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9/18 08:13:38
Name Arusa
Subject [LOL] 루시안 꿀좀 드세요...
1. 루시안의 매커니즘은 다른 원딜과 달랐기에 나오자마자 별로인 인식이 강했습니다. 하지만 트포 + 루시안의 패시브 스킬들의 마스터리 방법들이 알려지면서 꽤 강력한 케릭으로 인식이 되긴합니다. 현재 다이야나 프로들도 많이 연습하는게 보이며, 아직도 모르시는 분들에게 루시안은 현재 트포 코르키와 함께 라인전 투탑이나 다름없다 이 한마디밖에 할수없네요.

2. 일단 qq버그가 없더라도 충분히 쎕니다.
그리고 동급의 골드를 가진 베인과도 1:1시 이깁니다.(정말 베인이 평 q 하는 사이 w 패시브 q 패시브 4대가 가능함니다)매커니즘만 안다면요

3. 루시안의 가장 중요한 방법은 미포의 q공격처럼 q스킬을 통해 미니언 + 상대챔피언을 맞추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이 이후 패시브를 잘 활용해 상대를 패시브 공격을 맞출시 렙1 ~2렙에 이미 상대 챔프의 피의 반가까이를 깍습니다.
이때 중요한것은 발동된 패시브를 어떻게 상대에게 맞추냐입니다. 이 패시브를 미니언에게만 맞출시 루시안은 쓰레기 캐릭터가 되거든요 또한 q스킬은 렙업할수록 추가 ad계수가 상승하며, e스킬은 렙업을 할수록 마나소모/쿨이 줄어들어서 최종적으로 마나소모0에 가깝고, 쿨 타임도 7-8초 되는듯 싶네요  최고의 생존기로 보입니다. 또한 e스킬은 나서스의 w같은 cc기나 레오나/쓰레쉬 궁을 맞았을시 정화를 건것처럼 확풀어버릴슈도 있습니다. 상대가 나서스있다면 주저말고 골라도됩니다.

한타때는 절대 궁쓰지마세요. 궁은 최후의 속삭임 나오기전엔 별로입니다. 궁보다 스킬+패시브공격이 더쎕니다.

궁의 활용방법은 추격 이나 도주하는 상황에서 쓸때 가장 바람직합니다. 또한 잘쓸수 있다면 아리가 궁으로 도망갈때도 잡을수 있는 추격능력입니다. 템이 다 나올시에는 상대편 ap캐리처럼 몸이 약한 캐릭을 순삭시킬화력이 나옵니다. (이건 흥할때만 그랫던거같네요) 궁쓸때 상대를 죽이면 e쿨(회피기)이 초기화됩니다.
스킬 마스터 순서는 qew 혹은 qeqw순으로 찍어주시고 r-q-e-w순으로 마스터 해주시면서
템트리는 트포->최후의 속삭임 을 해주세요.(돈이되면 그사이 무언가를 넣어도됨)
저 같은 경우 트포->최후의 속삭임 ->퀵실을 갑니다.

모바일이라 글이 좀 정리가 안되는데 정리하지면

1. 루시안의 스킬 마스터 r-q-e-w순으로
2. q는 마스터할수록 ad계수증가
w를 쓴후 맞추면 이속증가(카이팅 + 추격 용이)
e 모든 슬로우류 스킬을 전부 정화시켜버림 찍을 수록 마나소모 감소+ 쿨감소(최종엔 노코스트) 나서스의 w조차도 풀어버리는 강력함
r은 절대 한타때 쓰지말것 추격 + 도주할때 쓸것(자동 카이팅정도로만)
3. 기본적으로 트포 + 최후의 속삭임 템트리(흡룬 필수)
4.라인전시 q미니언+ 챔피언 쓰기 이후 패시브 를 미니언보다 챔피언 맞추기로써야함 패시블 잘쓰냐 못쓰냐가 라인전 패황이냐 아니냐 결정됨
5. 1:1싸움은 어느 원딜 못지 않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뜨와에므와
13/09/18 08:27
수정 아이콘
루시안 첫판 했을때 궁의 메커니즘을 몰라서 제대로 맞추지 못했던 악몽이 떠오르네요...

