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7/12 22:47:56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16강. 5회 후기
1. 드디어 16강 2회차가 시작되었습니다

2회차는 16강의 두번째 경기기도 하지만

'시드팀 VS 시드팀' / '비시드팀 VS 비시드팀' 이 붙는 회차입니다.
(1/3회차는 시드 VS 비시드 경기가 있죠)

그런만큼. 각 팀은 이번 회차에선 정말 좋은 성적을 내야 되는데요..


2. 이게 정글러의 캐리입니다.

잘하는 정글러가 판을 '얼마나' 뒤집을 수 있는지
1/2경기에서 댄디가 다시 한번 보여줬습니다.

지난 시즌 결승전에서도 '댄디의 정글'로 인해 탑의 옴므 VS 플레임의 균형을 뒤집었는데
이번시즌에서도 댄디는 명불 허전이네요.

인섹이 탑을 간 지금. 진정한 세체정의 모습을 보여주며 현재 MVP 단독 1위로 올라섰습니다.

3. 디펜딩 챔피언의 위엄

클럽마스터즈 우승
롤챔스 스프링 우승
AMD 챔피언쉽 우승
롤챔스 현재 9연승 중. (SKT T1과의 4강 3,4경기 - 블레이즈와의 결승 1,2,3경기 - 제닉스 블라스트 1,2경기 - 진에어 1,2경기)

프로 선수들이 뽑은 라인별 KDA 정글/서포터 1위,  미드/원딜 2위의 투표 결과 답게. 압도적인 캐리력을 보여주네요.


4. CTU의 강력함

CTU의 최고 장점은 '조합 컨셉과 운영이 괜찮다' 인거 같네요.

시즌3의 정규시즌에서 처음으로 8강에 아마추어 팀이 올라가는걸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5. 잭스의 귀환

여러분. 잭스는 왕귀형 챔프입니다! 두번하세요! 세번하세요! 네번하세요!


6. 파랑이즈의 시대

파랑이즈가 미드/바텀을 혼용해서 서는 시대가 왔네요.

파랑이즈가 연속되는 너프로 인해 죽어가던 이즈리얼을 되살리는 템트리가 될줄. 초기에 누가 알았을까요.

올해 나온 템트리중에서 가장 판을 흔든건 파랑이즈와 AP 트린이 꼽힐거 같네요.

트린으로 AP 템을 갈 생각을 그전엔 왜 못했던건지.  작정하고 가보니 OP라서 초스피드 1/5로 계수가 너프를 먹는 패치가 감행됫는데..


7. 진에어 전무님......

하필 창단날 진에어가..... 어쩐지 훈수가 좋더라니.

다음주에는 두 팀 모두 좋은 모습 보여주길 바래봅니다.



p.s 소드는 블레이즈 무조건 이겨야 됩니다..
정확히는 훈수좋은날+블레이즈와의 경기를 합쳐서 '4경기중 3경기' 는 무조건 이겨야  재경기 or 진출 가능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o DDiVe
13/07/12 22:50
수정 아이콘
강제이니시챔프 없어서 파랑이즈에 휘둘리는 팀이 몇팀째인지 모르겠습니다.
후반에 이니시 못 걸겠다 싶으면 아예 이즈를 못 크게 박살내던가 팀들은 대책을 세워야 됩니다.

