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9/01 23:40:13
Name Leeka
Subject [하스스톤] 한중 마스터즈 시즌2 1일차 간략한 후기
- 좋아진 점.

: 덱 구성 보여주는 화면 / 덱 카운팅 중간에 보여주는 화면

: 중간에 박태민 해설로 넘겨서 흐름이 끊기던 부분이 없어진 점.


- 낙스 시대가 오면서 더 불편해진 점

: 과학자로 중국 선수가 비밀 뽑았을 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음..
(정보 전달이 쉽진 않겠지만 관련 부분 같이 고려를...)


- 여전히 안좋은 점.

: 5명이나 되니깐 여전히 집중이 된다기보단 분산되는 기분.

: 경기 시작 전 / 경기가 다 끝난 뒤 인터뷰는 괜찮지만
경기 도중 인터뷰는 안했으면..

정말 할 말이 없다면 선수들의 덱이라도 다시 보여주면서 중요 포인트 설명이라도 해주는게 맞지 않을지..


: 해설진이 여전히 놓치는게 너무 많음..
* 이건 HCC나 인벤 한중마 선발전하고 비교하면 차이가 상당히 심함..

하스스톤은 그 특성상 해설진들이 빠른 시간내에 선수의 여러가지 수에 대해서 이야기도 해줘야 하고.
어떤 수를 택하면 '왜 그 수를 택했는지 설명을 해줘서 시청자들을 이해' 시켜주는게 필요한데. 그게 너무 느린것 같음..



- 경기의 전체적인 평.

: 레니아워 선수가 스스로 말하긴 했지만. 실수는 있었으나 '분석하고 준비한 덱' 의 위엄이랄까
서로 확실하게 주고 받으면서 멋진 경기가 나왔고
전체적인 경기 내용에 대해서 곱씹어 볼 수 있어서 좋았음.

레니아워 선수 승리 인터뷰 :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17531&site=hs

: 오솔길 선수는 아쉬운게 너무 많아서....  
'선택지가 대충 4~5가지가 순간적으로 보였다면'..

물론 관전하는 쪽은 '상대 선수의 패까지 다 본 채로' 수를 생각하기 때문에 더 좋은 수를 생각할 확률이 높긴 하지만.
그 선택지 중에서도 정말 안좋은 수를 너무 자주 고른 점과
상대의 덱을 카운터 치는 방법이 많이 아쉬웠던..


오솔길 선수가 직접 올린 경기 후기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509&l=274036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스도사
14/09/01 23:4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점점 나아지는 모습이 보이는 거같아 좋더군요.

아쉬운 부분이 없지는 않지만 점점 나아질꺼라 믿습니다.
미움의제국
14/09/01 23:46
수정 아이콘
선택할 수 있는 플레이는 좀 간결히 설명하고, 해설자가 추천하는 플레이는 좀 자신감 있게, 플레이 후 후속 해설은 좀 상세하고 깊이있게

...하려면 해설자가 게임을 좀 많이 잘 알아야 된다고 봅니다...

지금 해설진이 발전하는건 한계가 있다고 봐요


선출은 못되도 게임을 좀 많이 잘하는 해설을 구해야죠
14/09/01 23:51
수정 아이콘
사실 김정민하고 박태민 해설이 겜을 못한다고 생각하는건 또 아니다보니 더 미묘하네요....

두분 다 방송 하는거 보면 겜 이해도가 그렇게 낮다고 생각되진 않는데..
미움의제국
14/09/01 23:54
수정 아이콘
박, 김 중 한명은 서브로 들어가도 상관 없다고 봅니다. 짬밥은 무시 못할 테니까요.

근데 방송 하는 선수라면 그 선수 습관까지 줄줄꿰는 완전 하스스톤의 달인 해설 하나는 있어야 된다고 봐요. 말빨 구린거야 캐스터랑 서브해설자가 받아서 다시 풀어주고 하면 되는거구요

믿을구석이 생기면 박, 김도 덩달아 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그들의 본모습이 아니잖아요.
단지날드
14/09/01 23:47
수정 아이콘
인벤보다가 온게임넷 하스스톤 제대로 본건 오늘이 처음이었는데 진짜 차이가 좀 심하게 나더군요;; 해설의 디테일도 문제지만 전문적인 캐스터를 한명두고 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김정민 해설이 약간 캐스터롤까지 겸하시는거 같은데 itv시절부터 봤지만 김정민 해설이 게임중계 그렇게 못하는거 처음봤어요;;

