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3/12/14 22:43:06
Name 비류연
Subject [기사] 내 자식 프로게이머 된다면..
[머니투데이 김현지기자]대부분의 학부모는 자녀가 컴퓨터 관련 직업을 갖는 것에는 긍정적이지만 프로게이머가 되는 데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통신문화재단(이사장 성영소)이 성남˙분당지역의 초중고교생 학부모 1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66%의 학부모가 자녀가 컴퓨터 관련 직업을 갖는데 긍정적이나 최근 인기직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프로게이머가 되는 것은 73%가 반대하겠다고 답했다.

또, 요즘 TV프로그램이 유익하기보다는 해롭다고 생각하면서도 컴퓨터는 TV보다 더 해롭다고 생각하는 학부모가 70%에 달하는 등 컴퓨터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 따르면 74%의 학부모가 요즘 TV 프로그램이 자녀에게 해롭다고 답하는 동시에 73%는 컴퓨터가 TV보다 해롭다고 답했다.

컴퓨터 이용시 가장 걱정스러운 부분은 중독(44%), 유해정보(26%) 건강(15%) 공부(14%)순이라고 답했다. 이에 따라 96%의 학부모가 자녀의 컴퓨터 이용 통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91%가 현재 컴퓨터 이용시간을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가 컴퓨터 대신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는 것은 책(54%) 운동(29%) 신문(9%) 친구(7%) 순이었다. 또, 현재 가정 내 컴퓨터가 켜져 있는 평균시간은 160분이지만 바람직한 자녀의 컴퓨터 이용시간은 절반 수준인 79분으로 답했다.

한편, 학부모로서 인터넷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한 학부모가 71%에 달해 가정내 인터넷 이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여전히 프로게이머란 직업이 부정적인 이미지이군요. 특히 밑에 달린 몇몇 글들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프로게이머보단 막노동이 낫다라는 글들도 있던것 같군요.

pgr회원 분들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또, 프로게이머의 이미지를 좋게하려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콜중독자v
03/12/14 22:52
수정 아이콘
저 같아도 제 자식이 프로게이머가 된다고 하면 반대하겠습니다..
온리시청
03/12/14 22:54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엔 그정도만 해도 아주 양호한 것으로 보여집니다만....
나머지 27% 분들이 모두 완전한 찬성은 아니겠지만요.....
그리고 기타 스포츠 종목(야구, 농구, 축구선수)도 아마 50%를 넘지 못할 것 같은데요....
그만큼 우리 부모님 세대들은 보수적(나쁜 의미가 아닙니다..)이시고 자식들이 안정된 길(이게 과연 좋은 길인지 장담 못하지만...)을 걷기를 바라는것이죠...
프로게이머가 지금보다 훨씬 안정된 수입구조(아직도 돈많이 버는 게이머 몇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를 갖게되고 오늘 임요환선수가 공중파 방송에 나온것 처럼 대중에게 좀더 알려진다면 점차 나아지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지금의 프로게이머가 '스타'에 너무 집중된 것에 대한 불안감은 항상 가지고 있죠.....
과연 스타 크래프트의 인기가 언제까지 지속 될건가와 그 기간동안에 프로게임계가 확실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정태영
03/12/14 22:55
수정 아이콘
아까 저도 이 기사 다음에서 읽고 게시판에 올리려다가 이미 pgr뉴스 게시판에 있는거 보고 안올렸는데.. ^^
As Jonathan
03/12/14 23:06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에 이 기사를 접했을 때, 아직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어른들에게는 생소한 직업이구나 라고 생각을 했습니다만,
다시 생각해보니 옛날보다는 프로게이머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발전했다고 보여집니다.
10년후, 혹은 짧게는 5년후에는 더욱더 많은 기성세대의 어르신과 많은 부모님들이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을 하나의 직업으로 인정해주실겁니다.
저도 이런 기사에 안타까워 하지만, 정작 제 자식이 프로게이머가 된다면 이기적인 마음으로 우선 말리고 볼 것 같습니다.^^
안전제일
03/12/14 23:19
수정 아이콘
27%정도라도 완벽히 부정적인 대답을 하지 않았다는게 놀라울 뿐입니다.
얼마나 괄목할만한 성장입니까?
한 1~2년 전에만 조사했더라도 아마 '프로게이머가 뭔가?'라는 반문이 더 많았을껄요.
전 그 27%로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03/12/14 23:26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가 조지명식에서 한 말대로 30대이후를 바라볼 수 있다면...
그땐 많은 사람들의 시각이 달라질겁니다.
프로게이머란 직업이 생긴지 10년도 되지 않았습니다.
직업또한 '게임'이라는 특성상 어린 나이에 시작한 선수들이라 많아도 25살내외죠.
전 5년후가 정말 기대됩니다. 그땐 아마 지금 우리가 걱정하고 바라던 미래가 현실이 되어 있을 거라고...믿습니다.^^
신유하
03/12/14 23:41
수정 아이콘
....저는 모르겠습니다. 저도 반대 할지도 모르죠.
그런데, 문득 전에 저희 이모부께서 하신 말씀이, 성준모 선수의 글에서 나왔던 말이 융합되어서 떠오르더라구요.
적어도 젊었을 때라면 도전정신을 가져야겠지 않느냐... 하고 말이죠.
그런데 만약에 제 자식이 확실한 목표 의식도 없이, 그리고 프로게이머를 한 뒤에 장래도 생각하지 않은채, 멋도 모르고 즉흥적으로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을 택하겠다고 하면 반대할 것 같습니다.
셀빛ㅡ.
03/12/14 23:44
수정 아이콘
조사대상 '104명'의 압박....
03/12/14 23:46
수정 아이콘
헉...104명..;;
다크고스트
03/12/14 23:49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앞으로 많은사람들에게 인정을 받느냐보다 언제까지 프로게이머가 하나의 직업이 될수있을까가 더 걱정되네요. 프로게이머가 계속해서 하나의 직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도 야구, 축구, 바둑처럼 하나의 종목으로 자리잡아야겠죠. 10년뒤, 20년뒤에는 더 화려한 그래픽과 게임성으로 무장한 게임들이 등장할때도 스타크래프트가 계속해서 하나의 분야로 자리잡을수 있을지가 관건이겠군요.

