8587 12/12/04 8587 1
49362 LOL 시즌3 패치 북미 PBE 적용 [68] Leeka8210 12/11/16 8210 0
49200 북미에서 프로의 본 모습을 보여준 막눈 선수 [72] 체념토스8645 12/11/05 8645 0
49173 [LOL] 북미지역 시즌3 배틀 아레나 일정 발표 [19] 마빠이7164 12/11/03 7164 0
48772 [LOL] 북미에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었네요 - Honor 시스템 [24] DEICIDE7635 12/10/02 763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