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2/06 14:32:49
Name 凡人
Subject [기타] 게임 소개 및 추천 : 보더랜드 시리즈

모 웹진에서 이 게임의 1편을 소개할때 썼던 문구대로 FPS 로 즐기는 디아블로 같은 느낌의 게임입니다. FPS에 RPG 요소를 결합시켰죠.
적을 잡으면 경험치를 얻고, 경험치가 쌓이면 레벨업합니다. 한 번 얻은 무기는 버리거나 상점에 팔 때 까지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합니다.
즉, FPS에 캐릭터의 성장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고전 FPS등에서 나타났던 무기 여러개 휴대가 가능합니다. 4개까지 퀵슬롯에 등록하여 전투중 바로바로 교체가 가능하고, 인벤토리가 있어 20개 이상의 무기를 들고다니다가 중간중간 교체도 가능합니다. 이런 고전 FPS에서 종종 등장하던 쏘면 폭발하는 드럼통도 자주 등장합니다.


다만 FPS 기반 게임이 정통 RPG 처럼 아이템과 스킬 트리가 복잡해지면 FPS 특유의 총을 쏴서 적을 잡는다는 개념이 희박해지므로
액티브 스킬은 캐릭터마다 딱 하나씩만 있고, 장비는 총기류 / 수류탄 강화 장비 / 특성 스킬 강화장비 / 실드 네가지로 제한됩니다.
총알 제한도 붙어있습니다. 중간중간 총알 자판기에서 구매하거나 보물 상자를 열어서 보충해 줘야 하죠.


스탯도 총기류 공격력, 총기 반동, 장탄수, 연사속도, 명중률 등의 사격과 관련된 것과 HP / 실드 HP 가 전부입니다. 
이조차 총기류나 실드등에 따라 나오는 스탯이므로 개인이 조절할 수 없습니다. 즉, 직접 찍어서 올리는 힘민체지 이런건 없습니다.
이속 스탯도 없습니다. 레벨이 오른다고 공격력 안올라갑니다. 스킬 포인트 좀 더 나오고, HP만 오르죠.
방어력? 그런거 없습니다 저항도 없습니다. 회피도 안됩니다. 매트릭스의 네오도 아니고 날아오는 총알은 그냥 맞아아죠.


클래스는 1편 기준으로 넷이고, 2편에서는 여섯 (기본 네명에 DLC 추가 두명) 이 됩니다.

캐릭터마다는 외모 이외에 아래와 같이 talent 라는 것을 주어 차별화 시킵니다.


각각의 탈렌트는 온라인 게임의 그것들과 비슷합니다. 보더랜드 1편에서 가장 인기있는 캐릭터인 lilith 의 elemental 쪽 탈렌트를 살펴보면

 Quicksilver : 모든 무기군의 연사력을 5%씩 증가
 Spark : 속성 무기의 효과 발동 확률 4%씩 증가
 Resilience : 모든 속성 방어력을 6%씩 늘린다.
 Radiance : 액션스킬 발동 중 근접한 모든 적에게 전기 속성의 데미지를 입힌다.
 Venom : 근접공격시 5n%의 확률로 산성 효과를 나타나게 한다.
 Intuition : 적 사살시 몇 초동안 이동속도를 10%씩 늘린다. 부가효과로 자신과 파티원의 경험치 획득량을 4%씩 늘린다.
 Phoenix : 적 사살시 근접하는 모든 적에게 화염 속성의 데미지를 입힌다. 부가효과로 몇 초동안 5n%의 확률로 탄약을 소비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어떤 캐릭터는 스나이퍼 라이플을, 어떤 캐릭터는 권총을, 어떤 캐릭터는 라이플을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능력치를 부가하는 식으로 캐릭터마다 차별을 두게 되죠.


