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8/13 00:45:00
Name Davi4ever
File #1 WP(130811).JPG (821.8 KB), Download : 18
File #2 WP(130811)_race.JPG (232.8 KB), Download : 14
Subject [스타2] 2013년 8월 둘째주 WP 랭킹 (2013.8.11 기준) - 프로토스 랭킹 1위 변동!




2013년 8월 둘째주 WP 통합랭킹입니다.
승격강등전과 스타리그 결승, WCS 유럽과 북미 16강에서 결승전 결과가 반영되면서
랭킹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다음주 WCG 국가대표선발전은 반영되지 않으며, 승격강등전만 반영됩니다.)

이신형이 10주 연속 통합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통합랭킹 2위 김민철과의 점수차는 2348.8점으로 100점 이상 줄었습니다.
WCS 시즌1 파이널의 2개월 가중치가 제거되면서
해당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한 선수들의 점수가 많이 줄었습니다.

테란랭킹 1위 역시 20주 연속 이신형입니다. (통합랭킹 1위)
테란랭킹 2위 이영호(통합랭킹 7위)와의 점수차는 3579.3점으로 200점 이상 줄었습니다.

저그랭킹 1위는 4주 연속 김민철입니다. (통합랭킹 2위)
저그랭킹 2위 이승현(통합랭킹 3위)과의 점수차는 259점으로 200점 가까이 줄었습니다.

정윤종이 새롭게 프로토스랭킹 1위 자리에 올라섰습니다. (통합랭킹 4위)
프로토스랭킹 2위 원이삭(통합랭킹 5위)과의 점수차는 불과 2.5점입니다.
스타리그 결승에서 조성주에게 2승을 기록하면서 근소하게 원이삭을 추월했습니다.

이동녕이 홍덕에게 승리하며 10위로 1계단 상승했고,
저그랭킹 역시 4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조성주는 스타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14위로 2계단 상승했고,
최성훈은 WCS 북미 시즌2 우승에 성공하며 15위로 14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6위로 4계단 올랐습니다.
강현우는 스타리그 5위 결정전에서 최종 승자가 되면서 17위로 2계단 상승,
WCS 북미 시즌2 준우승을 차지한 이제동은 19위로 5계단 상승했고
저그랭킹은 8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김영진은 김민철(2승)-강현우(2승)에게 승리하며 23위로 12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10위로 2계단 올랐습니다.
김동현은 WCS 북미 시즌2 16강에서 점수를 추가하며 25위로 2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9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장민철은 WCS 유럽 시즌2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29위로 13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7위로 5계단 상승했습니다.

김학수는 WCS 북미 시즌2 8강까지 진출하며 32위로 9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8위로 3계단 올랐습니다.
황규석은 승격강등전을 통과하면서 43위로 1계단 상승했고,
김준호 역시 승격강등전 통과와 함께 46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양준식은 WCS 북미 시즌2 16강에서 점수를 추가하며 49위로 2계단 상승했습니다.

요한 루세시(NaNiwa)는 WCS 유럽 시즌2에서 공동 5위를 차지하며 51위로 17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15위로 10계단 상승했습니다.
사샤 호스틴(Scarlett)은 WCS 북미 시즌2에서 4강까지 오르며 52위로 26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20위로 7계단 올랐습니다.
김남중은 승격강등전에서 GSL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점수를 추가하며 53위로 10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16위로 5계단 상승했습니다.
변현우 역시 승격강등전에서 점수를 추가하며 55위로 7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18위로 3계단 올랐습니다.

WCS 유럽 시즌2 우승을 차지한 김경덕은 62위로 54계단 상승했습니다.
WCS 유럽 시즌2 8강까지 올랐던 후안 모레노 듀란(VortiX)은 71위로 17계단 상승,
WCS 유럽 시즌2 16강에서 점수를 추가한 페드로 모레뉴 듀란(LuciFroN)은
72위로 10계단 상승했습니다.
WCS 유럽 시즌2에서 4강에 올랐던 마누엘 쉔카이젠(Grubby)은 73위로 44계단 상승했습니다.
차오 진 후이(Jim)는 WCS 북미 시즌에서 5위를 차지하며 79위로 80계단 올랐습니다.