소드는 하... 저번 시즌엔 KTA덕에 8강가고... 어휴...
사랑해미니야
13/07/12 22:50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전 지더라도 진에어 2경기이기고 ctu가 블레이즈에게 지면 재경기아닌가요?
13/07/12 22:53
수정 아이콘
그러면 승점 4점으로 재경기 입니다. 16강에서 1:1로 비겼으니까요
사랑해미니야
13/07/12 22:54
수정 아이콘
본문에 4경기중 3경기를 이겨야 무조건 이라고 써있어서 물어본거에요.
13/07/12 22:55
수정 아이콘
ctu와 블레이즈가 제일 마지막 경기입니다. 블레이즈는 소드에 비해 서킷점수가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경쟁자 한명을 없애기 위해서라도 만약 다음주 소드와 블레이즈전에서 블레이즈가 2:0 승리할경우
가장 마지막 경기로 배정받은 경기에서 굳이 승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게 문제죠...
그래서 소드는 사실상 다음경기의 경기결과가 16강 탈락과 8강진출을 결정짓는 아주 중요하고도 중요한 경기가 되었습니다.
13/07/12 22:55
수정 아이콘
그건 타인이도와줘야되는건데

씨티유랑블레이즈가 1승1패하면 무조건탈락입니다
一切唯心造
13/07/12 22:59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전을 지면 안되죠;;
이시스
13/07/12 22:50
수정 아이콘
지금 소드와 블레이즈의 폼을 봤을땐 솔직히 소드가 2:0으로 셧아웃시키긴 어려워 보이고
무승부를 노린 후 진에어를 2:0으로 잡고 블레이즈가 CTU를 잡아주길 기대하는게 현실적일 것 같습니다.
13/07/12 22:51
수정 아이콘
잭스 초반에 케넨과 시에스차이가 엄청났더라는..
솔랭서는 팀원들이 그 잭스 못 두고보죠.. 크킄크

소드는 2연속 NLB우승으로 롤드컵 가나요!?

아 그리고 8강은 1위팀이 다른조 2위팀이랑 붙는 거겠죠?
13/07/12 22:57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고유의 방식으로 추첨을 할 것 같습니다.
13/07/12 23:0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갈반핫반
13/07/12 22:53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가 9점
소드4점
ctu4점
진에어 0점
일땐 어떻게되나요?
Do DDiVe
13/07/12 22:53
수정 아이콘
재경기요.
13/07/12 22:54
수정 아이콘
소드와 CTU가 단판 재경기를 합니다. 1:1로 비겼으니까요
불굴의토스
13/07/12 22:57
수정 아이콘
블루-퍼플 한번씩 하는게 아니라 단판인가요??
13/07/12 22:58
수정 아이콘
재경기는 단판으로 진행 된다고 합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3/07/12 22:59
수정 아이콘
지금포스로는 오존막을팀이 없어보이네요..
13/07/12 22:59
수정 아이콘
지난 스프링 시즌때 KT B가 아주 오질나게 욕을 먹은건 실험픽도 아닌가운데 너무 티나게 져준다는 느낌을 강하게 풍겨서 극딜을 맞은거고...
뭐 선수 보강 문제라던가 이런저러한 이유로 팀들이 규정의 범위내에서 꼼수를 쓰는데
블레이즈가 다음경기 이기면 강력한 경쟁자중 한명인 소드를 절대로 챔스에 남겨둘 필요가 없습니다.
CJ양팀은 지금 두팀다 못나갈수도 두팀다 나갈수도 있는 상황에 있어서 경쟁자의 점수를 어떻게든 낮출 필요가 있겠죠.
뭐 어떻게 흘러갈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소드팬으로서 진짜 속이 뒤집히고 멘탈이 날라가고 혼미한 상황입니다..
13/07/12 23:06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가 소드를 잡는다면
헤르메스 뮤즈 조합을 마지막 경기에 내보내면
확률높게 지겠죠.