도주방향과 어긋난 각도로 R을 누르면 그야말로 허공에 삽질을....
피로링
13/09/18 08:43
수정 아이콘
천상계에서도 라인전 좋아서 연구할 가치가 있다 vs 루시안은 안하는걸로 이런 모양새던데...
어쨌든 롤드컵 끝나고 궁을 건들긴 할 듯.
13/09/18 08:57
수정 아이콘
궁자체에 대한 호불가 제일 심한듯싶어요. 근데 이 궁이 미니언들에게 400프로 데미지라 라인 클리어에 좋다 이느낌??
13/09/18 08:48
수정 아이콘
중반에 챔프가 쌘건 챔프 능력치 덕이 아니라 그냥 트포빨 아닐까요.
13/09/18 08:58
수정 아이콘
어쨋든 현상황에서 꿀은 맞죠 트포맞추기전앤 뭔가부족했던느낌이 확살아나긴했어요
13/09/18 08:59
수정 아이콘
루시안은 패시브도 셀프 트포라서.. 추뎀이 200%가 아니라 350% 수준인지라.. 억소리나죠..
13/09/18 09:00
수정 아이콘
루시안은 초중반엔 구리다고 하다가..

궁을 '라인 클리어 & 추노나 도주용' 으로만 쓰고 Q와 패시브를 극대화 하는게 나오면서 평이 확 좋아졌죠.

덕분에 현재 PBE에선 Q 너프 & 궁 버프 & 트포 너프. 3개가 동시에 진행되서 지금 사용 안하시면 패치 이후엔 감이 꽤 변할수도 있습니다.
13/09/18 09:04
수정 아이콘
언제나 눈팅하는 유저로 리카님 댓글 감사해요 저역시 친구가 맨날 루시안꼴픽(다이야)하는거 보다가 pbe에 하향패치보고 느즈막하게 연습해서 꿀빨고있는데 이건 케릭이 별로라기보다는 제드처럼 하는법을 몰랐기때문에 별로였구나 하는 생각만 들더라고요. 일단 라인전이 너무 강해서 상대가 베인이면 무조건 라인을 파괴하고들어가더군요 ;;
13/09/18 09:06
수정 아이콘
흐흐.. 그냥 덧붙이자면 '상대를 타워 안에 몰아 넣었거나 / 내가 타워에 몰렸을 때' 루시안 궁 그냥 쓰면 괜찮습니다.

패시브랑 Q 활용해서 상대 몰아넣고. 6렙때 안마기 궁 쓰면 상대 집에 강제로 보낼수 있는...
(데미지가 안마기라 킬이 안나온다는 불편한 진실..)
wkdsog_kr
13/09/18 09:02
수정 아이콘
처음엔 저평가 받았다가 연구로 인해 의외로 쓸만한 캐릭으로 올라선게 흥미롭네요.

역시 새 캐릭은 성급하게 생각치 말고 두고 봐야 하는 걸까요 :)
13/09/18 09:07
수정 아이콘
롤드컵에 글로벌밴이 아니였다면.. 지금보다 한국서버에서도 평가가 좋아졌을거라고 생각하는 챔프긴 합니다..

유일한 글로벌밴이다보니 직접 써보지 않으면 느낄수가 없다는 점이..
13/09/18 09:11
수정 아이콘
라인전은 확실히 셉니다. 큐 잘 맞추고 평타를 맞추면 상당히 딜이 많이 들어가죠.
그런데 아직 Q스킬에 대한 대처가 좀 덜 되서 상대가 잘 맞는다는 생각도 들고, 트포후에 세다곤 하지만
아직 제 생각엔 트포 후엔 차라리 이즈가 더 나은 느낌이더라구요.
카엘디오드레드
13/09/18 09:41
수정 아이콘
처음 나왔을 때 유머게시판에 프로의 악평이 줄줄이 나온 것이 올라올 정도로 고인 챔프로 여겨졌었는데 요새는 평이 바뀌었더군요.
현재 롤드컵으로 상위권 선수들이 빠진사이에 솔랭2위로 치고 올라간 데프트 선수의 템트리가 선삼위일체 다음 최후의 속삭임을 올리는 것이죠. 그다음은 피바라기를 간 뒤 상황봐서 방템 후 무한의 대검이거나 그반대로 갑니다. 신발은 상황봐서 헤르메스나 광전사를 선택합니다.
일단은 최상위권 선수중 데프트가 젤 많이 쓰고 승률도 굉장히 높아서(최근전적에서 14승6패) 이템트리가 효과적이라는 것은 증명이 되었는데 그밖의 상위권 플레이어마다 삼위일체 다음 템이 칠흑의 양날도끼를 가거나 피바라기를 먼저 올리는 등 다르니 아직 고정된 템트리라고는 하기 어렵습니다.