80위권 밖의 순위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양희수 - 승격강등전을 통과하며 83위로 11계단 상승.
*문성원- WCS 유럽 시즌2 4강에 진출하며 85위로 15계단 상승.
*후 시앙(MacSed) - WCS 북미 시즌2 8강까지 진출하며 93위로 44계단 상승.
*데니스 슈나이더(HasuObs) - WCS 유럽 시즌2 8강에 진출하며 99위로 67계단 상승.
*베사 호비넨(Welmu) - WCS 유럽 시즌2 공동 5위에 오르며 106위로 77계단 상승.
*드미트리 코스틴(Happy) - WCS 유럽 시즌2 16강에서 점수 추가하며 108위로 6계단 상승.
*송영진 - 승격강등전을 통과하며 120위로 23계단 상승.
*올레그 쿠프초프(TitaN) - WCS 유럽 시즌2 16강에서 점수 추가하며 125위로 27계단 상승.
*홍  덕 - 승격강등전에서 점수 추가하며 132위로 1계단 상승.
*루카스 크자르네키(Tefel) - WCS 유럽 시즌2 16강에서 점수 추가하며 145위로 8계단 상승.
*요셉 데 크룬(Ret) - WCS 유럽 시즌2 16강에서 점수 추가하며 154위로 11계단 상승.
*채드 리차드 존스(Minigun) - WCS 북미 시즌2 16강에서 점수 추가하며 185위로 11계단 상승.

p.s 프로리그와 스타리그, 두 결승에 보내주신 성원 감사드립니다.
     이어지는 경기들도 더 열심히 준비하겠습니다!
     입추~입동 아이디어를 발견하는데 큰 도움 주신 pgr21의 RedSkai님께 감사드립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8/13 00:47
수정 아이콘
이승현 선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등수가 정말 안떨어지네요... 한동안의 포스가 얼마나 압도적이었는지 보여주는듯...
Davi4ever
13/08/13 00:50
수정 아이콘
제일 점수 높을 때와 비교했을 때 2000점 정도가 빠진게 저 점수니까요.
라라 안티포바
13/08/13 01:40
수정 아이콘
이승현, 원이삭 선수 보면
'부자는 망해도 3년은 간다' 라는 속담이 살짝 떠오릅니다.
콩쥐팥쥐
13/08/13 04:01
수정 아이콘
결국 입추 입동 아이디어는 망한 아이디어가 되었네요.

이제는 선수들도 버려버린 가을의전설 말고 다른 참신한 스토리가 듣고 싶어요. 그게 작가진이 해야 할 일이잖아요.

1년에 한번, 가을시즌에밖에 안 했던 스타리그에 가을의 전설은 이제 그만...
Davi4ever
13/08/13 09:17
수정 아이콘
징크스는 이어지는 쪽이든, 깨지는 쪽이든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징크스가 맞지 않았다고 해서 '망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하진 않아요.
이번 것은 팬들에게서 먼저 나온 아이디어라는 점도 의미가 있었고
(저도 원래는 날씨 때문에 가을의 전설에 대한 생각은 안하고 있었습니다^^;;)
조사해보니 '100퍼센트'라는 점이 재미있어서 보여드리게 됐습니다.
(기존 가을의 전설은 2006년의 예외 사례도 있어서 100퍼센트는 아니었으니까요)

징크스는 "이 징크스가 맞는다!"라는 예언이라기보다는
"이 징크스가 맞을까?" 이런 일종의 소스 제시로 봐주시면 재미있을 것 같아요.
저는 같이 이야기를 주고받는 사람이지 일방적인 예언을 하는 사람은 아니니까요.