그리고 오늘 이긴 레니아워 선수경기하는거 인벤서부터 몇경기 봤는데 뭐랄까 판단하고 결정하는 스피드가 빨라서 그런건지 그냥 카드게임인데도 플레이에서 호쾌하다고 해야하나 그런게 느껴져서 상당히 매력적인 선수인거 같아요
빡인유케이
14/09/01 23:47
수정 아이콘
일부는 공감하고 일부는 다른 의견이네요.
무대 연출때문에 5명의 인력이 들어가는데 굳이 그만큼이나 필요할까 싶네요. 그래도 중계진 조합이나 경기 보는 것 자체는 그래도 저번보다는 조오금이나마 나아진 것 같습니다. 덱 카운팅 보여주는 시도는 신선하기는 했는데 그냥 중계진 멘트 한마디로 듣는게 훨씬 깔끔하고 이해도 편할 것 같네요.

그와는 별개로 항상 좋은 글들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야기 할 공간도 생기고 보지 못하는 부분, 생각하지 않은 부분까지 얻어가게 되어서 더욱 즐겁게 게임을 즐길수 있는 것 같아요. ^^
14/09/01 23:50
수정 아이콘
덱 카운팅이 괜찮다고 느낀건.
오늘 경기에서도 드루가 물정에게 얻어맞고 나서. 법사 막타를 뭘로 칠수 있느냐? 가 관건이였는데

그때 카운팅을 잠시 보여주니 갓둘, 노루, 발드, 자군. 드루의 즉발 공격 카드 4종류의 카운팅 + 남은 장수 해서
드루가 막타를 실제 칠 확률 같은게 빠르게 잡히는게 좋더군요..

(현실은 법사는 얼방이 뽑혔고 + 드루는 누누가 뽑혀서 갓드로 + 망드로가 합쳐지면서 끝났지만..)
14/09/02 00:46
수정 아이콘
저는 덱 카운팅 꽤 좋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하고 봤어요
뭔가 단순한 드로우 운이 아닌 확률을 확인하기 더 좋은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물론 해설에서는 아쉬운 점이 좀 보였어요
박태민 해설과 김정민 해설이 역할이 좀 겹쳐보인다고 해야 하나... 게다가 김정민 해설은 캐스터 역할까지 하시다보니 뭔가 역할이 애매하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네요. 개인적으로는 역할 분담을 확실하게 해서 김정민 해설은 아애 캐스터 역할을 전담 하시고 박태민 해설이 좀 더 자세한 킬각이나 요소들을 봐주는 게 더 좋아보입니다.
꿈꾸는사나이
14/09/01 23:54
수정 아이콘
밴 시스템은 없더라도 준비해오는 덱수는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보입니다.
9개나 준비해오기 때문에 카운터를 잘치면 첫 경기 승리한 사람이 너무 유리합니다.
14/09/02 00:25
수정 아이콘
지난시즌에 덱 숫자를 조절했더니 -.-;

4:0, 4:1, 4:0.. 시리즈물의 향연이 되는 바람에........ 변한거 아닌가 싶긴 하네요

꿈꾸는사나이님 말대로 덱 허용 숫자가 많아질수록 카운터 치기 쉬워져서 1경기 승자가 유리해지는건 맞는데
반대급부로 서로 카운터를 치기 때문에 다양하게 준비를 잘한사람이 좋아지는 점 + 일방적인 스코어가 잘 안나온다는 장점 도 있긴 해서..
저그인
14/09/02 00:33
수정 아이콘
과학자가 죽메로 걸어주는 비밀은 인벤방송도 선수가 확인하기까지는 알 수가 없더군요. 화면 전환할 때 이미 해당 선수는 비밀을 확인한 후 더군요. 이 점은 하루빨리 관전모드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덱카운팅은 좋았습니다. 안 나온 카드를 알 수 있어서 재미있었습니다.

