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16 22:43:44
Name Leeka
Subject [LOL] 라이엇에서 LOL 파워랭킹을 공개했습니다.
원문 : http://na.lolesports.com/articles/introducing-lolesports-power-rankings-week-1

라이엇에서 직접 관리하는 사이트인 롤이스포츠 사이트에

프로팀 파워 랭킹이 올라왔습니다.


현재는 정량화된 계산식으로 진행된건 아니며
'현재 성적등을 바탕으로'
LOL E-Sports 관계자들의 투표를 통해서 선정된 TOP 10 순위인데요.


순위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0. Invictus Gaming (중국) - 시즌2 롤드컵 8강

한국에서는 PDD로 더 유명한. IG가 10위를 차지했습니다.


9. Fnatic (유럽) - 시즌 1 롤드컵 우승, 시즌 3 롤드컵 4강

유럽의 자존심 중 하나죠. 유럽 전통의 강호 프나틱이 9위입니다.


8. CJ Entus Blaze (한국) - 12 스프링 우승

롤드컵과는 인연이 없는 팀이였지만.  한국 롤씬 초기부터 지금까지 계속 강팀으로 뽑히는 블레이즈가 8위입니다.


7.  Positive Energy (중국) - 13 LPL 섬머 우승

가장 최근. 중국 LPL 섬머를 우승하면서 강자로 등극한 PE가 7위를 차지했습니다.
(중국은 LPL 섬머가 겨울에 끝났습니다..... 롤드컵 전에 섬머가 안끝나서. )

6. Cloud 9 (북미) - 시즌 3 롤드컵 8강

북미의 자존심이죠!.  클라우드 나인!! 을 외치던 수많은 북미팬들의 함성이 들리는거 같네요.


5. OMG (중국) - 시즌 3 롤드컵 8강

전세계에서 SKT K와 상대전적이 동률인 유일한 팀입니다?!?!?!?... (우위는 오존만..)

이번 LPL 섬머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여전히 중국의 강호죠.


4. Gambit Gaming (유럽) - 시즌 2 롤드컵 4강, 시즌 3 롤드컵 8강

한국에서 가장 팬이 많은 외국팀이죠.

시즌4에서 다시 돌아온 에드워드와 함께. 현재는 유럽 최강이라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3. KT Rolster Bullets (한국) - 13 롤챔스 섬머 준우승

커리어가 가장 부족하지만. 실력이 좋기 때문에 그 점을 감안해서 3위에 랭크되었습니다.

커리어가 왜 부족하냐고 하냐면..  1~10위 팀중에 써킷포인트 대회 우승 경험이 유일하게 없는 팀이 KT B입니다.


2. Samsung Galaxy Ozone (한국) - 시즌 3 롤드컵 참가

SKT K와 윈터 결승에서 맞붙는 오존이 2위입니다.


1. SK Telecom T1 K (한국) - 시즌 3 롤드컵 우승

모두가 예상할수밖에 없는. 그 팀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시즌3에서 세계최강의 자리를 얻은 SKT K가

시즌 4에서도 계속 세계 최강이라는걸 알릴 수 있는 마지막 마침표인 롤챔스 결승만 남은 상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16 22:45
수정 아이콘
오존이 2위네요....몇안되는 환상종 오존충으로써 감격스럽습니다. ㅠ_ㅠ 개인적으로는 클라우드 9이랑 한국팀이랑 붙는 걸 꼭 보고싶네요
TwistedFate
14/01/16 22:45
수정 아이콘
몬테야 소드 넣어줘서 고마웠었어..
14/01/16 22:46
수정 아이콘
조심스러운 예상이긴 한대 2년 뒤에 한국팀이 1위에서 8위까지 먹을꺼 같네요.
파페포포
14/01/16 22:50
수정 아이콘
힘들것 같아요. 실력순으로 1~8위까지 한국팀으로 정렬되더라도, 위의 책정방식이라면 그렇게 순위를 책정하지 않을겁니다.
14/01/16 22:58
수정 아이콘
위의 책정방식 중에 이해가 제일 안가는건 블리츠 때문에 그래요 크크.
본문에도 나왔지만 롤드컵 근처도 못가본 팀인데 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레이즈를 비롯해서 고랭크에 있다는게 나오지 못해도
그만큼 고평가를 해준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앞으로 북미나 유럽에 어떤 스타일의 팀이 또 등장할지 모르겠지만
C9 빼고 기존 강팀을 누를만한 팀이 딱히 나오지 않는다는 것도 약간 이런 생각이 들었네요.
소녀시대김태연
14/01/16 22:46
수정 아이콘
어휴.. 롤드컵에서 그렇게쌌는데 2위나 랭크해줘서 고맙..
버스커버스커
14/01/16 22:48
수정 아이콘
국제 대회를 한번도 못 나가서 오존한테 밀린 크트.. 중국이랑 북미도 좀 분발해줬으면 좋겠네요. 한국팀만 너무 잘나가니까 재미없어요.
좀 비슷해야 붙었을때 손에 땀도 나고 그럴텐데.. 이번 올스타는 별로 긴장도 안될거 같고..
이지스
14/01/16 23:00
수정 아이콘
KTB 국제대회 우승한 적 있습니다.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우승(vs WE), MLG dallas (vs 갬빗) 두 차례가 있죠.
버스커버스커
14/01/16 23:06
수정 아이콘
그... 그런거 말구요... 덜덜...
이지스
14/01/16 23:08
수정 아이콘
..? 국제대회 맞잖아요..
나머지는 롤드컵과 IEM밖에 없는데요
vlncentz
14/01/16 23:11
수정 아이콘
wcg도 있고 ipl도 있'었'죠. 아, 이쪽은 ktb 생기기 이전에 없어졌었나요? 잘 기억이 안나네요.

그리고 ktb는 국내대회도 우승해본적이 없었으니까...
이지스
14/01/16 23:20
수정 아이콘
IPL은 너무 옛날 얘기죠. 2012년인데.. KTB가 롤챔 윈터시즌부터 참가했으니까 자격이 안 됐죠.