공식전에서 1경기도 안 보인 봇조합이 출격하는데 CTU의 봇실력이면 답이 약간 예상가능한 수준이 됩니다
비가행
13/07/12 23:10
수정 아이콘
실험 픽으로 꼴픽해도 할말 없는거죠.
한쪽은 실험 한쪽은 무조건 1경기라도 따야 한다면 결과는 안봐도 뻔하죠.
13/07/12 23:07
수정 아이콘
도레이븐이 많은 분들의 맨탈을.. ㅠ
우주모함
13/07/12 23:15
수정 아이콘
소드 진출 경우의 수를 계산해보았습니다.(무슨 국대 축구 보는 기분...)
1.블레이즈를 이겼을 경우.
가)스텔스를 이김(승점7점)=소드 8강 진출
나)스텔스와 비김(승점5점)=소드 8강 진출
다)스텔스에게 짐(승점4점)
(a)블레이즈vsCTU에서 블레이즈가 이김: CTU와 재경기,
(b)블레이즈vsCTU에서 서로 비김: 소드-블레이즈-CTU 동률 재경기,
(c)블레이즈vsCTU에서 CTU가 이김: 소드 8강 진출

2.블레이즈와 비겼을 경우
가)스텔스를 이김(승점5점)
(a)블레이즈vsCTU에서 누군가가 이김: 소드 2위로 8강 진출,
(b)블레이즈vsCTU에서 서로 비김: 소드-블레이즈-CTU 동률로 재경기
나)그외=탈락

3.블레이즈에게 졌을 경우
가)스텔스를 이김(승점4점)=블레이즈vsCTU에서 블레이즈가 이김: CTU와 소드 재경기
나)그외=탈락

소드는 블레이즈와 안되도 1:1은 띄워야하네요. 블레이즈전이 결승전이라고 생각하고 사활을 걸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덧)엑페는 팀을 옮겨도 고통받네요/
아이유랑나랑
13/07/13 00:00
수정 아이콘
이놈의 경우의수를 여기서도 봐야하다니ㅠㅠ 아오 소드 진짜ㅠ
一切唯心造
13/07/13 12:06
수정 아이콘
까페에 펌 좀 할게요
박용열
13/07/12 23:20
수정 아이콘
넘 노잼이에요 ㅠㅠ
접니다
13/07/12 23:24
수정 아이콘
소드 저번시합 기량으로 봐선 블레이즈한테 이기는건 고사하고 비기는것도 상상하기 어렵네요
13/07/12 23:45
수정 아이콘
아이고 소드야.... ㅠㅠ
도레이븐은 다시는 안녕...
송드라, 송리도 안녕... 다신 보지 말자하...
포포리타
13/07/13 00:13
수정 아이콘
한국 롤판 최초로 무결점 팀이 있다는게...
스프링 우승하던 블레이즈도...
썸머 우승한 프로스트도..
윈터 우승한 소드도 약점 한두개는 있는데
후아.. 오존은 정말 안보입니다.

프로스트도 이번 갓조합 봇이 있으니 약점이
클템 정글 하나지... 어휴...

프로스트 팬심으로 우승할거라 예상하지만..
냉철하게 보면 오존에 손을 들게 되요.

여튼 이번시즌은 더더욱 기대가 되요.
13/07/13 00:25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 우승하던 시절도 블레이즈 결점은 없었습니다. 팬심이 아니라.. 당시 잭패는 정말 넘버 원 원딜이였으니까요
현재의 잭패와는 다르죠. 헬리오스도 역갱의 달인이였죠.. 정글 넘버원이라는 평가도 받았었습니다.
섬머에서 프로스트와 4강전 하기 직전만 해도 블레이즈의 2연패를 막을 팀은 없어보였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파훼법이 나오고 메타가 변하기 시작하면 오존을 대응할 방법도 나오게 되겠죠.
다만..현재의 오존은 정말 무섭네요. 작년 이맘때의 블레이즈 포스보다 더한거 같기도 해요.

그래도 팬심으로 CJ두팀 응원해 봅니다.
13/07/13 03:24
수정 아이콘
스프링 우승하던 시절 블레이즈는.. 약점이 없는 팀이라는 소리 들었는데요.