그리고 그 징크스가 이번 결승전의 주된 이야기도 아니었고요.
이번 결승전만 해도 그보다 많은 이야기들이 있었고,
이번 시즌을 진행하는 동안 수십 개의 이야기들이 있었습니다.
물론, 그렇더라도 팬들께서는 부족함을 느끼시는 부분들이 분명 있겠죠.
다음 이어지는 경기들에서는 그 부분 꼭 채우도록 하겠습니다.

p.s 그래도 우승자 징크스와 로열로더, 골든 마우스, 가을의 전설 등은
아마 계속 스타리그 이슈의.. 중심은 아니더라도, 한편을 차지하고 있을 겁니다.
우려먹겠다는 의미보다는 '역사'라고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것들은 함부로 중단하거나 버릴 수 없는 가치라고 생각합니다.
콩쥐팥쥐
13/08/13 11:07
수정 아이콘
망한 아이디어라고 했던건,

조성주 선수가 우승해서가 아니라, 선수들을 포함한 그 누구한테도 해당 징크스를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선수들도 대놓고 가을은 아니죠. 엄재경 해설도 너무 덥네요. 라고 하는데 굳이 그걸 봤다고 해서 가을의 전설이라는 것을 가져올 필요가 있었을까요?

6월에 시작해서 8월에 끝난 스타리그도 입추가 지나서 결승을 하니 가을의 전설. 11월에 해서 2월에 끝나는 리그도 가을에 시작했으니 가을의 전설.

1년에 8개월이 가을의 전설과 걸쳐있는데 그게 무슨 의미일까 싶어요. 더군다나 스타리그에서 3연속 토스가 우승을 하고 있었던 현 상황에서요.


이번 결승에서 스토리가 정말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잠깐 언급했었지만 97년생 트리오 중 가장 먼저 주목을 받았지만, 아이러니하게 가장 커리어가 없었던 조성주. 현재 프라임 팀의 상황. 맘만 먹으면 김영진에서 시작한 정윤종의 테란 레이드 최종 보스로 만들 수도 있었구요.

연맹 최초의 우승자에 대한 언급도 거의 없었고, 솔직히 얘기하면 조성주 선수의 우승에 대한 스토리 언급은 정윤종 선수의 반도 안됐죠. 이번 스타리그에서 조성주 선수에 대한 언급은 온게임넷에서 준비한 것이 아닌, 엄재경 해설 혼자서 모든 스토리를 즉석에서 다 풀어냈죠. 엄재경 해설 없었으면 이번 결승 어쨌을까... 싶기도 하네요. 정윤종 선수는 같은 팀의 임요환 감독하고도 연결을 시켜 주시던데 오히려 경기 내적인 부분등에서 임요환 감독과 더 비슷한 조성주 선수는 묻히고.. 사소한 부분이지만 조성주 선수는 결승 오프닝때 최근 10전도 안 나왔죠. 결승 1경기 시작하기 전까지 '온게임넷은 정윤종 선수의 우승을 바라는건가...' 란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물론 정윤종 선수가 이기는 것이 흥행에는 더 도움이 되겠다는 제 선입견에서 출발한 생각이겠죠.

가을의 전설이라는 것은 토스가 가장 약할때 가끔씩 한두명의 토스가 미쳐서 기적같은 우승을 일궈냈기 때문에 그 의미가 있는 것이지 단순히 가을에 토스라는 종족을 가지고 있는 선수가 우승한다고 해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같은 가을의 전설이라고 하지만 김동수, 박정석의 우승과 박용욱의 우승이 감동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는 이유죠. 역사라고 얘기하고 계시지만 솔직히 가을의 전설이라는 컨텐츠를 너무 안심하고 막 쓰는게 아닌가 싶어서 말씀드렸습니다. 함부로 중단하거나 버릴 수 없는 가치를 너무 함부로 쓰고 계신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Davi4ever
13/08/13 11:44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 스타리그에서 가장 강세를 보였던 종족은 테란이었고,
정윤종 선수는 8강과 4강에서 연달아 테란을 물리치고 올라왔습니다.
저그가 약세를 보이고, 테란이 강세를 보였던 시즌에
소수였던 프로토스가 우승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정윤종 선수의 결승진출 의미가 작다고 생각하진 않았습니다.
(이번 시즌 P vs T에서 정윤종 선수의 비중을 보면 더욱 그렇습니다.)
안심하고 막 쓰지 않았습니다.
팬들이 입추를 먼저 언급했다고 좀더 자연스럽게 풀지 못한 것은 제 실수입니다만,
1년에 8개월이 가을의 전설이냐고 너무 진지하게 물어보시면
제가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방대한 자료를 모두 보여드리는건 어려운 일이니
자막으로 직접 방송에 언급된 것들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조성주 선수가 우승할 경우'에 대한 데이터를 보셨는지요.
'임요환'-이윤열에 이어 3번째 테란 로열로더,
(말씀해주신 임요환 감독과 연결되는 이야기, 언급했습니다.)
10년만의 테란 로열로더, 프라임의 스타리그 첫 우승, 프라임 최성훈 선수 이후 2년만의 국내 대회 우승,
연맹의 2013년 국내 프리미어 대회 첫 우승, 모두 있었습니다.
조성주 선수의 스2 데뷔가 정윤종 선수의 스1 프로리그 데뷔보다 빨랐다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자주 언급되어 강조된 부분도 있고,
상황에 따라 언급되지 못한 부분도 있습니다만
준비한 것이 없다는 말씀은 받아들이기가 많이 어렵네요.

