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8/08 23:30:34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8강 2회차. CJ 프로스트 VS 나진 쉴드 분석.
1. CJ 프로스트

롤챔스 커리어 : WCG 국대 선발전 준우승 / 롤 인비 우승 / 12 스프링 준우승 / 12 섬머 우승 / 롤드컵 준우승 / 12 윈터 준우승 / 13 스프링 4강
13 올스타전 국대 탑 - 샤이
13 올스타전 국대 서포터 - 메드라이프
12 윈터 KDA 상 - 샤이(탑)

2. 나진 쉴드

롤챔스 커리어 : WCG 국대 선발전 우승 / WCG 본선 8강 / 12 스프링 8강 / 12 섬머 16강 / 12 윈터 12강 / 13 스프링 8강

3. 두 팀의 상대전적

* 두팀의 경우, 초기 멤버와 지금 멤버가 너무 변해서(나진 쉴드는 특히...............)
상대전적의 큰 의미는 없으나 참고용으로 올려보면..

WCG 국대 선발전 - 쉴드 2:1승(당시 MiG 와 EDG)
롤 인비 - 프로스트 1:0승(당시 MiG 와 EDG)
12 스프링 8강 - 프로스트 2:1승(당시 나진은 1개팀)
윈터 12강 - 프로스트 2:0승
스프링 12강 - 무승부 (1:1)

그 외 롤인벤, 나겜 경기 등.. 수많은 초창기 여러 대회에서의 사건사고들이 있음.


4. 두 팀이 섬머시즌에 당한 밴/고른 픽

CJ 프로스트가 당한 밴 -
쓰레쉬 베인 3
케넨 제이스 오리아나 2
트위스티드 페이드  엘리스코그모 라이즈 쉔 트위치

* 프로스트의 경우. 이번 시즌들어서 '바텀 밴' 이 상당히 많습니다.
(쓰레쉬 + 베인이 합쳐서 6번. 거기에 트위치까지 하면 7번. )
프로스트 팬들은 1년 반만에 이런 기분을 처음 느껴보실듯한..

나진 쉴드가 당한 밴 -
엘리스 3
제이스 쓰레쉬 이블린 라이즈  2
트위치 누누 쉔 아리 케이틀린 카직스 바루스

* 쉴드의 경우 엘리스를 제외하고 딱히 들어오는 밴이 많진 않습니다.


TOP
Shy - 쉔 3  블라디미르 요릭
SAVE - 쉔 2 블라디미르 문도박사  자르반 제이스

쉴드의 탑솔은 의외로 탑 비주류 챔프인 문도/자르반을 사용한적이 있습니다.
두 선수 모두 쉔, 블라디미르를 사용합니다.

Jungle
Templar -  엘리스 2 누누 2 아무무 자크
NoFe - 이블린 2 자르반 자크  리신 누누

* 노페선수가 엘리스 밴을 3번 당한걸 감안하면. 클템 선수가 쓰는 정글러는 아무무빼고 노페선수도 다 쓴다고 봐도 될거 같네요.

MID

Ganked by mom - 오리아나 3 제드 트위스티드 페이드 제이스
Ggoong - 라이즈 2 블라디미르 오리아나 아리  제드

* 쉴드의 경우 탑, 정글, 미드. 모두 6경기에서 5개의 챔프를 사용했습니다.
(대회 실 가용 챔프폭이 꽤 넓습니다.)
갱맘의 경우 제이스,트페 모두 불안불안했으나..
두 챔프 모두 필밴 목록에서 빠지고 있다는것이 프로스트 입장에서 청신호로 보이네요.

AD
Space - 베인 2 트위치 2 이즈리얼 코그모
Lodocodo & Zefa - 케이틀린 3 트위치 2 베인

* 쉴드는 케이틀린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스페이스 선수의 경우. 베인 - 트위치를 선호합니다. (베인은 실제 3밴을 당했습니다..)

Support
MadLife - 쓰레쉬 3 알리스타 소나 나미
GorillA - 쓰레쉬 3 나미 2 소나

* 기본 챔프 폭은 같지만.. 메라에겐 소와 4대신앙이 있죠.. 흐흐.


5. 총평

쉴드의 경우 초기 MiG / EDG 시절 양강을 제외하고 지금 최고의 시즌을 보내고 있는 만큼
프로스트 상대로 노페의 정글링과. 라이너들이 어떤 깜짝 픽을 보여줄 것인지가 관건.

프로스트의 경우. 객관적인 평으로는 우위에 있다고 평가되며
갱맘의 챔프 폭이 어느정도로 넓어졌을지. 아니면 빠른별이 8강에 포텐 회복한 상태로 나오는지. 가 가장 큰 키 포인트.

