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11/19 19:07:34
Name Black Garnet
Subject [LOL] LOL Champions Korea Spring 2015 시드 선발전 간단한 미리보기
시드 선발전에 출전하는 4팀을 SWOT기법을 사용해 간단히 분석해보았습니다. 경기 진행 순서에 따라 기재하겠습니다.

※ SWOT는 네 단어의 줄임말을 합성한 것인데, 각각 [Strength - 강점 / Weakness - 약점 / Opportunity - 기회 / Threatness - 위협]을 의미합니다. 이 글에서는 [S - 현재의 강점 / W - 현재의 약점 / O - 진출 시 얻을 수 있는 기회 / T - 탈락 시 받게 되는 위협]으로 정의하겠습니다.

------------------------------------------------------------------------------
● Incredible Miracle
S - 전통과 역사가 있는 팀. 출전 팀 중 가장 노련한 코칭스태프 및 정신적 지주를 보유한 팀.
W - 원래 자기 것이어야 했던 스프링 시즌 시드를 잃어버린 상실감.
O - 시드 선발전 통과를 통해 지난 시즌의 한끗 차이 전력을 조금 더 다듬을 수 있는 동기부여 형성.
T - 명가의 자존심에 금이 갈 수 있다.
기타 - 팀원 구성이 변하지 않은 유이한 팀 중 하나.

● Xenics ModsLook
S - 시드 선발전 1차 예선에서 유력한 경쟁자 중 하나로 꼽히던 Quvic을 꺾고 합류한 팀.
W - 시드 선발전 출전 팀 중 가장 적은 오프라인 경험. (14 섬머 오프라인 2차 예선이 유일함)
O - 그동안 잊혀졌던 제닉스라는 이름을 다시 빛낼 수 있는 기회. 조금 늦긴 했지만, 재창단 효과를 다시 볼 수도 있다.
T - 팀 결성 후 1년동안 방송경기를 못하게 되면서 오는 의욕상실.
기타 - 팀원 구성이 변하지 않은 유이한 팀 중 하나.

● HUYA
S - 개인 커리어나 인지도만 보면 가장 쟁쟁한 선수들. (인지도 측면에서 그나마 비슷한 건 IM의 라일락 정도...?)
W - 팀을 후원하는 스폰서인 GE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부정적 시선.
O - 구 나진 + IM 팬덤의 일부를 끌어올 수 있다.
T - 당장의 롤챔스 진출만을 바라보고 창단했다면, 14 섬머 당시 Team AfreecaTV의 전철(NLB에서의 전력 이탈 이후 해체)을 밟게 될 수 있다.

● Prime ITENJOY
S - 舊 IM 1팀의 멤버 4명이 들어갔다.(수정) 한 시즌이긴 해도 어느 정도의 무대 경험은 쌓였다.
W - 舊 IM 1팀 4명(수정)과 다른 멤버가 어느 정도 융화되느냐가 관건.
O - 스타2 프로리그에서 만들어진(수정) 최약체 이미지를 LOL판에서 깰 기회를 얻게 된다.
T - 스타2 프로리그에서 만들어진(수정) 최약체 이미지가 구단 전체로 확장된다.
기타 - 기존에 있던 멤버 전원이 교체되었다.

------------------------------------------------------------------------------------------------------
T 부분은 대체적으로 겹치는지라 잘 쓰질 못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헤나투
14/11/19 19:42
수정 아이콘
멤버 개개인의 능력치만 보면 huya와 다른팀간의 차이가 꽤 나는거 같아요. 하지만 호흡을 맞춘기간 차이가 커서 모르겠네요.
오랜만의 방송경기니만큼 누가이기든 꿀잼 경기 나왔으면 좋겠네요.
14/11/19 19:49
수정 아이콘
프레이 기대합니다. 파랑이즈가 보고 싶네요. 흐흐
코우사카 호노카
14/11/19 20:00
수정 아이콘
큐빅... 후원받던데 떨어졌나보군요 ㅠㅠ
최종병기캐리어
14/11/19 20:13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컴터 압수 사태, 식비충당도 어려운 재정상황 등... 정상적인 연습이 불가능했으리라고 봅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4/11/19 20:12
수정 아이콘
분석이 뭔가 애매하네요....S-W는 그 팀의 내적인 강/약점으로 선수들의 기량을 가지고 판단해야할듯하며, O-T는 팀의 외적인 장/단점으로 선수의 기량 외적인 것들을 평가해야할듯합니다.

예를 들어, S는 강력한 탑라이너와 미드라이너, W는 약한 봇라인... 이런식으로 분석하고, O는 안정적인 팀상태 / 강력한 코칭스태프 / 팀의 멤버십 우수 등이 있을 것이며, T는 급조된 팀이라 호흡문제 / 팀의 재정상태가 불안한 상황 / 동기부여 어려움 등등이 있겠지요....

