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2/17 11:39:42
Name Quelzaram
Subject [도타2] NSL 결승, KDL 개막 - 그리고 팀 Zephyr
NSL 시즌 3 결승이 끝난 다음 날 KDL 개막전이 열렸습니다.
제퍼 팀은 NSL 결승전에서 이오티 해머를 3:0으로 꺾고 다음날 KDL 개막전에서 버드갱을 2:0으로 격파,
5인큐와의 최종전 포함 8연승을 이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특히 어제 경기에서는 한국 최고의 미드 레이너인 MP 선수가 존재감이 희박했을 정도로 일방적인 경기 내용이었습니다.
(MP 선수가 못했다기 보다는 팀 전체가 말려들어서 어쩔 수가 없는...)

제퍼 팀이 처음 한국 들어오고 나서는 이팀 저팀에게 생각보다 많이 패하면서 생각만큼 강하지는 않은 것 같다 -  라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는데,
멤버들끼리 레인 변경이 이뤄지고 섹시밤보에 선수가 밴픽을 주도하면서부터 180도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역시 퍼지를 제외한 4명의 멤버가 엄청난 기량을 선보인다는 점인데,

캐리를 맡고 있는 코리는 과거 블레이즈의 엠비션 선수가 생각날 정도로 엄청난 CS 수급을 보여주는데다가
흡혈마, 슬라크, 혼돈기사, 미라나, 타이니 등 단순 밴픽만으로는 막기 힘든 영웅 풀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타 교전에서의 집중력이 살짝 아쉬울 때가 있지만, 꼬박꼬박 킬을 먹고 성장해 결국 아무도 말릴 수 없는 위력을 보여줍니다.

미드를 전담하는 블리츠 선수는 영웅 풀이 좁은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었으나
최근들어 퍼그나, 파멸의 사도, 벌목꾼, 퍽 등 폭풍령 외의 영웅 풀을 늘리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특히 한타 때 각을 재서 이니시를 하는 능력은 과연 블리츠라는 말을 떠올리게 합니다.

서포터인 에오신 선수는 한타 교전이 대박인데, 특히 최근 경기들에서 모래 제왕을 선택한 경기는 거의 다 이긴 것으로 기억날 정도입니다.
초중반 정글링에 치중하면서 빠르게 점멸단검을 확보한 뒤 서포터지만 한타를 파괴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데,
블리츠와 더불어 이니시에이팅이 매우 빠르고 뛰어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현재 제퍼 팀의 에이스, 중추, 코어 라고 볼 수 있는 섹시밤보에 선수. 전 EG(이블 지니어스) 출신으로,
롤에서는 탑 솔에 해당하는 팀의 오프레인을 담당하는데 박쥐기수, 벌목꾼, 닉스 암살자, 어둠현자 등의 영웅으로
만나는 상대 팀들을 차례로 박살 내고 있는 중입니다. 이니시에이팅 능력, 맵 리딩, 정찰, 교전 컨트롤...
칭찬하기에만도 바쁠 정도로 엄청난 능력을 보여주며 특히 에오신 선수와 마치 한 몸처럼 움직이는 한타 개시는 정말...
뇌파를 공유하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정확하더군요.

퍼지 선수는 다소 묻어가는 느낌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그 역시 한 사람의 몫은 충분히 해주고 있습니다.

제퍼가 강한 이유 중 또 하나는 '밴해야 될 카드가 너무 많다'가 아닌가 싶습니다.

코리 - 흡혈마, 슬라크, 미라나
섹시밤보에 - 닉스 암살자, 벌목꾼, 박쥐기수
블리츠 - 폭풍령, 퍽, 파멸의 사도
에오신 - 모래제왕

여기에 현재 최고의 서포터 중 하나로 추앙받는 맹독사나 때에 따라 언제든지 나올 수 있는 자연의 예언자, 그림자 악마 등
상대 팀 입장에서는 '야 대체 뭘 밴해야 됨?' 이라는 말이 절로 나올 지경일 겁니다.

밸브는 밴카드를 6밴으로 늘리...는 걸 고려 할리 없으니 제퍼를 이길 수단을 다른 팀들은 찾아야 할텐데,
일단 그전에 전 제퍼에게 배우라는 말을 해주고 싶습니다.