게임 진행은 디아블로와 비슷합니다. 작고 황량한 시작마을에 도착한 주인공이 악당을 하나하나 잡아가면서 좀 더 큰 도시에 진출하고, 중반부 이후에 거대한 음모에 맞딱뜨리면서 싸워나간다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필드는 게임 내 걸음걸이로 끝에서 끝까지 10~15분 정도 걸리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필드가 20개 내외가 모여 게임 세계를 구성합니다.


MMORPG 와 같이 특정 인물이나 현상금 게시판에서 퀘스트를 수락해서 완료하면 경험치, 돈, 장비를 받게되며, 이 퀘슽도 스토리에 관여하는 메인 퀘스트와, 줄거리에는 큰 관계가 없는 서브 퀘스트로 나눠집니다. 디아블로 2와 비슷하게 총 3회차까지 난이도를 높여가며 반복 플레이를 할 수 있고, 1편 기준으로 회차당 플레이 시간은 30시간 내외입니다. 자유도도 일반 온라인 게임과 비슷하게 메인 퀘스트 받아놓고 줄창 서브 퀘스트만 해도 되고, 보스몬스터를 잡아서 특정 장비 파밍만 해도 됩니다. 별도의 아이템 파밍을 하지 않아도 엔딩을 보는데는 무리가 없는 편입니다. 다만 학살이 해보고 싶거나 독특한 옵션의 무기를 써보는 재미로 파밍을 하곤 하죠.


그리고 FPS 적인 특징으로서 동 레벨대 길가는 잡병 A의 공격력이 주인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 녀석들이 많을때는 한 화면에 7~8명씩 튀어나와서 주인공에게 총을 쏘죠. 그러니 적이 여러명 보이면 도망가다가 숨어서 쏘고, 수류탄 던지고 숨고. 심지어는 다른 지역 포탈로 신나게 도망까지 가야합니다. 좋은 무기를 얻으면 학살쇼가 시작되는 것은 RPG와 비슷하나 방어력이 오른다는 개념이 없으므로 신나게 총을 쏘다가도 자폭병 A에게 한번에 누워버릴 수 있기 때문에 적정 레벨 구역을 다닐때는 항상 긴장해야 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광역 공격 무기가 있기는 하지만 쓰임새가 제한적이며, 보통은 적과 1:1로 싸우게 됩니다.


개그와 심각함이 교대로 나오고 (후반부 중요 필드로 용병부대에 의해서 초토화 된 마을이 나오는데, 이쯤 진행할 정도 되면 웃음이 나오지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SF 풍이며, 스토리 전개도 매끄럽습니다. 보스를 상대하기 전에 보스가 '저놈을 잡아와라' 라던가 주인공을 비웃는 공개방송 등을 하는데, 제대로 주인공을 놀려대기 때문에 보다보면 절로 부아가 치밀어 오릅니다. 자연스럽게 캐릭터와 동질감을 형성하게 되는거죠. 게다가 FPS 시점의 게임이라 공격력은 강해질 수 있어도 방어력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노가다로 게임을 마냥 쉽게 만드는 것도 힘듭니다. 난이도가 약간 어려운 정도로 시작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것도 장점.


PS3, XBOX, PC, MAC 용으로 전부 출시되었고, 1편과 2편의 이야기가 이어지므로 1편 GOTY 버전을 스팀에서 구매한 후 DLC 까지 전부 클리어하고 바로 2편 GOTY 버전을 구매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1, 2편 공히 한글화가 되어 있으며 2편의 한글화는 꽤 훌륭한 편입니다. DLC 도 요즘의 무개념 DLC 들과는 달리 구성이 풍부합니다. 긴 것은 10시간 이상의 플레이타임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스토리도 본편에서 바로 이어지구요.
저는 1편은 PS3 으로 했었는데 의외로 플스 패드로 할만했습니다. 


