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0/07 19:25:44
Name Leeka
Subject [LOL] 롤드컵 해외 분석 결과와 실제 순위는 어떻게 나왔을까?
원 분석 글 : http://cloth5.com/cloth5s-world-championship-power-rankings/

* 해외 분석 결과 예상 순위
13등 - GamingGear.EU / Mineski
11등 - Vulcun / TSM
9등 - 레몬독스 / 겜빗게이밍
8위 - 감마니아 베어
7위 - 나진 소드
6위 - Cloud9
5위 - 프나틱
4위 - Royal
3위 - OMG
2위 - 삼성 갤럭시 오존
1위 - SKT T1

* 단. 위 분석은 '8강 대진표는 모른 상태' 에서 했기 때문에.
8강 이후 두 팀이 붙었을땐 8~1위 순으로 우열이라고 생각하고 보면 틀린 케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실제 결과에서 변경된 케이스
> 오존 : 9위(조별은 가볍게 통과할줄 알았으나 조 3위로 광탈)
> 겜빗 : 공동 5위(오존에게 밀려서 조 3위를 할줄 알았으나 조 2위 함)
> OMG : 공동 5위(Royal 보다 높게 잡았으나. Royal에게 짐)

그 이외의 케이스에선 결과가 다르게 나오진 않았습니다.
- 소드는 7위 / 겜빗은 9위 예상했는데 둘이 붙어서 소드 승리.
- 프나틱은 5위 / Cloud9는 6위 예상했는데 둘이 붙어서 프나틱 승리.
- Royal은 4위 / 프나틱은 5위 예상했는데 둘이 붙어서 Royal 승리.


로얄이 OMG를 이긴게 이변이라고 부를 정도는 아닌 차이라는걸 감안하면.
이번 롤드컵은 '오존이 9위' 한거 제외하고. 전문가 예상과 다른 이변이 발생하진 않았습니다.


덧붙이자면. 작년 롤드컵의 경우에도 'TPA 우승' 제외하고 다른 이변이 발생하진 않았습니다. (분석가들 예상 순위 기준)


이러다가 롤드컵은 매년 1개팀이 예상을 뒤엎는것도 전통이 될런지도..


롤드컵 시즌 1은 프나틱이 전세계에 EU 스타일의 시작을 알렸고
롤드컵 시즌 2는 TPA가 어떤 팀도 얕봐선 안된다는걸 선포했다면
롤드컵 시즌 3은.  페이커가 최고의 슈퍼스타로 등극한 시즌이 아닌가.. 하는 기분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포리타
13/10/07 19:47
수정 아이콘
롤드컵 시즌 3는 페이커도 페이커지만 한국의 스노우볼링의 파급력을 알린 시대죠.
포프의대모험
13/10/07 19:50
수정 아이콘
정점 도장 꽝 찍었죠. 논란 업음.
석삼자
13/10/07 20:01
수정 아이콘
시즌 3는 와치의 미모를 전세계에 알렸습니다.
불굴의토스
13/10/07 20:02
수정 아이콘
우승후보 1순위가 이렇게 우승하는 경우는 흔치 않은데..
도로로
13/10/07 20:14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이죠..롤드컵 시작 전에도 이미 북미에서 많은 사람들이 대놓고 우승후보로 꼽았었고, 롤드컵 순위 결정전과 예선전으로
경기수도 많았고, 분석도 미친듯이 당했을텐데...그걸 뛰어넘는 강함을 보여주며 우승...진짜 강했네요 skt
haffyEND
13/10/07 20:06
수정 아이콘
근데 전 롤드컵 대회 다 챙겨보면서 느낀게 SKT1 바텀 라인 피글렛&푸만두 듀오가 미드라인 페이커보다 0.5g 이라도 더 쩌는것 같은데 부각이 안되는게 아쉽네요.

라인전이면 라인전 한타면 한타 모두 AD캐리 서포터의 맞는 100%의 능력을 보여주던데 후덜덜 했습니다.

당장 원딜만 하더라도 프레이 서폿만 하더라도 마타가 짱짱맨 이라고 생각했는데 저 두 선수보다 한 두수에서 세수는 앞서는 것 같아 보이던데 말이죠. 페이커도 짱짱맨 이긴 했지만 바텀라인이 OMG랑 했던 1경기였나 3경기였나 기억 안나는데 초반에 cs 약간 말린거 뺴고 롤드컵 모든 경기에서 CS앞서거나 아예 파괴시켜 버렸죠.