제퍼의 밴 픽을 자세히 관찰한 결과,
한국 팀들이 아직까지 자신들이 원하는 조합을 사전에 정하고 그에 맞는 영웅을 가져오거나 상대의 밴 카드를 막기에 급급한 모습
즉 아직까지 1,2차원 적인 밴픽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데 반해
제퍼는 캐리를 일찍 가져오거나 심지어 미드 레인 영웅을 1픽으로 택하기도 하지만 그다지 큰 카운터를 맞지 않습니다.
이유는 대부분의 영웅이 레인 스왑이 가능한 경우를 상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슬라크는 오프레인과 미드레인, 그리고 트라이 레인의 캐리 포지션까지 가능한 영웅이고
파멸의 사도 역시 오프레인과 미드레인, 그리고 정글을 오갈 수 있으며 박쥐 기수 역시 오프레인과 미드를 동시에 갈 수 있는 영웅
벌목꾼은 미드와 오프레인, 닉스 암살자는 오프레인과 서포터를 오가면서 밴픽에서 자신들의 체제를 바꿀 여지를 남겨놓습니다.
마치 예전의 롤에서 샤이와 빠른별이 블라디로 심리전을 걸거나 빠른별과 매라가 럭스를 서로 호환하는 식의 영웅 스위칭입니다.

그래서 자신들의 조합을 짜기에 급급한 팀들은 제퍼 팀에게 카운터를 맞게 되고, 제퍼가 자신들의 색을 드러냈을 때는
이미 자신들의 조합은 고정되어 차선책을 강요받는 느낌이 강합니다. 즉 '아차'하는 순간이 상당히 많이 보인다는 점이지요.

KDL 개막전을 통해 버드갱까지 무너진 지금, 당분간 제퍼의 독주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
제 생각에 이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팀은 현시점에서는 MVP 피닉스와 얼마전 결승에서 패하긴 했지만 제오 선수가 합류한
이오티 해머 정도라고 봅니다.

