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1/07 20:22:08
Name Dizzy
Subject [LOL] 시즌3 마지막 꿀 시비르 공략!





안녕하세요. 오늘 승급전 3승 0패로 다이아 승급에 성공한 Dizzy입니다.


원래는 탑 유저였는데 여러 챔피언, 여러 포지션을 즐겨 하다 보니 지금은 탑이 가장 어렵고 원딜이 주 라인이 되었네요.
골1~플3까지 저에게 승리를 안겨다준 챔프는 코르키였고 플1 70점에서 다이아5를 찍게 해준 챔피언은 시비르입니다.
그 중에 현재 가장 핫하고 꿀 중의 꿀 챔피언이라고 자부하는 시비르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1. 왜 시비르인가?


<시비르 북미 승률>




<시비르 국내 승률>




보시다시피 시비르의 승률은 서버를 막론하고 최최최최상위권입니다. 솔랭 OP로 비견되는 미달리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아요.
다이아에서 승률이 낮은게 조금 이상하긴 한데 아무튼 지금 시비르는 OP라고 불러도 이견이 없다고 봅니다.


제가 원래 시즌2 때도 시비르를 즐겨 했기 때문에 관심있게 지켜봤는데 시비르 리메이크되기 바로 전 날 검색했을 때는
승률이 51~52% 정도였습니다. 픽률은 1~3%정도였구요. 즉, 승률은 5%이상 올라갔고, 픽률은 적게는 3배에서 5배까지 올라갔습니다.
아래 운영 팁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지만 이렇게 된 까닭은 w, e, r이 모두 엄청난 버프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다들 PAX시비르 하나쯤은 창고안에 있잖아요!? 어서 시비르를 픽하고 시즌3 마지막 꿀을 빨아봅시다!



2. 룬 & 마스터리






룬, 마스터리는 특이할 게 없습니다. 그냥 저는 모든 원딜을 저렇게 써요.



3. 스킬트리 및 스킬 설명




스킬트리는 1렙 외에는 고정인데 1렙 싸움이 났다면 q를 찍고 아니라면 w를 찍습니다.
그리고 순서대로 R -> Q -> W -> E 순서대로 마스터를 해 줍니다.


그럼 시비르의 스킬이 뭐가 바뀌어서 승률이 급 상승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시비르의 특징은 애쉬랑 정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애쉬는 상대를 느리게 하면서 무한 카이팅을 하는 원딜이고,
시비르는 반대로 자신이 무한히 빨라지면서 카이팅을 하는 챔프입니다.


제 기억에 시즌2 시비르 패시브는 분명 상대 챔피언을 '평타'로 때리면 이속이 증가하는 걸로 기억하는데 제 기억이 잘못된건지 패치가
된건지 모르겠지만 스킬을 맞춰도 시비르의 패시브가 활성화되게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500이라는 짧은 사거리지만 q를 맞추거나
w로 튕겨서 상대 챔피언을 가격하면 빨라진 이속으로 충분히 사거리가 긴 원딜과도 라인전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Q스킬은 별로 바뀐게 없습니다. 드레이븐 궁의 축소화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돌아올 때 데미지가 증가하지는 않구요.
당연히 미니언이 없을 때 맞출수록 데미지가 아픕니다. 마나소모가 가장 많기 때문에 아껴서 써야 하는 스킬입니다.





W스킬이 원래는 스킬쿨이 아주 짧고 튕기는 횟수가 제한되어있었습니다. 지금은 무한히 튕깁니다. 그리고 무려 3번 활성화됩니다!
이렇게 바뀐 스킬 덕분에 원래도 푸쉬력이 좋았던 시비르를 푸쉬력에서 이길 원딜은 아무도 없습니다.


단 w를 쓸 때 조심하셔야 할 게 있는데 가장 앞에 있는 미니언에 맞춰주시는 게 좋습니다. 2번째 앞에 있는 미니언을 맞추면
부메랑이 뒤로 튕기지 않고 앞으로 튕겨서 고작 미니언 2마리를 맞추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거든요.
이건 실전에서 직접 해보시면서 느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평타캔슬은 여전히 가능합니다.





무려 3초간 스펠쉴드를 활성화합니다. (녹턴은 1.5초...) 덕분에 잔나의 돌풍, 블리츠 그랩, 쓰레쉬 사형선고, 케이틀린의 q와 덫,
그브 q, 소나 q 등등 수 많은 스킬들이 시비르의 마나물약으로 변신합니다. 게다가 이번 리메이크에서 무려 '노코스트'로 바뀌었습니다.


이게 얼마나 사기인지는 직접 해보시면 아는데요. 기존에는 마나가 모자르면 상대 cc를 두려워하면서 플레이 해야 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마나가 바닥나도 자신감있게 플레이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게다가 상대 스킬을 막지 못해도 마나소모가 없기 때문에 부담이 없죠.
스킬쿨이 긴 것 외에는 정말 완소 스킬입니다.