특히 나진소드의 프레이&카인을 무슨 브론즈급으로 데리고 놀았을떄 충격이...
포프의대모험
13/10/07 20:22
수정 아이콘
결승에선 한타때 잘했지 라인전은 고생 많이했죠. 라인스왑하면 임팩트라는 세체2:1머신이 무조건 상대보다 잘해주니까 거기서 커버된 부분도 있고요
피글렛 이즈 q적중률은 무시무시 하더군요. 제로의영역인줄 ㅡㅡ;
라엘란
13/10/07 20:28
수정 아이콘
이번 스크 봇듀오에 대한 평가는 이미 최고점인거 같습니다. 국내,해외에서 세계 최고라 불리는 봇듀오를 가진 팀들을 도장깨기 하듯이
이겨왔으니까요. 페이커보다 더 낫다고 평가하는 분들도 계시죠.
프레이 카인 조합을 브론즈급으로 데리고 놀았다는 표현은 좀 너무한거 같은데, 확실히 기대치가 크다보니 실망도 큰 거 같습니다. 전 이
조합이 여전히 최정상 봇듀오라고 생각합니다. 굳이 4강전에서의 책임을 묻자면 카인6,프레이4 였던거 같아요. 자이라에 대한 대처나 활용이
미숙했던 점, 서포터가 딜교환을 주도한다고 볼때 딜교환에서 실패한건 서포터의 책임이 조금 더 크다고 봐서..
몽키매직
13/10/07 20:34
수정 아이콘
나진소드와의 경기는 라인전은 이겼지만, 한타에서 존재감 자체는 피글렛이 크지 않았습니다.
브론즈급은 얼토당토 않은 얘기죠. 나진 너무 까시는 것 같은데요.
.Fantasystar.
13/10/07 20:34
수정 아이콘
프레이 카인을 브론즈급으로 데리고 놀았다는 표현은 너무 나가긴 했습니다만 하고자 했던 말에는 동의합니다.
개인적으로 피글렛선수는 임팩트선수만큼이나 저평가 받고 있는 거 같습니다.
특히 몇몇 게시판에서는 그 인상(눈매와 말투떄문인지 싸가지 없어 보이는-_-)때문에 쓸데없이 욕먹고 저평가 당하는 거 같기도 하더군요--;
다리기
13/10/07 21:27
수정 아이콘
피글렛 저도 별로 안좋아하고 저평가 했었습니다.
사실 저평가도 아니었어요 적당한 평가였고, 이번 롤드컵을 통해서 그 평가를 다 엎어버리고 세체원급 기량을 보여줬죠. 롤드컵 때 이만큼 존재감을 뿜을거라고 예상을 못했을 뿐 크게 저평가 받던 선수는 아니었다고 봅니다.