WCG가 거론될 정도면 MLG도 쳐줘야죠. 뭐 듣보팀 이기고 우승한 것도 아니고, WE랑 갬빗 결승에서 꺾고 우승한 건데 저런 반응을 보이시니 상당히 당황스럽네요.
버스커버스커
14/01/16 23:40
수정 아이콘
MLG는 솔직히 대회가 있는줄도 몰랐네요
이지스
14/01/16 23:51
수정 아이콘
하긴 보신 지 얼마 안 되셨으면 그럴 수도 있겠네요.
14/01/16 23:16
수정 아이콘
국제대회는 롤드컵 미만 잡으로 생각하시는..?
버스커버스커
14/01/16 23:36
수정 아이콘
너무 공격적으로 리플 다시는..?
문영재
14/01/16 23:39
수정 아이콘
크트가 국제대회를 못나가서 오존에게 밀렸다기엔 오존의 롤드컵이... ㅠㅠ 국제 대회보단 롤챔스 우승을 못해본 게 더 큰 것 같아요.
버스커버스커
14/01/16 23:41
수정 아이콘
제가 크트팬들한테 꼬투리 잘 잡히게 리플을 달았네요 위에 크크.. 제가 실수한게 맞네요
안알랴줌
14/01/16 22:48
수정 아이콘
LCS 유럽, 북미 따로 생각하고..
프나틱이 C9보다 성적이 떨어지나요??

C9이 6위라니 ;;;
14/01/16 22:49
수정 아이콘
최근 진행햇던 유럽 VS 북미로 개최했던 라이엇 주관 대회에서
C9와 프나틱이 붙어서. C9가 그냥 우주로 보내버렸습니다.

그게 반영되어 있다고 보시면 될거 같네요..
(C9가 프나틱을 이겨서 최종 대륙 승자도 북미가 됫습니다.)
14/01/17 10:25
수정 아이콘
오.. 경기 찾아봐야겠네요 흐흐..
피즈더쿠
14/01/16 22:50
수정 아이콘
C9이 프나틱을 정말 탈탈탈 우주로 보내버렸...
MLB류현진
14/01/16 22:52
수정 아이콘
소드야힘내자
이퀄라이져
14/01/16 22:58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참 신기한게 얼마 전에 C9랑 할때는 완전 팀이 망가진 느낌이었는데
요즘 LCS보면 엄청 잘하더군요.(물론 갬빗과의 상성이 있기는 하지만)

OMG 힘내자 !
아리아리해
14/01/16 23:00
수정 아이콘
프나틱 롤러코스터야 워낙 유명하니...크크크
글렌피딕
14/01/16 23:00
수정 아이콘
PE나 블레이즈자리에 소드가 있어야하지않을까요
롤드컵4강에 전녀도 롤드컵도 8강에들었던 소드인데 롤챔 우승이없는것도 아니고요

롤챔스 성적이안좋으니 할말은없다만.. 에휴 소드야 잘하자
14/01/16 23:03
수정 아이콘
PE는 롤드컵 이후 대회인 LPL 섬머 우승이고
소드는 롤챔스 16강 조 4위 광탈이죠....
블레이즈는 WCG 우승 + 롤챔스 8강이고요.
(실제 WCG 우승은.. WCG의 권위 자체가 롤판에서 미비해서 크게 도움이 안됫다고 합니다만...
그게 반영이 제대로 됫으면 OMG가 5위일수가 없는지라.. )

안나온게 정상이라고 봅니다.
탐이푸르다
14/01/16 23:02
수정 아이콘
쉴드가 19표인데 소드가 1표네요.
롤드컵 4강이어도 아무래도 롤챔스를 계속 광탈해서 그런지 높게 쳐주는지는 않나봅니다.
14/01/16 23:03
수정 아이콘
최근 1년 성적 자체가.. 롤챔스 광탈 - 롤챔스 광탈 - 롤챔스 광탈.. 이니 평가 좋은게 이상할껍니다..
단지날드
14/01/17 01:05
수정 아이콘
롤드컵 이후에 이긴적이 없...
14/01/17 04:59
수정 아이콘
NLB우승 - NLB우승 - NLB결승.. ㅠㅠ
14/01/16 23:07
수정 아이콘
롤드컵 끝나고 겜빗, C9 에게 연달아 털리면서 폼 떨어졌다는 평가 받다가 어제 오늘 급 부활 조짐 보이는 프나틱이라 순위 매기신 분들 당혹스러울 듯...!
14/01/16 23:07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저 평가는 어제오늘 경기는 반영이 안됫을테니..

아마 2주차에선 바뀌지 않을까 싶네요.
불굴의토스
14/01/16 23:21
수정 아이콘
뭐 파워랭킹이라는게 메이저리그나 nba 보더라도 순위 계속 바뀌는 거니...아마 다음에 발표하는 랭킹에선 갬빗이랑 프나틱 위치가 바뀌겠네요.
14/01/16 23:07
수정 아이콘
우승 못했는데도 3위 한 건 분명 좋은 건데 왤케 눈가가 촉촉해지는지..ㅠㅠ
vlncentz
14/01/16 23:10
수정 아이콘
오존은 2연속으로 고랭크네요. 꽤나 거품이 껴있다고 생각합니다. 스프링때 말고는 오존이 포스있다고 느낀적은 없거든요. skt>ktb>blaze=ozone에 소드는 기복이 심한 팀이라 생각합니다.
14/01/16 23:13
수정 아이콘
13년도에 오존보다 롤챔스 커리어가 높은팀은 없습니다.

정확히는 국내에서 오존보다 롤챔스 성적이 좋은팀이 없습니다.

오존 - 스프링 우승 / 섬머 3위 / 윈터 결승
SKT K - 스프링 3위 / 섬머 우승 / 윈터 결승

현재 SKT K와 오존은 롤챔스 성적으로 동급이며. 나머지 팀은 두 팀보다 훨씬 아래죠.
(물론 SKT K는 롤드컵 우승이니 레벨이 다릅니다)


지금 커리어로 따지면 SKT K 다음으로 최근 1년 커리어가 좋은게 오존이죠.