이번 리메이크의 핵심입니다. 궁극기는 정말 현존하는 LOL 스킬 중에서 사기 중에 사기 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타 때 모든 팀원이 '유체화'를 켜고 한타를 한다고 상상해보십시오. 유체화는 10초동안 27% 이속 증가인데
시비르 궁은 4초간 60% 남은 6초간 20% 이속 증가입니다. 게다가 한 번 버프를 받고 나면 시비르와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해서
이속 증가가 사라지지도 않더군요. 이거 버그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피쟐님들만 아세요. 쉿)


궁이 얼마나 좋은 거냐면 일단 이속이 빨라지면 아무리 반응이 느린 사람이라도 상대 논타겟 스킬을 피하기 쉬워지고
유리할 때 강제 이니시하거나 불리할 때 도망 혹은 카이팅이 쉬워지며 딜탱들이 상대 딜러 물기가 수월해지고
상대 챔피언을 포커싱하기가 편해집니다. 리메이크 전에 공속 버프는 애초에 이득을 볼만한 챔프가 잭스, 트린 등 한정적이지만
이속은 모든 챔프에게 좋죠. 람머스, 나서스, 쓰레쉬 등등 그냥 CC기가 있는 모든 챔피언과 어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우와아앙~ 하면서 5명이 달려나가서 강제 이니시로 한타를 이기고 나면 '사냥 개시'라는 이름이 정말 잘 어울린다는 걸 아실 겁니다.
라인전에선 직선갱의 성공률을 높여주거나 상대의 갱으로부터 안전하게 회피도 가능하기 때문에 e와 함께 시비르의 생존을 담당하구요.
공속 증가가 사라지지도 않았습니다. w가 활성화 되어있는 3타는 예전 공속 버프보다 훨씬 빠르게
궁극기가 쿨타임 중이라도 항상 공속 버프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본공속 너프는 체감되지도 않습니다.


이렇게 리메이크 된 시비르는 E와 R이 생존기로서 정말 좋기 때문에 '생존기가 없어서 힘들다'는 편견은 접어두셔도 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저는 골드 상위권에서 플래 하위권까지 코르키로 올라왔고 KDA는 3.6에 평균 데스가 3.4입니다.
시비르는 플래티넘1 70점 이상에서만 잡았고 KDA가 4.95에 평균 데스는 무려 2.3입니다.
발키리라는 걸출한 탈출기가 있는 코르키보다도 평균 데스가 적습니다.



4. 템트리




지극히 정석적인 템트리입니다. 저는 인피보다 블써를 선호합니다. 시비르 q의 ad 계수는 어마어마하고 w 계수도 좋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안정적인 피수급도 장점이죠. 첫 템은 도란으로 시작해서 라인전이 힘들 땐 2개까지 스택해주고 그게 아니라면 바로 흡낫 이후에 블써
혹은 흥했을 땐 바로 bf를 가주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신발을 늦게 사는 편인데요. 멀리서 q만 맞춰도 이속이 50 늘어나서 신발이 딱히
필요하진 않았습니다.


다만 트포를 가는 챔프나 몰왕을 가는 챔프에 비해 bf를 사기전에 딜로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구간에는 딜교환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블써를 올린 다음에 신발과 함께 바로 열정의 검을 올립니다. 그리고 저는 스태틱을 가지 않습니다. 가격은 싸지만 시비르는 결국 평타로
딜을 많이 하는 챔프이기 때문에 치명타율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스태틱의 장점인 라인 클리어 능력은 시비르에게 전혀 필요 없습니다.
잘 큰 시비르는 w 3방에 모든 라인이 정리됩니다.


열정의 검을 올린 후 상대방의 방템을 보고 팬댄을 바로 올릴지 라위를 갈지 선택을 하고 코어템이 3개 떴으면 방템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CC기가 많을 땐 퀵실, 포킹이 아플 땐 밴쉬, 내가 무조건 살아서 딜을 해야할 땐 가엔을 가주시면 됩니다.
돈이 남으실 땐 틈틈이 영약도 먹어주시고 마지막 템은 인피를 가시면 됩니다.



5. 라인전 운영

이 부분이 제 공략의 핵심입니다. 많은 분들이 시비르는 베인의 밥이다 케틀이랑 사거리 차이가 150인데 어떻게 이기냐? 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럼 시비르의 저 무지막지한 승률이 설명이 안 되죠. 저는 지금 시비르를 카운터칠 수 있는 원딜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통의 카운터로 손꼽히는 드레이븐은 만나본 적이 없습니다만 적어도 우리편 서폿과 상대편 서폿이 반반싸움만 해준다면
그 어떤 원딜이 와도 주도권은 시비르에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플래1 70점 이상에서 시비르가 살면 무조건 선픽했고
상대방은 거의 베인 아니면 케이틀린이 나왔지만 대부분 라인전은 이겼습니다.


