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3/22 02:04:42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6시즌간의 히스토리 총 정리
1. 역대 결승전에 진출한 팀들의, 롤챔스 성적들



역대 6번의 롤챔스 결승에 진출한 적이 있는 팀은 한국 6팀 + 해외 1팀. 총 7팀입니다.
그 중, 해외팀을 제외한 한국 6팀의 롤챔스 성적입니다.

프로스트/블레이즈는 12 스프링부터.
소드는 12 섬머부터
오존은 12 섬머에 창단했으나. 롤챔스엔 12 윈터부터
KT B는 12 윈터부터
SKT K는 13 스프링부터 롤챔스 첫 참가를 시작했습니다.


13년 시즌의 경우.. 1~6위중에 5개팀은 위 6개팀이 계속 나눠먹는 구도가 나올 정도로..
현재 롤판은 '하는 팀만 계속 해먹는다!'..  구도가 되고 있으며..  

13~14윈터에 나진 쉴드가 한자리를 차지하면서 판을 흔들 수 있을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2. 역대 롤챔스 개인 수상 내역



롤챔스에서 진행했던 부분 및.. 연관된 개인 수상 내역입니다.

섬머를 기점으로 SKT K가 본격적으로 다수의 개인상을 쓸어담고 있습니다.



3. 롤챔스 본선 펜타킬



매 시즌, 1회의 펜타킬은 꼭 나왔던 롤챔스 본선에서의 역대 펜타킬 히스토리입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펜타킬은 원딜의 것!...
엠비션 선수만 유일하게 원딜 이외의 포지션으로 펜타킬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시즌에도 펜타킬이 꼭 나온다는 징크스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인지..


4. 역대 롤챔스 우승 팀들의, 우승 시즌 성적



- SKT K의 우승 이전에. 최고 승률로 우승을 했던. 초대 챔피언 블레이즈



- 아스트랄함이 한가득 보이는.. 패패승승승의 주역. 프로스트



* 인터리그와 4강을 2번하는 일정으로 인해. 경기수가 엄청나게 많았던 윈터
- 초반에 불안불안했으나.. 토너먼트부터 순식간에 경기력이 살아난 소드



- 꿀일줄 알았으나. 신흥 챔피언으로 등극. 오존의 반격



- 세계최강팀의 탄생. 패패승승승은 다시 한번 더! SKT K



- 사상 최초 전승 우승.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3/22 02:11
수정 아이콘
저만 사진이 안나오나요 ...?
14/03/22 02:16
수정 아이콘
아직도 안나오나요?
14/03/22 02:18
수정 아이콘
잘 보입니다!
14/03/22 02:19
수정 아이콘
전 잘 나옵니다. 모바일입니다.
카시와자키세나
14/03/22 02:22
수정 아이콘
이제는 잘보입니다.
저지방.우유
14/03/22 02:22
수정 아이콘
마지막 사진 무섭네요;;
여우비
14/03/22 03:16
수정 아이콘
저.. 전승이라니.
No52.Bendtner
14/03/22 04:55
수정 아이콘
첫 사진에서 섬머시즌 블레이즈 12가 눈에띄네요 8강도 못간적은 없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리고 프로스트도 8강도 못간적은 없지않나요
14/03/22 09:30
수정 아이콘
12라고 표시된 블레이즈, 프로스트, 오존 모두 롤챔스 8강 탈락 후 NLB에서도 8강에서 광탈했기 때문에 종합 12위라 추산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서킷포인트 순서 같네요.
No52.Bendtner
14/03/22 09:32
수정 아이콘
음 근데사실 소드는 윈터때는 아예 16강탈락이엇는데요...물론 그 시즌nlb결승에도 진출햇지만요
14/03/22 09:34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6위로 표기되어 있네요.
솔로9년차
14/03/22 12:44
수정 아이콘
롤챔스 결승 진출팀들의 '시즌' 순위니까요.
롤챔스 1~4위가 해당시즌 1~4위, NLB 1~4위가 5~8위, NLB 8강이 12강(공동9위)인거죠. 공동9위를 12위로 처리하신듯.
시즌은 롤챔스+NLB니까요. NLB안보는 사람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No52.Bendtner
14/03/22 04:59
수정 아이콘
더블리프트 펜타킬이 빠졌네요..ㅜㅜ
카르타고
14/03/22 05:08
수정 아이콘
그건 예선전
Gorekawa
14/03/22 08:56
수정 아이콘
그래프를 정말 깔끔하고 완벽하게 만드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전체적으로 한 눈에 드는 느낌은 "SKT는 전무후무한 괴물이다"
한 문장으로 요약가능하네요.