정확하게 따지면 외국에서 블레이즈와 KT B의 성적에 대해서 평가를 엄청 잘 해준겁니다.
나머지 팀들하고 블레이즈/KT B하곤 커리어 차이가 엄청 벌어져있죠..

KT B가 오존보다 평가가 좋으려면. 오존보다 더 좋은 성적을 내야죠..

둘의 올해 커리어 나열하면

스프링 - 우승 / 섬머 - 3위 / 롤드컵 - 진출 / 윈터 - 결승 진출
스프링 - 8강 / 섬머 - 준우승 / 롤드컵 - 탈락 / 윈터 - 3위

섬머때 2위와 3위 차이빼곤. 모두 오존에게 커리어가 밀리는게 KT B죠..
우승 경험/롤드컵 경험이 없다는것도 크고요..
그걸 감안하고도 3위에 오른게 오히려 외국에서 정말 평가가 좋구나. 싶네요.
케이틀린
14/01/16 23:14
수정 아이콘
오존은 롤챔스 3시즌 연속으로 굉장히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는데
Kt보다 낮은게 오히려 이상한 거 아닌가요?;;
롤드컵에서 부진했다지만 kt는 진출도 못한 팀인데...
14/01/16 23:18
수정 아이콘
오히려 KT랑 오존이랑 비교할때 KT쪽이 거품이 꼈다고 생각하는데..

암만그래도 롤챔우승팀이 너무 저평가 받고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저는?

롤드컵도 못나갔고 , 우승 못해본팀을 너무 고평가하는거 보면 ...
소녀시대김태연
14/01/16 23:23
수정 아이콘
오존이 거품이라하시면 저랭크에서 더한거품은 KT B이죠 ;
이뤄낸게없는데.
챔스떨어질때도 오존한테 지고떨어졌구요.
다리기
14/01/16 23:30
수정 아이콘
기본 전제에 '대회 성적 등을 바탕으로'가 깔려있는 이상 KTB와 오존의 평가에서 오존이 밀릴 이유는 없죠.
주관적으로 느끼는 체감 실력같은 부분도 고려했기에 KTB가 저 높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거고요.

솔직히 블레이즈=오존 이라고 하면 되려 블레이즈를 고평가했다는 생각도 듭니다.
vlncentz
14/01/16 23:59
수정 아이콘
당연히 커리어를 따지면 오존을 앞서는 팀은 많지 않죠;; 그러니까 커리어에 비해 오존이 포스가 없다고 쓴거고요.

스프링떄의 오존은 오존에 패치버전이 최적화되있었죠. 임프베인에 다데제드. 탑에선 옴므 자크가 대박이었고. 롤드컵때의 오존은 반대로 최악이었고요. 다데 주캐가 줄줄히 하향먹고 결국 라이즈같은 챔프를 꺼내들었을 정도였으니까요. 이번 시즌은 상대했던 팀이 나진실드/aw/스톰/얼밤. 상대했던 팀중 가장 높이까지 올라간 팀은 나진실드-롤챔 4위, 그다음이 스톰-nlb4위.

2013년도 커리어를 있는 그대로 쳐줄래야 쳐줄수가 없죠. 롤드컵에서의 폭망까지 포함해서요.
14/01/17 00:05
수정 아이콘
거품이라고 하지만.

오존은 우승팀이고 KT B는 우승한적이 없는 팀입니다.
오존은 롤드컵 참가팀이고 KT B는 롤드컵 간적이 없는팀이죠
오존은 이번 시즌 결승 진출팀이고, KT B는 결승에 못간 팀입니다.

뭘로 봐야 KT B가 오존보다 평가 점수가 높을 수 있다는 건가요?


무슨 있는 그대로 쳐줄래야 쳐줄수가 없다는건지. 커리어는 그대로 남는겁니다.
마모씨처럼 조작한것도 아니고, 건웅처럼 눈맵한것도 아닌데요.
vlncentz
14/01/17 00:21
수정 아이콘
커리어를 강조하시네요. 지금 이 글이 가장 강한팀 열팀이 어딘가를 평가하는 글 맞죠? 가장 인상깊은 열팀, 가장 경력이 화려한 열팀이 아니라요.

스프링은 패치상황이 오존에게 다시없을정도로 최적이었고 오존은 그 기회를 잘살렸음/윈터시즌은 대진상 가장 위협이 됬던 팀이 나진 실드/제닉스 스톰. 따라서 오존의 현 시점에서의 실력은 이런점들을 고려해서 판단해야함.

이게 위 댓글이 말하고자 하는데 조작얘기는 왜나오고 눈맵얘기는 왜나오나요.
14/01/17 00:26
수정 아이콘
커리어를 그대로 쳐줄수 없다는게 말이 안된다는거죠.
가장 강한 팀 열팀은 커리어 + 실력으로 평가하는겁니다.

조작이나 눈맵한것도 아닌데 왜 커리어를 그대로 못쳐준다는건지 말이 안된다는거죠..

KT B는 그 실력에서 엄청난 가산점을 받아서 3위에 뽑힌거고요.
KT B가 3위라는거 자체가 실력에 대한 부분을 충분히 인정해준 순위라는겁니다.

오존 상대로 1년커리어가 섬머 한번빼고 통으로 밀릴뿐더러.
4~10위팀하고 비교해도 KT B는 블레이즈 제외한 팀보다 최근 커리어도 안좋습니다.

대신 최근 실력이 좋으니깐 그걸 가산해줘서 3위를 해준거죠.

무슨 약체팀 만나서 우승하면 커리어점수가 10점이 되고. 강팀 만나서 우승하면 커리어 점수가 100점이 되나요?
강팀을 많이 이겼으면 실력에서 가산점이 붙는거고. 그게 지금 KT B가 3위인 이유인거죠.

커리어는 그냥 '커리어 그대로인겁니다'. 거기에서 뭘 더하고 빼고 할게 아니라는건데요.

C9가 최근 라이엇 공인대회에서 프나틱을 만나서 격파하면서 평가가 뒤집힌거처럼.
KT B가 스프링에서 진 뒤로 오존을 만나서 격파한적이 있던것도 아니고요.