또한 너무도 짧은 선수생명 또한 해결되어야한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원망스럽게도 남자에겐 병역의 의무가 부과되죠. 박서도, 옐로우도, 나다도 앞으로 몇년뒤 모두 사라지게 된다면 프로게이머란 꿈은 한낱 허황된꿈에 불과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젊은시절 학업까지 포기하고 선택한길이 고작 몇년밖에 빛을 볼수없다면 그선수에겐 얼마나 손해일까요...
DeGerneraionX
03/12/15 00:02
수정 아이콘
저도 부정적입니다....
몇년후에 혁신적인 인터페이스로 별로 손놀림이 필요없다면 모를까
나이가 들어갈수록 손놀림은 느려지는게 당연하고 그럴수록 실력은 저하됩니다. 그러니 점점더 젋은사람들에게 뒤쳐지게 되고 그로인해 뒷일을 보장못하죠.
sad_tears
03/12/15 00:30
수정 아이콘
반대에 올인....사실 나도 프로게이머 도전 조차 못하겠다.
마요네즈
03/12/15 00:56
수정 아이콘
저같아도 그에 대한 열망이 정말 크지 않고 그 재능이 아주 뛰어나지 않다면, 반대를 하리라 생각합니다..
i_random
03/12/15 01:46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제 아들이 일반인이라면.. 프로스포츠 전부 반대합니다.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거든요.. 재능이 보인다면 반대해보고 안 되면 시킬 생각은 있습니다. 프로스포츠가 굉장히 힘든 직업이기에..
될 수 있으면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그렇지만 보고 즐기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DeaDBirD
03/12/15 03:43
수정 아이콘
자식을 정말 사랑하신다면.
자식이 하겠다는 대로 일단 믿어줘도 좋지 않을까요.. 자식의 인생은 자식의 인생.. 녀석의 실패마저도 부모가 살아주는 것이 아니니까요..
뭘 하든 네 맘대로 해라.. 단. 책임마저도 네가 지는 것이다..
seacastle
03/12/15 04:28
수정 아이콘
저두 반대 할것같네요. 10년뒤엔 어떨지 몰라도 지금 당장은 나중일이 막막하게 느껴지거든요.
Reach[St.P]
03/12/15 05:19
수정 아이콘
냉정하게 생각한다면, 아직 기틀이 바로잡히지 않은 분야에 지원을 하려는 자식에게 그 길을 가라고 하는 부모는 별로 없다고 봅니다. 부모님들은 당신들이 세상을 살아오시면서 고생하신 것도 있고 삶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선견지명 같은 것들이 있으십니다. 아무리 젊은 저희들 입장에서 볼 때에는 발전적이고 성공적으로만 보이는 것도 실상 안을 파고들어가서 보면 화려하지 않고 힘든 고생길이 탁 트여있는 것처럼 말이지요. 특히 스포츠, 연예계에서 운동선수, 연예인으로 우리나라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하기란 쉽지가 않지요.
곧 저같아도 반대를 하는 입장에서 부모님들은 어떠실까요? 아직까지 사회전체적으로 (국민전체를 포함해서) 이미지도 좋지 않은 직업이기 때문에 더더욱 만류하실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냉정하게 이야기하자면 스포츠로 인정받기까지 아직은 멀었죠.
햇빛이좋아
03/12/15 11:28
수정 아이콘
지금 현재로서는 부모님들이라면 당연한 결과죠. 그래도 엿날보다는
나아져스니까 몇년후에는 어떻게 될지.
그런데 그 당사자인 학생들은 어떻 답변이 나와는지 굼긍하네요,