라인전 운영은 정말 간단합니다. 처음에 w나 q를 찍은 뒤 라인을 푸쉬푸쉬합니다. 2렙을 먼저 찍는건 이제 브론즈 분들도 아실 정도로
봇 라인의 정석이죠. 2렙을 먼저 찍은 뒤 q는 아껴주시고 w로만 계속 푸쉬합니다. 이러면 보통 3번째 공성미니언이 오는 웨이브 쯤에
상대를 타워 안에 몰아넣을 수 있습니다. 그 후에는 우리편 서폿에게 와드를 부탁하고 '직선갱'만 염두에 두면서 계속해서 상대 미니언이
일자로 오면 바로바로 w로 피를 깎고 다시 타워에 몰아넣는 플레이를 반복합니다.


리메이크 시비르의 무서움이 바로 여기서 나옵니다. 예전에는 푸쉬를 위해 q가 필요했지만 지금은 w 3타면 미니언들이 다 반피가 되기 때문에
굳이 q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게다가 e는 노코스트 따라서 마나가 상당히 많이 남습니다. 계속해서 미니언을 타워에 몰아넣고 타워를 간간히
치다가 우리편 미니언만 남았을 때 q를 긁어줍니다. 상대 미니언이 없기 때문에 이 때 챔피언이 직격으로 맞으면 엄청난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상대 원딜은 미니언 먹느라 바쁘기 때문에 서폿만 주시하시면 e로 충분히 견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걸 우리편 와드가 끝날 때 까지 반복해주시면 됩니다.


상대 정글은 70~80%이상 직선갱을 노립니다. e가 빠진 타이밍엔 조심하시고 궁극기가 생기면 더 나대셔도 됩니다.
게다가 공속 패시브가 생기니까 이제부턴 타워를 때릴 때도 w를 활성화하시면 좋습니다. 이렇게 계속해서 푸쉬를 하면서
q로 포킹하고 뒤로 와서 라인 초기화 시켰다가 다시 밀고 타워 때리고 견제하고 반복하면 킬타이밍도 자주 나오고
타워도 시비르가 있는 쪽이 먼저 밀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식으로 플레이하면 우리편 미니언이 항상 많기 때문에 상대가 섣불리 덤벼들지 못하고 여기서 상대 일자 부쉬까지 점령해버리면
땅굴이 무서워서 제대로 플레이 하기가 힘들어집니다. 킬을 따기 보다는 타워를 먼저 철거한다는 마음가짐으로 라인전을 하시고
타워를 밀었다면 미드 정글이 반타작일 경우 무조건 첫 용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그 후 상대편 정글 쪽에 공격적으로 와드를 박고 봇 1차 타워를 지키면서 운영하시면 됩니다.


유의하실 점은 딱 하나입니다. '맞다이'는 금물! 시비르의 궁극기는 2:2 3:3 5:5 숫자가 많아질수록 어드밴티지가 급격히 증가하는 스킬입니다.
예를 하나 들어드리자면 어제 저는 베인을 상대로 언제나처럼 먼저 타워를 밀고 용을 가져갔습니다. 미드 타워도 밀고 엄청나게 유리했습니다.
상대 베인은 겨우 몰왕검이 하나였고 저는 블써, 광전사의 군화, 열정의 검, 영약이 있었는데 1:1을 신청했다가 죽고 역전당해 졌습니다.
코어템이 1개 앞서도 베인 상대로 방심은 금물입니다. 다른 원딜 챔프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타워를 먼저 밀었다면 라인 관리에 중점을 두지 베인처럼 상대 원딜을 암살하겠어! 이런 생각은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라인전에선 푸쉬력으로 미니언과 함께 압박하기 때문에 강한 거지 1:1이 강한 건 절대 아닙니다.


6. 마치며

플래1에서 게임하면서 다이아2 100점 까지 만나봤는데 역시 lol은 '손가락' 보다는 '머리' 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인섹킥 잘하는 것보다 상대방이 어디 있을지 예측하고 맵을 읽는 능력이 더 승패를 좌우하죠. 그리고 멘탈은 플러스 알파 그 이상입니다.
저도 예전에는 시비 걸거나 트롤러에게 같이 욕하는 흔한 유저였는데 요즘은 필요한 오더나 같은편 '칭찬' 외에는 거의 말을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멘탈이 좋아진 이후로 역전승이 상당히 많아졌습니다.


미드가 갱에 당해서 죽고난 뒤 '뭐하냐 ㅡㅡ' 이런 말은 아무런 플러스요인이 없습니다.
채팅 할 시간에 미니맵을 보고 정글러가 후속타로 봇이나 탑에 올지 판단하고 이어지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게 백배 낫죠.
묵묵히 내 라인에서만 열심히 하고 캐리하겠다는 욕심 보다는 1인분을 하겠다는 마음으로 플레이하면 무리하지 않게 되고
이득을 서서히 굴려갈 수 있는 길이 보입니다.


