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3/22 02:04:42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6시즌간의 히스토리 총 정리
1. 역대 결승전에 진출한 팀들의, 롤챔스 성적들



역대 6번의 롤챔스 결승에 진출한 적이 있는 팀은 한국 6팀 + 해외 1팀. 총 7팀입니다.
그 중, 해외팀을 제외한 한국 6팀의 롤챔스 성적입니다.

프로스트/블레이즈는 12 스프링부터.
소드는 12 섬머부터
오존은 12 섬머에 창단했으나. 롤챔스엔 12 윈터부터
KT B는 12 윈터부터
SKT K는 13 스프링부터 롤챔스 첫 참가를 시작했습니다.


13년 시즌의 경우.. 1~6위중에 5개팀은 위 6개팀이 계속 나눠먹는 구도가 나올 정도로..
현재 롤판은 '하는 팀만 계속 해먹는다!'..  구도가 되고 있으며..  

13~14윈터에 나진 쉴드가 한자리를 차지하면서 판을 흔들 수 있을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2. 역대 롤챔스 개인 수상 내역



롤챔스에서 진행했던 부분 및.. 연관된 개인 수상 내역입니다.

섬머를 기점으로 SKT K가 본격적으로 다수의 개인상을 쓸어담고 있습니다.



3. 롤챔스 본선 펜타킬



매 시즌, 1회의 펜타킬은 꼭 나왔던 롤챔스 본선에서의 역대 펜타킬 히스토리입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펜타킬은 원딜의 것!...
엠비션 선수만 유일하게 원딜 이외의 포지션으로 펜타킬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시즌에도 펜타킬이 꼭 나온다는 징크스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인지..


4. 역대 롤챔스 우승 팀들의, 우승 시즌 성적



- SKT K의 우승 이전에. 최고 승률로 우승을 했던. 초대 챔피언 블레이즈



- 아스트랄함이 한가득 보이는.. 패패승승승의 주역. 프로스트



* 인터리그와 4강을 2번하는 일정으로 인해. 경기수가 엄청나게 많았던 윈터
- 초반에 불안불안했으나.. 토너먼트부터 순식간에 경기력이 살아난 소드



- 꿀일줄 알았으나. 신흥 챔피언으로 등극. 오존의 반격



- 세계최강팀의 탄생. 패패승승승은 다시 한번 더! SKT K



- 사상 최초 전승 우승.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3/22 02:11
수정 아이콘
저만 사진이 안나오나요 ...?
14/03/22 02:16
수정 아이콘
아직도 안나오나요?
14/03/22 02:18
수정 아이콘
잘 보입니다!
14/03/22 02:19
수정 아이콘
전 잘 나옵니다. 모바일입니다.
카시와자키세나
14/03/22 02:22
수정 아이콘
이제는 잘보입니다.
저지방.우유
14/03/22 02:22
수정 아이콘
마지막 사진 무섭네요;;
여우비
14/03/22 03:16
수정 아이콘
저.. 전승이라니.
No52.Bendtner
14/03/22 04:55
수정 아이콘
첫 사진에서 섬머시즌 블레이즈 12가 눈에띄네요 8강도 못간적은 없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리고 프로스트도 8강도 못간적은 없지않나요
14/03/22 09:30
수정 아이콘
12라고 표시된 블레이즈, 프로스트, 오존 모두 롤챔스 8강 탈락 후 NLB에서도 8강에서 광탈했기 때문에 종합 12위라 추산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서킷포인트 순서 같네요.
No52.Bendtner
14/03/22 09:32
수정 아이콘
음 근데사실 소드는 윈터때는 아예 16강탈락이엇는데요...물론 그 시즌nlb결승에도 진출햇지만요
14/03/22 09:34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6위로 표기되어 있네요.
솔로9년차
14/03/22 12:44
수정 아이콘
롤챔스 결승 진출팀들의 '시즌' 순위니까요.
롤챔스 1~4위가 해당시즌 1~4위, NLB 1~4위가 5~8위, NLB 8강이 12강(공동9위)인거죠. 공동9위를 12위로 처리하신듯.
시즌은 롤챔스+NLB니까요. NLB안보는 사람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No52.Bendtner
14/03/22 04:59
수정 아이콘
더블리프트 펜타킬이 빠졌네요..ㅜㅜ
카르타고
14/03/22 05:08
수정 아이콘
그건 예선전
Gorekawa
14/03/22 08:56
수정 아이콘
그래프를 정말 깔끔하고 완벽하게 만드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전체적으로 한 눈에 드는 느낌은 "SKT는 전무후무한 괴물이다"
한 문장으로 요약가능하네요.