개인적으로도 연맹 선수들의 경기를 제대로 공유하지 못했던 시간이 있고,
연맹 선수들에 대해 온게임넷이 "이렇게 대할 것이다"라는 선입견을 가지신 몇몇 분들이 있다는걸 알기에
그 부분은 특히, 항상 신경을 쓰고 있는데
이런 의견을 들으니 '아직 부족한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분들께서도 이런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가 궁금해지네요.

그리고 무슨 말씀을 하시는가 하고 VOD 다시 찾아보고 왔습니다.
조성주 선수 결승 때 최근 10전 분명히 나왔었습니다. 다시 확인해보시길 바랄게요.

끝으로, 누구의 승리가 흥행에 도움이 된다는 마인드,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이 부분은 분명히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혹시라도 어조가 불편하게 느껴지셨다면, 사과드립니다.)
완전히 만족하실 수 있을 때까지 더 노력하겠습니다.
콩쥐팥쥐
13/08/13 12:24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가 우승할 경우에 대한 데이터가 2경기 시작때 화면 하단에 2줄로 10여초 나간 데이터 말씀드리는 것인가요? 해설진 분들이 언급 안하고 넘어간. 제가 캐치하지 못한 다른 데이터가 있었으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조성주 선수 최근 10전에 대한 부분은 제가 보지 못했나 보네요.

격한반응 보이는 것은 저도 죄송스럽습니다만, 제가 하고자 했던 피드백에 대한 부분보다는 변명만 듣는 것 같아서 한 소리 더 했습니다. 더 이상의 댓글은 달 수 없으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Davi4ever
13/08/13 12:32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그리고 조성주 선수의 데뷔가 정윤종 선수의 스1 프로리그 데뷔보다 빨랐다는 내용은
1경기 시작 부분에 있습니다. 조성주 선수의 초등학교 때 스쿨리그 올킬 이야기는
이신형 선수와의 4강 첫 세트 때 언급되었고요.
방송에 직접적으로 송출된 데이터가 이 정도이고, 방송에 나가지 못한 이야기는 더 많이 있습니다.