끝으로 시즌 막바지에 승급하려고 전전긍긍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fow가 서버에서 직접 정보를 받아온다고 하는데 mmr 수치가 상당히 정확한 편입니다.
내가 승급전 띄우려면 얼마나 남았는지 궁금하신 분은 인벤 녹서스장군님이 쓴 글을 보시면 됩니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66&l=26496

제가 저 다음날 딱 mmr 2028로 다이아 승급전을 띄웠고 다른 분은 mmr 2027점에서 1승 더해서 승급전 띄우셨더라구요.
지금은 시간이 좀 지나서 제 아이디로 검색해본 결과 다이아 승급전은 2030, 다이아 5 평균은 1858점이더군요.
상당히 정확한 자료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즌4 대격변이 얼마 남지 않아서 아쉽지만 그래도 이 글을 본 분들중에 시비르로 재미 보시는 분들이 많으셨으면 합니다.
리메이크된 w, e 스킬도 정말 좋지만 궁극기는 아마 높은 확률로 너프될 것 같습니다.
천상계에서도 시비르가 핫하던데 윈터시즌에 시비르가 활약하는 경기가 나오길 기대해 봅니다.


기타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리플 달아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1/07 20:26
수정 아이콘
시비르 R이 진짜 너무너무너무너무 좋더군요. 이니시가 말도 안되는 상황에서 걸려요.
13/11/07 20:26
수정 아이콘
네 특히 람머스랑 같이 있을 때 쓰면 상대방 입장에서는 욕이 나옵니다. 크크 게다가 무빙이 안 좋은 같은 편도 상대 스킬을 막 다 피하는 신세계가!
13/11/07 20:29
수정 아이콘
시비르 궁에 나서스가 유체화켜고 달려가서 위더 거니까 그냥 한타 시작되더군요 크크크
13/11/07 21:07
수정 아이콘
저도 나서스랑 같이 한 적 있는데 이즈가 비젼, 플래쉬로 피해도 1초 만에 따라붙더군요. 크크
13/11/07 20:30
수정 아이콘
최근 천상계 보면 루시안하고 시비르가 자주 보이더라구요 꿀인가보네요 그리고 초기에 나왔을때 밴이었던

징크스는 잘 안나오더라구요
13/11/07 20:33
수정 아이콘
데프트, 임프, 캬하하 많이들 쓰더라구요. 정말 좋습니다.
Holy shit !
13/11/07 20:3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리메이크 전 시비르가 아직도 더 좋다고 생각하는데....
패시브는 변경사항이 없을겁니다. 전에 한 번 버프 받아서 스킬 적중시 이속 증가는 있었습니다.
13/11/07 20:32
수정 아이콘
제가 말한게 그 뜻이에요. 이번에 패시브가 바꼈다는 뜻이 아니라 리메이크 전에 한 번 패시브가 바뀐 것 같다는 거죠.
그 때 잠깐 op.gg 기준으로 시비르 승률이 급증한 적이 있었거든요.
13/11/07 21:02
수정 아이콘
올해 중순 즈음에 아마 바뀐걸로 기억하네요.
13/11/07 22:2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ClearType
13/11/07 20:40
수정 아이콘
후반 한타에서는 오히려 너프임에도 이렇게 오피챔이 된걸보면 역시 라인전강캐가 오피챔인걸로..
13/11/07 20:54
수정 아이콘
저는 궁 이속 버프 때문에 후반에 너프인지도 잘 모르겠어요. w 3타 공속증가도 정말 좋구요~
우리아들뭐하니
13/11/07 20:42
수정 아이콘
패치전에도 그랬지만 시비르 단점은 서폿빨을 많이 타는것이죠. 서폿만 어느정도 호응해줘도 누가오든 라인전이 할만한데 서폿이 호응안해주면 cs먹기조차 엄청 힘듭니다.
그리고 시비르는 1:1에선 폭딜을 기반으로 하기때문에 다른 원딜과 1:1시 상대스킬을 하나 막고 Q를 맞춰야 딜교환이 성립이 됩니다. 하지만 베인은 막을 스킬이 선고밖에없고 구르기로 Q를 피하면 시비르는 절대 이길수없죠. 뭐 간혹 이길때가 있는데 Q한대에 평W가 둘다 크리 터질때 베인이 원콤에 사라지는것은 한번 보았죠.
13/11/07 20:53
수정 아이콘
상대가 소나 케틀인데 우리편 서폿이 알리.. 뭐 이정도면 힘들 수도 있겠네요.
우리아들뭐하니
13/11/07 20:57
수정 아이콘
조합도 그렇긴 하지만 그것보다 일단 시비르랑 같이 라인을 유지해주면서 시비르 cs먹는것을 견재 못하게 겁만 주는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근데 그게 안되는 서폿이 아랫 동네일수록 많아서 힘들죠....
트윈스
13/11/07 20:43
수정 아이콘
픽이 생각보다 많이되네요 ? 다이아에서 거의 고정밴 느낌이던데 ..
13/11/07 20:51
수정 아이콘
일단 다이아 하위권에선 밴 전혀 안 됩니다. 그 아래는 물론이구요. 그래서 마구마구 선픽할 수 있습니다!
윤주한
13/11/07 20:45
수정 아이콘
{}
13/11/07 20:52
수정 아이콘
시즌4 되도 큰 틀은 변하지 않으니 패치 전까진 꿀일듯 합니다. 하하
재입대
13/11/07 20:52
수정 아이콘
얼마전만 해도 리메이크 시비르 망챔같다는 글이 질문게시판에 올라온것 같은데 역시나..
13/11/07 20:54
수정 아이콘
세주아니 장인들도 세주 리메이크 후에 원래대로 돌려달라고 아우성을 쳤으나 객관적인 승률 지표는 훨씬 좋아졌었죠.