여전히 남아있는 숙제는 결국 해설이죠... 3인체제로 저번보다는 나아졌지만 아직도 뭔가 산만한 게 느꼈습니다. 특히 레니아워 선수 경기에서는 감탄사만 들은 것 같아요. 인벤 해설들은 레니아워 선수의 빠른 템포에도 잘 해설하죠. 결국 경험의 차이라 생각합니다. hcc나 한중마 선발전만 해도 하루 기본 4시간이상은 해설을 하니...온겜 해설진이 많은 연습으로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길 바랍니다.
탈리스만
14/09/02 01:00
수정 아이콘
다른것보다 해설의 전문성으로 보면 인벤이나 고블린컵에 비해 온게임넷이 떨어지는건 사실이예요.
객관적으로 보려고 해도 이건 부인할 수 없더군요.
온게임넷에서도 이를 모를리 없다고 생각합니다. 피드백도 받을 것이고, 다른 대회 시청도 할 것이라 생각하고요..
노력해주길 바랄 뿐입니다.
오늘 대회는 재미있었습니다.
14/09/02 07:38
수정 아이콘
오솔길 선수. 난투를 안 쓴 것과 개풀을 안 쓴 게 너무 아쉬웠어요. 분명 써야하는 각이었는데..
14/09/02 14:43
수정 아이콘
전 의외로 해설이 괜찮았습니다. 특히 2경기 1세트 드루 - 전사 경기할때 엄재경 해설위원이 거의 순간적으로 자군 + 야포 쓰면 몇딜인지 계산하시더라구요..
문제는 1경기였죠. 이건 이전 선수와는 전혀 다르게 너무나도 레니아워선수가 스피디해서 해설이 생각한말을 하지도 못하고 넘어가는 것 같았습니다. 그건 좀 아쉬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198 [하스스톤] 하스스톤 직업 별 파워 랭킹 + 패치 [32] Leeka6749 14/09/23 6749 0
55134 [하스스톤] 신에게는 아직 자군야포가 남아있습니다.. [15] Leeka7375 14/09/16 7375 0
55099 [하스스톤] 9/22일 벨런스 수정 사항 선 공개 [75] Leeka6268 14/09/12 6268 0
55059 [하스스톤] 낙스라마스 카드 파워랭킹 [17] Leeka7154 14/09/05 7154 0
55035 [하스스톤] 한중 마스터즈 시즌2 1일차 간략한 후기 [14] Leeka5338 14/09/01 5338 0
55029 [하스스톤] 하스스톤. 한중 마스터즈 시즌2가 9/1일 개막합니다. [14] Leeka5146 14/08/31 5146 0
54963 [하스스톤] 낙스 카드가 공개된 현재 직업별 분위기 [53] Leeka8096 14/08/21 8096 1
54955 [하스스톤] 낙스라마스 카드가 모두 적용되었습니다. [53] Leeka11435 14/08/20 11435 0
54744 [하스스톤] 씁쓸한 한중 마스터즈 [126] Leeka10299 14/07/24 10299 4
54478 [하스스톤] 낙스라마스. 7/15일 업데이트 예정(오피셜X) [23] Leeka7077 14/06/26 7077 0
54455 [하스스톤] 한중 마스터즈 16강 1회차 후기 [25] Leeka6803 14/06/22 6803 0
54341 [하스스톤] 하스스톤, 한중 마스터즈 예선전 직업 벨런스 [28] Leeka7783 14/06/02 7783 0
54269 [하스스톤] 가이드 - 하스스톤의 주요 자원들 [17] Leeka7023 14/05/23 7023 0
54212 [하스스톤] 하스스톤 5월 파워랭킹 발표. [23] Leeka8802 14/05/15 8802 0
54172 [하스스톤] 하스스톤 개풀 너프 및 기타 버그수정 패치 적용 [17] Leeka9330 14/05/10 9330 0
54151 [하스스톤] 하스스톤 현 밸런스 이야기 [40] Leeka9983 14/05/07 9983 1
54145 [하스스톤] 개들을 풀어라, 다음 패치 너프 확정 [45] Leeka10743 14/05/07 10743 0
54124 [하스스톤] 하스스톤에 존재하는. 완벽한 상위호환 카드들 [43] Leeka10057 14/05/03 10057 1
54101 [하스스톤] 낙스라마스의 저주. 공개된 카드 7장 이야기 [13] Leeka11123 14/04/30 11123 1
54076 [하스스톤] 무과금 유저는 어디까지 갈 수 있는가. [60] Leeka28700 14/04/28 28700 0
53977 [하스스톤] 하스스톤 국내 패치 히스토리. [13] Leeka9295 14/04/19 9295 0
53936 [하스스톤] 하스스톤을 즐기는 또 다른 재미. 컨셉덱들 [18] Leeka10492 14/04/15 10492 1
53932 [하스스톤] 하스스톤 인비테이셔널 1~5화 후기 [18] Leeka8760 14/04/15 876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