본문에서 쓰신 OT는 기대효과 정도로 봐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Black Garnet
14/11/20 07:01
수정 아이콘
솔직히 SW까지는 어떻게 쓸 수 있을거 같은데, OT는 너무나 애매합니다. 각 구단별로 겹치는 상황이이 좀 많고...
보기 미숙하셨다면 사과드립니다.
14/11/19 20:20
수정 아이콘
프라임이 라스베가스에서 5천명 모아놓고 스타테일 이길때만해도 이런일은 상상도 못했는데...
강타선 가졌던 한화팬들 지금 심정이 이런걸까요
과학도서관
14/11/19 21:08
수정 아이콘
스타테일과 프라임이 양립하던 시기가 있었나요? ;;
14/11/19 21:13
수정 아이콘
http://www.gomtv.com/543001

GSTL 결승전에서 맞붙었습니다
과학도서관
14/11/19 21:19
수정 아이콘
아... 스투 이야기였군요.
14/11/19 21:21
수정 아이콘
위에서 스2종목에서의 최약체 이미지라고 했으니까요...
Black Garnet
14/11/20 07:01
수정 아이콘
정확히 말하면 스2 프로리그 한정이라고 말씀드려야되는데...
급하게 쓰다보니 실수했습니다. 죄송합니다.
14/11/20 09:33
수정 아이콘
뭐 약체이미지가 틀린말은 아니니까요. 사과하실필요 없는거같아요
호호아저씨
14/11/19 20:46
수정 아이콘
프라임팀의 잘못된정보는 IM팀3명이아니라 4명이에요 (스머프, Thy, 보리 그리고 서브였던 하봄[당시아이디 Joon])
Black Garnet
14/11/20 07:02
수정 아이콘
하봄이 서브멤버인줄 몰랐습니다. 수정하겠습니다.
14/11/19 22:32
수정 아이콘
IM 미드라이너 Frozen 선수랑 HUYA팀이 기대됩니다.
14/11/20 02:34
수정 아이콘
여기서 swot을 보게될줄은 몰랐습니다.
피들스틱
14/11/20 07:07
수정 아이콘
좀 낡았죠
반갑긴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525 [LOL] 라일락 전호진 KT 코치로 합류 [25] SAS Tony Parker 15079 23/01/05 15079 2
75916 [LOL] 이제 제 마음속 역체팀이 되어버린 2022년 DRX [21] 통피9491 22/11/06 9491 11
73669 [LOL] 2022 LCK CL에 나타난 라일락의 의지를 잇는 자 [5] 삭제됨9397 22/02/14 9397 0
73413 [LOL] 강퀴, 라일락이 푼 와xx 자낳대 내전 괴담 [56] 다크서클팬더16853 22/01/07 16853 4
72412 [LOL] 투신이 뽑은 최고의 동료선수들 [11] carpedieem14291 21/09/22 14291 0
69994 [LOL] 역대 한국 서버 솔랭 1위 [31] 반니스텔루이16472 20/11/10 16472 0
64879 [LOL] “내가 SKT T1의 팬이 된 계기, 나의 12~16 롤 e스포츠 관람기” [4] 야다시말해봐 4088 19/01/16 4088 0
62235 [LOL] 롱주는 어떻게 강팀이 됐나 [204] Dunn19370 17/10/18 19370 21
61673 [LOL] INCREDIBLE MIRACLE, 롱주 게이밍 [54] 포온8666 17/07/22 8666 11
61143 [LOL] LSPL 결승전, 그리고 라일락 이야기 [65] 셰리10136 17/04/15 10136 35
60404 [LOL] 롤드컵 진출팀 위주의 LCS 리뷰 - 북미편- [9] 후추통11074 16/11/28 11074 4
59708 [LOL] 잊지 말아요. [13] 웨이P8137 16/08/06 8137 13
59383 [LOL] 롱주의 부진에 대하여 [92] 이에니카엨챸탘놐11134 16/06/08 11134 15
57150 [LOL] 롱주-IM에게 희망은 있는가 [78] 피아니시모12746 15/06/26 12746 7
56572 [LOL] 라일락이 죽는동안 - 나진 대 IM 1세트 [13] 피아니시모7916 15/03/29 7916 2
56466 [LOL] 성장이 멈춰버린 롤챔피언스 코리아 [91] 다레니안10389 15/03/15 10389 5
56308 [LOL] e스포츠 선수생명 연장하기 [42] 중서한교초천10135 15/02/16 10135 2
56267 [LOL] CJ vs IM 1경기 럼블 궁관련해서 버그가 아닌가 하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49] 아사9924 15/02/12 9924 3
55692 [LOL] LOL Champions Korea Spring 2015 시드 선발전 간단한 미리보기 [18] Black Garnet8067 14/11/19 8067 1
55501 [LOL] 개편안을 보고 짜보는 각 팀 Roster 예상 [44] 최종병기캐리어8619 14/10/28 8619 0
54993 [LOL] 타임머신을 타고 보는 작년 스프링 결승 이야기. [21] Leeka6141 14/08/27 6141 0
54831 [LOL] 롤챔스에 남아있거나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기록들. [7] Leeka5797 14/08/05 5797 0
54657 [LOL] a lilac, IM [44] 모모리9580 14/07/14 9580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