이블린, 가렌, 카타리나 모두 리메이크 후에 안 좋다고 난리였는데 결국 알고 보니 꿀 챔프..
13/11/07 21:00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장인들은 자신만의 메카니즘이 완전히 깨지는 거니 버프래도 초반엔 싫을 수밖에 없는 듯해요 크크

그 페이즈킬러였나...딩거 장인분도 이젠 완전히 다른 챔프로 봐야 된다고 그러더군요.
Kirei Autumn
13/11/07 20:55
수정 아이콘
mmr표에 0점에 평균 이상이면 정상적으로 점수가 오르는건가요?
13/11/07 21:10
수정 아이콘
참고로 말씀드리면 제가 플래1 올라가고 mmr이 플래1 0점 평균보다 60~80점 정도 높았는데 6점씩 올랐습니다.

잘 보시면 실1 -> 골5, 골1 -> 플5 이랑 플1 -> 다5 mmr 갭이 꽤 차이납니다. 빨간색 선과 파란색 선 차이가 올려야 할 mmr이구요.

그렇게 된 까닭은 아무래도 강등이 없고 대리 종자들 때문이겠죠. (사실 다1 -> 챌린저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긴 합니다.)
13/11/07 20:59
수정 아이콘
요새 정글 올라프와 원딜 시비르가 윗동네에서 정말 많이 나오는것 같더군요. 풀리면 선픽으로 잡아갈 정도로

이 둘에 하이머딩거까지 세 챔프가 정말 무서워졌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진짜 딩거는 적당히만 커도 바론타이밍이 말도 안되게 나옵니다.

시비르 꺼내준김에 그브도 좀 끌어올려줬으면 하는 바람이...
13/11/07 21:00
수정 아이콘
하이머딩거로 라인스왑 전략에 한 번 당했는데 무시무시합니다. 타워 밑에 포탑 3개 깔아놓고 가만히 있는데 절대 타워를 깰 수가 없어요.;;
13/11/07 21:01
수정 아이콘
사거리가 너무 짦아서 저정도 리메이크로 살아날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엄청나군요.

사거리차를 어떻게 극복하는거죠? 전 그브만 잡아도 사거리 때문에 깝깝 하던데...
피즈더쿠
13/11/07 21:08
수정 아이콘
그건 그냥 그브가 지약챔이기 때문....흑...
13/11/07 21:11
수정 아이콘
그냥 라인 푸쉬푸쉬 하시면 케틀이 평짤 넣으러 오지도 못합니다! 타워 밑에서 cs 먹기 바빠요~
글렌피딕
13/11/07 21:18
수정 아이콘
사거리의장점은 라인의 주도권과 선공권인데

지금 시비르는 사거리가 짧지만
라인의 주도권 선공권 다 가지고있습니다
시비르 상대로 같이 푸쉬해도 손해
견제를하려고해도 시비르 q w가 모든 원딜 상대로 선공권을 가지기때문에 견제도 못합니다

어제 질게에도 답글달았지만

케틀이 시비르하드카운터였지만
이제 정반대로 시비르가 케틀 카운터라고 해도 됩니다
JISOOBOY
13/11/07 21:09
수정 아이콘
역시 W버프가 시비르를 예토전생시킨 핵심인듯.
라인전 자체가 너무 좋아졌어요. 2렙을 늦게 찍을래야 늦게 찍을수가 없음.
13/11/07 21:10
수정 아이콘
네 그게 핵심입니다. 더해서 마나 유지력이 너무 좋아졌어요. 여눈 가야 되냐고 하는 분도 계시던데 저는 비추.. 마나물약 1~2개면 충분하네요.
JISOOBOY
13/11/07 21:11
수정 아이콘
전 그냥 상대 스킬샷 E로 먹습니다. 노코스트 말도안됩니다 정말.
너프먹기 전에 꿀빨아야 겠네요. 하지만 나에게 원딜을 주지않는 사람들...유유....
피즈더쿠
13/11/07 21:14
수정 아이콘
시비르 꿀과 함께 골3에서 도약해봐야겠네요...피즈 너프 이후에 꿀챔프가 없어져서 골3에서 정체중인데..
13/11/07 21:20
수정 아이콘
원딜에 대한 기본 개념만 있으면 금방 익숙해지실겁니다!
성시경
13/11/07 21:41
수정 아이콘
정글 올라프도 개꿀입니다 지금 마음껏 빠시길 흐흐
13/11/07 22:19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천상계에서 자주 볼 수 있더군요.
13/11/07 21:51
수정 아이콘
이글 보고 골드 가려는 생각이 싹 달아나네요. 티어는 실버1이지만 mmr은 실버3단계에다가 실버1에서 올려야할 mmr이 200정도이고 주말 다 한다 해고 올릴 자신이 없고
13/11/07 22:19
수정 아이콘
시즌4 때는 꼭 골드 가시길..
13/11/07 22:05
수정 아이콘
서포터로 시비르 극혐입니다
끝도 없이 밀리는 라인, 삐끗해서 Q맞으면 체력이 쑥, 쓰레쉬나 자이라로 속박 둔화 그랩 걸어도 미동도 없이 딜
하지만 우리 원딜은 다른 챔프거나 리메이크 안된 느낌이 크크크
13/11/07 22:20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저도 자이라로 한 번 상대해봤는데 이거 견제를 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해봤자 마나물약 되는데 ㅠㅠ 답이 없더군요.
13/11/07 22:05
수정 아이콘
시비르 지금해보고 왔는데 걍 사기네요. 라인전 무한푸쉬하면 성장쉽고, 왕귀력이 베인뺨대기 후려갈깁니다. 그리고 강제이니시도 되요;;
거기에 밴쉬를 방어템가면 걍 스킬딜 두개씹는데 미드 호구되더라고요. 시비르 진짜 강추;;
13/11/07 22:21
수정 아이콘
강추!
다리기
13/11/07 22:06
수정 아이콘
글로 봤을 때는 여지없는 버프라고 봤는데 옥신각신 하더니, 결국 OP반열에 다시 발을 들이네요.