그리고 스프링 시즌은 패치버전이 오존에 최적화됫다는것보다
오존이 트렌드를 한발 빨리 읽었다고 보는게 맞죠.

결승전에서 자크. 그때 해설 돌려봐도 의외의 픽이였습니다. 와 안죽으려고 고른거 아니냐. 하는 댓글들도 불판에 많죠.
제드. 그 당시 오피 소리 안들었습니다.
전부 오존이 우승하면서 다른팀이 따라간거지. 다른팀이 쓴걸 오존이 따라간게 아니죠. 즉 그 챔프의 강함을 오존이 찾은겁니다.
그게 정말 좋다고 생각했으면 왜 다른팀들은 스프링에서 진작 안썼을까요..
vlncentz
14/01/17 01:05
수정 아이콘
아니죠. 팀의 강함은 커리어+실력이 아니라 실력으로 평가해야죠. 이번 시즌에 오존은 상대적 약체들을 이기고 올라갔습니다. ktb는 가시덤불을 해치고 3위를 했습니다. 이러면 ktb가 더 잘하는거 아니냐 소리 할만한거 아닌가요?

당연히 우승이란건 쉽게 못하는거고, 13년 내내 롱런하고 있고. 그럼요. 오존 세죠. 근데 vs블레이즈, vs ktb를 가정해보자고요. ...글쎄요. 댓글들은 오존 압승이 예상된다고 하시는데 저는 잘 모르겠네요.

오존은 딴거 신경쓸거 없이 skt와 잘싸우기만 하면 되요. ktb가 한세트도 못잡은 skt상대로 한세트 잡아내거나 하면 당연히 제 안에서나마 오존 재평가가 이뤄지겠죠.
14/01/17 01:19
수정 아이콘
거품이라고 하는게 KT B가 더 잘하냐는 소리랑은 다른데요.

KT B가 더 잘하는거 같습니다.랑
오존은 꽤나 거품이 낀 팀이죠. 랑 같다고 생각하시는건가요.

왜 이런 반발댓글이 많이 달렸는지를 먼저 생각하시길.


한시즌 반짝 한것도 아니고. 1년 내내 국내 최상위 커리어를 찍은팀이 거품 소리 들을수 없습니다.
팀의 강함이라는건 당연히 커리어+실력이 같이 합쳐져서 나오는거죠.


지금 NLB에서 소드가 블레이즈 3:0으로 꺾어버리면
블레이즈 3:1로 이긴 KT B는 거품 아니냐. 이렇게 말할수도 있는겁니다.

왜 님 글에만 반박글이 그렇게 많이 달렸는지를 먼저 생각해보세요..
(다른사람들이 KT B가 더 쎄다는 글엔 별 반응 없습니다.)


그리고 전 스프링 메타에서 오존은. 남이 쓴 챔프가 자신과 맞았던게 아니라
제드, 자크등. 오존이 성공시켜서 메인스트림으로 올렸습니다.
그 전에 다른 팀들은 블레이즈 메타를 따라가기 급급했을때죠.
그리고 오존은 그때 메타를 쉔+자크로 옮기고. 미드 제드 유행을 주도한 팀이죠..
vlncentz
14/01/17 01:52
수정 아이콘
고평가를 의미하는 단어에 거품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었네요. 피지알에 알맞지 않은 댓글이었습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4/01/17 00:40
수정 아이콘
포스는 각자 주관적이죠.
문영재
14/01/17 00:26
수정 아이콘
포스라... 저는 포스로 따지면 스크크 다음으로 오존이 젤 느껴집니다. 아마도 저 파워랭킹에 투표하신 관계자 분들도 커리어 뿐만 아니라 포스도 더 느꼈을 가능성도 있자나요 흐흐. 물론 경기 내적으로 말입니다. 봇라인이 참 세지요.
vlncentz
14/01/17 01:05
수정 아이콘
'내말이 무조건 맞고 니들말은 다 틀렸어!' 라고 한적은 없어요 ㅠ.ㅠ
14/01/17 00:42
수정 아이콘
지나치게 오존을 저평가하고 계신 거예요.
포스를 말씀하시는데, 국내 어떤 팀이 오존을 상대로 쉽사리 승리를 장담할 꺼라고 보나요?
ktb가 오존을 '쉽게' 찍어 누를 꺼 같나요? 전 그렇게 보지 않는데...
vlncentz
14/01/17 01:07
수정 아이콘
저는... ktb와 오존의 5전제를 가정하면 ktb 3:1 승정도롤 예측할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콩쥐팥쥐
14/01/17 15:02
수정 아이콘
저는 탑에서 돌이킬 수 없는 차이가 벌어져서 오존이 낙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KT B라는 팀의 밸류때문에 인섹이라는 선수에대한 평가는 약간 잘못 되어있다고 봅니다.
14/01/17 19:36
수정 아이콘
탑에서 임팩트 상대로 그정도 했으면 탑때문에 게임 말릴정도는 아닌거 같네요.
요즘 탑은 나머지 라인에서 5:5싸움일때나 의미가 있는거 같습니다.
아랫라인 4:4 개싸움에서 진쪽은 탑이 임팩트 인섹정도 차이라도 뒤집기 힘들죠 요즘은
단지날드
14/01/17 01:06
수정 아이콘
근데 오존에 패치버전이 최적화 된게 아니라 오존이 패치버전을 자신들에게 딱맞게 이용한거라고 보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그 당시 오존은 메타를 주도하는 팀이었으니까요 쉔 자크나 제드의 문제를 넘어서 핑와메타라는 진짜 시즌3 최고의 메타를 주도한게 그때의 오존이죠
애패는 엄마
14/01/17 00:07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보다는 높게 봐야죠..
단지날드
14/01/17 00:53
수정 아이콘
저도 오존이 강팀임엔 분명하지만 그 화려한 커리어가 잘어울리는 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승할때는 예외구요 경기외적으로나 내적으로나 그때의 오존만큼 멋진팀은 개인적으로는 없었다고 생각합니다만 지지난 시즌과 이번 시즌은 어느정도 대진운이 작용한 감이 있죠 아무래도 롤드컵에서의 무기력한 모습과 최근에 강팀이라고 분류되는 팀과의 경기에서 크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점이 오존을 화려한 커리어에 비해서는 낮게 평가하게끔 하게 하는거 같습니다. 스프링시즌에 오존을 정말 좋아했던 입장에서 이번 결승에서 제 평가가 무색하게 멋진 모습보여줘으면 좋겠네요 어제 쉴드의 3경기를 보니 결승전에서 오존의 경기력이 더욱 기대가 좀 됩니다. 다데가 새친구만 제대로 찾고 댄디만 스프링 폼으로 돌아오면 SK-K도 무너뜨릴수 있다고 생각하구요
불굴의토스
14/01/16 23:12
수정 아이콘
대륙분배 해준것 같은데 아무래도 와닿지 않는게 많겠지만 공식랭킹도 아니니 너무 의미 둘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걸스데이 덕후
14/01/16 23:14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하면 한국팀 1~5위 정해놓고 북미 1팀 중국2팀 유럽1팀 동남아 1팀