추가> PC판 사양을 궁금해 하시는 분이 있어 인터넷 검색하니 1편 기준으로 pc판 e8400 + gts250 60프레임 가능이라고 합니다. 2편에서도 그래픽 쪽으로 사양을 확 높일만한 요소가 없어 이정도면 무난하리라고 봅니다. 1편이 2009년에 나온 만큼 3년내 표준스펙 정도 컴퓨터면 큰 끊김없이 돌아가리라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반반쓰
13/12/06 14:43
수정 아이콘
마침 2편 GOTY버전이 누벰에서 75% 세일 중입니다
10.6달러로 역대 최저가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eophilos
13/12/06 14:43
수정 아이콘
막 하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글이네요. 그런데 사양은 어떻게 되나요?? 집 컴이 좀 연식이 된지라...
LingTone
13/12/06 14:48
수정 아이콘
2편 GOTY는 몇몇 DLC가 빠져 있죠.
양념반자르반
13/12/06 15:06
수정 아이콘
저런 그래픽을 랜더링이라고 하나요?
웬만하면 pc게임을 잘 안하는데 몇 년 전 저런 렌더링으로 되있는 게임 정말 재밌게 했던 기억이 있는데 게임 이름이 생각안나네요 ㅜㅜ
아리온
13/12/06 15:10
수정 아이콘
서틴인것 같네요
노네임
13/12/06 19:47
수정 아이콘
카툰 렌더링은 아니고 텍스쳐를 좀 지저분하게 만들어서 그런 느낌이 나죠.
YORDLE ONE
13/12/06 15:16
수정 아이콘
어우 너무 재밌겠네요
아리온
13/12/06 15:30
수정 아이콘
1,2 dlc 모두해서 250시간 정도 플레이 했습니다. 세일할때 질러서 일당 쟁여두세요

언젠간 합니다. 그리고 할만 합니다. 의외로 타격감이 좋다는게 매력이죠
13/12/06 15:32
수정 아이콘
이거 분위기나 조작감은 참 맘에 들었는데 몹이 잡은지 1분도 안돼서 리스폰되는게 짜증나서 접었던 기억이 있네요.
네임드 하나 잡고 마을로 복귀하려고 보니 그동안 헤쳐왔던 길에 몹이 싱싱하게 잔뜩 깔려있는 현상이 반복되다보니 지쳐서..
13/12/06 15:43
수정 아이콘
꽤 오래된 게임이죠?
재밌게 했었는데 전 FPS류 게임만 하면 속이 울렁거려서...ㅠㅠ
13/12/06 17:19
수정 아이콘
본편을 30달러 주고 샀는데 고티를 따로 사자니 왠지 아까운 기분이 들고 그렇다고 DLC를 따로 사자니 배보다 배꼽이 더 크고 해서 묵히는 중입니다.
라기 보다는 결정적인건 정작 비싼 값 주고 샀더니 제 취향이 별로 아니더군요..
디아블로식의 아이템 파밍게임을 좋아하긴 하는데 정작 파밍게임이라고 보기엔 좀 애매하기도 하고
레전더리 먹어보겠다고 보스만 수십번 잡는데 이걸 FPS로 하니 이게 뭐하는짓인가 싶어 어느 순간 재미가 뚝 떨어지더군요.
특유의 카툰렌더링 그래픽도 안맞는 사람은 안맞기도 하고요.

하지만 고티가 10달러라면 돈값은 충분히 할 게임입니다.
노네임
13/12/06 19:56
수정 아이콘
1은 초반부도 지루하고 클랩트랩이 너무 말이 많아서 좀 하다 봉인했는데 2는 정말 신나게 했습니다. 상대적으로 클랩트랩의 대사가 줄어든 것도 좋았고 시스템도 많이 발전했더군요. 다소 허전한 메인 스토리와 달리 사이드 스토리와 dlc는 정말 알찬 게임이었고요. 500시간 넘게 즐겼는데 개인적으론 12년 goty로 생각합니다. 다만 레벨 제한이 풀리고 오버 파워까지 생기면서 캐릭터 간의 특색이 사라지고 난이도가 너무할 정도로 올라가니 재미가 많이 떨어졌네요. 61렙 까지가 가장 재미있게 즐긴 것 같아요.
미움의제국
13/12/06 22:07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분위기가 우울해서...

