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9/10 10:54:05
Name Leeka
Subject [LOL] 시즌3 월드 챔피언쉽의 재밌는 기록들
레딧에 재미난 자료가 있어서.. 슬쩍 가져와 봅니다

원문 : http://www.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1m19vx/fun_facts_going_into_s3_worlds/

의역을 많이 했지만.. 원문이 같이 있으니 같이 보셔도 무방합니다~



1. TSM은 3번의 월드 챔피언쉽에 모두 참가한 유일한 팀이다.

:TSM is the only team to be part of all 3 World Championships.

2. Cyanide와 xPeke는 프나틱 소속으로 aAa팀 소속인 sOAZ와 YellOwStaR 를 결승전에서 꺽고 시즌1 월챔 우승을 했다.
그리고 나서 그 4명은 지금. '프나틱의 이름으로' 시즌3 월챔에 참가한다.


: Cyanide and xPeke (Fnatic) defeated sOAZ and YellOwStaR (aAa) for the S1 World Champion title. Now the 4 are together in S3 as part of Fnatic.

3. 3번의 월드 챔피언쉽에 모두 참가해본적이 있는 선수는 5명이다.
YellOwStaR, Dyrus, Xpecial, TheOddOne, and Reginald.


왜 레지날드는 여기에 있는 것인가. 역시 우주 최강 제드 플레이어?
저 선수들 중, YellOwStaR 선수는 시즌1,2,3 모두 '다른팀으로 참가하는 진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 The only players to be part of all 3 World Championships are YellOwStaR, Dyrus, Xpecial, TheOddOne, and Reginald.

4. 시즌2에 참가했던 팀중, 시즌3에 다시 나오는 팀은 3개팀밖에 없다.
(나진 소드, 겜빗게이밍, TSM.  3개 팀입니다.)

: There are only 3 teams making a return showing in S3 World Championships from S2 WC.

5. 저 3팀중에서도. 작년과 로스터가 동일한 팀은 없다.

: None of the returning teams from S2 World Championship (TSM, Gambit Gaming/Moscow 5, and NaJin Sword) have the same roster going into S3 WC.

6. 아래 게이머들을 제외하곤, 전부 시즌3 월챔이 첫 출전인 선수들이다.

Everyone is a first timer in the S3 World Championship stage aside for the following:
Watch (2x - S2 S3 - NaJin Sword)
SSONG (2x - S2 S3 - NaJin Sword)
PraY (2x - S2 S3 - NaJin Sword)
Cain (2x - S2 S3 - NaJin Sword)
Dyrus (3x - S1 - Epik Gamer | S2 S3 - TSM)
TheOddOne (3x - S1 S2 S3 - TSM)
Reginald (3x - S1 S2 S3 - TSM)
Xpecial (3x - S1 S2 S3 - TSM)
sOAZ (2x - S1 - aAa | S3 - Fnatic)
Cyanide (2x - S1 S3 - Fnatic)
xPeke (2x - S1 S3 - Fnatic)
YellOwStaR (3x - S1 - aAa | S2 - SK | S3 - Fnatic)
* YellOwStaR 선수는 유일하게 '시즌1,2,3'모두 다른 팀으로 월챔에 참가한 선수

Darien (2x - S2 S3 - M5/GG)
Diamondprox (2x - S2 S3 - M5/GG)
Alex Ich (2x - S2 S3 - M5/GG)
Genja (2x - S2 S3 - M5/GG)

아래 선수들은 시즌1~2에 모두 참가한 선수들이지만, 시즌 3에서는 볼 수 없다

Notable list that has been part of Worlds twice but are not in S3 WC:
Chaox (S1 S2 - TSM)
HotshotGG (S1 S2 - CLG)
Bigfatlp (S1 S2 - CLG)
Doublelift (S1 - Epik Gamer | S2 - CLG)
Chauster (S1 S2 - CLG)
Kev1n (S1 - GAMED.DE | S2 - SK)
Nyph (S1 - GAMED.DE | S2 - SK)

7. 북미팀은 시즌1 월드챔피언쉽부터 시작해서, 시즌2 월챔까지 '조별 예선 이후에' 다른 지역팀을 상대로 이긴적이 없다
딱 한번, CLG가 이긴적이 있었지만, 그건 5/6위 결정전이였다.