썸머 8강때까지의 평가가 '블레이즈는 유일하게 구멍이 없는 팀이다' 였을 정도였는데..
엠비션은 지금도 평이 좋지만. 나머지 4명의 선수들은 그당시엔 누구한테 물어바도 최고의 선수였습니다. 특히 잭패는
포포리타
13/07/13 03:58
수정 아이콘
제가 잘못기억했나 봅니다. 죄송합니다.
포포리타
13/07/13 00:21
수정 아이콘
그리고 블레이즈는 소드랑 경기하면 무조건 라인스왑 할거라 생각합니다.
블레이즈 봇라인이 소드 봇라인과 맞서면 소드가 환영하죠.
Legend0fProToss
13/07/13 00:54
수정 아이콘
얼건은 파랑이즈를 만들어낸것만으로도 성공한템인거같아요...
라이엇에서도 특별하고 스타일리쉬한
파랑이즈는 보면서 흐뭇해할것같네요
레몬커피
13/07/13 01:14
수정 아이콘
사실 얼건 막 나왔을때 이즈로 피바-얼건트리가 한때 유행하기도 했었죠 현 파랑이즈의 원조격이죠
파랑이즈가 본격적으로 떠오른건 무라마나 물뎀패치 이후고...
13/07/13 03:23
수정 아이콘
무라마나가 딜의 핵심이긴 하지만.

사실 파랑이즈를 완성하는템은 결국 얼건이죠.. 얼건의 슬로우가 결정적인 파랑이즈만의 특장점을 만들어주는지라.
레몬커피
13/07/13 01:13
수정 아이콘
오존의 약점이라면 전 여전히 옴므라고 생각하고, 이 약점은 오존 상대팀 정글러가 댄디보다 앞설때 나타날거라고 생각합니다
옴므의 새친구 요릭 하지만 요릭이 그 오랜 기간동안 롤챔스에서 안 보이던 이유가 분명히 있죠. 라인전도 잘하네 하지만 어디까지나
기량이 많이 떨어지는 탑솔러들과의 상대였고, 국내 최강팀을 상대했을때 오존이 상대적으로 꽤 뒤떨어지는건 분명 탑라인입니다.
이걸 극복해내는게 첫째 버티기 최적화된 픽들, 둘째 댄디의 존재였죠. 그런데 정말 최정상급 탑라이너들 만나면 이런 버티기 픽도
안 통할수 있습니다. 결승 첫경기 자크 대 다이애나에서 옴므의 자크는 초반부터 플레임 다이애나에 반피이하로 깎이면서 엄청 고생
했었죠. 댄디의 첫번째 갱킹이 성공하면서부터 모든게 달라졌지만(사실상 결승 전체 판도를 뒤흔들만한 갱킹성공이였죠) 만약, 댄디
의 첫번째 갱킹이 헬리오스에게 역갱을 맞아서 오히려 다이애나가 킬을 따냈다면? 게임은 많이 달라졌을겁니다

다만 현재 예선 초반 댄디의 폼이 워낙에 좋아서...세체정 포스죠.
포포리타
13/07/13 01:22
수정 아이콘
음.. 그러하면 카카오가 있는 kt팀 밖에는....
댄디보다는 네임드에서는 떨어질지라도..
댄디와 맞먹을 정글러는 카카오선수가
유일하다고 봐서..
근데 kt가 질거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유는 원딜차이..
스코어 선수는 임프보다 분명 아래라고 봐서요.