루시안은 다른 원딜 챔프들과 꽤 다른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쓰려면 연습을 좀 해야될 것 같더군요.
q스킬은 타게팅스킬이면서 관통이지만 피할 수 있는 스킬인데 루시안의 주공격스킬로 데프트 선수는 이것으로 초반부터 상대 원딜을 강력하게 압박하거나
몸 약한 상대서폿을 노려서 먼저 집을 보내버립니다. 어떤 판은 점화를 들고 아군 서폿과 상대 서폿을 1렙 때 킬을 내기도 합니다. 마나가 많이 소모되므로 난사는 곤란한데 지속적으로 이득을 봐 템차이를 벌리면서 꼬박꼬박 마나포션을 사서 라인 복귀를 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사거리가 길어서 적미니언이나 챔프를 사이에 두고 적 딸피를 잡기에도 용이한 스킬입니다.
w스킬은 관통은 아니지만 폭발후 터지는 범위가 넓어서 상대에게 표식을 남기면 공격시 이속이 빨리지기 때문에 삼위일체효과와 더블어서 추노에도 좋고 사거리도 길어서 딸피 처리에도 역시 좋습니다.
e스킬은 그레이브즈의 e스킬과 유사하지만 공속버프같은 것은 없고 공격에는 주로 패시브 활용과 추노에 사용되지만 많은 이속디버프, 심지어 탈진의 이속저하효과마저 제거를 하기 때문에 생존에 대단히 도움이 됩니다. 베인의 구르기, 그레이브즈의 빨리뽑기처럼 함부로 이 끈질긴 추격을 쓰면 충이 되니 조심하십시오. 마스터시 마나소모가 없다는 것도 장점이네요.
마지막 루시안의 궁은 처음 악평의 주범인데요. 움직이면서 쓸 수있고 사용중 e스킬 사용이 가능하지만 대미지가 약하고 관통도 되지않으며 최초 궁사용 방향으로 고정이란 것 때문에 초반에는 라인 미니언 신속정리용(미니언에게 400% 데미지)과 먼거리의 딸피 제거용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최후의 속삭임이 나온 후부터 점점 세져서 템이 나올수록 강력해집니다. 특히 움직이면서 쏠 수 있기 때문에 등 돌리고 도망치는 적에게는 악몽같은 스킬이죠.그렇지만 역시 한타 교전중에는 일반스킬과 패시브 활용이 더 딜량에 좋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쓰셔야 합니다.
그런데 이 4가지스킬이 빛날 수 있는 것은 루시안의 패시브 빛의 사수 덕분이죠. 스킬을 쓴 뒤 6초안의 기본공격에는 2발이 나가기 때문에 q평,w평,e평이면 상대에게 폭딜을 넣을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라인전에서 초반부터 이득을 굴려갈 수 있습니다.

모든 챔프가 그렇듯 루시안도 스킬 연계를 잘해야 하는데 도망시 적에게 w를 맞춘뒤 e로 후퇴하고 궁을 쏘면서 적을 맞추면 w효과가 발생되어 이속이 올라서 도망가는데 아주 수월합니다.
13/09/18 09:59
수정 아이콘
궁에 큰 기대를 걸지 않고 플레이 하면 나쁘지 않은거 같아요. 추노중 적 미니언사이에 숨어버리면 미니언 잡는데도 한세월이더군요.
궁이 캔슬이 되나요? 된다면 패시브를 끌어오는 방법으로 사용할순 있을거 같아요.
나머지 기술이나 패시브+ 평타는 나 좋다고 봅니다. 주문검만 나와도 평 q 평평 w 평평 e로 붙고 평평 하면 순간폭딜이 장난아니게 나오더군요.
카엘디오드레드
13/09/18 10:15
수정 아이콘
r을 한번 더 누르면 중지됩니다.
13/09/18 10:31
수정 아이콘
좋네요. 스킬3개+평타2대씩 때리고 마지막에 궁까지 한두대 때리고 캔슬후 평타두번때리기전에 트포/주문검 쿨이 돌아와 있을거 같습니다.
사과맛발톱
13/09/18 10:28
수정 아이콘
패시브가 워낙 좋고 다른 스킬들도 효율성이 좋은 편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넘의 궁은 버프가 될 필요가 있습니다. 궁자체 데미지수치는 높게나오는데 방관적용방식때문인지 궁이 쌔다고 느껴지는 타이밍이 없다는게 하하
또한 딜을 하다보면 스킬쿨을 돌려서 주딜을 평타로 하는데 그런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코그모나 케이틀린보다 좋은 점을 못찾겠어요ㅠㅠ 그래도 라인전은 좋아요 크크
열정적으로
13/09/18 10:40
수정 아이콘
아무리 해봐도 꿀은 절대 아니구요..
그냥 처음 인식보다는 나쁘지않은정도 인거 같습니다
정공법
13/09/18 10:45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합니다 라인전이 강하긴한데 라인전 압살못하고 비슷하게만가도 타 원딜에 비해서 딜량이 떨어집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단점이 원딜인데 캐리력이 너무 떨어져요....캐리력으로 봤을땐 이즈리얼 하위호환같은 느낌....

