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4/02 16:51:25
Name 화잇밀크러버
Subject [기타] [피파3] 신규 유저를 위한 몇가지 팁(2)
전에 썼던 팁에 이어 두 번째 팁 모음 글입니다.
1에서 많이 썼던 터라 2는 적네요.
모바일 작성에 생각나는 대로 작성하여 순서가 불안정한 점 양해바랍니다.

- 볼이 매우 근접한 상태에서 C + 방향키

C버튼 설명을 본다면 공을 끌어당긴다고 적혀있습니다만 동작을 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볼이 근접해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거나 느리게 드리블하는 C드리블이 입력되었기 때문이죠.

C로 공을 당겨온 다음에 방향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연속 동작이 발동되며 이를 통해 부드럽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 볼을 소유한 상황에서 Q(방향키 미입력)

Q를 누르면 가까이 붙는 상대방의 정면을 바라보고 됩니다.
적과의 공간이 충분할 경우 Q이후 CE드리블을 하거나 C를 이용한 볼 컨트롤로 탈압박, 볼 키핑을 할 수 있습니다만
Q를 눌렀을 때 볼을 발로 누르는 선행 동작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쉬운 편이 아닙니다.

- 볼을 소유한 상황에서 E(방향키 미입력)

다가오는 상대를 등지며 어깨로 밀어냅니다.
이를 통하여 막 트래핑 했을 때 쇄도해오는 적으로부터 공을 소유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공을 소유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 선수의 반대 방향으로 드리블을 하거나 패스를 통해서 볼을 운반해주는 것이 좋죠.

- 키퍼의 볼 처리

키퍼가 공을 막거나 헤딩 백패스를 잡아냈을 때
상대 선수가 주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급하게 볼을 던지거나 차면
그 선수에게 공이 걸려서 어처구니없게 골을 내줄 때가 있습니다.
이걸 노리고 일부로 키퍼 주위를 얼쩡거리는 사람들도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골킥 상황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근처의 아군 앞에서 대기합니다.
이 상황에서 잘 못된 땅볼 패스는 골 헌납의 지름길이 되죠.
멀리 차거나 방향을 쭉 틀어서 멀리 있는 아군 선수에게 패스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멀리 차낼 경우 방향과 게이지 조절을 잘한다면 미드 쪽의 비어있는 아군 선수에게 패스가 가능합니다.

- 세트피스 수비

세트피스 상황에서 시프트+방향키를 누르면 방향키를 누른 쪽의 선수로 조종하는 선수가 바뀝니다.

프리킥 때 많은 사람들이 사람벽 너머의 골대 구석을 노려서 커브 프리킥을 시도하는데요.
이 때 선수 하나를 그 곳에 가져다 놓으면 막아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내 프리킥 때 상대가 이렇게 한다면 E로 선수를 바꿔서 그라운드 상황을 초기화 시킨 후 빠르게 차는 방법이 있습니다.)

- 외곽 슛

좋은 선수의 경우 골대에서 가까운 골 포스트 근처 코너 라인의 거의 각이 없다시피 한 곳에서 쏘는 슛이 생각보다 잘 들어갑니다.
허를 찌르는 슛이 가능한 곳이고 역으로 허를 찔릴 수도 있는 곳이죠.

- 비매너 점수

정당하지 않은 깊은 태클이나 아군 지역에서 계속 공을 돌리며 시간을 끌면 비매너 점수가 올라갑니다.
보통 +4점이 부여되는데 12점이 되면 몰수패를 하게 됩니다.

공 돌리기의 경우 논란이 많았지만 게임이고 마음먹고 돌린다면 빼앗기가 쉽지 않은 편이라
이기고 있을 때 공을 돌리는 사람도 있던지라 필요악이 되어버렸습니다.

- 컴퓨터 상대로 시간끌기

전설 난이도의 컴퓨터라도 아군 최후방에서 볼을 돌리면 강하게 압박해오지 않습니다.
컴퓨터와는 비매너 점수가 없기 때문에 한 점 차이의 어려운 승부가 나는 상태라면 공을 돌리시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리그와 컵 대회

전설 난이도의 경우 컵 대회가 더 어렵습니다.

리그는 종료시 많은 량의 감독 경험치를 받으며 컵 대회는 선수팩과 리그보다 많은 EP를 보상받습니다.

리그 후반기가 되면 선수의 스테미너 총량이 줄어듭니다.

PVP를 통해 입은 선수의 부상은 리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빠르게 회복 시킬 수 있습니다.

컵 대회의 경우 깨면 다음 대회가 열리는 것이 있습니다.(ex. 지역 투어)

컵 대회는 홈/어웨이 룰이 적용되며 결승전은 단판입니다.

- -

경기 중에 -를 누르는 것으로 조종하는 선수 위에 표기되는 것을 바꿀 수 있습니다.
보통 선수 이름과 스테미너가 같이 표시되는 것을 선호합니다.

