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1/24 16:14:47
Name 삭제됨
Subject [LOL] 대격변이후, 현 북미 정세에 대해.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프의대모험
13/11/24 16:17
수정 아이콘
프로들이.어떻게 꿀을찾는지 지켜보는 재미가 있을것같아서 기대중입니다
13/11/24 16:20
수정 아이콘
도타인가 카오스인가 아님 둘다인가
여튼 라인에서 랩좀올리고 정글 도는 게임도 있지않나요?
라이엇도 그런걸 생각한건가 싶기도하고..
정글러가 없어질꺼 같진 않은데 포지션이 좀 희미해지긴 할꺼 같단 생각이 드네요
13/11/24 20:29
수정 아이콘
도타는 2밖에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실제로 카오스에서는 최소 레벨링을 라인에서 하고 크립 사냥을 들어가긴 합니다.
키스도사
13/11/24 16:20
수정 아이콘
저도 포프의대모험님 말씀처럼 프로들이 어떤 꿀을 찾을까 기대가 되네요. 그리고 EU스타일뿐 아니라 새로운 매타들이 등장할꺼 같다는 느낌도 들고..
랜슬롯
13/11/24 16:21
수정 아이콘
EU 메타를 라이엇이 없애버리고 싶어하는 건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인데, 이번 패치로 이게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EU메타역시 하나의 재미라고 보는데 스노우볼 효과를 어떻게 좀 줄이면 좋겠다, 라는 생각은 항상가지고 있었습니다만, 정말 롤챔에 패치가 적용되고 탑에 두명이 가도 하나도 이상하지않을 것같습니다. 가장 많이 변화한 포지션은 역시 정글러고 서폿이 그다음. 마지막으로 탑이라고 봅니다. 미드와 원딜은 크게 차이가 없구요.
지나가던한량
13/11/25 17:49
수정 아이콘
그간 뉴메타가 발굴된 챔프들이 어떻게 너프를 먹었는지를 생각해보면 글쎄요. eu를 좋아하는 것 같지는 않지만 설정된 게임양상에서 너무 벗어나는 모습을 못미덥게 여기는 것 역시 라이엇의 솔직한 심정인 것 같습니다.
시네라스
13/11/24 16:22
수정 아이콘
시즌2-시즌3로 넘어갈때도 긍정적인 변화가 많이 보인다고 했지만 결국 정적인 스노우볼링하는 형태로 굳어졌죠
시즌3-시즌4도 결국 게임 양상이 굳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겁니다. 게임이 아무리 많이 바뀌어도 프로들은 최적화된 걸 찾아낼 테니까요
버스커버스커
13/11/24 19:2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전 라이엇이 시즌제로 1년마다 이렇가 거대한 흐름을 손보는게 굉장히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봅니다. 최적화를 결국 계속 새로 해야되니까요.
자다깨고깨다자고
13/11/24 16:2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서폿 or 2정글이 될줄 알았는데..
걸스데이 덕후
13/11/24 16:28
수정 아이콘
다른 건 몰라도 eu메타가 사라지지는 않을 거라고 봅니다.

지금의 대격변이 eu메타를 무너트린 다면 라이엇은 eu메타를 위한 패치를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라이엇은 현 라인전 구도를 박살내는 메타를 용납하지 않을 거라 봅니다.
Holy shit !
13/11/24 16:29
수정 아이콘
http://www.inven.co.kr/common/image/viewer.php?loc=&file=http%3A%2F%2Fupload.inven.co.kr%2Fupload%2F2013%2F11%2F24%2Fbbs%2Fi1677829746.png

여기보면 로코팀이 2정글 돌기도 하네요.
아무튼 긍정적인 변화라고 봅니다.
접니다
13/11/24 16:30
수정 아이콘
한국도 빨리!! 빨리!!

어서 해보고싶어요
김치남
13/11/24 16:39
수정 아이콘
아까 퀀틱이랑 템페스트 경기하는걸 중후반부만 봤는데 건자가 서폿리신으로 캐리하더군요
뭐 실력차가 있는 팀간의 경기라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13/11/24 16:39
수정 아이콘
제 작은친구 갓무무가 다시 날개를 필 날이 올거 같습니다
모모리
13/11/24 16:41
수정 아이콘
북미에서 몇 게임 해보니 정글 돌기가 너무너무 힘들더라구요. 룬이 없기도 했지만 그걸 감안해도 너무 힘들어서 당황했습니다. 본문에 적으신 대로 갱킹 가서 정글링 잠깐 쉬면 상대 정글과 격차가 커지구요. 그래서 아예 rpg형 정글러(쉬바나/문도/우디르 등등)가 아니면 그냥 투 탑을 서는 게 나아보여요.
13/11/24 18:10
수정 아이콘
쉬바나/문도/우디르는 어떤 면에서 RPG형 정글러였나요?
6렙찍기전까지는 갱 안가고 빠르게 정글 도는 건가요?
Teophilos
13/11/24 18:30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몸이 되면서 정글도는 속도가 굉장히 빠릅니다.
모모리
13/11/24 20:53
수정 아이콘
문도는 갱킹력이 좀 있는 편이지만 쉬바나나 우디르는 갱킹력이 매우 구려서 내정글 먹고 니정글 먹고 이런식으로 미친듯이 파밍하면서 역갱만 봐주는 식으로 플레이하곤 했었습니다.
13/11/24 21:02
수정 아이콘
갱킹보다는 성장형인 타입이죠. 튼튼하게끔 탱템을 두르고 한타에서 존재감을 과시하는 타입입니다.