그래서 오존이 무결점 팀이라고 보는 이유입니다.
13/07/13 01:19
수정 아이콘
소드가 걱정입니다. 지난 시즌부터 고통 제대로 받네요. 결승 가라고 했더니 다음주 블레이즈전을 결승보는 느낌으로 볼 수 있겠네요. 가뜩이나 블레이즈 부담스럽기 그지없는데 소드가 이길까요.. 비길까요. 비길 순 있나.. 지지는 말아야 하는데.................. 실드도 그렇고 나진 응원하다가 몸에서 사리 나올 것 같아요. 괴롭습니다 ㅠㅠ
포포리타
13/07/13 01:25
수정 아이콘
탑 비등 정글 비등 미드 블레이즈 우세.. 쏭컨디션이 좋으면 비등.. 봇 소드 우세.
이렇게보면 소드도 2:0으로이길 수 있는데..
전 쏭의 컨디션에 따라승부가 갈라진다고 봅니다.
13/07/13 01:35
수정 아이콘
요즘 보면 블레이즈 봇듀오도 너무 잘해서 그렇게 우세라는 느낌이 안듭니다. 거기다가 문제가 소드는 기세를 좀 많이 타는 팀이어서.. 데뷔 초에는 아직 소드가 많이 보여준게 없어서 많이 이겼던건지 롤드컵 선발전은 어떻게 이긴건지. 에휴 걱정이라 잡설이 너무 기네요. 뭐 어떻게든 되겠지 하고 봐야죠 뭐.
포포리타
13/07/13 01:44
수정 아이콘
이럴 때일수록 소드를 더 응원하셔야 합니다.
저도 프로스트 윈터, 스프링때 걱정만하다 멘탈 깨졌습니다.

그냥 욕심버리고 지켜보는 것밖에...
블레이즈도 강하지만 소드도 블레이즈 못지 않다고 봐서요.
13/07/14 01:17
수정 아이콘
롤은 상대적인 게임이라 블레이즈 봇듀오가 좋아보이지만 막상 오존과 붙으면 언제나 그랬듯이 처참하게 발리겠죠.
단빵~♡
13/07/13 08:10
수정 아이콘
정글은 와치가 강타버그만 안걸리면 소드가 우세라고 봅니다. 와치가 간혹 걸리는 그놈의 강타버그때문에 많이 저평가 받는데(뭐 이것만으로도 저평가 받기에 충분하긴하지만;;) 굉장히 좋은 정글러에요
레몬커피
13/07/13 01:32
수정 아이콘
사실 소드도 우승을 노리는 팀이면 어차피 블레이즈는 넘어야 할 상대죠. 블레이즈 강팀이라고 지면 그냥 우승할 깜냥이 못되는거고...
요정빡구
13/07/13 02:42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 입장이라면... 소드전 2:0으로 이겨버리고...
프로스트 블레이즈 롤드컵 두팀다 올리기 위해서(소드가 가장 강한 라이벌 중 하나이니) ...ctu전 비기거나 지는게 최선일텐데..
만약 이러한 스토리로 흘러간다면... 블레이즈는 비난받을까요??
13/07/13 03:17
수정 아이콘
레드카펫위로 굴러 가지만 않으면 지난 KTB처럼은 안 먹을꺼 같네요.
그냥 픽 자체를 탑티모 미드 딩거 이런식으로 해서 예능으로 가겠죠.. 일단 블레이즈 입장에서는 진출과 상관없는경기인데 예능경기를 해도 상관없을꺼 같아요..
머 말들이야 나오겠지만..제가 블레이즈라면 욕좀 먹더라도 소드 떨어뜨릴 수 있다면 그렇게 하지 않을까요?
다만.. 블레이즈도 프로스트 순위 고려할꺼 같아요.. 소드 떨어뜨리려다가 8강에서 내전 나올 가능성은 안 만들었으면 좋겠거든요
포포리타
13/07/13 04:01
수정 아이콘
말 나옵니다. 특히 몇몇 나진팬들은 cj 정말 싫어하니까요.
pgr에서 글 한 몇개는 올라올 거라 확신합니다.
단빵~♡
13/07/13 08:09
수정 아이콘
너무 예능픽이거나 져주기 게임하면 말 안나올수가 없겠죠. 지난시즌 kt-b가 받은 극딜을 생각하면.... 소드팬들보다 kt팬분들의 반격이 시작될지도-_-;;
불굴의토스
13/07/13 10:53
수정 아이콘
kt b 비난하신 분들은 비난하시겠죠. 똑같은 상황이니까요.