: No NA team has ever won a match (series) in the bracket stage against foreign teams ever since the start in S1 World Championships. CLG did win a match vs GAMED.DE in S1 but that was only for consolation to determine 5th/6th.

8. 북미 팀이 다른 지역팀을 이긴건 조별예선 뿐이였다.  시즌 1에서는 조별예선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지만. 그 뒤에 모두 패했으며
시즌2에서는 CLG와 디그니타스 모두 조별예선에서 탈락했고. TSM은 시드를 받았지만 8강에서 바로 탈락했다.


: The only NA wins against foreign teams during Worlds were during group/pool play in both S1 and S2. In S1, despite dominating group stages, they failed to win a match (series) in bracket stages. In S2, NA never made it out of the groups despite CLG.NA winning their match against SK, and TSM, despite being seeded into the bracket, didn't win a single game.

9. 매 시즌 참가하는 국가는 늘어나고 있다. 시즌 3에 참가한 국가는 총 35개국이다

: The number of countries represented each World Championship Season has increased.

S1 - 9 (USA, Canada, Poland, Finland, Spain, Germany, France, Philippines, Singapore)

S2 - 15 (USA, Canada, Russia, Armenia, Korea, Taiwan, Hong Kong, Scotland, Denmark, Germany, Belgium, Spain, France, China, Vietnam) + 8 (Qualifier Teams - Poland, Finland, Lithuania, Sweden, Thailand, Singapore, Malaysia, Philippines) = 23

S3 - 18 (USA, Canada, Taiwan, Hong Kong, China, Korea, Philippines, Bulgaria, Lithuania, France, Finland, Spain, Estonia, Denmark, Germany, Norway, Netherlands, Russia) + 17 (Qualifier teams - Armenia, Australia, Turkey, Argentina, Brazil, Ukraine, Belgium, Scotland, Sweden, Czech Republic, Poland, Malaysia, Vietnam, Thailand, Singapore, Mexico, Uruguay) = 35

10.  한국 선수는 시즌1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시즌3에는 가장 많은 선수가 참가했다.

From having no representation in S1, Korea has the most players in the S3 World Championships.

S1 - USA dominated with 10 players hailing from this country.

USA:
Saintvicious / Chauster /  Westrice /  Dan Dinh / Salce / Dyrus /  Doublelift / TheRainMan / Reginald /  Xpecial

S2 - USA, China, and Korea tied with 10 players each hailing from their respective countries.

USA:
Dyrus / Reginald / Xpecial / Voyboy /  Doublelift / Chauster /  IWillDominate /  Scarra /  imaqtpie / Patoy

China:
Caomei / Weixiao / Misaya / ClearLove / FZZF / PDD / illuSioN / Zz1tai /  Kid/  XiaoXiao

Korea:
Shy / CloudTemplar/  RapidStar/  Woong/ MadLife / MaKNooN/  Watch/  SSONG/  PraY/ Cain

S3 - Korea is dominating with 15 players followed by USA with 12.

Korea:
Expession / Watch/ SSONG/ PraY/ Cain/ Homme/ DanDy/ dade/ imp/ Mata/ Impact/ bengi/ Faker/ Piglet/ PoohManDu

USA:
Balls / Meteos / Hai/ Sneaky/ LemonNation/ Dyrus/ Reginald/ Xpecial/ Sycho Sid/ Xmithie/ Mancloud/ Zuna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一切唯心造
13/09/10 11:06
수정 아이콘
북미 불쌍하네요
조별예선외에 이긴적이 없다니 ㅠ
레지날드 임마 힘내
올라가기 힘들겠지만
13/09/10 11:13
수정 아이콘
3연속진출명단이나 팀들보면 브라질 스페인처럼 뭔가 우와 대단하다 소리가 나와야 할 것 같은데 오히려 만만해 보이네요.;;