한타형 정글러라도 광역cc기의 아무무와는 또다른 유형으로 아예 초식은 아닌 타입들입니다. 정글링이 빠르고 순수 맞다이는 나름 괜찮으나 갱킹은 어려운 타입들요.

근데 우디르는 여기서 또 궤가 약간 다르긴 합니...
13/11/24 21:33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제가 제일 많이 했던 정글캐가 문도랑 쉬바나였는데, 감을 잘 못잡고 했던 것 같아서 질문을 했습니다.
전 아직도 롤에 대해서 이것저것 모르는게 많은 것 같아요.
13/11/24 21:55
수정 아이콘
리 신이나 자르반 같은 갱킹형 정글러가 있고, 갱킹이 아주 구리지는 않으나 2:2싸움에 약한 아무무,세쥬 등의 궁극기 의존형 초식 정글러가 있고, 쉬바나,문도류의 갱이 구리고 정글링은 빠른 정글러로 삼분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근데 또 피들같은 독특한 챔프도 있고 워윅같은 안정성에 무게가 실리는 정글러도 있고...
도로로
13/11/24 16:47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는 패치 되더라도 대회에 적용 되려면 한참 기다려야겠죠? 빨리 패치라도 됐으면..언제 되나요??ㅠ
김치맨
13/11/24 17:19
수정 아이콘
시즌3 시작할때도 바로 적용된걸로 기억하는데.. 아닌가?;;
워낙 대격변 패치는 내가하는게임이랑 보는게임이랑 너무 갭이 크기때문에
바로 적용될겁니다. 패치나오고 다음경기 부터 바로 적용될걸요?
그래도아이유탱구
13/11/24 17:54
수정 아이콘
바로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구요.
작년에는 12강이 한창 진행중이어서, 12강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기에는 시간이 워낙 오래 남아 바로 패치했는데,
이번 16강은 얼마 남지 않아서 8강부터 적용될 가능성도 농후하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적용 2대 8강 적용 1정도가 아닐까.
13/11/24 18:05
수정 아이콘
작년엔 일주일쯤뒤에 적용됐어요 다른 패치에 비해 훨씬 빨리 적용됐던 걸로기억합니다
RedDragon
13/11/24 16:50
수정 아이콘
정글 워윅이 다시 뜨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피관리 쉬운게 워윅만한게 없죠.
승시원이
13/11/25 15:03
수정 아이콘
정글링이 힘든데 정글링 한 만큼의 보상이 나온다면 워윅만큼 좋은 챔프는 없겠지요.
인터넷 그만해
13/11/24 16:56
수정 아이콘
서폿의 성장이 좋아진 건 환영할만 하지만... 정글까지 그래야 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갱보다 정글링에 집중하게 되면 지루한 게임 양상이 자주 나올 거 같아서요.
포프의대모험
13/11/24 17:06
수정 아이콘
와드가 줄어서 갱킹세지니까 부쉬자르고 정글 피관리 힘들게 만든듯
파란무테
13/11/24 17:23
수정 아이콘
와드가 줄었으나,
초반에 장신구로 와드를 모두 소지하게 되어 갱킹이 더 힘들죠.
ThisisZero
13/11/24 17:11
수정 아이콘
정글은 제가 잘 안하다 보니 잘 모르겠지만 요새 서폿하고 있는데요.
렐릭 실드...인가요?(한글패치 적용된 북미판 하고 있는데 한글명은 [고대유물 방패]입니다. 정식서버에도 이렇게 적용될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게 듀오에게 엄청난 시너지를 주는 것 같습니다. 전리품이라는 스택이 쌓이면 체력 200 이하의 미니언을 공격할때 필킬이 나오며
미니언 골드+5를 아군에게 주면서 체력까지 회복시켜주죠. 미니언 골드를 두배로 뻥튀기 시켜줍니다. 대포미니언을 잡으면 85골드가 되는 셈이죠.

