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4/02 16:51:25
Name 화잇밀크러버
Subject [기타] [피파3] 신규 유저를 위한 몇가지 팁(2)
전에 썼던 팁에 이어 두 번째 팁 모음 글입니다.
1에서 많이 썼던 터라 2는 적네요.
모바일 작성에 생각나는 대로 작성하여 순서가 불안정한 점 양해바랍니다.

- 볼이 매우 근접한 상태에서 C + 방향키

C버튼 설명을 본다면 공을 끌어당긴다고 적혀있습니다만 동작을 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볼이 근접해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거나 느리게 드리블하는 C드리블이 입력되었기 때문이죠.

C로 공을 당겨온 다음에 방향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연속 동작이 발동되며 이를 통해 부드럽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 볼을 소유한 상황에서 Q(방향키 미입력)

Q를 누르면 가까이 붙는 상대방의 정면을 바라보고 됩니다.
적과의 공간이 충분할 경우 Q이후 CE드리블을 하거나 C를 이용한 볼 컨트롤로 탈압박, 볼 키핑을 할 수 있습니다만
Q를 눌렀을 때 볼을 발로 누르는 선행 동작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쉬운 편이 아닙니다.

- 볼을 소유한 상황에서 E(방향키 미입력)

다가오는 상대를 등지며 어깨로 밀어냅니다.
이를 통하여 막 트래핑 했을 때 쇄도해오는 적으로부터 공을 소유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공을 소유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 선수의 반대 방향으로 드리블을 하거나 패스를 통해서 볼을 운반해주는 것이 좋죠.

- 키퍼의 볼 처리

키퍼가 공을 막거나 헤딩 백패스를 잡아냈을 때
상대 선수가 주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급하게 볼을 던지거나 차면
그 선수에게 공이 걸려서 어처구니없게 골을 내줄 때가 있습니다.
이걸 노리고 일부로 키퍼 주위를 얼쩡거리는 사람들도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골킥 상황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근처의 아군 앞에서 대기합니다.
이 상황에서 잘 못된 땅볼 패스는 골 헌납의 지름길이 되죠.
멀리 차거나 방향을 쭉 틀어서 멀리 있는 아군 선수에게 패스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멀리 차낼 경우 방향과 게이지 조절을 잘한다면 미드 쪽의 비어있는 아군 선수에게 패스가 가능합니다.

- 세트피스 수비

세트피스 상황에서 시프트+방향키를 누르면 방향키를 누른 쪽의 선수로 조종하는 선수가 바뀝니다.

프리킥 때 많은 사람들이 사람벽 너머의 골대 구석을 노려서 커브 프리킥을 시도하는데요.
이 때 선수 하나를 그 곳에 가져다 놓으면 막아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내 프리킥 때 상대가 이렇게 한다면 E로 선수를 바꿔서 그라운드 상황을 초기화 시킨 후 빠르게 차는 방법이 있습니다.)

- 외곽 슛

좋은 선수의 경우 골대에서 가까운 골 포스트 근처 코너 라인의 거의 각이 없다시피 한 곳에서 쏘는 슛이 생각보다 잘 들어갑니다.
허를 찌르는 슛이 가능한 곳이고 역으로 허를 찔릴 수도 있는 곳이죠.

- 비매너 점수

정당하지 않은 깊은 태클이나 아군 지역에서 계속 공을 돌리며 시간을 끌면 비매너 점수가 올라갑니다.
보통 +4점이 부여되는데 12점이 되면 몰수패를 하게 됩니다.

공 돌리기의 경우 논란이 많았지만 게임이고 마음먹고 돌린다면 빼앗기가 쉽지 않은 편이라
이기고 있을 때 공을 돌리는 사람도 있던지라 필요악이 되어버렸습니다.

- 컴퓨터 상대로 시간끌기

전설 난이도의 컴퓨터라도 아군 최후방에서 볼을 돌리면 강하게 압박해오지 않습니다.
컴퓨터와는 비매너 점수가 없기 때문에 한 점 차이의 어려운 승부가 나는 상태라면 공을 돌리시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리그와 컵 대회

전설 난이도의 경우 컵 대회가 더 어렵습니다.

리그는 종료시 많은 량의 감독 경험치를 받으며 컵 대회는 선수팩과 리그보다 많은 EP를 보상받습니다.

리그 후반기가 되면 선수의 스테미너 총량이 줄어듭니다.

PVP를 통해 입은 선수의 부상은 리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빠르게 회복 시킬 수 있습니다.

컵 대회의 경우 깨면 다음 대회가 열리는 것이 있습니다.(ex. 지역 투어)

컵 대회는 홈/어웨이 룰이 적용되며 결승전은 단판입니다.

- -

경기 중에 -를 누르는 것으로 조종하는 선수 위에 표기되는 것을 바꿀 수 있습니다.
보통 선수 이름과 스테미너가 같이 표시되는 것을 선호합니다.

