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9/08 00:09:40
Name Davi4ever
File #1 WP(130908).JPG (851.2 KB), Download : 26
File #2 WP(130908)_race.JPG (230.3 KB), Download : 23
Subject [스타2] 2013년 9월 둘째주 WP 랭킹 (2013.9.8 기준)




2013년 9월 둘째주 WP 통합랭킹입니다.
WCS 코리아 시즌3 조군샵 GSL 32강의 D~F조, WCS 유럽 시즌3의 32강 A~C조 결과와
핫식스 GSTL 시즌2의 경기결과가 반영되었습니다.

이신형이 14주 연속 통합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GSTL 개막전 올킬과 GSL 16강 진출로 많은 점수를 쌓으면서
통합랭킹 2위 김민철과의 점수차는 2448.2점으로 300점 가까이 벌어졌습니다.

테란랭킹 1위 역시 24주 연속 이신형입니다. (통합랭킹 1위)
테란랭킹 2위 윤영서(통합랭킹 3위)와의 점수차는 3690점으로 300점 이상 벌어졌습니다.

저그랭킹 1위는 8주 연속 김민철입니다. (통합랭킹 2위)
저그랭킹 2위 이승현(통합랭킹 7위)과의 점수차는 1538.3점으로 300점 이상 벌어졌습니다.

정윤종이 5주 연속 프로토스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통합랭킹 4위)
프로토스랭킹 2위 송현덕(통합랭킹 8위)과의 점수차는 467점으로 80점 가량 벌어졌습니다.

이영호가 신대근(2승)-정지훈(2승)을 물리치고 6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조성주는 김성한(2승)-정우용(2승)에게 승리하며 12위로 1계단 상승,
강동현은 GSTL에서 이승현을 꺾고 13위로 1계단 상승했고,
저그랭킹은 4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박수호는 고병재(2승)-이신형(2승)에게 승리하며 17위로 2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6위로 2계단 상승했습니다.

신대근은 이영호-강현우에게 1승씩 기록하며 22위로 9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10위로 2계단 올랐습니다.
정종현은 WCS 유럽 시즌3 32강에서 점수를 추가하며 24위로 2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7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김영진은 GSTL에서 최지성을 꺾고 25위로 3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8위로 3계단 올랐습니다.

요한 루세시(NaNiwa)는 WCS 유럽 시즌3 32강에서 점수를 추가하며 34위로 3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10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다리오 뷘시(TLO) 역시 WCS 유럽 시즌3 32강에서 점수를 추가하며 38위로 4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14위로 2계단 상승했습니다.

김경덕은 WCS 유럽 시즌3 16강에 진출하며 46위로 6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13위로 3계단 올랐습니다.
김준호는 고병재(2승)에게 승리를 기록하며 47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박지수가 WCS 유럽 시즌3 16강에 진출하며 52위로 5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18위로 2계단 상승했습니다.
조중혁은 김성한에게 1승을 기록하며 58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정지훈은 강현우(4승)에게 승리하며 74위로 21계단 상승했습니다.