그렇게 많이 한 건 아닙니다만 개인적으로 이 템은 너프가 필요해보입니다. 듀오 레인을 서면 둘 다 사가지고 와요.
모모리
13/11/24 17:42
수정 아이콘
핫픽스가 예정되어 있다고 하더군요.
13/11/25 02:35
수정 아이콘
우와 이건 거의 엽긴데요; 원딜도 이걸 산다라... 그럴 만 하네요.
XellOsisM
13/11/24 17:19
수정 아이콘
탑-정글 방패 들고 정글이 초반에 버프몹만 챙기고 탑으로 가서 패시브 이용해서 푸쉬푸쉬
봇듀오 방패들고 (서폿은 스마들고 골렘or유령 먹으면서) 패시브 이용해서 푸쉬푸쉬
이게 지금 북미 대세가 아닐까 싶네요.
만약에 서폿이 스마들고 봇라인 정글몹 빼먹으면서 푸쉬하면 성장이 너무너무 빠릅니다.
탑-정글이 방패들고 푸쉬하면 상대방이 같이 방패들고 정글와서 막지 않으면 시즌3 라인스왑한것 같은 타워철거가 가능.
PBE에서 렐릭쉴드 너프 예정 되어 있는데 지금 당장은 렐릭쉴드 세상이네요.
13/11/24 17:29
수정 아이콘
렐릭쉴드 정말.. 이거 설계하면서 이렇게 될걸 예상하지 못한걸까요?
13/11/24 17:29
수정 아이콘
고대유물 방패 이거 거의 시즌2 등딱지급 이상의 꿀템으로 추정합니다.
시즌4 골템 종류 나열할때 이건 거의..
마빠이
13/11/24 17:31
수정 아이콘
기존 EU스타일도 가능하면서
2/1/2와 2정글 전술을 할수있다면 이건 라이엇이 그동안 간절히? 바라던 eu파괴의 시작이겠네요.

그리고 초반 2/1/2로 시작하다가 카오스처럼 정글로가서 정글 돌수도 있는것이구요.

라이엇은 일단 2/1/2 현상을 어느정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거 같은데 팬들이 왜 eu아니냐고
항의만 안했으면 좋겠네요... ㅠ
신과함께
13/11/24 17:3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프리시즌 도중 밸런스 패치는 어차피 계속 이루어질 것이고 시즌4가 시작될 타이밍에는
시즌4 변화에 맞춰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메타와 포지션이 재발견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쨌든 엄청나게 기대됩니다. 게임이 어떻게 변화해 나갈 것인지...
콩먹는군락
13/11/24 17:34
수정 아이콘
누누 주캐긴 입장에서 누누가 자주쓰일거같다는 느낌도 드네요
13/11/24 17:37
수정 아이콘
렐릭쉴드 하나만 너프 먹여도 정글러가 없는게 손해일 듯 하네요.
지금은 렐릭 쉴드의 골드수급량 상승이 너무 높아서 다른 골템 갈 필요도 없고 정글갈 필요도 딱히 없죠.
마빠이
13/11/24 17:41
수정 아이콘
렐릭실드를 조금 너프시키고 라인몹만 아니라 일반 정글몹도 적용 가능케 하면 어떨까요?
그래도아이유탱구
13/11/24 17:56
수정 아이콘
골템들 설명을 보니 라이너들이 들고갈만한 골템들이 있었던 것 같아요. 어차피 1인당 1개만 구입하는 거라면, 신발처럼 하나는 구입하고 보는 템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정글링은 뭐. 정글러가 정글링에 집중한다고 해도 라인전이 끝나도 집중하면 트롤이고, 상대는 갱하는데 혼자 정글링만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하지도 않구요. 다양한 상황의 연출이라 생각해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13/11/24 19:14
수정 아이콘
티모 너~~~~무 짜증납니다.
오라클도 없겠다, vision ward 도 눈에 보이니까, 이건 완전 대놓고 버섯 박아둘수 있고... 후반가서는 상대편에 티모가 있으니 정글을 돌아다니는게 완전 불가능하더군요. 티모가 어지간히 크니까 어떻게 이길수 있을지 해법이 없었어요. 프로들이 어떻게 푸는지는 궁금하긴 하지만, 쉽지 않을거 같습니다. 특히 팀호흡이 랜덤인 솔큐에서는 대응책이 없어보입니다.

Vision ward 가 이전처럼 눈에 안보이고 1개 이상으 박을수 있게 하던지... 오라클이 너무 필요한거 같아요.
13/11/24 20:35
수정 아이콘
그러고 보면 티모 버섯도 부쉬에서만 투명하게 바꿔야겟네요
13/11/24 21:00
수정 아이콘
저도 eu스타일의 탈피라는 측면에선 이번 패치가 괜찮게 느껴지는군요....