하는게 맞죠
14/01/17 00:22
수정 아이콘
스크k ktb 오존까지는 그럴꺼 같긴한데... 그 다음으로 꼽힐만한 블레이즈 쉴드 소드 이런 팁들이 다른 지역에서 1등 먹는 팀들 상대로 쉽게 이길꺼 같진 않습니다...
이지스
14/01/17 01:34
수정 아이콘
WCG 결승에서 국내 4강급 팀인 블레이즈가 OMG+PE 연합팀(사실상 중국 올스타)을 어웨이에서 발라버린 임팩트가 워낙 커서 -_-;
14/01/17 05:5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오존 등 떠밀고 올라간 게 겜빗이고, 중국 본토에서 pe omg 연합팀 박살낸 게 블레이즈죠. 롤 몰라요.
14/01/17 05:54
수정 아이콘
프나틱 겜빗한테 모두 져서 오존이 떨어진 적 있는데, 유럽 1팀 한국 5팀은 무리수 같네요. 뭐라 핑계대기에는 단판제도 아니었었고.
다리기
14/01/16 23:16
수정 아이콘
이건 커리어도 변변찮은데 체감 실력으로만 3위를 찍은 KTB의 위엄이네요.

그런 KTB에게 벽을 보여준 커리어-실력 통합 짱 SKT의 위엄ㅡ.ㅡ
14/01/16 23:18
수정 아이콘
SKT K만 없었으면 KT B 커리어가 그꼴이 나진 않았을.......

섬머 - 롤드컵 - 윈터.. 3연속으로 KT B 커리어를 보내버렸죠..
다리기
14/01/16 23:28
수정 아이콘
모든 우승팀이 KTB를 이겼다는 건 아니야,
하지만 KTB를 이긴 팀은 모두 우승했다는 걸 알아둬.

12윈터-13스프링-썸머-롤드컵-윈터
소드-오존-SKT-SKT-(SKTor오존) 마지막 한 자리 남았네요.
14/01/16 23:30
수정 아이콘
모든 우승팀이 KT B를 이겼죠.. 지금까지는......

심지어 WCG와 NLB에서조차 KT B를 이긴 블레이즈와 소드가 각각 우승한..
다리기
14/01/16 23:32
수정 아이콘
!? 12스프링 블레이즈-썸머 프로스트-롤드컵 TPA가 KTB를 만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모든 우승팀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KTB 데뷔 이후의 모든 우승팀을 배출했다고도 할 수 있겠네요. SORM...
14/01/16 23:35
수정 아이콘
심지어 이번시즌에도 SKT K가 우승하면 그 징크스가 유지되는거라서.. 유지 확률은 매우 높은..
다리기
14/01/16 23:37
수정 아이콘
공식 킹메이커 KTB. KTB가 우승하는 날이 오면 그 나름대로 큰 의미가 있겠네요. SKT가 언제 삐끗할지가 중요할 듯요 ㅡ.ㅡ
14/01/16 23:39
수정 아이콘
바꿔말하면.. 대뷔이후 모든 시즌에서 2인자 자리를 굳건히 차지하고 있다는...... 역시 콩의 기운이..
바스테트
14/01/16 23:40
수정 아이콘
롤계의 장량
롤계의 정도전
롤계의 하륜 혹은 이숙번(?)
롤계의 한명회
근데 정작 KTB는 킹메이커가 되고 싶었떤게 아니라 본인들이 킹이 되고 싶은데 이리 됬따는게....ㅠ.ㅠ
14/01/16 23:4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실력은 인정받지만 커리어는 없죠......

이정도로 실력 인정받은 팀중에 우승 트로피 하나 없는팀은 롤판 자체에서 KT B가 유일할껍니다....
카르타고
14/01/16 23:48
수정 아이콘
롤챔스 원년대회 블레이즈가 ktb전신인 스타테일을 이겼던걸로......
불굴의토스
14/01/16 23:32
수정 아이콘
캬...롤챔스 아닌데서까지 그게 적용되는 줄은 몰랐네요.