언급조차 안될 정도로 역사는 없지만 감마 omg 로얄 정도가 그나마 변수일듯..
불멸의이순규
13/09/10 11:21
수정 아이콘
본선 8회 연속 진출! 하는 한국을 보는 브라질이나 스페인의 마음일까요 크크
카르타고
13/09/10 13:13
수정 아이콘
적절한 비유네요 크크 북미지역이 최약체니까 아시아지역으로 볼수있겠네요 우리나라는 당연히 유럽이고
13/09/10 11:41
수정 아이콘
역시 TSM이 전통의 강자!!!
태랑ap
13/09/10 12:11
수정 아이콘
어제 꼬치가 흑지날드 선형선고를 하였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284 [스타2] 슬슬 따져보는 프로리그 1R 경우의 수 [18] 저퀴7919 14/01/20 7919 3
53283 [기타] [스타1] 오랜만에 해봤습니다. 재밌네요! [10] 해바라기7423 14/01/20 7423 0
53282 [LOL] 원딜과 생존기에 대해서. [69] 세이젤11105 14/01/20 11105 1
53281 [LOL] 조이럭의 정글도감 진행률 68% 카드입니다. [27] JoyLuck15161 14/01/20 15161 10
53280 [기타] [스타1] 원시토스 [3] 영웅과몽상가8099 14/01/20 8099 1
53279 [LOL] [프로롤매니저] 전체 선수 및 팀 명단입니다. [26] Akhorahil10526 14/01/20 10526 2
53277 [LOL] 정글등급표 우선 작업한 11개 카드입니다. [25] 삭제됨9858 14/01/20 9858 7
53276 [스타2] 2014년 1월 셋째주 WP 랭킹(2014.1.19 기준) - 코드 S들의 급상승! [2] Davi4ever8149 14/01/20 8149 3
53274 [LOL] NLB 13-14 윈터 결승 직관후기 [26] 10210 14/01/19 10210 0
53273 [스타2] 군단의 심장 2.1 패치가 1월 22일(수)에 됩니다. [16] 민트홀릭11378 14/01/19 11378 0
53272 [LOL] 1월 19일 긴급 패치노트 적용. [6] Leeka9549 14/01/19 9549 0
53271 [LOL] 최초의 2회우승이 걸린 승부!. 오존 VS SKT 결승 프리뷰. [47] Leeka11102 14/01/19 11102 1
53270 [기타] 안녕하세요. PGR 여러분 워3 선수였던. 노재욱입니다. 먼저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을 전해드리고 싶어요. [15] 노재욱16607 14/01/19 16607 11
53269 [스타2] PGR21 Starcraft2 Team League(PSTL) Pre-match [11] azurespace8311 14/01/19 8311 2
53268 [LOL] 결승전에 가져갈 피켓(?)을 만들었습니다. + 잡담 [25] 장인어른9055 14/01/19 9055 1
53267 [기타] [WOT] 월드오브탱크 코리안 리그 2013-2014 최후의 결승전 [8] Quelzaram8287 14/01/18 8287 0
53263 [기타] 배너 사가 리뷰 [9] 저퀴17191 14/01/18 17191 0
53262 [LOL] 배치고사 안녕들 하십니까. [66] 다이아1인데미필12888 14/01/18 12888 2
53260 [LOL] 롤 마스터즈 레딧 반응 [72] 장인어른14801 14/01/18 14801 0
53259 [기타] 간단한 게임 소개, 노가다 던전형(?) 클릭게임 OSTM [5] 큐브8838 14/01/17 8838 0
53258 [기타] 패러독스사에서 신작 프로젝트 2개를 발표 했습니다. [3] 요정 칼괴기7833 14/01/17 7833 0
53257 [스타2] 이영호 선수! 더 이상 떨어질 곳이 없다는 마음가짐으로 최대한 부담 없이 경기해 주세요! [36] 가루맨12504 14/01/17 12504 2
53256 [LOL] 롤 마스터즈는 어떤 그림이 그려질까요? [73] 마빠이14039 14/01/17 1403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