내년 wcg가 미국에서 열리니까 그 대회가 tv에서 공중파에서 방송 하면
좋을것 같은데 그래야 학부모님들도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저만큼 발전 해구나 할것 가구요. 그런데 이번 설문조사는 수도권 지역만 한것데
지방쪽에서는 저것보다 좋게 나와는데 아무튼 프로게이머가 더 발전 되려면 우리나라에서만 활성화 되지 말고 세계적으로 성공해야 더 발전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크히어로(변
03/12/15 12:34
수정 아이콘
내 자신부터 내 자식에게 부정적으로 말할수 밖에 없을꺼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 [성장기]나의스타입성기_스타우정론2 [3] 홍포바인5554 03/12/15 5554 0
69 [성장기]나의스타입성기_스타우정론 [6] 홍포바인6874 03/12/15 6874 0
68 [ReD]NaDa 11연승의 여정을 살펴봅니다. [52] kobi10824 03/12/15 10824 0
67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guitar에요.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Hydra에요. [18] 설탕가루인형7051 03/12/15 7051 0
66 - 아직 갈길은 멀지만 아직 끝난건 아니다 - [9] 시미군★6747 03/12/15 6747 0
63 느리게, 조금 천천히 쉬어갔으면 하는... Yellow에게. [8] Let It Be6263 03/12/15 6263 0
60 Love Actually ( 약간 스포일러 ) [13] Connection Out6341 03/12/15 6341 0
58 "We got him" [32] 시미군★7963 03/12/15 7963 0
57 박서 타이밍? Boxer Timing? [28] 세츠나10726 03/12/15 10726 0
55 요번 NHN 한게임배 OSL 오프닝은 어쩐지... [58] 진공두뇌16049 03/12/15 16049 0
54 배틀넷에서 사용되던 맵의 변화를 기억하세요? [5] MoreThanAir7893 03/12/14 7893 0
53 사이버가수 아담을 기억하시나요?? [15] 수정비10288 03/12/14 10288 0
52 박경락선수 vs 김성제선수 경기전.. [17] Vegemil-180ml9486 03/12/14 9486 0
51 [기사] 내 자식 프로게이머 된다면.. [19] 비류연6709 03/12/14 6709 0
49 [잡담] 못하는 스타 4시간동안 하기.. [10] Uzmaki6544 03/12/14 6544 0
48 이제는 너무 '팀' 이란 개념에 익숙해져 버린 [8] Sopp7956 03/12/14 7956 0
47 운수 나쁜날.. [7] 귀신잡는마린5953 03/12/14 5953 0
44 Tribue Protoss.-2 [1] Je Taime theskytours7539 03/12/14 7539 0
43 세계의 벽은 높기만 하네요...[햇살의 흔적의 WGTour 체험기] [11] 햇살의 흔적8855 03/12/14 8855 0
42 Boxer의 외출 [38] Ace of Base12296 03/12/14 12296 0
40 임요환 충격의 1라운드 탈락! [35] 義劍無敗=GunDam14555 03/12/14 14555 0
38 KT-KTF 프리미어 리그 포스트시즌 대진표 및 상금예측 [13] Altair~★11324 03/12/14 11324 0
37 [잡담]KT-KTF 프리미엄 리그 결승전 대박 예상 [12] Sopp11113 03/12/14 111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