프로스트가 이긴다면. '롤챔스 사상 유일한 5연속이자 전시즌 4강 진출' 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게 되며
나진쉴드가 이긴다면. '창단이래 처음으로 롤챔스 4강 진출' 을 달성하게 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뿌잉뿌잉잉
13/08/08 23:36
수정 아이콘
2 3 4 경기는 16강 1위팀들한테 확 기우네요

쉴드가 이기는게 상상이 안갑니다;
13/08/08 23:51
수정 아이콘
뭐 괜히 6강이라 불리던 팀들이 아니죠.... 하지만 그중에서 소드만 현재 경기력이.....

윈터의 구맛밤 롱판다의 각성이나. 지난시즌 오존처럼.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니 그거에 기대를 걸고..
一切唯心造
13/08/08 23:38
수정 아이콘
원딜 제파가 나오고 픽밴에 따라 실드 승을 점쳐봅니다
13/08/08 23:52
수정 아이콘
전통적으로 픽밴싸움 못하는게 쉴드 특징이라 과연 잘 할지가 걱정이...
13/08/08 23:39
수정 아이콘
미드는 꿍 선수가 잘 안밀리면서 반반싸움 정도로 잘해주는데,
탑 바텀을 쉴드가 버텨낼까요.

'빠별이 나올까?' 가장 궁금합니다.
13/08/08 23:52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에서도 뮤즈가 탁 나온거 봐선.. 강감독의 생각은 정말 읽기 힘드네요 흐흐.. 나올것도 같고 아닐것도 같고..
13/08/09 12:02
수정 아이콘
섹시한 그를 보고싶네요.
도시의미학
13/08/08 23:41
수정 아이콘
빠별선수가 나올지, 갱맘 선수가 나올지 궁금하네요.

논외로 Leeka님의 수많은 자료는 다 어디서 나오는지도..
13/08/08 23:53
수정 아이콘
자료는 다 여기저기 있는거랑 자체자료를 잘 섞어서 필요할때 만들죠 머..
게임매니아
13/08/08 23:43
수정 아이콘
밴픽과 탑 샤이를 초반에 억제할 수 있다면 쉴드가 충분히 할만하다고 봅니다.
그러나 CJ 프로스트의 주요 챔프 (쓰래쉬, 베인, 오리아나) 를 효율적으로 억제하지 못하고
탑에서 샤이가 크는 것까지 노페가 무방비로 놔둔다면 무난히 프로스트가 승리할 것 같네요.
물론 로코도코 선수가 나온다면 무조건 프로스트에 한표 던집니다.
13/08/08 23:54
수정 아이콘
설마 제파가 나오겠죠......
13/08/08 23:46
수정 아이콘
노페가 어제 갓카오 같이 클템을 제대로 읽는다면 할만 하다고 봅니다만
매멘!!!!!!!!!????????
13/08/08 23:53
수정 아이콘
노페가 어떤 라인을 시팅하느냐 자체부터 판을 잘 그려야겠죠.

지금 프로스트는 바텀도 강해진 팀이라서..
13/08/08 23:54
수정 아이콘
쉴드도 지금 폼이 많이 올라와서
일방적인 게임이 나올거 같진 않네요.
스코어가 3대0이 나오든 3대2가 나오든 경기결과랑은 상관없이
경기내용 자체는 프로스트 6:4 정도의 약간우세한 정도의 흐름으로 갈거라 봅니다.
레몬맥콜
13/08/09 00:04
수정 아이콘
제파... 잘합니다. 유전자 어디 안가요.

그리고 픽밴같은 경우엔 블레이즈가 크트를 상대하며 의아한 대처를 한걸 생각하면 나진 실드가 좀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하는게 있는 코치 VS 닥템)

방학이라 숙소에 합류한 촙 정인철 선수가 나올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가능성이 없다면 대리고 있지도 않았을거고, 솔랭 첼린저 꼬박 찍는거, 그리고 소드에 잠시 임시로 있을때 좋은 모습 보여준거 생각하면... 그리고 엑페가 막눈의 혈을 뚫어줬듯 촙이나 세이브의 혈을 뚫어줬다면...?