단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로 블레이즈의 프로의식을 깎아내릴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반반쓰
13/07/13 04:45
수정 아이콘
소드는 블레이즈 2:0으로 이길 능력 없으면 어차피 우승은 무리라고 보고 -_-
실험픽이든 뭐든간에 다 버리고 결승 준비한다고 생각해서 멋진 경기 보여줬으면 좋겠네요
게임매니아
13/07/13 09:46
수정 아이콘
p.s 가 잘못됐네요. "자력 진출하려면" 이 빠졌습니다. 그게아니라면 무조건 3경기를 이길 필요까지는 없으니까요.
고작 1경기 졌을 뿐인데 무슨 큰일 난 것처럼 보이네요. 블레이즈가 CTU 에게 지거나 비길가능성도 있는데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030 [LOL] [응원글] Blossom Time [25] 헤더7924 13/08/24 7924 2
51891 [LOL] 롤챔스 8강 2회차. CJ 프로스트 VS 나진 쉴드 분석. [68] Leeka9108 13/08/08 9108 1
51883 [LOL] 팀리퀴드 OGN 롤챔스 플레이어 분석.txt [17] 짱슈11172 13/08/08 11172 2
51779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조별리그 12회차 프리뷰 [62] 노틸러스7635 13/07/27 7635 0
51664 [LOL] 북미 LCS가 Sports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26] Leeka8619 13/07/13 8619 0
51659 [LOL] 롤챔스 16강. 5회 후기 [51] Leeka7802 13/07/12 7802 2
51643 [LOL] 롤챔스 16강 '1회차' 최종 분석 및 후기 [33] Leeka8525 13/07/11 8525 1
51585 [LOL] 롤 프로(?)리그는 어떤 방식으로 열리게 될까? [21] sisipipi7896 13/07/04 7896 0
51555 [LOL] MVP 오존의 시대가 오는걸까요.. [106] Leeka13320 13/06/30 13320 4
51474 [LOL] 섬머 시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우승권팀 [116] kdmwin11494 13/06/17 11494 2
51183 [LOL] 시즌4에는 하나의 리그가 더 생겨야 할거 같습니다. [49] 마빠이10642 13/05/15 10642 0
51093 [기타] e스포츠는 스포츠가 될 수 있을까요? [49] 정용현10611 13/05/02 10611 1
51018 [LOL] 바닥에서 더 깊은 그 곳으로. LG-IM [33] 레몬맥콜9558 13/04/19 9558 1
50933 [LOL] 라일락 전호진. 진정한 프로게이머... [34] 레몬맥콜13835 13/04/03 13835 4
50899 [LOL] 2013 LOL Champions Spring 발로쓰는 프리뷰! 4탄! [16] 키토9526 13/03/28 9526 3
50717 [LOL] 용개 e스포츠팀이 LOL팀을 창단했습니다. [29] 마빠이15368 13/03/04 15368 0
50684 [LOL] 제닉스 스톰 운영의 진실? [43] abstracteller11926 13/02/28 11926 0
50645 [LOL] 기사 추가 - LG-IM, 링트럴 정윤성 선수 계약해지 [59] abstracteller13107 13/02/24 13107 1
50640 [LOL] 클럽 마스터즈 시청 소감 [31] sisipipi11210 13/02/23 11210 0
50631 [기타] 악당의 귀환 + 새 프로게임단? + 인터뷰 추가 [55] 이호철13819 13/02/22 13819 0
50629 [스타2] 8게임단 '창단' 가시화 조짐 [27] 카스트로폴리스10932 13/02/22 10932 0
50564 [스타2] Team AZUBU, 팀 활동 앞두고 이스포츠 연맹 가입 [4] kimbilly9904 13/02/13 9904 0
50521 [LOL] 훈 선수의 분노...??? [203] BeelZeBub14860 13/02/07 1486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