근데 궁은 엄청쎄던데요??
프토 블써 라위에 블클까지 나오면요 크크크
카엘디오드레드
13/09/18 11:20
수정 아이콘
데프트 리플레이 한번 보세요. 초반부터 찍어누르는 경우가 많지만 전체적으로 불리한 게임(초반엔 대단히 유리했습니다만)을 25/7/6으로 하드캐리 하기도 하더군요.
캐리력이 없진않아요.
종이인간
13/09/18 16:32
수정 아이콘
그건 개인적으로 데프트라 그정도 하지않나 생각합니다

이런 메커니즘이 어려운 케릭터는 플레이 성햐이 본인에게 맞는게 중요한거 같애요 흐흐
정공법
13/09/18 16:48
수정 아이콘
데프트는 우리나라에 1명밖에없는 렝킹1위입니다....
물론 원딜이니 없진 않겠죠 하지만 후반캐리3대장 보다도 한참밑이고 이즈리얼 하위호환이라고 생각하네요...
alswnd813
13/09/18 10:54
수정 아이콘
궁이생각보다 템나오고나선 엄청쌔던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412 [LOL] 미드 잔나를 소개합니다. [11] 미됸9271 13/10/07 9271 0
52411 [기타] 게임이 4대악에 포함되었습니다. [206] 항해자10932 13/10/07 10932 3
52410 [LOL] 3.13 패치에서 변경 예정인 챔프 리스트가 공개되었습니다. [49] Leeka9501 13/10/07 9501 0
52409 [기타] [WoW] 와우에 대해서. [127] 세이젤10573 13/10/07 10573 0
52408 [LOL] 롤드컵 해외 분석 결과와 실제 순위는 어떻게 나왔을까? [23] Leeka8476 13/10/07 8476 2
52407 [스타2] 2013년 10월 첫째주 WP 랭킹 (2013.10.6 기준) - MMA의 급상승! [2] Davi4ever6698 13/10/07 6698 0
52406 [LOL] 신지드에 대한 짤막한 팁입니다. [23] 삭제됨7480 13/10/07 7480 1
52405 [LOL] 샤이와 플레임, 누가 뛰어나냐에 대한 진지한 고찰. [96] 하얀호랑이10595 13/10/07 10595 0
52404 [LOL] 피지알 아마추어 리그 시즌3이 막을 내렸습니다. [29] anytimeTG5713 13/10/07 5713 2
52402 [기타] 콜 오브 듀티 : 고스트 프리뷰 [13] 저퀴6762 13/10/07 6762 0
52400 [LOL] 롤을 하면서 느낀 하나의 깨달음 [42] 하양유저매냐9285 13/10/07 9285 0
52399 [기타] 연봉 2억 번다는 개인방송 BJ '대도서관'을 보고 느낀 점들 [95] hanam115192 13/10/07 15192 0
52398 [LOL] 라인별 최강자는 누구인가? [167] 사유라10260 13/10/07 10260 0
52397 [LOL] 5 티모 vs 5 티모? [30] 트릴비8289 13/10/07 8289 0
52396 [기타] [스타1] 박성균 선수 해명글 올라왔네요. [21] jinsw042411229 13/10/07 11229 2
52395 [기타] MMORPG 최종컨텐츠 PvP에 대해 [49] 태랑ap7798 13/10/07 7798 0
52394 [LOL] 골드 달았습니다! [15] 이직신6217 13/10/06 6217 1
52392 [LOL] 파란만장 롤 생활의 종지부를 찍다. [28] 다리기10314 13/10/06 10314 1
52391 [LOL] 진짜로 이번 롤드컵에서 생각해 봐야 할 것들.. [73] 아이군12736 13/10/06 12736 0
52390 [LOL] 8강 이후 탑 3대장 (쉔,레넥톤,잭스)의 성적 [15] 엔타이어9647 13/10/05 9647 0
52389 [LOL] 랭크게임 듀오 시스템, 필요한가? [68] Cavatina9724 13/10/05 9724 0
52388 [LOL] 월드 챔피언쉽 시즌3 밴/픽 최종 통계. [13] Leeka6992 13/10/05 6992 0
52387 [기타] [스타1] 김택용선수, 마재윤이랑은 절대 안엮이길 바랍니다. [17] 개념은?12470 13/10/05 12470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