개인적으론 5.5:4.5 생각합니다만 문제는 한일전같은 경기장 분위기겠죠.
13/08/09 00:12
수정 아이콘
벌써부터 경기장 얘기 해야 되나요. 내일 불판 대단하겠네요.
레몬맥콜
13/08/09 00:14
수정 아이콘
치열한 라이벌리를 이야기한거지 다른 뜻은 아니였습니다.
13/08/09 00:26
수정 아이콘
촙 선수는.. NLB 처음 나왔을 때 보면 굉장히 안 좋은 모습이였죠 점차 좋아졌다고 하지만 방송대회 처음 모습에 긴장이 많이 보였습니다.
(물론 그게 컴터 성능이 너무 떨어져서 ..라고도 하긴하던데 그래도 케넨 뻘궁은 잊혀지지가 않는군요)
어쨋든 방송 무대 경력이 전혀 없는 선수를 무려 8강 토너먼트에 데뷔를 시킬 수 는 없을 껍니다.
8강에 쓰려면 조별예선에서 방송무대 시험을 해봤어야죠. 박정석 감독이 오프라인 대회의 부담감을 모를리도 없구요.
엔하위키
13/08/09 00:15
수정 아이콘
겜게에 나진 소드의 롤드컵 직행 시나리오가 자주 올라오고 있어서 사족으로 여쭈어봅니다.

프로스트/ 블레이즈가 함께 진출하려면 프로스트가 롤챔스를 우승하고 블레이즈가 3위로 진출하는 방법밖에 없나요...?
13/08/09 00:26
수정 아이콘
네, 그건 뭐 소드와 오존의 성적과 관계없이 이번시즌 처음부터 그랬어요.
한 팀은 우승해서 직행, 다른 팀은 롤드컵 토너먼트를 통해 진출.
다른 시나리오, 특히나 두 팀이 1,2위로 동반 직행 시나리오는 애초에 없었습니다.
블레이즈의 우승 가능성이 사라졌으니 남은건 프로스트 우승, 블레이즈 데스토너먼트 우승밖에 없네요.
엔하위키
13/08/09 00:2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A Peppermint
13/08/09 00:17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화이팅입니다. 항상 최고는 프로스트였다는 걸 보여줬으면 합니다.
스웨트
13/08/09 00:21
수정 아이콘
제파 나오면 실드가 이깁니다. ...... 라고 믿어 보렵니다.
갱..갱맘을 판다. 갱맘을 파자!! 오리아나 쓰래쉬 밴 하고 미드갱만 가는거다.
긴토키
13/08/09 00:22
수정 아이콘
쉴드 파이팅 ㅜㅜ 프로스트가 유리해보이긴하지만
스타급센스
13/08/09 00:23
수정 아이콘
노페선수가 탑을 얼마나 풀어주냐에 달린듯.. 미드는 반반일테고 바텀도 제파선수나오면 비슷하게는 갈듯
헤나투
13/08/09 00:27
수정 아이콘
쉴드도 경기력이 괜찮죠. 프로스트 입장에서는 만만치않은 상대라고 보여집니다. 물론 그래도 승자는 프로스트가 될듯;;
13/08/09 00:28
수정 아이콘
저도 프로스트의 일방적인 흐름은 없을것이라 생각합니다. 프로스트의 근소한 우세를 점쳐봅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3/08/09 00:28
수정 아이콘
롤갤문학을위해 로코가 나와줬으면 하는마음도...
13/08/09 00:28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 패배팀이 NLB로 가서 만나게 될 팀은 진에어 스텔스로 결정되었습니다.
예상은 뭐.. 프로스트가 우세하다고 보는데, 미드가 변수에요. 노페가 프로스트의 미드를 말리게 하면 혹시 모를 변수가 생긴다고 봅니다.
엔하위키
13/08/09 00:30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의 진출을 기원합니닷
13/08/09 00:32
수정 아이콘
일단 초반에 약한 클템을 위해 리신 엘리스는 밴하고 갔으면 합니다.. 혹시 경기중에 밴해야할 챔프가 나온다면 주저없이 밴좀 합시다..
초반 라인전에서 망하지 않는다면 프로스트가 지는 시나리오가 잘 그려지지 않습니다.
제파 선수도 잘하고 꿍선수도 잘하는거 같으니 라인전에서 프로스트가 압도하진 못할꺼 같습니다만 일단 신생팀과 마찬가지인 나진 쉴드라 후반 운영은 여전히 매끄럽지 못한듯 하니 중후반을 바라본다면 프로스트에게 승산이 있다고 봅니다.
강퀴가 이야기하는 노페의 멘탈을 건들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일꺼 같습니다.