80위권 밖의 순위변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드미트리 코스틴(Happy), WCS 유럽 시즌3 16강에 진출하며 96위로 10계단 상승.
-김성한, 조성주-조중혁(2승)-정우용(2승)을 물리치고 97위로 40계단 상승.
-토비아스 지버(ShoWTimE), WCS 유럽 시즌3 16강 진출과 함께 100위로 진입.
-크리스토퍼 마틴센(TargA), WCS 유럽 시즌2 16강에 진출하며 137위로 37계단 상승.
-조지현, GSTL에서 이원표를 물리치고 176위로 첫 진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3/09/08 01:11
수정 아이콘
wcs 체제가 되면서 wp랭킹 정리하시기가 좀 편해지셨나요?
보는 입장에선 예전에 비해 점수등락이 확실히 와닿는 기분이 듭니다.
Davi4ever
13/09/08 02:09
수정 아이콘
EU 전적과 AM 전적을 모으는데 어려움이 있기는 합니다.
외국 선수들도 뭐 스테파노나 스칼렛, 나니와처럼 자주 보는 선수들이야 익숙하지만
처음 본선에 입성한 선수들같은 경우 ID나 이름이 많이 생소한 어려움도 있죠.
무엇보다 우리나라 시각으로 새벽~오전 경기라 입력할 타이밍이 애매한 것도 있고..;;
뭐 그래도 긍정적인 평가를 들으니 기쁘네요!
귀연태연
13/09/08 04:33
수정 아이콘
이신형 선수가 쌓아놓은 점수가 많긴 많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412 [LOL] 미드 잔나를 소개합니다. [11] 미됸9271 13/10/07 9271 0
52411 [기타] 게임이 4대악에 포함되었습니다. [206] 항해자10933 13/10/07 10933 3
52410 [LOL] 3.13 패치에서 변경 예정인 챔프 리스트가 공개되었습니다. [49] Leeka9502 13/10/07 9502 0
52409 [기타] [WoW] 와우에 대해서. [127] 세이젤10575 13/10/07 10575 0
52408 [LOL] 롤드컵 해외 분석 결과와 실제 순위는 어떻게 나왔을까? [23] Leeka8479 13/10/07 8479 2
52407 [스타2] 2013년 10월 첫째주 WP 랭킹 (2013.10.6 기준) - MMA의 급상승! [2] Davi4ever6700 13/10/07 6700 0
52406 [LOL] 신지드에 대한 짤막한 팁입니다. [23] 삭제됨7486 13/10/07 7486 1
52405 [LOL] 샤이와 플레임, 누가 뛰어나냐에 대한 진지한 고찰. [96] 하얀호랑이10598 13/10/07 10598 0
52404 [LOL] 피지알 아마추어 리그 시즌3이 막을 내렸습니다. [29] anytimeTG5713 13/10/07 5713 2
52402 [기타] 콜 오브 듀티 : 고스트 프리뷰 [13] 저퀴6765 13/10/07 6765 0
52400 [LOL] 롤을 하면서 느낀 하나의 깨달음 [42] 하양유저매냐9288 13/10/07 9288 0
52399 [기타] 연봉 2억 번다는 개인방송 BJ '대도서관'을 보고 느낀 점들 [95] hanam115196 13/10/07 15196 0
52398 [LOL] 라인별 최강자는 누구인가? [167] 사유라10261 13/10/07 10261 0
52397 [LOL] 5 티모 vs 5 티모? [30] 트릴비8291 13/10/07 8291 0
52396 [기타] [스타1] 박성균 선수 해명글 올라왔네요. [21] jinsw042411232 13/10/07 11232 2
52395 [기타] MMORPG 최종컨텐츠 PvP에 대해 [49] 태랑ap7801 13/10/07 7801 0
52394 [LOL] 골드 달았습니다! [15] 이직신6217 13/10/06 6217 1
52392 [LOL] 파란만장 롤 생활의 종지부를 찍다. [28] 다리기10316 13/10/06 10316 1
52391 [LOL] 진짜로 이번 롤드컵에서 생각해 봐야 할 것들.. [73] 아이군12739 13/10/06 12739 0
52390 [LOL] 8강 이후 탑 3대장 (쉔,레넥톤,잭스)의 성적 [15] 엔타이어9648 13/10/05 9648 0
52389 [LOL] 랭크게임 듀오 시스템, 필요한가? [68] Cavatina9725 13/10/05 9725 0
52388 [LOL] 월드 챔피언쉽 시즌3 밴/픽 최종 통계. [13] Leeka6994 13/10/05 6994 0
52387 [기타] [스타1] 김택용선수, 마재윤이랑은 절대 안엮이길 바랍니다. [17] 개념은?12472 13/10/05 12472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