이번에 한 번 우승 먹었어야 2회우승자 탄생도 막고 확 뜨는건데..
14/01/16 23:44
수정 아이콘
용쟁호투도 KTB를 꺾은 WE가 우승했죠. 클럽마스터즈도...
14/01/17 00:02
수정 아이콘
용쟁호투에서는 IG에게 탈락하고 WE가 KTA를 꺾고 우승했습니다. 첫대회 빼고 그 이후로 징크스가 유지되고 있죠..
수호르
14/01/17 09:28
수정 아이콘
그쵸 크크
skt k 만 없으면 ktb 커리어가 굉장히 화려했을텐데..
중요한 순간에.. skt k을 넘지 못하고 자꾸 막혀버리니. 크크
마스터충달
14/01/16 23:22
수정 아이콘
나진 불쌍해 ㅠ,ㅠ
14/01/16 23:25
수정 아이콘
외국프로게이머들도 KTB 언급을 은근 많이하던데 그것의 영향인가요? 정말 따지고보면 경기력만으로 3위로 쳐준거네요.. 나름 대단하네요.
단지날드
14/01/17 01:03
수정 아이콘
최근에 탈락을 SK-K아니면 안했다는게 큰거 같아요 이번 윈터도 경기내적으로도 엄청 밀린것도 아니고 스코어는 3:0일지언정 경기 내용자체는2경기를 뺴고는 팽팽했죠
14/01/17 19:37
수정 아이콘
KT B 잡은 팀은 무조건 우승해왔으니 항상 우승자에 바로아래티어에 위치해있다는 느낌을 주는거 같습니다.
14/01/16 23:34
수정 아이콘
외국팀을 너무 무시하는거 같습니다. 저기 속한 겜빗, PE, C9, 프나틱까진 SKK을 제외한 어떤 팀과 상대해도 이길 수 있는 저력이 있습니다. 제닉스 블라스트니 진에어라느니 이런 한국 중하위권 팀은 압살할 수 있구요.
카르타고
14/01/16 23:49
수정 아이콘
Pe는 일단 보류하죠
VinnyDaddy
14/01/16 23:44
수정 아이콘
원문 읽어봤는데, 여기서도 무시당하는 언영이 지못미 유유
전기돼지
14/01/16 23:50
수정 아이콘
교류전이 없어서 좀 심심해요. 갬빗은 확실히 꽤 하는 팀이라 한국 강호들과 붙여보면 어떨지 궁금한데
14/01/16 23:52
수정 아이콘
진짜 북미 LCS 유럽LCS 나 중국리그랑 교류전 하면 정말 재미있을텐데 언젠간 실현되지 않을까 하는데 참 복잡하겠네요. 어디서 송출하고
오프로한다면 장소는 어디로하며..
불굴의토스
14/01/16 23:53
수정 아이콘
갬빗은 너무 멀어서...온겜과 케스파 추진으로 중국이랑 battle of the asia로 5팀씩 선발해서(한국은 직전대회 롤챔스 4강+nlb 우승팀) 붙으면 재미는 있을것 같은데 말이죠. 중국도 관심 가질 거 같고...자존심 강해서 거절할 수도 있겠지만...
14/01/16 23:52
수정 아이콘
KTB의 위엄인지 슬픔인지...
뭘해야지
14/01/16 23:52
수정 아이콘
다른나라에는 nlb 형식의 2부리그가 없어서 소드가 없는 이유인듯..
하루타
14/01/17 00:05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가 순위가 낮네요... 생각보다
14/01/17 00:08
수정 아이콘
WCG는 LCS 참가팀들이 못나가기 때문에 인정을 못받는 대회고
C9와 프나틱이 붙은 초청전은 라이엇 공인 대회죠..

그래서 전자에서 OMG 를 이긴 블레이즈는 별 반영이 안됫지만
후자에서 프나틱을 떡바른 C9는 반영이 잘 되있습니다.

라이엇 공인 대회 기준으로 블레이즈는 롤드컵에 나간적도 없고. 우승은 2년전에 했으며. 최근 성적은 2연속 8강인 팀이죠....
실력 평가 가중치를 많이 해준거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불굴의토스
14/01/17 00:10
수정 아이콘
몬테크리스토 해설자님은 그걸 고려해서 블레이즈를 3위,OMG를 8위로 선정하셨습니다.

뭐 기준이야 사람마다 다른 거니까...

저는 몬테님 쪽에 더 무게를 주고 싶네요. 라이엇 공인이고 말고보다 저는 참가하는 팀이 중요하다고 봐서.
14/01/17 00:13
수정 아이콘
몬테는 라이엇 공인을 신경 안쓰고 말한거긴 하죠..
WCG가 라이엇 공인대회였다면 블레이즈 점수가 많이 올라가긴 했을껍니다..
14/01/17 00:35
수정 아이콘
저도 몬테쪽이 맘에 가는게 딱 지금이순간!의 파워가 반영된 느낌이라 말이죠.
비유하자면 최신업데이트?

물론 재평가가 수시로 이뤄지는 lol판에서 본문과같은 커리어위주의 파워랭킹이 공신력은 더 가지겠죠.
롤링스타
14/01/17 00:35
수정 아이콘
예쓰! 오존 2위 크크
14/01/17 00:46
수정 아이콘
오존은 선수들이나 팬들 사이에서 평가가 참 박하네요.
이번에 어떻게 한세트라도 따서 인간계 최강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단지날드
14/01/17 00:49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이건 최근성적이 엄청나게 반영된듯하네요

소드는 NLB를 제외하고는 공식전에서 롤드컵 이후에 이긴적이 없으니 순위가 낮을수밖에;;
라인란트507
14/01/17 00:51
수정 아이콘
프나틱 과소평가는 정말 너무 심하네요. 이거에 유럽팬들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궁금할 정도입니다. (뭐 거기도 과소평가하긴 마찬가지지만 그래도 C9보다 아래는 자존심 상할 듯)
롤러코스터니 기복이니 하지만 정작 본게임인 LCS 스프링, 섬머 전부 프나틱이 우승했고 대망의 롤드컵 성적도 북미 유럽 통틀어 가장 좋죠. 겜빗은 IEM 카토비체 우승 빼고 뭐 있나요? 게다가 이번 윈터도 뚜껑 열어보니 프니틱이 첫주 성적 겜빗 잡아내며 제일 좋으니 참 프나틱 선수들이 섭섭할 정도입니다.
14/01/17 00:53
수정 아이콘
그 핵심 사유가..

롤드컵 이후에 라이엇 공인대회에서 프나틱이 C9한테 '대패' 한게 큽니다..
겜빗은 그 공인대회에서 이겼고요..


윈터 첫주 성적은 저 파워랭킹엔 반영이 안되있고요.
2주차에 아마 반영되서 프나틱이 반등할껍니다.
라인란트507
14/01/17 01:05
수정 아이콘
정말 그런가보네요. 몬테씨는 아예 10위권 안에 집어낳지도 않았던데..크크
그래도 이제 프나틱은 중소규모 대회에서 삽질해도 중요대회는 잘하는 그런 이미지 정도는 만들어도 되지 싶은데.. 뭐 이번 윈터도 우승하면 가능할 듯.
14/01/17 01:21
수정 아이콘
몬테는 정말 냉정한 사람이라서..