이와는 별개로 프로스트게 베인,트위치가 밴 (이즈+케잉 픽으로 거의 4벤이나 마찬가지 )먹는 날이 오다니..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생각했는데
프로스트 팬으로선 감개무량할 따름입니다. ㅜㅜ
13/08/09 00:36
수정 아이콘
설마 오리아나를 풀어주는 짓을 쉴드가 하진 않을것같고...(그순간 필패라고 봅니다)
나머지 밴을 어떻게 가져가느냐가 쉴드의 숙제겠네요. 얼밤은 3정글밴 갈거라고 봅니다. 리신, 이블린, 앨리스 정도만 밴하면
정글이 끼칠 수 있는 변수가 극도로 줄어든다고 보는지라...

미드의 갱맘 챔프폭에 의문이 있는걸 제외하면 얼밤의 패배 시나리오가 쉽게 그려지진 않네요.
'안정적으로' '흔들리지 않는' 측면에서는 샤이를 능가할 탑솔러는 없다고 보는지라 갱에 쉽게 휘둘릴것 같지도 않고...
엔하위키
13/08/09 00:4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포지션별로
탑 6.5 : 3.5 프로스트 우세
미드 5.5 : 4.5 프로스트 우세
바텀 5.5-6 : 4.5-4 프로스트 우세
정글 5-4.5 : 5-5.5 쉴드 우세
이렇게 생각하는데 다른분들 의견도 구하고싶네요...
13/08/09 00:43
수정 아이콘
탑 7 : 3 프로스트 우세
미드 5.5 : 4.5 프로스트 우세
바텀 6 : 4 프로스트 우세
정글 3.5 : 6.5 쉴드 우세

노페 기량터지면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기대가 많이 되요.
물론 매드라이프 터지면 어떻게 될지모르는것도 함정 크크
전 프로스트 팬입니다.
엔하위키
13/08/09 00:47
수정 아이콘
저와 거의 같으신듯 하네요 크크
그런데 클템과 노페가 그렇게 기량차이가 심하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는데 쉴드 경기를 많이 챙겨보지 않아서일까요...흑 클템 힘내!
이퀄라이져
13/08/09 00:50
수정 아이콘
(좌측이 프로스트입니다.)
탑 7-3
미드 4.5-5.5
바텀 6.5-3.5
정글 4-6

탑에 대한 예상은 다들 비슷하신거 같고
오리아나 밴 당하면 솔꿍이 갱맘보다는 나은거 같기는 한데 별 차이는 없을꺼 같고
고릴라가 아마시절에 적당히 괜찮은 정파 서폿이라고 생각했을때 매라급한테는 고전할 가능성이 있어보이고
제파는 아직 약점이 있더군요. (제 맘속) 원딜 3위 스페이스한테는 안될듯.
결국 카카오처럼 노페가 정글 압살을 해줘야 쉴드가 이기는 그림이 나올꺼 같습니다.

전 소드 팬입니다...
레이몬드
13/08/09 01:02
수정 아이콘
탑 : 7-3
정글 : 3-7
미드 : 5-5
바텀 : 5-5

역시 이스포츠는 엄대엄 아니겠습니까 껄껄
키스도사
13/08/09 01:09
수정 아이콘
탑 7 : 3 프로스트 우세
아무래도 세이브 보다 샤이가 더 안정감 있어 보입니다. 특히나 불리해져도 팀을 캐리하는 능력은 샤이가 발군이라.

미드 5 : 5 엄대엄
요즘 갱맘이 대단하다고 하지만 개인적으론 아직 더 지켜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오리아나를 픽한 갱맘과 그렇지 않은 갱맘은 너무 차이가 많이나 보이죠.

정글 4 : 6 쉴드 우세
정글은 아무래도 노페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엘리스를 노페가 잡는다면 게임 판도가 바뀔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요.

바텀 6 : 4 프로스트 우세
아무래도 스페이스 매라 조합이 좀더 안정감 있죠.



하지만 뚜껑은 열어봐야 압니다. 지난시즌 MVP오존이 우승할줄은 아무도 몰랐듯이.
화잇밀크러버
13/08/09 00:45
수정 아이콘
내일 불판은 분명 싸움이 나거나 시끄러워 질 것이라는데 라파에를 겁니다. 흐흐.

이러니 저러니해도 처음 응원했던 팀의 명맥인 만큼 쉴드가 이겼으면 좋겠네요.

기대는 안 할 거지만...
Practice
13/08/09 00:58
수정 아이콘
이 덧글을 본 피지알의 모든 CJ 팬, 나진 팬들이

CJ 팬 : 어허허 나진의 제파 선수, 방금 한타 무빙은 정말로 굉장했습니다. 저희 샤이 선수가 제대로 물지를 못했어요.

나진 팬 : 어이쿠 아닙니다, 갱맘 선수의 궁극기가 저희 꿍 선수를 완벽하게 지워버리는 모습을 보고 진심으로 감탄했습니다.