진지한 피드백이 아닌 변명으로 보이셨다면 그건 제 능력 부족입니다.
그 부분은 죄송하게 생각하고, 다만 의도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은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13/08/13 10:59
수정 아이콘
지금에서야 글을 보네요 제가 소스 생성에 기여(?)를 한 것 같아 뿌듯합니다 크크크크크
파란아게하
13/08/13 12:09
수정 아이콘
수고스럽게 올려주시는 랭킹 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영호 선수 화이팅~!
13/08/13 12:39
수정 아이콘
Davi4ever 님 2주동안 프로리그,스타리그 결승을 진행하느냐 고생 많으셨습니다. 시즌 3 프리미어리그와 차기 프로리그, 그리고 온게임넷에서 진행되는 스타2리그를 앞으로도 기대 하겠습니다.
blissfulJD
13/08/13 15:12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가 드디어 20위 안에 들었네요. 쑥쑥 올라갑시다^.^ 화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287 [스타2] 2013년 9월 넷째주 WP 랭킹 (2013.9.25 기준) - 이승현, 6위 탈환 [2] Davi4ever6601 13/09/23 6601 0
52218 [스타2] 2013년 9월 셋째주 WP 랭킹 (2013.9.15 기준) - 통합랭킹 2위 변동! [4] Davi4ever6781 13/09/16 6781 0
52157 [스타2] 2013년 9월 둘째주 WP 랭킹 (2013.9.8 기준) [3] Davi4ever7467 13/09/08 7467 0
52109 [스타2] 2013년 9월 첫째주 WP 랭킹 (2013.9.1 기준) - 변화의 시작? [1] Davi4ever7612 13/09/01 7612 0
52049 [스타2] 2013년 8월 넷째주 WP 랭킹 (2013.8.25 기준) - 폭격기 날다 [2] Davi4ever7248 13/08/26 7248 2
51965 [스타2] 2013년 8월 셋째주 WP 랭킹 (2013.8.18 기준) - 폭풍전야 [4] Davi4ever7972 13/08/18 7972 0
51926 [스타2] 2013년 8월 둘째주 WP 랭킹 (2013.8.11 기준) - 프로토스 랭킹 1위 변동! [13] Davi4ever7981 13/08/13 7981 0
51867 [스타2] 2013년 8월 첫째주 WP 랭킹 (2013.8.4 기준) - 조성주의 랭킹상승폭은? [10] Davi4ever8223 13/08/05 8223 1
51800 [스타2] 2013년 7월 넷째주 WP 랭킹 (2013.7.28 기준) - 이신형의 독주 [7] Davi4ever8071 13/07/30 8071 1
51737 [스타2] 2013년 7월 셋째주 WP 랭킹 (2013.7.21 기준) - 새로운 저그랭킹 1위! [10] Davi4ever8084 13/07/22 8084 1
51680 [스타2] 2013년 7월 둘째주 WP 랭킹 (2013.7.14 기준) - 이신형 8000점 돌파! [19] Davi4ever7716 13/07/15 7716 0
51618 [스타2] 2013년 7월 첫째주 WP 랭킹 (2013.7.7 기준) - 저그랭킹 1위의 향방은? [4] Davi4ever7759 13/07/08 7759 1
51570 [스타2] 2013년 6월 다섯째주 WP 랭킹 (2013.6.30 기준) - 이영호 6위로 상승 [4] Davi4ever8569 13/07/02 8569 0
51528 [스타2] 2013년 6월 넷째주 WP 랭킹 (2013.6.23 기준) - 드림핵, 홈스토리컵 반영 [9] Davi4ever7998 13/06/24 7998 0
51464 [스타2] 2013년 6월 셋째주 WP 랭킹 (2013.6.16 기준) [5] Davi4ever7862 13/06/17 7862 0
51368 [스타2] 2013년 6월 둘째주 WP 랭킹 (2013.6.9 기준) - 진정한 혁신의 시대! [8] Davi4ever7675 13/06/10 7675 0
51327 [스타2] 2013년 6월 첫째주 WP 랭킹 (2013.6.2 기준) - 근소해진 1,2위 차이 [3] Davi4ever8312 13/06/03 8312 0
51259 [스타2] 2013년 5월 넷째주 WP 랭킹 (2013.5.26 기준) - 이신형 6000점 돌파! [8] Davi4ever7997 13/05/27 7997 1
51217 [스타2] 2013년 5월 셋째주 WP 랭킹 (2013.5.19 기준) - 이영호 7위로 상승 [5] Davi4ever10037 13/05/20 10037 1
51168 [스타2] 2013년 5월 둘째주 WP 랭킹 (2013.5.12 기준) - 김민철, Top 10을 향하여 [7] Davi4ever9111 13/05/13 9111 2
51133 [스타2] 2013년 5월 첫째주 WP 랭킹 (2013.5.5 기준) - BSL 결과 반영! [13] Davi4ever9332 13/05/06 9332 3
51075 [스타2] 2013년 4월 넷째주 WP 랭킹 (2013.4.28 기준) - 이동녕, 드림핵 우승으로 급상승! [5] Davi4ever9052 13/04/29 9052 3
51026 [스타2] 2013년 4월 셋째주 WP 랭킹 (2013.4.21 기준) - 정윤종&이신형 Top 5 진입 [1] Davi4ever8244 13/04/22 824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