아마 week1 인거 보니.. week2에선 프나틱 최소 5위 예상해봅니다..
불굴의토스
14/01/17 01:21
수정 아이콘
저도 공감합니다. bota야 어차피 이벤트전이고....

다만 프나틱이 이번 LCS에서 좋은 모습 보였으니 갬빗과 순위가 바뀔 듯 하네요.

파워랭킹이라는 것이 원래 자주 바뀌는 거다 보니 ...
14/01/17 01:28
수정 아이콘
매주 바꾸려고 week1 로 시작했겠죠..

매주 LCS 결과에 따라 요동치는 파워랭킹을 보면서 재평가의 장을 느낄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마이스타일
14/01/17 01:01
수정 아이콘
KTB 는 이대로 계속 우승 못하다간
나중에 폼 다 떨어지고 새롭게 치고올라오는 팀한테 무너질겁니다
이번 롤챔스는 이미 지나갔으니 어쩔 수 없고
진짜 마음 다잡고 카카오선수 정신 똑바로 차리고 해서
다음시즌 우승 해야됩니다
이대로 가다간 정말 콩라인 못벗어나요
바다님
14/01/17 01:48
수정 아이콘
왜 갑자기 문득. 이승엽과 우즈가 홈런 경쟁 해서 이승엽이 신기록 세웠을 때. 대구 구장과 잠실 구장 거리 비교 하면서 이승엽을 어떻게든 폄하 하려고 하던 사람들이 생각날까요. 그런 사람들 아직도....있나???
14/01/17 01:56
수정 아이콘
그때야 그렇다 해도 지금은 우즈가 이승엽보다 나은걸로 결론이 났죠..
바다님
14/01/17 02:03
수정 아이콘
흥미로운데요. 자료 좀 링크 가능 하시겠어요? (롤 얘기에서 뜬금 야구 얘기라 좀 그렇네요...)
바다님
14/01/17 02:16
수정 아이콘
아항~ 빠른 링크 감사합니다.
긍정_감사_겸손
14/01/17 02:39
수정 아이콘
순위는 상관없으니 우승했으면 좋겠네요 오존!
저 신경쓰여요
14/01/17 03:04
수정 아이콘
KTB는 스프링에서 꼭 일인자에 대한 혁명을 성공시키길 바랍니다. 큭
14/01/17 04:22
수정 아이콘
오존 vs KT B가 너무 보고 싶습니다.

두 팀 다 SKT K 바로 아래에 있는 팀인데 누가 더 강한지 측정이 안된 상태기 때문에 다전제에서 붙어서 박터지게 싸우는거 보고 싶네요.
곰성병기
14/01/17 06:57
수정 아이콘
롤 프로리그를 하지않는이상 커리어가 답이죠.
민머리요정
14/01/17 09:02
수정 아이콘
음 그나저나...... 나진은 없네요 ㅠㅠ
14/01/17 09:29
수정 아이콘
정말 하늘은 케티비를 낳고 왜또 스크트를났으셨나요....스크없으면 본좌포스 풍길법한팀인데 어딜가든 스크를만나니..
14/01/17 10:26
수정 아이콘
소드는 롤드컵 4강에다가 지금 NLB 결승전인데 NLB가 워낙 무시당하니 평가가 박하긴 하네요.
KrystalJung
14/01/17 11:23
수정 아이콘
아 얼밤이 없는게 이렇게나 어색하다니... 내려온지 좀 되긴했지만 막상 보니깐 그러하네요...
저지방.우유
14/01/17 12:01
수정 아이콘
이런건 다 주관적인 순위이고 정답이 없는건데
이런 글에도 다툼이.....

솔직히 1위인 skk 제외하고
그 밑의 순위는 사람마다 다 다를거라서
별로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얼밤이 없으니 뭔가 씁쓸하네요 저도...
o바람o
14/01/17 12:1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롤 리그를 높게 평가했네요. 너무 높게 평가했다는 생각도 들고....일단 투표인거 보니 굉장히 주관적이다...임팩트와 최근 성적이 큰 영향을 준다라는 점...이 랭킹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의미가 있다면 이런 파워 랭킹이 시작되었다는 점 하나...
도로로
14/01/17 12:23
수정 아이콘
스타때처럼 어느팀이 더세니 팬들끼리 투닥투닥하는거 구경하는것도 재밌는데 거기에 해외팀까지 껴있으니 더 꿀잼인듯요.

SKK는 이번에 완전무결 전승우승 달성해서 다른팀들이 넘볼수 없는 커리어에 마침표 찍길!
탱구와댄스
14/01/17 14:10
수정 아이콘
좀 황당한게 nlb 엄연히 라이엇 공인 리그고 서킷도 걸려있는데 왜 계속 소드 성적을 롤챔 광탈이라고 할까요? 소드의 성적은 연속 두번 5위 지금은 5or 6위입니다. Nlb 우승>>>롤챔 8강인 것을....;;;;;

시즌 3 롤컵 4강. 국내리그 5 5 5or6이 소드 커리어인데 전혀 납득이 안가는 순위네요. 당장 겜빗 롤컵에서 소드한테 전라인 폭파당한게ㅜ눈에 선한데요. 서폿 탓하기엔 맞라인 스니 탑 미드 전부 폭파였죠.