...와 같은 훈훈한 대화를 불판에서 이어나가기 시작하는데...
13/08/09 01:01
수정 아이콘
하지만 그런 일은 우리에게는 있을 수가 없...

걍 불판 안들어가고 게임만 보려고요 전 -_-; 분위기가 보나마나일것 같아서
화잇밀크러버
13/08/09 01:47
수정 아이콘
저도 불판 안 갈려구요. 흐흐.
겜알못
13/08/09 00:46
수정 아이콘
이번부터 빠른별이 나올 거 같아요!
1경기를 프로스트가 가져가면 압도적으로 시리즈를 가져갈 수도 있을듯 하네요.
불굴의토스
13/08/09 00:54
수정 아이콘
저번 인터뷰 보니 8강전엔 빠른별이 나온다고 하더군요..
AeroSpace
13/08/09 00:54
수정 아이콘
쉴드 이번 대회 많이 기대됩니다.
프로스트가 단단하긴해도 뚜껑은 까봐야 아는거겠죠?
13/08/09 00:56
수정 아이콘
클템 선수가 굉장히 오묘한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광받는 최상위급의 정글러를 임팩트있게 플레이한 적이 거의 없지요.
리신이나 이블린이나 앨리스나(앨리스는 기복이 있다고 봅니다.) OP소리를 들을때 제대로 하는 적이 별로 없습니다.

대신 오묘한 면은 그 외의 정글러 폭은 지나치게 넓다는 겁니다.
람머스, 세주아니, 자르반, 자크, 누누, 아무무, 노틸러스 같은 챔프이죠.

쉴드가 앨리스를 밴해 준다면(프로스트가 블루를 기준으로) 4 정글러밴을 감행해서
안 좋은 정글러내의 픽싸움을 걸 수 있는 기본 조건은 충족되는 몇 안되는 정글러입니다.
상황에 따라서 노페 선수의 자크나 누누를 강제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정글 자크라는 말은 탑 자크가 없다는 것이니 샤이 선수가 탄력을 받겠고
누누를 픽한다는 것은 카정은 당하겠으나 갱은 없다는 것이 됩니다.

3정글밴에 특화된 정글러이죠.
정글밴을 4개 먹는 게임에서도 할 정글챔프가 있다는
키스도사
13/08/09 01:11
수정 아이콘
쉴드가 딱히 엘리스 밴을 하지 않을꺼 같습니다. 노페가 예선에서 이미 엘리스 저격밴을 먹을만큼 엘리스를 잘다루는데 굳이 밴할 필요가 있을까요..?
13/08/09 01:15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가 블루 사이드인 경우에
앨리스를 선픽하기도 하니까요.

물론 앨리스는 내주더라도 쉔이나 쓰레쉬는 가져올 수 있을 겁니다
키스도사
13/08/09 02:43
수정 아이콘
클템의 엘리스보다 쉴드가 더 고민되는건 미드 챔프와 매라의 서폿챔프일꺼 같습니다.

엘리스는 살아서 우리가 픽하면 좋고, 클템이 잡더라도 크게 신경쓰지 않을꺼 같아요.
Locked_In
13/08/09 01:58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도 3정글밴이 키워드인데 이걸 예상해서 쉴드와 프로스트가 각각 어떤 전략을 짜왔을지 기대되네요.
블라디미르
13/08/09 01:08
수정 아이콘
나진쉴드는 밴이 거의 예상이 되네요

후픽이면 쓰레쉬, 오리아나, 베인은 100% 밴할듯

매라의 쓰레쉬, 갱맘의 오리아나, 스페이스의 베인을 풀어준다는건 게임 이기기 싫다는 소리거든요

근데 이렇게 하면 탑에서 샤이가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프로스트는 클템이 엘리스를 못먹는다면 노페에게 주지 않기 위해 엘리스는 100% 필밴으로 예상됩니다
루크레티아
13/08/09 01:12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입장에선 그냥 3노페밴으로 시원하게 밀어버려도 그만이죠.
13/08/09 01:25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입장에선 그냥 3노페밴이 가장 좋아보입니다.
일단 다른 라인전에서 딱히 밀리는 곳은 없고 정글러만 밀리는거 같은데 이럴경우 3정글밴이 가장 좋은 방법이죠.
지난 소드를 이기는데 큰 역할을 했던게 3정글밴이구요. 클템선수 본인도 라이너가 미쳐날뛸땐 3밴이 별로 효과적이지 않지만 정글러에겐
효과적이라고 말한적이 있죠.
또한 어제 블레이즈 ktb만 봐도 카카오급의 정글러도 엘리스 리신을 잡지 못한경우 갱으로 라인을 파괴시킬수 없는게 보이죠.