나의 롤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시비르... 시즌2 말미에 불태웠는데 시즌3 말에 드디어 원딜 삼대장 이상의 위치로 올라섰네요.
바라고 바라던 성형 덕이 아닌 리메이크를 통해서라는 게 아쉽지만. 크크
13/11/07 22:21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팍스 시비르 산 사람으로서 시비르가 다시 부활해서 좋네요.
현란한암내
13/11/07 22:08
수정 아이콘
케이틀린상대론 어떻죠? 전 케틀떔에 시비르선픽못하겟던데
13/11/07 22:21
수정 아이콘
제가 쓴 그대로 해보세요. 케틀이 타워 밑에서 cs 먹기 바쁠겁니다.

서폿 능력이 동일하다면 케틀보다 2렙을 늦게 찍을 수가 없습니다.
13/11/07 22:11
수정 아이콘
헐 주문방어막이 노코스트였군요;
13/11/07 22:20
수정 아이콘
사기에요.
Paradigm
13/11/07 22:14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으로 리메이크전과 비교해 보았을때 W변경과 공속너프로 인해 딜량은 조금 낮아졌지만 한타력과 라인전 능력 모두 상승된 거 같습니다.

Q는 여전히 쌔고, W는 라인전에선 푸쉬력이 op라 기존 하드카운터였던 케이틀린에 대해 대처능력이 상승되었다고 봅니다. 하지만 이 W스킬이 궁에 공속버프를 받지만 전체적인 쿨타임과 기존공속너프로 리메이크전 시비르의 미친 한타딜량을 보여주진 못하는 거 같습니다.
E는 마나소모 75에서 0으로 까닥 실수하면 Q마나를 날리던 일이 없어졌고, 궁은 슈렐리아보다 좋은 이니쉬를 갖게 되었습니다.(근데 글내용에 4초후엔 40%가 아니라 20%로 감소된다가 맞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템트리에서 저는 일자로 오는 라인클리어에 대해 W를 쓰지않고 Q한방과 스태틱묻은 평타 한방으로 거의 정리하는 편이라 스태틱이 팬댄보다 좀 더 낫더군요.

리메이크전 주로 가던 템트리인 블써-트포-라위로 3초 쿨타임의 W극대화 이 템트리를 못쓰게 되서 아쉽네요 ㅠㅠ
13/11/07 22:24
수정 아이콘
딜량 조금 내려간 것 쯤이야 라인전 향상으로 인한 빠른 성장으로 커버 가능하죠~

저는 빅웨이브 정리할 때 무한히 튕기는 부메랑 보는게 너무 재밌어서 w로만 정리하네요. 크크

이속 버프 관련해서 제가 잘못 알고 있었네요. 수정했습니다!
클리스
13/11/07 22:26
수정 아이콘
예상되는 시비르 너프
1. e 지속시간을 1초 줄인다
2. q 데미지 전구간에서 10~20 감소
3. r 공속보너스 초반 증가 후반 감소