안타까운 건 최근들어 페이커 이상혁 선수가 심리적 압박을 심하게 받는 지 실수가 잦고 SKT가 전보다 조급함을 느끼고 경기력이 예전까지 않다는 것입니다. 마음의 짐을 내려놓고 편하게 즐기면서 했으면 좋겠어요. 작년 스프링 떄 파릇파릇했던 그들이 그립네요.
(덧붙여 커뮤니티가 왜 이렇게 갑자기 SKT한테 가혹하게 나오는 지 이해가 안되고 안타깝습니다. 개인적으로 조작 논란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기에)

제가 가장 좋아하는 팀인 KTB는 그래도 나름 꾸준한 성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아 흐뭇하네요. 참가한 4시즌 중에 3시즌을 3위-2위-3위를 했으니 충분히 잘한 거라고 해주고 싶고 팬으로서도 만족합니다. 이번 시즌은 IEM 월드 챔피언쉽 전승 우승의 기세를 이어가 4강 안에만 들어가도 기쁠 것 같네요.
o바람o
14/03/22 09:58
수정 아이콘
앞으로 저런 우승은 안나올겁니다. 조예선 부터 도장깨기 하듯 강팀들..skk를 잡을 수 있다는 팀들...전부 잡아내고 전승우승....
그리고 사소할 수도 있지만 챔스기록인데 소드의 5,6위와 블레이즈 5위는 수정되어야 하지 않을지...
잘봤습니다.
14/03/22 10:33
수정 아이콘
우리 나진 파이팅!
14/03/22 11:36
수정 아이콘
마지막 혐짤표시좀요..
죄송한데 너무 무섭습니다 흑..
저기요.. SKTT1 진짜 최강이네요 허극..
14/03/22 15:18
수정 아이콘
저렇게 보니 오존이 진짜 대단하네요 태생이 호랑이가 아닌데 잘 성장한 유일한 케이스~
14/03/22 16:24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잘한 팀들을 제외하고, 한국 롤판에서 가장 대박 리빌딩 성공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275 [LOL] 프레이를 추억하며. [94] Lenji12591 14/05/23 12591 4
54262 [LOL] 진에어 팰컨스의 리빌딩이 거의 완료된 모양입니다. (확정) [50] Ayew7866 14/05/22 7866 0
54142 [LOL] 롤스타전 출전 팀 해외 리뷰 - OMG [16] 랑비9156 14/05/06 9156 1
54086 [LOL] NLB 4회연속 결승진출!!! 롤클라시코 탄생.. [55] Leeka7781 14/04/29 7781 0
54012 [LOL] HOT6ix LOL Champions Spring 8강 3경기 프리뷰 [40] 노틸러스7880 14/04/23 7880 3
53938 [LOL] 리턴 윈터 결승전 - SKT K VS 삼성 오존. 프리뷰 [27] Leeka9370 14/04/15 9370 2
53793 [LOL] LCS 현재 상황정리 [31] 플럼굿10289 14/03/31 10289 0
53712 [LOL] 롤챔스 6시즌간의 히스토리 총 정리 [20] Leeka8581 14/03/22 8581 1
53653 [기타] 체계적인 아마추어 관리가 필요한 시점 [23] Quelzaram7634 14/03/15 7634 0
53622 [LOL] 이번 사건에 대해서..+민기 생명에 지장 없다고 합니다 [42] 다이아1인데미필20428 14/03/13 20428 25
53587 [LOL] 다음주부터 롤 데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27] Leeka9275 14/03/07 9275 2
53472 [LOL] 안녕하세요. 최병훈 감독 입니다. [102] 최병훈.24495 14/02/16 24495 20
53298 [LOL] 진에어 리빌딩 + 래퍼드 은퇴. [65] Leeka11042 14/01/22 11042 0
53147 [LOL] 롤챔스의 깨지지 않은 재밌는 징크스들 [11] Leeka7567 14/01/03 7567 0
53067 [기타] 2014년, 각 방송사의 행보는? [34] Quelzaram7919 13/12/18 7919 5
52782 [LOL] 레퍼드 개인 선수 탐구 - 1 [23] 다이아1인데미필9646 13/11/17 9646 1
52704 [스타2] 블리즈컨 2013 : WCS 글로벌 파이널 프리뷰 그리고 마지막 이벤트 [43] 하후돈11752 13/11/08 11752 5
52631 [LOL] SKT T1 #1. 최고의 탑솔과 함께하는 그들의 권토중래는 성공할까? [55] 다솜12187 13/10/29 12187 7
52424 [스타2] 현 스투판의 위기.. 아무런 대책없이 시간만 흘러간다 [204] 호나우당직™16883 13/10/09 16883 2
52383 [LOL] 우승컵을 들어올린 SKT. 한국메타의 승리! [70] 하얀호랑이11775 13/10/05 11775 4
52194 [LOL] 삼성 갤럭시 오존에 대한 해외 리뷰 [38] 랑비13722 13/09/13 13722 6
52188 [LOL] SKT T1에 대한 해외 리뷰 [27] 랑비15179 13/09/12 15179 7
52080 [LOL] 오늘은 가레나 리그 데이 [33] 엘에스디9909 13/08/29 990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