게다가 요새는 필밴이라고 할 챔프가 없어져서 퍼플지역에서도 정글밴이 가능합니다.
13/08/09 01:36
수정 아이콘
네 정말 3노페밴이죠

자르반 이블린 엘리스 막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노페의 리신은 그냥 클템보다 살짝 나은정도, 태양신급이라 봐서 크크 리신은 그냥 줘도 될 느낌이라..
나진쉴드는 첫경기밴에 후픽일경우 쉔/오리아나(갱맘)/쓰레시밴하고
이러면 프로스트가 첫픽으로 나미or베인 가져올거라 생각합니다.
나진쉴드가 선픽일경우 쉔가져오고 오리/쓰레시/트위치or베인 밴 예상합니다.
여기서 프로스트가 영리하게
엘리스밴대신 리신자르반이블린밴하고 엘리스/쉔중에 하나 가져가. 우린 나미+엘리스or쉔 가져가!를 실행할수도 있다고 봅니다.

빠별보고싶네요. 아스트랄함을 좋아합니다.
아이군
13/08/09 01:54
수정 아이콘
쉴드가 이길려면 제가 보기에는 조건이 좀 있습니다.

1. 빠른 별 대신에 갱맘이 나올것.
요새 빠른별의 부재에 대해서 말이 많은 가장 큰 이유가 지금이 빠른별이 날라다닐 타이밍이라서 그렇습니다. 미드 메타가 한바퀴 돌아서 다시 아리로 대표되는 역빠체의 타임이 왔죠. 요새 미드는 챔피언들이 하향평준화-_- 당해서 이래저래 카드가 많은 쪽이 유리합니다. 적어도 빠른별이면 지지는 않겠죠. 아직은 약점이 있는 갱맘이 나와서 그 약점을 후벼파는데 성공해야 됩니다.
2. 로코대신에 제파가 나와서 프로스트 바텀의 약점을 찾아낼 것
이건 그냥 제 소감정돈데, 아직까지는 스페이스와 메라의 호흡은 완벽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분명 메라도 잘하고 스페이스도 잘하는데, 메라+스페이스가 적의 바텀을 파괴해서 이기는 시나리오가 한번도 안나왔습니다. 이 둘의 실력이면 프레이/카인, 임프/마타 정도로 강력해야 되는데, 아직까지는 그런 느낌은 아니에요.(솔직히 말해서 저로서는 아직까지 메라가 스페이스를 잘 쓰지 못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메라는 이때까지 이렇게 '강한' 원딜을 굴려 본 적이 없어요 ㅠㅠ) 쉴드 입장에서는 프로스트 바텀이 적어도 지금보다 강해져서는 안됩니다. 지금 보다 강해진다는 말은 최악의 경우 메라가 사형선고 날릴때마다 피바람이 분다는 말이거든요.
3. 노페가 클템을 압도할 것
이게 쉬울거 같은데, 의외로 어렵습니다. 블레이즈는 이런 경기가 좀 나오는데(수요일의 대 ktb전이라든가, 저번 결승이라던가), 사실 이건 단순히 헬리오스가 댄디/카카오에 약하다 라고 넘어가기 어려운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블레이즈의 봇라인이 너무 약하다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브레이즈는 봇 캐리를 확신할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앰비션은 후반 캐리가 되는 미드를 고르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드에 다 약하죠. 궂이 제드가 아니더라도 류/다데 같은 정상급 미드는 앰비션에 비해서 후반 캐리력을 약간 포기하고 더 강한 라인 전을 가진 챔프를 골라서 초 중반 앰비션의 영향력을 제거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탑/미드/봇이 어떻게 끼든간에 소규모 교전에서 ktb/mvp 오존에 비해서 약합니다. 소규모 교전이 약하니깐 적 정글러는 남의 정글을 제 맘대로 돌아다닐수 있고, 카정도 카갱도 마음대로 되는 거죠.
프로스트는 봇이 약하지 않습니다. 그러니깐 최근에는 탑/미드/봇이 정글을 시팅하는 모양새도 종종 나오죠.(뭔가 앞뒤가 바뀐거 같지만 넘어갑시다) 그러니깐 노페는 샤이/빠른별 or 갱맘/스페이스+메라 를 뚫고 클템을 제압해야 된다는 거죠. 이게 말처럼 쉬울것인가가 관건입니다. 앞의 조건과 시너지를 낸다면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러니깐 갱맘이 미숙한 게임 운영으로 카운터 갱킹을 허용한다거나, 노페가 메라와 스페이스의 불협화음을 잘 캐치한다던가 뭐 이런식으로요.