블레이즈도 마찬가지입니다. Wcg 우승에 이번시즌 5or6위인데 기가 차네요. 당장 omg pe연합을 우주까지 털었는데.....
아저게안죽네
14/01/17 14:23
수정 아이콘
이게 말 그대로 파워 랭킹이라 커리어랑은 상관 없는 순위로 봐야 돼요.
현재 보여주는 경기력이 가장 중요한 랭킹입니다. 커리어로 치면 ktb도 너무 높은 순위죠.
탱구와댄스
14/01/17 14:35
수정 아이콘
그래도 말이 안되는게 프나틱은 롤컵 이후 bota에서 찢기는게 다였는데(lcs 경기 반영 안됐으니)말입니다.....블레이즈도 크트브한테 탈락했을 뿐이지 전승찍고 nlb 결승에 있죠. Wcg 전승우승은 말할 것도 없고요.
아저게안죽네
14/01/17 14:50
수정 아이콘
그래서 9위에 있는 겁니다 프나틱이. 보타에서 c9을 이겼고 lcs까지 반영됐다면 겜빗 위에 있었을 걸요.
wcg는 위에 분들이 적어주셨듯이 라이엇 공인 대회가 아닌 것도 있고 그걸 감안하더라도 블레이즈 순위는 적당한 걸로 보이는데요.
탱구와댄스
14/01/17 17:10
수정 아이콘
롤컵 4강에서 로얄에게 3:1로 탈락하고 보타에서 찢긴 프나틱이 9위고
롤컵 4강에서 sk에게 3:2로 지고 롤챔은 탈락했어도 그후 전승으로 챔스 5위 or 6위냐에 있는 소드는 아예 랭킹에도 없죠.
전 암만 봐도 몬테의 랭킹에 비해 위의 파워 랭킹은 전혀 뭔가의 기준을 느낄 수가 없네요.
단지날드
14/01/17 15:04
수정 아이콘
아마 nlb는 신경 거의 안쓰는거 같고 엄청 최근성적&포스가 엄청나게 크게 반영된것으로 보입니다.
탱구와댄스
14/01/17 17:08
수정 아이콘
롤컵떄도 그랬죠. 소드에 관해 인터뷰할 때 nlb는 아예 안중에도 두지 않는 듯한 팀이 꽤나 있었습니다. 정작 지금 해외팀중 nlb와서 우승할 수 있다고 자신할 수 있는 팀은 단 한팀도 없어 보이는데 말이죠.(가능성으로 열자면 물론 꽤 있습니다만)
헤나투
14/01/17 19:31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는 나름 평가를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역시 소드인데... 어쩔수없다고 봅니다. 말씀하신대로 현재 소드는 국내대회 3연속 5위입니다.
롤드컵에서 2번의 다전제를 보여줬긴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나보네요.

개인적으로 KTB만 특별취급을 받은거 같고 나머지는 납득못할 순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블레이즈 역시 wcg우승을 어느정도는 감안한 순위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저지방.우유
14/01/18 01:01
수정 아이콘
뭐.... 이런 거에 굳이 열을 낼 필요 있나 싶네요
주관적인 순위잖아요...^^;;
이거 사람마다 물어보면 순위 다 제각각일 텐데 정답은 없습니다
예전 IPL같은 대회가 있지 않는한
해외팀들과의 실력차이를 평가할 길도 없고 말이죠
blissfulJD
14/01/17 17:39
수정 아이콘
오존!!
간지미중년
14/01/18 17:29
수정 아이콘
적절한 순위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681 [LOL] 솔직히 전 라이엇 코리아에 실망감이 큽니다 [120] 하늘의 궤적11137 14/03/18 11137 4
53640 [LOL] 솔직히 라이엇의 욕설/트롤 대처에 대해 화가납니다. [121] 삭제됨11373 14/03/14 11373 6
53337 [LOL] 라이엇에서 제공하는 2주차 파워랭킹 [16] Leeka7574 14/01/27 7574 1
53253 [LOL] 라이엇에서 LOL 파워랭킹을 공개했습니다. [133] Leeka15327 14/01/16 15327 0
52873 [LOL] 라이엇은 왜 서포터 포지션에 천착하는가 [31] 당근매니아9913 13/11/27 9913 0
52734 [LOL] 수많은 유저들의 경고. 안일한 라이엇의 대처. [73] Leeka10819 13/11/12 10819 4
52496 [LOL] 라이엇의 eCommerce 프로젝트 [13] 픽스 룰루 봇8739 13/10/16 8739 2
52326 [LOL] 겜빗 VS 오존. 최종전 라이엇 공식 분석 번역본. [6] Leeka9391 13/09/27 9391 1
52072 [LOL] 대리 권하는 라이엇 [68] 레몬커피12405 13/08/28 12405 0
51468 [LOL] 라이엇 그레이브즈 답변과 친절함? 도와줌? 리본을 받았습니다. [15] 대경성9442 13/06/17 9442 0
51415 [LOL] LOL 결승전 라이엇 그레이브즈를 드릴려고 합니다. [25] 대경성11895 13/06/13 11895 0
51279 [LOL] 라이엇 코리아 보상에 대한 아쉬움 [214] 배두나11271 13/05/29 11271 0
51242 [LOL] 대리랭 관련 라이엇 게임즈 공지 [112] 대경성13285 13/05/24 13285 0
50945 [LOL] 라이엇 코리아는 뭐하는 회사일까요 [144] .Fantasystar.17790 13/04/05 17790 0
50830 [LOL] 라이엇, 북미+유럽 프로게이머 대리랭크 제재 [45] XellOsisM10393 13/03/19 10393 0
50823 [LOL] 라이엇의 대륙별 분리 정책과 MAJOR대회분리정책 과연 옳은 방향인가?(MLG 스포있음) [45] 키토10072 13/03/18 10072 3
50254 [LOL] 라이엇게임즈, 리그 오브 레전드 일본 서버 준비중 [34] 마빠이10734 13/01/20 10734 0
50096 라이엇이 시즌3에 무리수를 두는거 같습니다. [73] 마빠이11452 13/01/10 11452 0
49464 라이엇 게임즈 코리아, LOL 서버 및 홈페이지 장애에 대한 보상안 발표 [27] kimbilly8739 12/11/26 8739 0
49152 라이엇 코리아의 정책에 대해서 [46] 엄의아들김명운9997 12/11/01 9997 0
48923 [LOL] 시즌3 탑레이팅 유지는 명백한 라이엇의 실책입니다. [33] 태랑ap6864 12/10/13 6864 0
48885 [LOL] 라이엇, 아주부 프로스트 30,000달러 벌금 선언 + 상세 내용 [304] XellOsisM9276 12/10/11 9276 0
48855 라이엇 게임즈 코리아, 롤드컵 경기 지연 보상으로 LOL IP 2배 지급 [16] kimbilly6211 12/10/09 62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