쓱쓱 쓸어담는 유쾌한 게임이 아니더군요.
13/12/06 22:31
수정 아이콘
정말 재밌게 즐긴 게임이고 요즘은 여유가 없어서 2오리지널 중반부까지 하고 쉬는 중입니다.
패드가 완벽하게 지원되서 침대에 노트북 놓고 누워서 할 수 있는 좋은 게임입죠. 그다지 좋은 노트북이 아님에도 2기준으로 풀옵에 가깝게 플레이할수 있는 최적화도 잘 된 게임입니다. dlc를 사야할텐데..천천히 깰 수록 세일의 기회도 많아지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041 [기타] [스타1] BJ.Number배 PBS 8강 공지 [18] 옆집백수총각5805 13/12/15 5805 2
52986 [기타] [스타1] 허영무와 몽군 경기보셨나요. [23] 영웅과몽상가9652 13/12/10 9652 3
52972 [기타] [스타1] BJ.Number배 PBS 16강 공지 [17] 옆집백수총각5475 13/12/08 5475 3
52951 [기타] 게임 소개 및 추천 : 보더랜드 시리즈 [14] 凡人13102 13/12/06 13102 1
52896 [기타] [스타1] PBS 32강 공지 + 32강 경기영상 [97] 옆집백수총각6391 13/12/01 6391 5
52795 [기타] 때늦은 지스타 잡담 [5] The xian6219 13/11/19 6219 0
52634 [기타] [스타1] 마지막 4강을 추억하며 [18] 삼공파일6790 13/10/29 6790 0
51765 [기타] [스타1] 지극히 주관적인 택뱅리쌍 명경기들 모아봤습니다. [19] 기차를 타고13891 13/07/26 13891 2
51339 [기타] [스타1] 프저전 개론 1 [9] 이슬먹고살죠16312 13/06/05 16312 9
51287 [기타] [유희왕] 심심해서 쓰는 Dual Terminal 세계 이야기 (0) - 등장인물(?) 소개 [19] 이호철9251 13/05/30 9251 0
50910 [기타] 퍼즐 앤 드래곤을 시작하려면 요즘이 적기입니다. 우리 같이 퍼드를 해봐요. [51] 화잇밀크러버10336 13/03/30 10336 1
50299 [기타] [실화] 내가 하면 재미가 없대...(1) : 오락실 게임 [48] 워크초짜14907 13/01/23 14907 0
49819 DAUM <5> 中下 한니발8769 12/12/25 8769 5
49817 DAUM <5> 上 [5] 한니발12169 12/12/25 12169 7
49749 2012 e-Sports Award in PGR21 - 수상자를 발표합니다. [15] kimbilly12280 12/12/21 12280 0
49725 2012 e-Sports Award in PGR21 - 투표 이벤트 당첨자 120명 발표 [42] kimbilly6434 12/12/19 6434 0
49516 소닉TV 7차 BJ 스타리그 - 결승전, 임홍규 vs 박준오 #2 [60] kimbilly6988 12/12/01 6988 0
49515 소닉TV 7차 BJ 스타리그 - 3/4위전, 박지호 vs 하 늘 #1 [210] kimbilly7160 12/12/01 7160 0
49500 12월 1일 BJ 소닉 7차 스타리그 (스타크래프트1) 결승전 안내입니다!! [46] 소닉6975 12/11/30 6975 2
49434 피파온라인 2가 서비스 종료됩니다. [19] The xian8117 12/11/23 8117 0
49382 BJ 소닉 7차 스타리그 결승 초대 손님 및 일정 입니다. [14] 소닉13341 12/11/18 13341 0
49271 G-STAR 2012 현장 취재 - 3일차, 부산 BEXCO 현장 스케치 [3] kimbilly8284 12/11/11 8284 1
49100 DJ MAX Ray 리뷰 [20] 윤하5919 12/10/26 59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