덤으로 프로스트가 이길 경우.
1.탑,미드,봇에서 솔킬이 난다. 탑 봇에서 솔킬이 나면 스노우볼이 굴러가기 시작할 거고, 미드는 좀 덜한데 자동으로 2번 조건이 충족되서 뭐 매한가지 입니다
2. 탑,미드,봇에서 데스가 별로 안난다. 후반되면 쉴드타임으로 대표되는 쉴드 운영이 운영의 최강자 CJ(블레이즈가 더 강자긴 한데 상관없으니 pass)를 이길 거 같지가 않습니다. 하아...
13/08/09 02:32
수정 아이콘
매라+스페이스가 적의 바텀을 파괴해서 이기는 시나리오가 한번도 안나왔습니다.
=> 매라 알리와 스페이스 트위치가 미쳐 날뛴게 엊그제 같은데요..
스페이스 베인도 LGIM 과의 2경기에서도 13분에 케이틀린 +소나 조합맞이해 2킬 앞서고 CS가 15개 이상 앞서는데..이정도면 프로라인전에서 충분히 파괴한거 같은데요..라인전 이후엔 더 충분히 미쳐 날뛰었구요.
매라 쓰레쉬가 미쳐 날뛴것도 바로 전경기 인거 같구요
이번 시즌 스페이스 KDA가 9.9입니다. 프로스트 봇듀오가 적의 바텀을 파괴한적이 없는건 아닌거 같아요.
이번시즌 프로스트는 이기는 경기는 바텀 캐리로 이겼죠. 이긴 5경기에서 MVP가 샤이가 2번, 스페이스1번 매라가 2번이예요.
샤이는 두번다 쉔으로 받은 거고 쉔이로 받으려면 원딜이 충분히 잘해줘야 가능한 일이죠
아이군
13/08/09 10:02
수정 아이콘
2킬 앞서고 CS가 15개 이상 앞서는 거 이상을 원한다고 할까요? 아니면 메라가 캐리하거나 스페이스가 캐리하는게 아니라 메라+스페이스가 캐리하는 걸 보고 싶다고 해야 되나.. 아직까지 메라+스페이스는 프레이+카인이나 임프+마타의 시너지가 안 느껴집니다. 뭐 개인적으로는 시간이 해결해 줄거라고 생각하기는 하는데 하여간 실드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이걸 잘 이용해서(솔직히 저도 방법은 모르겠음) 봇 라인전에서 게임이 끝나버리는 경우는 면해야 뒤를 볼 수가 있죠.
13/08/09 04:46
수정 아이콘
라인전만 놓고 보면 비슷비슷할 것 같네요.

키 플레이어는 매라와 노페라고 보지만 매라쪽으로 기울고

불안요소로는 클템과, 샤이를 상대해야하는 세이브를 생각하고 있지만
q선마 카직스 같은 신선한 전략도 만드는 등 최근 폼이 괜찮기 때문에 세이브 쪽으로 기우네요.

스페이스가 잘한다고는 하지만 타고난 게임유전자를 갖고 있는 제파를 압도할 거라는 생각은 못하겠고
샤이의 안정감이 꿍의 안정감보다 낫지만 전직 스1 프로게이머의 저력이 있는 만큼 쉽지는 않을 겁니다.