KDL을 통해 제퍼가 한국에 오래 머물겠다고 공언한 만큼, 다른 팀들이 빨리 제퍼를 연구하고 분석해 따라잡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일단 제퍼를 잡아야 세계 무대에서도 비벼볼만한 경쟁력을 갖추게 된 셈일테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arangian Guard
14/02/17 11:44
수정 아이콘
mvp는 솔라라가 정상이면 제퍼랑 할만하다고 봅니다.
긴토키
14/02/17 11:47
수정 아이콘
팀 제퍼가 5명 전부 외국인 맞죠? 팀 제퍼면 세계 도타2무대에서 경쟁력이 어느정도되나요?? 만약 도타세계대회 출전권이 주어지면 한국대표팀인가요?
Quelzaram
14/02/17 11:51
수정 아이콘
현재 버드 갱 팀이 동남아권에서는 나름 강한 편이라고 보니 제퍼 팀이 정말 열심히 노력한다면 TI 선발전을 통과할 가능성이
없진 않다고 생각 됩니다. 실제로 다른 팀들과 경기를 해봐야 하겠지만요.
그리고 블리츠 선수는 한국계 미국인이긴해도 사실 한국 대표 팀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겠죠. 하지만 도타2는 어차피 다국적 팀이 많아
국가를 대표하는 팀이란 의미는 롤에 비해 상대적으로는 크지 않습니다. 그래도 역시 정한다면 미국 팀이라고 생각은 합니다.
14/02/17 13:06
수정 아이콘
TI 기준으로 구분은 서부(북미&유럽)과 동부(아시아) 정도만 하고, 국적까지 제한을 두진 않습니다. 실제로 현재 가장 잘 나가는 도타2 팀인 얼라이언스 소속의 로다 선수도 TI 2012 때는 아시아권 팀으로 나오기도 했고요. 아마 팀 제퍼도 계속 한국에서 활동하면 TI 초청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동부 예선으로 나올 듯합니다.
긴토키
14/02/17 13:0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답변들 감사합니다
iAndroid
14/02/17 12:52
수정 아이콘
NSL 결승전에서 슬라크+닉스암살자를 계속 선픽으로 가져온 걸 보면 상대방의 카운터를 레인스왑으로 유동적으로 피한다기 보다는 그냥 이걸로 이길 수 있어라는 자신감의 선택이라고 봅니다.
(물론 EOT로서는 슬라크를 밴할 수도 없는게, 코리선수 흡혈마가 승률 100%라서 흡혈마를 밴할 수 밖에 없긴 하죠)
그 대가로 1경기 초반의 3 VS 3 대결에서 EOT 해머의 카운터가 제대로 먹혀서 슬라크가 CS도 먹지 못하고 상당히 말리긴 했었죠.
물론 그 덕분에 대박 역전경기를 볼 수 있어서 눈이 즐거웠긴 했습니다만, 흐흐.
콩먹는군락
14/02/17 14:37
수정 아이콘
국내리그가 있어도 국내선수들이 약하면 우리나라 선수들이 강세종목(스타2,롤)에서 해외로 가는것처럼 해외 선수들이 오히려 국내로 오는군요
물론 도타2의 국내흥행 실패문제가 크겠습니다만..
Varangian Guard
14/02/17 15:11
수정 아이콘
그것도 그렇고 nsl 상금이 장난 아니였죠. nsl 한 번 우승=어지간한 티어 2 수준 도타 팀이 번 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653 [기타] 체계적인 아마추어 관리가 필요한 시점 [23] Quelzaram7539 14/03/15 7539 0
53617 [도타2] 위기의 버드 갱, 탈출구는 있는가? [3] Quelzaram7892 14/03/12 7892 0
53535 [도타2] KDL 진행 시점에서 살펴보는 현재 팀 전력 [2] Quelzaram7747 14/02/27 7747 0
53516 [기타] AOS 류 게임에서 굳이 채팅이 필요한가 [75] 이호철9662 14/02/23 9662 0
53514 [기타] LOL & DOTA 2 시스템 비교 [23] Quelzaram8573 14/02/22 8573 5
53484 [도타2] NSL 결승, KDL 개막 - 그리고 팀 Zephyr [8] Quelzaram7180 14/02/17 7180 0
53475 [LOL] LOL의 행동양식 개선 제도에 대하여 [111] sonmal12176 14/02/16 12176 2
53474 [기타] 타이탄폴 베타 리뷰 [11] 저퀴7410 14/02/16 7410 1
53435 [도타2] KDL 티어 결정전 종료, 진출 팀의 면면은... [6] Quelzaram7800 14/02/10 7800 0
53430 [도타2] 여성 유저들이 도타2 시작할 때 피보는 영웅 리스트 [38] Quelzaram10497 14/02/09 10497 1
53424 [도타2] 상처 입은 사자 Zephyr가 명예 회복에 성공했습니다. [3] Quelzaram7673 14/02/08 7673 0
53421 [LOL] 시즌4 브론즈에서 플레티넘까지 각 구간별 랭크게임의 단상 [35] Paper11167 14/02/08 11167 3
53392 [도타2] NSL S3 4강 패자전 결과 - QO의 던지기는 ing [6] Quelzaram6826 14/02/05 6826 0
53379 [기타] World Chamionship 과 The International 의 차이 [53] Quelzaram8493 14/02/02 8493 4
53371 [도타2] 추천 캐리 영웅 & 캐리로 사용하는 영웅 [9] Quelzaram10960 14/01/31 10960 5
53366 [도타2] 도타2 신규 영웅 소개 [16] 저퀴8282 14/01/30 8282 1
53347 [도타2] 6.80 밸런스 업데이트 예고 [14] 저퀴9455 14/01/28 9455 0
53323 [LOL] 자극이 필요했었습니다. 지금도요. (스압) [146] 19244 14/01/26 19244 54
53321 [도타2] EoT 해머, 드디어 결승에 서다 [13] Quelzaram8020 14/01/25 8020 0
53311 [도타2] 추천 갱커 영웅 & 갱커로 사용하는 영웅 [6] Quelzaram9418 14/01/24 9418 4
53300 [도타2] Best Plays of the Week (1월 3주차) [3] 염력의세계7984 14/01/22 7984 0
53287 [도타2] 추천 서포터 영웅 or 서포터로 사용하는 영웅 [14] Quelzaram12501 14/01/21 12501 0
53282 [LOL] 원딜과 생존기에 대해서. [69] 세이젤9660 14/01/20 966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