그냥 현재 시비르 승률을 보니 모챔프가 갑자기 오버랩되서..크크
13/11/07 22:54
수정 아이콘
아마 대대적인 칼질이 있을 겁니다. 일단 r, e는 무조건 너프될거라고 생각해요.
밀가리
13/11/07 22:49
수정 아이콘
어제인가 그제인가, 임프시비르,캬하하소라카 vs 캡틴잭케이틀린,러보애니로 봇싸움 하는데, 정글러 갱도 있었지만, 시비르가 절대 밀리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1렙 싸움 지고 시작했는데도, 라인 푸쉬력이 워낙 좋다보니 케이틀린이 타워에서 cs먹기 급급하더군요.
Paradigm
13/11/07 22:54
수정 아이콘
시비르에 소라카는 Q적중률만 좀 좋다면 리메이크전부터 라인전 패왕이였죠..
13/11/07 22:54
수정 아이콘
저도 그 경기 봤습니다. 근데 블레이즈 봇라인이 좀 못하더군요..ㅠㅠ
윤주한
13/11/07 22:54
수정 아이콘
{}
13/11/07 23:00
수정 아이콘
그 전까지 최대한 티어를 올리시는 겁니다!
13/11/07 22:56
수정 아이콘
어차피 손이 딸려서 원딜은 뭘 해도 못하는 입장에서 요즘같은 때 나겜에서 소규모대회 안하는 게 참 아쉽습니다 ㅠ.ㅠ 징크스든 시비르든 핫할 때는 못 보네요..
13/11/07 23:01
수정 아이콘
노말이나 내전에서라도 가볍게 즐겨보세요~ 아마 조금만 익숙해지시면 랭겜에서 얼른 하고 싶어서 근질근질하실 겁니다.
13/11/07 23:25
수정 아이콘
랭겜은 0승0패로 남기자는 주의라 징크스 출시되자마자 번들사서 노말로 다섯판정도 했는데 미러전 1승4패 했습니다 ㅠ.ㅠ 시비르도 비슷할 것 같아요 ㅠㅠ 이상하게 원딜만 하면 파밍력도 떨어지고 딜교환능력도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 구린 블라디 평타모션으로 도살자도 안찍고 CS를 먹는데 AD 룬특성 세팅한 원딜로는 CS실수가 엄청 자주 나더라고요..
뒷짐진강아지
13/11/07 23: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리메이크전에도 [칼바람]에서 시비르가 좋다라고 이번부터 생각하고 있었고,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포킹(?)도 나름되고, 미니언 클리어도 좋고, 한타때도 괜찮고...
그래서 그런지 시비르 나오면(물론 랜덤) 이상하게도 칼바람에서 거의 진적이 없었죠...
(반면에 코르키 나오면 망인거보니 제 손이 문제인 듯합니다... 크크크)