그간 보여준 양학 때 빛나는 모습을 롤드컵에서도? 이건 진짜 예상 못했고 이제는 세체원이라고 해도 될 수준이죠. 좀 무서움..
탱구와댄스
13/10/07 21:41
수정 아이콘
스크 봇이 나진 봇 확실히 이겼다고 할 경기는 딱 4경기 하나입니다. 1경기는 초반 라인전은 이겼어도 중반부터 cs도 밀렸고 한타 기여도도 떨어졌고 2경기는 스왑이었죠.(스크 봇이 더 잘하긴 했습니다.) 3경기는 나진이 이겼습니다. 분석데스크에서도 덮립은 나진 봇이 잘한게 승리 원인이라고 했죠. 5경기는 미드에서 승부가 갈렸고 봇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솔직히 스크 봇이 나진 봇을 상대로 우세를 점한 것은 맞는데 털었다? 압도했다? 전 전혀 공감이 안갑니다. 덤으로 스크 봇도 감마니아 베어스와의 1경기는 밀렸습니다. 2경기는 뭐 그냥 부숴버렸지만요.
13/10/07 21:51
수정 아이콘
4경기 임팩트가 크긴했죠. 그리고 그 전까지 기대가 다들 나진봇>스크봇이였던 것도 크고...
13/10/07 21:46
수정 아이콘
봇의경우 나진의 우세를 예상했는데 의외로 슼이 더 강하긴했죠
라인전만놓고보면 나진이 엄청 힘 못쓴게맞죠 나중에 어느정도 따라가긴했지만..
스웨트
13/10/07 22:12
수정 아이콘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에요 프레이카인을 브론즈급으로 데리고 놀다뇨.
피글렛 푸만두가 라인전을 이긴건 인정하지만 무슨 브론즈급으로 데리고 노나요?
그럼 1경기 페이커는 무슨 킬딸치려고 나대는 실버 아리인가요?
단빵~♡
13/10/07 22:53
수정 아이콘
킬딸치려고 나내다가 계속짤리고 일킬도 못한 전형적인 아리충이라고 생각할듯?
단빵~♡
13/10/07 22:48
수정 아이콘
이 양반도 엄청 나진 안티라.....어그로 끄는 표현엔 걍 무시하고 지나가심이 좋아보이네요 브론즈급으로 데리고 놀았다고 평가한 프레이 카인에 라인전 밀려서 베인이 3경기 일킬도 못하고 1경기는 라인전은 우세하게 가져갔지만 한타합류늦어서 한타 기여도 완전 밀렸고 푸만두가 돌아다니다가 짤려서 패배의 원인제공한거랑 5경기서 라인전 상성이 좋긴했지만 맞대결에서 킬따인건 뭐 기억에서 지워버린듯피글렛 푸만두 조합이 프레이 카인보다 잘한건 맞는데 브론즈급으로 가지고 놀았다니..참
뒷짐진강아지
13/10/07 22:49
수정 아이콘
브론급이라고 너무 격하 하시네
이건 좀 심하셨네요
13/10/07 23:21
수정 아이콘
어글어글 하시네요.
아이유인나
13/10/08 00:52
수정 아이콘
요새 브론즈 많이 실력 올랐나보네요?
13/10/07 23:12
수정 아이콘
뭐 저야 지난 시즌 오존과의 4강 경기 전부터 피글렛 폼이 장난이 아니고 임프는 그 시즌부터 폼이 떨어지고 있는 상태라고 했었는데 많은 분들이 프레이 임프 아래 수준으로 보더라구요. 하지만 임프부터 시작해 차근차근 도장깨기를 완료해, 세체원 더불어 세체봇을 달성해 기쁘네요. 트포 원딜도 정말 잘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즈가 왜 모스트인지도 보여줬고.
더불어서 뱅기가 항상 리신 못한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아마 시절부터 장병기마스터하면 손으로 꼽을 정도의 리신 장인이었고 못해서 안하던 것이 아니라는 것을 롤드컵에서 보여줘서 기쁘네요.
13/10/08 00:17
수정 아이콘
사실 저도 벵기가 제일 잘쓰는게 리신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정말 그 평은 의아하긴 했어요 흐흐.
아이유인나
13/10/08 00:54
수정 아이콘
막상 롤드컵 및 롤챔에서는 리신보다는 누누,자르반 위주의 커버와 바이로 대표되는 하드 미드갱만 했던 탓이라고 봅니다. 아마때의 리신을 잘 플레이를 안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555 [LOL] 압도가 천년정지를 당했습니다 [226] 김치남20883 13/10/22 20883 0
52554 [하스스톤] 많은 사람들이 햇갈려 하는 이슈들 정리. #8 [19] Leeka8407 13/10/22 8407 3
52553 [하스스톤] 쓰래기가 되어버린 Leeroy Jenkins [17] Lumines9575 13/10/22 9575 0
52552 [하스스톤] 투기장 흑마 가이드 영상 [21] 루윈8706 13/10/22 8706 1
52551 [하스스톤] 투기장을 돌파해보자 제 1일차!! [27] Euphoria9746 13/10/21 9746 1
52550 [스타2] 2013년 10월 셋째주 WP 랭킹 (2013.10.20 기준) - 챔피언 백동준 & 최성훈의 랭킹은? [6] Davi4ever6412 13/10/21 6412 0
52549 [LOL] 여자들에게 물어본 LOL 캐릭터 인기순위 [60] 버스커버스커36417 13/10/21 36417 9
52548 [기타] TCG의 원조는?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MTGO) [51] 글곰7857 13/10/21 7857 1
52547 [하스스톤] 깨알잼 듬뿍 바른 멀록덱. [45] 현실의 현실10763 13/10/21 10763 1
52546 [하스스톤] 여러 잘못 알려진 사실들 이야기 - #7 [94] Leeka13188 13/10/21 13188 0
52545 [LOL] 연동 RPG 컨셉안 (가제 Life of Legends) [31] Lustboy11851 13/10/21 11851 9
52544 [하스스톤] 간단한 드루이드 덱 소개 [19] 저퀴9941 13/10/21 9941 0
52543 [LOL] Shift 무빙, 스킬(예약명령)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5] papaGom17554 13/10/20 17554 0
52542 [하스스톤] 스마트폰/태블릿으로 즐겨보자 [22] 길갈13849 13/10/20 13849 0
52541 [하스스톤] 기초적인 팁 [58] 루윈9942 13/10/20 9942 1
52540 [LOL] 프로들 사이에서 추락해버린 애니비아. 그 원인은? [58] bigname11612 13/10/20 11612 2
52539 [하스스톤] 덱의 기본 - 필드를 장악해라. [23] Leeka11058 13/10/20 11058 0
52537 [하스스톤] 사냥꾼 컨트롤/원턴킬 덱 소개 [20] Varangian Guard11017 13/10/20 11017 0
52536 [스타2] WCS GSL S3 FINALS 리뷰 [12] Quelzaram7044 13/10/20 7044 7
52535 [LOL] JoyLuck 강좌 74화 : 바이 정글의 활용법(라인전/한타) [7] JoyLuck9584 13/10/20 9584 3
52534 [하스스톤] 주술사 무과금러의 이야기. [54] 니킄네임11615 13/10/19 11615 2
52533 [LOL] 비시즌에 써보는 클템 , 이현우 선수에 대해서 [21] YounHa12995 13/10/19 12995 12
52532 . [24] 삭제됨8097 13/10/19 80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