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5/06 12:40:40
Name 저퀴
Subject [스타2] 5~6월의 스타크래프트2 대회들
원래 매 달마다 이야기를 써볼까 했습니다만, 5월은 비교적 일정이 적은 편이라서 따로 이야기를 꾸리기가 힘들더군요. 거기다가 6월은 앞서 언급한 4월 이상으로 흥미 있는 시기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5월과 6월을 묶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그리고 이미 5월의 주요 일정은 끝난지라, 그 부분에 대해서 따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그리고 개인 대회에 대해서만 언급하므로, 프로리그나 해외의 단체 대회는 언급하지 않을 겁니다.


1. 소소한 5월의 대회들

4월은 비교적 일정이 많아서 따로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5월에는 WCS 시즌2가 진행되는 기간이라서 글로벌 티어 대회는 많이 없습니다. 2달동안 진행되는 대만의 TeSL과 이제동 선수가 우승을 차지한 Lone Star Crash 3 정도가 전부였죠.

우선 TeSL에서는 강초원 선수가 우승을 차지했는데, 아무래도 대만 선수들이 다른 지역보다 경쟁력이 약한 것도 사실이고, 기껏해야 AM 프리미어 진출 정도가 전부인 선수들인지라 강초원 선수의 강세가 예상되었죠. 그 예상대로 강초원 선수가 우승하면서 300점을 가져갔습니다. 

그리고 이제동 선수가 드디어 WCS 포인트를 우승으로 가져오는데 성공했습니다. 물론 작년에 ASUS ROG에서 우승한 적이 있습니다만, 하필 WCS 비시즌이라서 WCS에 편입된 대회가 아니었거든요. 최근 스타크래프트1 래더 관련한 이야기가 나오면서 말이 많았는데, 그래도 이렇게 우승을 차지하니 참 보기 좋습니다.

남은 대회는 TeSL의 마지막 시즌인 시즌4가 있습니다. 12명의 선수가 참여하는 대만의 대회인데요. 대부분 대만 프로게임단 소속의 선수들로 구성된 지역 대회입니다. 규모는 티어3로 크진 않습니다만, 대만에서 가장 잘하는 선수를 뽑는 대회라 할 수 있겠네요. 일정 면에서는 매우 긴데, 7월까지 진행됩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대회라서 글로벌 티어에 편입되지 않습니다만, 상금 규모가 2만 5천 달러 근처인 프랙바이트 마스터즈 2014 스프링이 있습니다. 한국 선수로는 황강호, 강민수, 김기현, 강초원, 고석현, 박지수, 장민철, 손석희 선수가 참여 중이죠. 이미 진행 중인데, 우승 상금만 1만 2천 달러 근처입니다. 오히려 우승 상금으로는 드림핵보다 높은 수준이죠.


2. WCS 시즌2의 시작

GSL이야 이미 Code S가 시작되었고, 유럽도 조 편성까지는 발표되었습니다. 아무리 글로벌 티어 대회가 있다 한들, 상금이나 점수 면에서 WCS 프리미어 대회가 압도적인 것은 당연한 만큼, 선수들의 최고 목표는 역시 이 곳일 겁니다. 그래야 글로벌 파이널을 갈테니까요.

작년에야 점수와 규모가 컸던 시즌 파이널 한 방으로 글로벌 파이널 직행을 노려볼 수 있었지만, 올해는 아니거든요. 그래서 WCS 시즌2까지 높은 점수를 받아놓은 선수는 어지간히 부진에 빠진다 해도 무난히 글로벌 파이널이 확정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3. 격전지가 될 6월

6월을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WCS 포인트 싸움의 최대 격전지라 할 수 있습니다. 무려 티어 2에 해당되는 대회가 세 번이나 열리기 때문이죠. 

첫 타자는 홈스토리컵의 9번째 시즌입니다. 독일에서 열리는 이 대회는 해설자 개인이 여는 걸로 유명한데요. 그래도 규모 면에서는 글로벌 티어2로 GSL 글로벌 토너먼트나 5월의 대회들보다 더 큰 규모입니다. 보통은 유럽의 유명 선수들을 초청하고, 각 지역 별로 예선 통과자를 모아서 진행하는 대회입니다.

두번째는 드림핵 두번째 무대, 드림핵 오픈 : 섬머입니다. 첫번째였던 부쿠레슈티에서는 이승현 선수가 우승을 차지했죠. 드림핵의 특징은 4강 안에만 들면 최종 무대인 윈터의 시드를 부여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윈터는 7만 5천 달러 규모로 글로벌 티어 1에 속할 정도로 높은 대회고요. 

마지막은 오랜만에 돌아온 MLG입니다. 이번 MLG는 의미가 남다른데요. 일단 규모 면에서 같은 티어2라 해도 MLG 쪽이 훨씬 풍성합니다. 총 상금이 4만 달러로 홈스토리컵이나 드림핵보다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별도로 한국 예선이 예정되어 있는데, 이는 다른 대회보다 프로리그를 뛰는 선수들의 참여 유도가 훨씬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원래 적극적으로 참여하던 대회이기도 했고요.

결국 WCS 프리미어와 GSL이 가장 핵심 무대겠지만, 세 무대에서 부족한 점수를 보충하는데는 충분합니다. 특히 여러 무대를 뛸 수 없는 프로리그 출전 선수들에게는 그나마 몇 안 되는 기회일테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기사도
14/05/06 12:43
수정 아이콘
6월은 스투의 달~
비참한하늘이빛나
14/05/06 15:27
수정 아이콘
기사도 해설님이 바빠질 달이겠군요~
14/05/06 22:36
수정 아이콘
기사도 해설님 오랜만에 목소리 듣고싶네요..