제가 롤을 처음에 할때 450ip라는 것 때문에 시비르를 구입해서 제법 많이 플레이 했었다가,
한동안 관에 박아 놓았었는데, 3시즌 끝자락에 시비르가 빛을 보게되니 뭔가 새로운 느낌이네요...
(물론 이후에 있을 라이엇의 칼질에서 벗어날 순 없겠지만요...;;)
13/11/08 02:25
수정 아이콘
저는 시즌2 때 롤을 시작했었는데 제가 딱 시작할 때 쯤 시비르가 패치가 되고 나서 천상계에서 조금씩 알려지다가 어느 순간 대세 원딜로 합류한 기억이 납니다. 카옥스가 최초 2400 찍고 나서 공략 쓴 것도 생각나구요. 그 때 또 마침 팍스 시비르 열풍이 불어서 난생 처음 매니아 결제를 하기도... 아무튼 저도 시비르가 리메이크 되고 재조명 받아서 기분이 좋네요.
루키즈
13/11/07 23:51
수정 아이콘
저는 흡낫,야몽에 쿨감신 사고 피바 라위띄운다음에 도끼 삽니다 특성에도 공속대신 쿨감4%찍고 쿨감 29만들어서
포킹포킹.. 흠... 룬에서 1%를 채우고 30찍으면 보기좋을듯..
13/11/08 02:26
수정 아이콘
저는 여눈 트리를 안 가지만 루키즈님처럼 템을 탄다면 마나무네도 고려해봄직 할 것 같습니다.
루키즈
13/11/08 10:58
수정 아이콘
마나무네는 딜로스가 너무 커요
13/11/08 11:56
수정 아이콘
딜적인 측면을 보면 도끼도 그닥 좋은 선택은 아니죠. 쿨감 + 포킹 좋아하신다길래 추천드린 것 뿐입니다. 저는 여눈 절대 안가요. 마나물약 항상 1~2개 챙기면 충분합니다. 흐흐
루키즈
13/11/08 12:24
수정 아이콘
굳이 마나무네 가려면 몽둥이를 포기해야겠죠
여눈+몽둥이는 bf가 너무 늦어서
Jaime Lerner
13/11/08 00:02
수정 아이콘
정글 올라프가 천상계에서 뜨는군요.
리메이크 후엔 AI전만 돌려봤는데, AI전 한정 OP 정글러인 레넥톤보다 딜도 더 세고 잘 따라붙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13/11/08 02:28
수정 아이콘
천상계 방송이나 관전에 정말 자주 보이더군요. 표본수가 적긴 하지만 챌린저에서 픽률 8위~ 몇몇 선수들이 많이 애용하는 것 같습니다.
낭만토스
13/11/08 03:42
수정 아이콘
그나마 가장 까다로운 원딜이나 서폿은 누군가요?
루키즈
13/11/08 10:5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베인이 제일 까다로운거같아요
13/11/08 11:54
수정 아이콘
케틀+소나 조합이 제일 까다로운 것 같네요. 일단 케틀은 사거리가 길어서 제가 말한 운영법에서 타워 밑에서 cs 먹을 때 q로 긁는게 힘들고 소나의 유지력이 좋아서요. 그리고 저는 선고는 높은 확률로 e로 흡수 잘 하는데 이상하게 크레센도를 흡수하기가 힘들더군요.
에릭노스먼
13/11/08 07:52
수정 아이콘
공속 너무 안 느린가요?
공속 성애자라 답답해서 못하겠던데..
13/11/08 09:04
수정 아이콘
평qw평이 아마 원딜중에 가장 빠른거 같아서 딜하기 좋은거 같아요..
13/11/08 11:51
수정 아이콘
시비르 특유의 약간 느리게 부메랑이 나가는 모션이 있는데 그건 시즌2 때부터 해와서 익숙하고 평w하면 평타 캔슬 되서 별로 느린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궁극기 찍으면 패시브 생겨서 빠른 편인데요. 흐흐
저글링아빠
13/11/09 01:54
수정 아이콘
트리로 주로 하는데,
시비르 w 너무 아픕니다.... ㅠ_ㅠ
13/11/09 13:55
수정 아이콘
트리는 만나본 적 없지만 힘들진 않을 것 같네요 ㅠㅠ
2초의그순간
13/11/09 10:39
수정 아이콘
하..이 꿀을 이제야 안게 너무 슬픕니다 진짜..
13/11/09 13:55
수정 아이콘
패치되기 전까지 최대한 즐기세요. 시즌4가 되어도 쓸만할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689 [LOL] 시즌3 마지막 꿀 시비르 공략! [80] Dizzy12731 13/11/07 12731 0
52535 [LOL] JoyLuck 강좌 74화 : 바이 정글의 활용법(라인전/한타) [7] JoyLuck9526 13/10/20 9526 3
52259 [LOL] B조 경우의 수를 상세하게 살펴봅시다. [43] Leeka9511 13/09/20 9511 0
52194 [LOL] 삼성 갤럭시 오존에 대한 해외 리뷰 [38] 랑비13552 13/09/13 13552 6
52188 [LOL] SKT T1에 대한 해외 리뷰 [27] 랑비14989 13/09/12 14989 7
52128 [LOL] 여러분들의 가슴을 시원하게 해줄 JoyLuck호 9월 스페셜 [13] JoyLuck11566 13/09/04 11566 6
52038 [LOL] JoyLuck 강좌 66화 : 쿤냐앙의 쓰레쉬 랜턴 카운터치기 [16] JoyLuck11805 13/08/24 11805 0
51951 [LOL] JoyLuck 강좌 63화 : 서폿이 와딩하다 자꾸 죽어요?? [11] JoyLuck11378 13/08/15 11378 3
51910 [LOL] JoyLuck 강좌 61화 : 육식무무의 장인 김재키식 식인무무 [22] JoyLuck13671 13/08/10 13671 3
51892 [LOL] (시뮬레이션을 통한) 각 팀/조합 별 롤드컵 진출 확률 추정 (업데이트) [14] 프즈히8243 13/08/09 8243 0
51888 [LOL] HOT6 Champions 8강 A조 하이라이트 및 관전포인트 간략 리뷰 [16] RookieKid8494 13/08/08 8494 7
51878 [LOL] JoyLuck 강좌 59화 : 탑 갱킹 가장 중요한 2가지 (세주아니) [8] JoyLuck11466 13/08/07 11466 1
51850 [LOL] JoyLuck 강좌 57화&특전4화 : 챌린저팀랭 vs 챌린저팀랭 [3] JoyLuck10067 13/08/03 10067 4
51831 [LOL] 각 팀의 롤드컵 진출 확률 (시뮬레이션) / 진출 조합 별 확률 추가 [32] 프즈히9165 13/08/02 9165 12
51818 [LOL] 롤의 인기는 이미 지붕에 부딪혔다. [166] haffyEND14796 13/07/31 14796 2
51815 [LOL] 게임 아이디와 소유권의 문제. [21] 선비8580 13/07/31 8580 0
51809 [LOL] JoyLuck 정글 강좌 56화 : 요즘 핫한 선도란 자르반 [33] JoyLuck12933 13/07/30 12933 1
51780 [LOL] JoyLuck 보이스팀랭 영상 55화 : 세주+탈론+리산드라 3돌진 조합 [32] JoyLuck11205 13/07/27 11205 2
51752 [LOL] JoyLuck 정글 강좌 54화 : 고인탈출 장미칼 선도란짜오(룬&특성) [39] JoyLuck13315 13/07/24 13315 3
51718 [LOL] 롤챔스 4경기를 치룬 현재 라인별 KDA 순위. [23] Leeka9912 13/07/20 9912 0
51691 [LOL] JoyLuck 정글 강좌 특전 : JoyLuck호 7월 스페셜 [8] JoyLuck10371 13/07/16 10371 2
51675 [LOL] JoyLuck 정글 강좌 49화 : 한중전(누누 룬&특성) [8] JoyLuck11815 13/07/14 11815 2
51667 [LOL] 롤챔스 썸머 1회차 전경기 하이라이트 및 MVP [5] Leeka8315 13/07/13 83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