여기에 키 플레이어도 될 수 있고, 불안요소도 될 수 있는 빠른별이 최대의 변수가 될 것 같습니다.
갱맘이 출전할 경우 고릴라나 별 차이 없을 것 같네요.
어디로가야하오
13/08/09 05:48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상대의 벤픽을 어떻게 해야되는지는 저번 경기에서 mig가 잘 보여줬다고 봅니다.
트위치/베인/오리아나를 벤했었고 트위치 베인을 못잡은 스페이스의 위력은 전경기들에 비해 떨어졌죠. 그리고 갱맘도..
쉴드 입장에서는 트위치,베인은 벤을 하거나 상대가 못잡게 하는게 최선인거 같고,
그외의 벤은 샤이의 캐리력을 감소시키는 벤카드를 사용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예를들어 블라디나 쉔 혹은 엘리스 같은거..
오리아나같은 경우는 갱맘이 잘하는건 맞는데 굳이 벤카드로 사용하기에는 샤이가 너무 무섭죠. 갠적으론 벤카드로 사용할 필요는 없는거 같네요.
그리고 양팀의 서포터들이 쓰레쉬를 선호하는걸 봐서는 누가 쓰레쉬를 잡을지도 흥미로운 요소가 될거 같네요.
천진희
13/08/09 10:23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밴이 가장 효율적인 거 같긴 한데...근데 또 mig 때처럼 매라의 쓰레쉬가 미쳐 날뛰면 답이 없...ㅠ
13/08/09 07:46
수정 아이콘
노페 아무무도 잘쓰죠.
나나세 미유키
13/08/09 10:10
수정 아이콘
삭제(벌점없음),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13/08/09 10:49
수정 아이콘
이미 CJ는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는 팀이고,
매라는 No.1 스타급 플레이어인데 그만 좀 띄워줬으면 좋겠어요.
13/08/09 11:13
수정 아이콘
비꼬시는 건가요? 수요일에 강민 해설은 확실히 문제가 있었습니다.
아트라스
13/08/09 11:22
수정 아이콘
이 분 경고 먹고 난리를 치시더니 오늘불판에서는 그러지마시길 바랍니다. 눈살이 찌푸려지던데
다리기
13/08/09 11:32
수정 아이콘
좀 심하게 오버하면서 비꼬시네요. 수요일 편파에 불편했던 사람들을 다 바보취급하는 과감함도 돋보이고.
Practice
13/08/09 11:59
수정 아이콘
이렇게 한심한 사람을 봤나... 다른 사람과의 제대로 된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지 못할 만큼 멍청한 것도 죄입니다.
삭제(벌점 2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쿠루비
13/08/09 12:02
수정 아이콘
수요일에 소리없이 경기만 보셨나봐요?
꽤 많은 사람들이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는데 귀막고 쉴드치시느라 힘드시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712 [LOL] 롤챔스 6시즌간의 히스토리 총 정리 [20] Leeka8577 14/03/22 8577 1
53622 [LOL] 이번 사건에 대해서..+민기 생명에 지장 없다고 합니다 [42] 다이아1인데미필20427 14/03/13 20427 25
53587 [LOL] 다음주부터 롤 데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27] Leeka9273 14/03/07 9273 2
53472 [LOL] 안녕하세요. 최병훈 감독 입니다. [102] 최병훈.24493 14/02/16 24493 20
53298 [LOL] 진에어 리빌딩 + 래퍼드 은퇴. [65] Leeka11040 14/01/22 11040 0
53147 [LOL] 롤챔스의 깨지지 않은 재밌는 징크스들 [11] Leeka7564 14/01/03 7564 0
52782 [LOL] 레퍼드 개인 선수 탐구 - 1 [23] 다이아1인데미필9645 13/11/17 9645 1
52631 [LOL] SKT T1 #1. 최고의 탑솔과 함께하는 그들의 권토중래는 성공할까? [55] 다솜12182 13/10/29 12182 7
52383 [LOL] 우승컵을 들어올린 SKT. 한국메타의 승리! [70] 하얀호랑이11773 13/10/05 11773 4
52194 [LOL] 삼성 갤럭시 오존에 대한 해외 리뷰 [38] 랑비13721 13/09/13 13721 6
52188 [LOL] SKT T1에 대한 해외 리뷰 [27] 랑비15177 13/09/12 15177 7
52080 [LOL] 오늘은 가레나 리그 데이 [33] 엘에스디9908 13/08/29 9908 2
52030 [LOL] [응원글] Blossom Time [25] 헤더7919 13/08/24 7919 2
51891 [LOL] 롤챔스 8강 2회차. CJ 프로스트 VS 나진 쉴드 분석. [68] Leeka9106 13/08/08 9106 1
51883 [LOL] 팀리퀴드 OGN 롤챔스 플레이어 분석.txt [17] 짱슈11169 13/08/08 11169 2
51779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조별리그 12회차 프리뷰 [62] 노틸러스7634 13/07/27 7634 0
51664 [LOL] 북미 LCS가 Sports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26] Leeka8617 13/07/13 8617 0
51659 [LOL] 롤챔스 16강. 5회 후기 [51] Leeka7800 13/07/12 7800 2
51643 [LOL] 롤챔스 16강 '1회차' 최종 분석 및 후기 [33] Leeka8522 13/07/11 8522 1
51585 [LOL] 롤 프로(?)리그는 어떤 방식으로 열리게 될까? [21] sisipipi7896 13/07/04 7896 0
51555 [LOL] MVP 오존의 시대가 오는걸까요.. [106] Leeka13318 13/06/30 13318 4
51474 [LOL] 섬머 시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우승권팀 [116] kdmwin11491 13/06/17 11491 2
51183 [LOL] 시즌4에는 하나의 리그가 더 생겨야 할거 같습니다. [49] 마빠이10639 13/05/15 1063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