- 동일 선수 스쿼드 등록

같은 선수라도 시즌이 다르다면 1군 스쿼드에 놓고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한 명이 선발이나 교체에 있다면 다른 시즌 선수는 후보로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제 부캐 첼시 올스타에는 09드록, 07드록, 10드록이 다 있습니다. 드멘!)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가성비 선수

09 드록바 : 10의 마이너 버젼, 그래도 드멘급 능력, 인저리 프론이 흠.
10 즐라탄 : 값싼 즐라탄. 그럼에도 즐라탄. 아쉬운 골 결정력.
10 루니 : 축구하는 루니. 피온3에서 비인기지만 피온3에서도 축구를 함.
09 캄비아소 : 사냥개 타입의 수미. 키만 컸다면 1~200만 정도 더 비쌌을 지도.
09 에시앙 : 타 시즌이 상대적으로 좋다보니 헐값.


1편에서 중요한 걸 적어서 2편은 1편보다 중요성이 떨어지네요.
수정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제보해주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4/02 16:59
수정 아이콘
09캄비 짱짱맨이죠 흐흐
화잇밀크러버
14/04/02 17:05
수정 아이콘
대머리라 가격이 싼건가라고 생각하기도 해요. 흐흐.
로마네콩티
14/04/02 17:10
수정 아이콘
전설 빼고 제일 좋은 스쿼드가 뭔지 알수 있을까요?
피온2 이후로는 안해봐서 괜히 궁금하네요 흐흐
14/04/02 17:20
수정 아이콘
강회장이 가진 스쿼드가 현재 피온3에서 가장 좋은 스쿼드일 것 같네요.
웬만한 네임드들의 은카의 향연..

단순히 가장 좋은 스쿼드라면 가장 비싼 선수들로 라인업을 구성하면 될겁니다.
하지만 피온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손가락이죠... 스쿼드는 자기 만족일 뿐.. 흑..
화잇밀크러버
14/04/02 22:15
수정 아이콘
월드 베스트를 전설로 놓아서 제외한다면
06앙리, 10드록바, 09토레스, 09즐라탄, 13호날두, 13베일
06카카, 07호나우지뉴, 13야야 투레, 08에시앙, 08제라드,
10마이콘, 06아비달, 06네스타, 07푸욜, 09키엘리니 등등
이 정도에서 취향에 따라 갈릴 것 같네요.
유경아사랑해
14/04/02 21:32
수정 아이콘
루니 좋습니다. 흐흐 저는 09루니 쓰는데 지금 70만 ep정도 하는것 같은데 600만 주고 산 토레스보다 훨씬 낫다고 느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859 [디아3] 근접공전보주(or 비격) 법사를 소개합니다. [42] 정은지14967 14/04/06 14967 0
53858 [LOL] 오늘자 마스터즈 플옵 가능성 [10] 네오9412 14/04/06 9412 0
53857 [LOL] JoyLuck의 챌린저 쪽집게 과외 - 'G1mGoon' 탑 라이즈편 [17] JoyLuck10460 14/04/06 10460 5
53856 [LOL] 더이상의 챔스리그는 없길 바라며. [55] 김지완11717 14/04/06 11717 1
53855 [LOL] URF의 숨은 꿀챔들에 대해서. [37] 세이젤11111 14/04/06 11111 1
53854 [LOL] 대 노잼톤, 노잼바나를 막을 챔프들은? [57] legend13165 14/04/06 13165 0
53853 [LOL] IM#2 4월 5일 경기 관전 후기 (주의 : 약간의 한맺힘과 멘붕이 곁들여있음) [33] 헤더8753 14/04/06 8753 3
53852 [하스스톤] 패드스톤덕에 컴백한, 하스스톤 관련 이야기들 [12] Leeka9375 14/04/06 9375 0
53851 [스타2] e스포츠는 모두가 즐기는 문화입니다. [5] 씨엔티Nero8092 14/04/06 8092 22
53850 [LOL] 경기를 재미있게 보는 관점, 시나리오에 대한 상상 [17] 빛돌v9123 14/04/06 9123 26
53849 [LOL] 마지막 나진데이. 그 결과는.. - 롤챔스 16강 리뷰 [48] Leeka8879 14/04/06 8879 0
53847 [스타2] 4월의 스타크래프트2 대회들 [6] 저퀴7468 14/04/05 7468 4
53846 [스타2] 간만에 꿀잼 결승이었습니다. [26] ATOM848729 14/04/05 8729 6
53845 [LOL] 우린 색안경이 항상 쓰여져있다. [15] 삭제됨8236 14/04/05 8236 2
53844 [LOL] 조작을 외치기 전에 생각해봐야하는 것들. [29] be manner player8474 14/04/05 8474 16
53843 [LOL] 선수로써의 책임. 팬으로써의 책임. [49] 삭제됨7860 14/04/05 7860 5
53842 [LOL] OME라고 이제 기억들은 나시려나요 [32] 서리버8598 14/04/05 8598 0
53841 [디아3] 정신없이 약 2주 달린 후 써보는 후기 [26] hindutimes10230 14/04/05 10230 0
53838 댓글잠금 [LOL] 피지알러 자아비판 [174] 중서한교초천11000 14/04/05 11000 11
53837 [기타] [피파3] 치명적인 0카 버그? [4] 하나8715 14/04/05 8715 0
53836 [LOL] 응원팀을 계속 응원하고 싶다. [9] 필리온7173 14/04/05 7173 0
53835 [LOL] 이번 조작논란의 핵심 [30] sonmal10480 14/04/05 10480 2
53834 [LOL] 요즘 롤챔스 해설 어떠 신가요? [91] 수의신비9642 14/04/05 9642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홈페이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