요즘 통 스타니 뭐니 암것도 못봐서 크크
한화99스
14/05/06 12:43
수정 아이콘
전 드림핵하는 주에 딱 유럽출장입니다!!!
시작하는 날 돌아온다는 건 함정....
치킨너겟
14/05/06 14:36
수정 아이콘
티어별로 점수를 어떻게 주는지 알수 있을까요?
14/05/06 14:40
수정 아이콘
프리미어 : 총 10500점 / 우승 2000점
티어1 : 총 7000점 / 우승 1500점
티어2 : 총 4000점 / 우승 750점
티어3 : 총 1800점 / 우승 300점
트릴비
14/05/06 15:41
수정 아이콘
MLG로 다시 스투를 볼 수 있다는게 가장 기쁘네요
파란만장
14/05/06 16:00
수정 아이콘
드릴껀 추천뿐이옵니다.
플럼굿
14/05/06 17:37
수정 아이콘
MLG 많이 기대되네요
샤르미에티미
14/05/06 18:13
수정 아이콘
6월이 재밌겠네요. MLG가 제일 기대 됩니다. WCS는 한국 잔치고 그 한국 선수들끼리 붙을 데가 해외 대회 뿐인데
막상 한국 WCS 선수들은 해외 대회를 몇 안 가고 거진 외국 WCS 선수들로 채워지니 재미가 덜 하더군요.
14/05/06 18:17
수정 아이콘
아마 시즌1의 시즌 파이널을 IEM 월드 챔피언쉽이 충족시켜 주었다면, 시즌2의 시즌 파이널의 대체품은 MLG가 될거라고 봅니다. 물론 가장 큰 변수는 잘 하는 선수들도 통과를 장담 못하는 지옥의 한국 예선이죠.
14/05/06 18:48
수정 아이콘
MLG 완전 더블엘리미네이션 볼수있었으면 좋겠는데..

MLG정말기대되네요
14/05/07 17:17
수정 아이콘
기대하셔도 됩니다. 이번 대회 방식은 각 예선으로 모은 20명의 선수로 진행되는 더블 앨리미네이션입니다.
저그인
14/05/06 21:57
수정 아이콘
mlg! 지옥같은 오픈 브라켓을 뚫고 올라오는 선수를 보고싶네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288 [LOL] LOL Masters 플레이오프 프리뷰를 가장한 치킨 이벤트 [59] SYN index7508 14/05/25 7508 1
54285 [LOL] 카드를 더 만들어온 블루. 안주한 쉴드. 결승전 후기 [76] Leeka10973 14/05/25 10973 4
54270 [LOL] 롤챔스 스프링 결승전 프리뷰 [19] Leeka7021 14/05/23 7021 1
54267 [LOL] CJ 맛밤 출동!!.. 마스터즈 준플옵 후기 [36] Leeka8104 14/05/22 8104 0
54240 [LOL] 마스터즈 플레이오프의 아쉬운 점 [37] 뫼사랑9331 14/05/18 9331 1
54236 [LOL] 노잼스 재미향상을 위한 티어 포인트 제안 [87] 당근매니아11738 14/05/17 11738 0
54225 [LOL] 리빌딩의 발표 타이밍..? [145] 아사11223 14/05/16 11223 1
54211 [LOL] 롤드컵을 위한 결전. 써킷포인트 현재 상황 [34] Leeka9584 14/05/14 9584 2
54188 [LOL] 1~4위를 가리는. 최종 혈투. 남은 롤 정규시즌 일정 [16] Leeka7905 14/05/12 7905 0
54160 [LOL] 제닉스 팀의 리빌딩이 거의 끝나가는 모양입니다. [32] Ayew9680 14/05/08 9680 1
54141 [스타2] 5~6월의 스타크래프트2 대회들 [14] 저퀴7043 14/05/06 7043 5
54131 [LOL] 마스터즈 정규시즌 종료. 마지막 차 후기 [11] Leeka9120 14/05/04 9120 1
54128 [LOL] 마스터즈 정규시즌 2위 결정전. CJ VS 삼성 [12] Leeka7781 14/05/04 7781 0
54123 [LOL] SKT T1 K. 디아블로의 재림을 꿈꾸며 [16] Lunpis10057 14/05/03 10057 5
54110 [LOL] 롤 마스터즈. 각 팀별 성적 [24] Leeka7233 14/05/02 7233 0
54100 [LOL] 삼성, 나진, CJ. 3개 구단이 싹쓸이한 스프링 시즌 [35] Leeka8651 14/04/30 8651 0
54078 [LOL] 피글렛도 태우지 못한 버스. 게임을 지배한 스위프트! [137] Leeka12779 14/04/28 12779 5
54072 [LOL] IM팀 스프링시즌 마지막 일정, 4월 27일 마스터즈 후기 [5] 헤더7629 14/04/28 7629 6
54070 [LOL] 롤 마스터즈 진출팀 확정! 리그별 4강 구도. [9] Leeka7131 14/04/27 7131 1
54067 [LOL] 나진 소드, 마스터즈까지는 기회를 줬어야 하지 않을까요. [30] 불굴의토스9067 14/04/27 9067 1
54058 [LOL] 나진 소드 경기를 보고나서.. [53] Leeka9030 14/04/27 9030 5
54052 [LOL] 올스타전전까지. 남은 한국리그 상황 [14] Leeka8388 14/04/26 8388 2
54045 [LOL] 2013 서머 결승전의 재림...KTB 팬으로서 [36] 플럼굿7329 14/04/26 732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