지금 스타일은 너무나도 정형화 되어있죠.. 이젠 패치를 통해서라도 새로운
플레이 스타일이 나올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지금에야 정글러 걱정이 들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분명 다른 해법이나 운영이 나올거라 봅니다.

이번 패치는 정말 대격변이네요 개인적으론 환영합니다.
영원한초보
13/11/25 01:52
수정 아이콘
듣기로는 시즌3 보다 더 한 대격변이군요.
미드는 여전할 것 같은데 더티파밍이 힘들어지는건지
13/11/25 10:23
수정 아이콘
http://forums.na.leagueoflegends.com/board/showthread.php?t=4063834

유물방패를 근접전용으로 만들 생각인듯 하네요. 그 외에도 자잘한 너프가 좀더 있고..

우리나라는 프리시즌 언제 적용되는지 아직 확정 안 됐나요?
플럼굿
13/11/25 13:36
수정 아이콘
티모/이블린 등 은신캐릭에 대한 패치는 왜 안나오는걸까요
13/11/25 16:51
수정 아이콘
노 정글, 1정글, 2정글 전부 시즌 1에선 흔하디 흔한 것들이었습니다.
그러다가 희대의 전략인 EU스타일이 나오면서 현재 1정글이 대세가 되었는데, 만약 시즌4에서 그런 경계가 다시 허물어진다면 재밌겠네요.
물론 보는 경기가 재미없어질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데...하는 경기는 더 재밌어질걸요? 정말 수없이 다양한 조합을 볼 수 있을겁니다.
PDD에게전해
13/11/27 02:05
수정 아이콘
며칠전에 탑에 르블랑+판테온이 딱하고 오는데 탑라이너가 너무 고통받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908 [LOL] 롤챔스 윈터. 드디어 대격변이 시작됩니다. [19] Leeka7690 13/12/02 7690 1
52907 [LOL] 원딜러가 보는 프리시즌 체험기 [19] Leeka7172 13/12/02 7172 0
52906 [기타] [월오탱] FPS 싫어하고 시간없는 40대 직장인의 게임 [34] Contax_Aria7355 13/12/02 7355 3
52904 [LOL] 언랭의 즐거움 (제드의 즐거움) [8] spankyou6529 13/12/02 6529 0
52902 [하스스톤] 방금 성기사로 9승 찍었습니다. [6] 용조6705 13/12/02 6705 0
52901 [하스스톤] 재평가가 필요한 비주류 공용전설카드들 [20] 삭제됨18955 13/12/01 18955 2
52900 [하스스톤] 하스스톤이 전략성이 뛰어난 e스포츠가 되려면 [35] nameless..8988 13/12/01 8988 3
52899 [기타] [워크3] 잘가 워3. Bye Bye. 잊지 못 할거야. [62] Friday138997 13/12/01 8997 4
52898 [기타] [워크3] 안녕히, 그리고 미안했어요 워크래프트3 [20] 미카즈키요조라7400 13/12/01 7400 4
52897 [기타] [스타1] PvZ 아즈텍 심시티 이건 어떤가요? [6] 이슬먹고살죠6689 13/12/01 6689 0
52896 [기타] [스타1] PBS 32강 공지 + 32강 경기영상 [97] 옆집백수총각6373 13/12/01 6373 5
52895 [기타] 나는 고전 게임이 좋다. [17] clearnote6886 13/12/01 6886 0
52893 [기타] Heroes of Might and Magic 3 Soundtrack [14] nameless..6458 13/11/30 6458 1
52892 [기타] 2013년 올해의 게임 발표가 나오고 있네요 [26] 노네임8057 13/11/30 8057 0
52888 [LOL] 소소한것에서 전해지는 감동. [23] Januzaj8906 13/11/30 8906 16
52886 [하스스톤] 자체적으로 개량하고 검증한 안정적인 승률의 드루빅덱 공략. [17] 삭제됨17523 13/11/30 17523 3
52885 [기타] 플스4 2차 지역 발매가 시작되었습니다. [29] Leeka6990 13/11/30 6990 1
52884 [LOL] 이스포츠에서 스토리라는 것 [22] 삭제됨6938 13/11/29 6938 7
52883 [기타] 아발론 온라인이 재오픈 한다는 소식입니다. [32] Stevie8315 13/11/29 8315 1
52881 [도타2] 기본적인 라인전 및 배치 소개. (롤과 비교) [20] 세이젤9768 13/11/29 9768 1
52880 [LOL] 프리시즌을 이틀간 해본 후의 짤막한 소감 [81] Leeka11210 13/11/29 11210 0
52879 [LOL] 프리 시즌때 반드시 바뀌어야하는 몇가지 문제들 [50] 고통은없나8571 13/11/29 8571 0
52877 [하스스톤] 재미로 보는 5대위상덱 [18] 삭제됨18734 13/11/28 1873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