- 동일 선수 스쿼드 등록

같은 선수라도 시즌이 다르다면 1군 스쿼드에 놓고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한 명이 선발이나 교체에 있다면 다른 시즌 선수는 후보로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제 부캐 첼시 올스타에는 09드록, 07드록, 10드록이 다 있습니다. 드멘!)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가성비 선수

09 드록바 : 10의 마이너 버젼, 그래도 드멘급 능력, 인저리 프론이 흠.
10 즐라탄 : 값싼 즐라탄. 그럼에도 즐라탄. 아쉬운 골 결정력.
10 루니 : 축구하는 루니. 피온3에서 비인기지만 피온3에서도 축구를 함.
09 캄비아소 : 사냥개 타입의 수미. 키만 컸다면 1~200만 정도 더 비쌌을 지도.
09 에시앙 : 타 시즌이 상대적으로 좋다보니 헐값.


1편에서 중요한 걸 적어서 2편은 1편보다 중요성이 떨어지네요.
수정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제보해주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4/02 16:59
수정 아이콘
09캄비 짱짱맨이죠 흐흐
화잇밀크러버
14/04/02 17:05
수정 아이콘
대머리라 가격이 싼건가라고 생각하기도 해요. 흐흐.
로마네콩티
14/04/02 17:10
수정 아이콘
전설 빼고 제일 좋은 스쿼드가 뭔지 알수 있을까요?
피온2 이후로는 안해봐서 괜히 궁금하네요 흐흐
14/04/02 17:20
수정 아이콘
강회장이 가진 스쿼드가 현재 피온3에서 가장 좋은 스쿼드일 것 같네요.
웬만한 네임드들의 은카의 향연..

단순히 가장 좋은 스쿼드라면 가장 비싼 선수들로 라인업을 구성하면 될겁니다.
하지만 피온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손가락이죠... 스쿼드는 자기 만족일 뿐.. 흑..
화잇밀크러버
14/04/02 22:15
수정 아이콘
월드 베스트를 전설로 놓아서 제외한다면
06앙리, 10드록바, 09토레스, 09즐라탄, 13호날두, 13베일
06카카, 07호나우지뉴, 13야야 투레, 08에시앙, 08제라드,
10마이콘, 06아비달, 06네스타, 07푸욜, 09키엘리니 등등
이 정도에서 취향에 따라 갈릴 것 같네요.
유경아사랑해
14/04/02 21:32
수정 아이콘
루니 좋습니다. 흐흐 저는 09루니 쓰는데 지금 70만 ep정도 하는것 같은데 600만 주고 산 토레스보다 훨씬 낫다고 느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903 [LOL] 브론즈/실버 랭크게임 점수 올리기 위한 기본적인 수칙 [38] 이성은이망극13483 14/04/11 13483 4
53900 [하스스톤] 3월 직업별 승률 지표 이야기. [21] Leeka12848 14/04/11 12848 0
53898 [LOL] SKT의 전승과 KT의 전패. 그리고 KT A의 진화. [71] Leeka13309 14/04/10 13309 0
53897 [LOL] 관전기 - SKT S를 위한 변명 (4/9 경기) [22] Gostoso!9346 14/04/10 9346 6
53896 [LOL] 오존 2주연속 1위. 13주차 파워랭킹 [42] Leeka10302 14/04/10 10302 1
53895 [LOL] 리벤지 매치. SKT K VS KT A. 마스터즈 격돌 [12] Leeka9051 14/04/10 9051 1
53894 [LOL] 으리으리한 전투력의 CLG vs TSM [24] JoyLuck11237 14/04/10 11237 1
53893 [LOL] 아쉬웠던 어제 경기 후기. [78] Leeka9734 14/04/10 9734 0
53892 [LOL] 4.5 패치 이후 프로들의 원딜 룬셋팅 [23] 감자해커13879 14/04/10 13879 5
53891 [LOL] <마스터 이> 벌꿀인가? 히말라야 석청인가? [38] Holy Cow!10508 14/04/10 10508 3
53890 [기타] [문명] 총, 균, 쇠와 시드 마이어의 문명 [16] 삭제됨8258 14/04/10 8258 0
53889 [LOL] SK K의 8강진출을 축하합니다 [77] 삭제됨13112 14/04/09 13112 6
53888 [LOL] "주작" 논란을 지켜보며 [21] 삭제됨9264 14/04/09 9264 13
53887 [LOL] 새삼 pgr이 너무 고맙네요 [46] 버스커버스커10695 14/04/09 10695 6
53886 [디아3] 2.0.4 패치 이야기 [47] wing tree10962 14/04/09 10962 0
53885 [기타] 이 세상에 천재라는것이 존재 할까요? [88] Alchemist112173 14/04/09 12173 0
53884 [스타2] Artosis 라는사람 [26] 허덩치10879 14/04/09 10879 0
53883 [하스스톤] 하스스톤 덱 명칭 이해하기 [9] Leeka34984 14/04/09 34984 8
53882 [LOL] HOT6ix LOL Champions Spring 조별리그 순위결정전 프리뷰 [70] 노틸러스10441 14/04/09 10441 0
53881 [기타] [SMITE] 정식 서비스 기념 월드 토너먼트 TOP PLAY 소개 [2] 이호철7627 14/04/09 7627 0
53880 [디아3] 블리자드가 "타락" 스토리를 계속 써먹을 수 밖에 없는 이유 [54] lhjkr14430 14/04/08 14430 1
53879 [기타] [피파3] 오늘 기가막힌 전설 보상안이 공개되었습니다. [10] Daydew8921 14/04/08 8921 0
53878 [하스스톤] 4월 하스스톤 파워랭크 이야기 [16] Leeka9070 14/04/08 90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