안타까운 건 최근들어 페이커 이상혁 선수가 심리적 압박을 심하게 받는 지 실수가 잦고 SKT가 전보다 조급함을 느끼고 경기력이 예전까지 않다는 것입니다. 마음의 짐을 내려놓고 편하게 즐기면서 했으면 좋겠어요. 작년 스프링 떄 파릇파릇했던 그들이 그립네요.
(덧붙여 커뮤니티가 왜 이렇게 갑자기 SKT한테 가혹하게 나오는 지 이해가 안되고 안타깝습니다. 개인적으로 조작 논란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기에)

제가 가장 좋아하는 팀인 KTB는 그래도 나름 꾸준한 성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아 흐뭇하네요. 참가한 4시즌 중에 3시즌을 3위-2위-3위를 했으니 충분히 잘한 거라고 해주고 싶고 팬으로서도 만족합니다. 이번 시즌은 IEM 월드 챔피언쉽 전승 우승의 기세를 이어가 4강 안에만 들어가도 기쁠 것 같네요.
o바람o
14/03/22 09:58
수정 아이콘
앞으로 저런 우승은 안나올겁니다. 조예선 부터 도장깨기 하듯 강팀들..skk를 잡을 수 있다는 팀들...전부 잡아내고 전승우승....
그리고 사소할 수도 있지만 챔스기록인데 소드의 5,6위와 블레이즈 5위는 수정되어야 하지 않을지...
잘봤습니다.
14/03/22 10:33
수정 아이콘
우리 나진 파이팅!
14/03/22 11:36
수정 아이콘
마지막 혐짤표시좀요..
죄송한데 너무 무섭습니다 흑..
저기요.. SKTT1 진짜 최강이네요 허극..
14/03/22 15:18
수정 아이콘
저렇게 보니 오존이 진짜 대단하네요 태생이 호랑이가 아닌데 잘 성장한 유일한 케이스~
14/03/22 16:24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잘한 팀들을 제외하고, 한국 롤판에서 가장 대박 리빌딩 성공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712 [LOL] 롤챔스 6시즌간의 히스토리 총 정리 [20] Leeka8578 14/03/22 8578 1
53622 [LOL] 이번 사건에 대해서..+민기 생명에 지장 없다고 합니다 [42] 다이아1인데미필20428 14/03/13 20428 25
53587 [LOL] 다음주부터 롤 데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27] Leeka9274 14/03/07 9274 2
53472 [LOL] 안녕하세요. 최병훈 감독 입니다. [102] 최병훈.24493 14/02/16 24493 20
53298 [LOL] 진에어 리빌딩 + 래퍼드 은퇴. [65] Leeka11041 14/01/22 11041 0
53147 [LOL] 롤챔스의 깨지지 않은 재밌는 징크스들 [11] Leeka7566 14/01/03 7566 0
52782 [LOL] 레퍼드 개인 선수 탐구 - 1 [23] 다이아1인데미필9645 13/11/17 9645 1
52631 [LOL] SKT T1 #1. 최고의 탑솔과 함께하는 그들의 권토중래는 성공할까? [55] 다솜12182 13/10/29 12182 7
52383 [LOL] 우승컵을 들어올린 SKT. 한국메타의 승리! [70] 하얀호랑이11774 13/10/05 11774 4
52194 [LOL] 삼성 갤럭시 오존에 대한 해외 리뷰 [38] 랑비13722 13/09/13 13722 6
52188 [LOL] SKT T1에 대한 해외 리뷰 [27] 랑비15179 13/09/12 15179 7
52080 [LOL] 오늘은 가레나 리그 데이 [33] 엘에스디9909 13/08/29 9909 2
52030 [LOL] [응원글] Blossom Time [25] 헤더7920 13/08/24 7920 2
51891 [LOL] 롤챔스 8강 2회차. CJ 프로스트 VS 나진 쉴드 분석. [68] Leeka9106 13/08/08 9106 1
51883 [LOL] 팀리퀴드 OGN 롤챔스 플레이어 분석.txt [17] 짱슈11170 13/08/08 11170 2
51779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조별리그 12회차 프리뷰 [62] 노틸러스7634 13/07/27 7634 0
51664 [LOL] 북미 LCS가 Sports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26] Leeka8618 13/07/13 8618 0
51659 [LOL] 롤챔스 16강. 5회 후기 [51] Leeka7800 13/07/12 7800 2
51643 [LOL] 롤챔스 16강 '1회차' 최종 분석 및 후기 [33] Leeka8522 13/07/11 8522 1
51585 [LOL] 롤 프로(?)리그는 어떤 방식으로 열리게 될까? [21] sisipipi7896 13/07/04 7896 0
51555 [LOL] MVP 오존의 시대가 오는걸까요.. [106] Leeka13319 13/06/30 13319 4
51474 [LOL] 섬머 시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우승권팀 [116] kdmwin11492 13/06/17 11492 2
51183 [LOL] 시즌4에는 하나의 리그가 더 생겨야 할거 같습니다. [49] 마빠이10640 13/05/15 1064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