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6/16 12:45:38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1년 반동안의 역사.
롤챔스 1년 반동안의 간략 결과 및,  라이엇 주관대회의 결과물들입니다.

팀명의 경우, 과거 팀명이 아닌. 현재 팀명을 기준으로 기재했습니다.


WCG 2011 한국 선발전 - 나진 우승 / CJ 준우승
WCG 2011 그랜드 파이널 -  북미 우승 / 폴란드 준우승

롤 인비테이셔널 - CJ 우승 / CLG.NA 준우승

12 롤챔스 스프링 - CJ 블레이즈 우승 / CJ 프로스트 준우승

12 상반기 올스타,  라이엇 개발진 VS 5개 대륙별 대표 선수 1명의 대결.    
한국 올스타 대표로 막눈 선정

12 롤챔스 썸머 - CJ 프로스트 우승 / EG 준우승

롤드컵 국대 결정전 - CJ 프로스트 직행 / 나진 소드 진출전 우승 / CJ 블레이즈 진출전 탈락
롤드컵 시즌2 - TPA 우승 / CJ 프로스트 준우승

12롤챔스 윈터 - 나진 소드 우승 / CJ 프로스트 준우승
12 롤챔스 윈터 라인별 KDA 상 - 탑 :샤이 / 정글 : 와치 / 미드 : 쏭 / 원딜 : 스코어 / 서포터 : 카인
12 롤챔스 윈터 시즌 MVP - 막눈

클럽 마스터즈 - 우승 MVP / 준우승 제닉스&Team OP 연합.

13 상반기 올스타.  한국 국가대표로 샤이/인섹/엠비션/프레이/메드라이프 + 박정석 감독 선발.
올스타전 탑 최강자전 -  소아즈 우승 / 샤이 준우승
올스타전 정글 최강자전 - 인섹 우승 / 다이아몬드 프록스 준우승
올스타전 미드 최강자전 - 토이즈 우승 / 미사야 준우승
올스타전 바텀 최강자전 - 프레이&메드라이프 우승 / 더블리프트&엑스페셜 준우승
올스타전 메인 매치 - 한국 우승 / 중국 준우승

13 롤챔스 스프링 - MVP 오존 우승 / CJ 블레이즈 준우승
13 롤챔스 스프링 라인별 KDA 상 - 탑 : 플레임 / 정글 : 뱅기 / 미드 : 다데 / 원딜 : 임프 / 서포터 : 마타
13 롤챔스 스프링 시즌 MVP - 다데



이번 시즌에 다데가 MVP를 받을줄은 몰랐는데..  정말 이런 알수 없는게 E-Sport의 재미겠지요..
다음 시즌엔 어떤 선수들이 또 깜짝 놀라게 할 것인지..

p.s KDA 상에 결승전은 반영이 안되는데도..  12/13년 모두.. 우승팀에서 3명이 KDA 상을 받았네요..  
KDA가 절대 지표는 아니지만.. 확실히 기세라는 면에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6/16 13:00
수정 아이콘
윈터의 스코어는 참 무언가 아스트랄함을 느끼게 해준 기억이....
딜을 넣지 않지만 생존을 하고 본다는 부분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생각했는데...
카카오 >> 인섹, 라간 >> 썸데이 이정도의 변화가 지금의 졸렬이라는 이미지를 만든것인지...
류도 카카오와 있을때 보다 인섹과 있으니 힘이 떨어진 것 같고..
KTB는 아무튼 매우 아쉬운 팀인거 같습니다..
다반사
13/06/16 13:07
수정 아이콘
시즌 3 이후 올스타까지 원딜은 그냥 철거반 그이상도 아니다란 말이 채 식기도전에 이젠 원딜의 중요성을 얘기하는 경기들이 마구 쏟아져서.....

롤판 그냥 바라보기만 해도 매우 재밌습니다 앞으로 어떤팀들이 이런 변화들을 주도할까요?
13/06/16 13:35
수정 아이콘
하... 블레이즈도 참 기구하네요.
무엇보다 안타까운건 작년 롤드컵... 만약 작년 롤챔스 써머에서 프로스트가 준우승했다면 블레이즈가 롤드컵 직행으로 기억하는데, 맞나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팀이니까 성실히 연습에 임해줘서 너무 고맙다고 강현종 감독이 언급했는데 결국 진출전에서 탈락...
어제 경기도 13연승하며 4강에서는 내전도 압살, 거칠것없는 무적함대 포쓰를 풍겼던 한 시즌을 3:0 으로, 그것도 자기들 포함 모두가 무시하던 팀 상대로, 그것도 3경기내내 주도권한번 가져오지 못하는 처참한 패배로 마무리하니 그동안의 포쓰와 영광이 전부 안드로메다로 날아가버리는 최악의 결과...
절치부심해서 정말 더욱 강한팀으로 독기를 품고 새로 태어났으면 좋겠습니다. 비록 어제는 오존을 응원했지만, 저는 이번 롤드컵 진출 한자리에는 블레이즈가 정말 무조건 꼭 들어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 저 MVP 제도는 좀 손봐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여전히 결승 가장 잘한 선수가 MVP 되네요;)
레몬커피
13/06/16 13:39
수정 아이콘
전 MVP포인트보다 종종보면 MVP선정 기자단 역량에 의구심이....어제1경기 MVP는 당연히 댄디여야했죠 예선에서 나온 괴상한MVP들은
덤이고
츄지핱
13/06/16 16:45
수정 아이콘
기자단 MVP 선정은 , 아무래도 선수들과 직접 대면할 기회도 많고 하다보니... 해당 경기에서 보여주는 모습 이외의 뭔가가 더해져서 그런 결과가 나오는 게 아닌가 합니다. 선수의 이미지라던가 관계자들의 평가, 선수들 스스로의 평가 등등요.. 그렇지 않고서야 문자투표와의 괴리를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노랑오리부채
13/06/16 18:07
수정 아이콘
댄디 dlwogh 라인에 들어가는 느낌...
13/06/16 14:12
수정 아이콘
세삼 놀라게 되는건
되게 오래된 기억들같아 보이는 mig나 edg등이
겨우 1년반 밖에 안됬군요;;;; 참 신기합니다
사과맛발톱
13/06/16 14:56
수정 아이콘
꽤 오래본거같은 롤챔스도 이제 일년이란것도 전 신기해요 크크
13/06/16 14:29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는 작년 서머시즌에도 좀 느꼈던 부분이지만
이전에 붙어서 힘들지 않게 꺾은 상대와 재대결을 하게 되면 약간 방심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패배했던 팀을 상대로는 다시 붙으면 곧잘 이기는데 오히려 편하게 이겼던 상대를 만났을 때 승률이 안나오는 느낌이죠.
프로스트와 달리 멘탈에서 들쭉날쭉한 부분이 있어요.
하얀냥이
13/06/16 14:40
수정 아이콘
최소한 각 팀의 과거 이름을 병기해주는 것이라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같은 팀으로 보지 않는 분들도 많이 계실 것이고 기록으로서의 의미가 훼손되어 보입니다.
콩쥐팥쥐
13/06/16 14:58
수정 아이콘
82년 한국시리즈 우승은 OB베어스지 두산베어스가 아니죠. 과거 팀이름을 위주로 쓰고 현 팀 이름을 병기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콩쥐팥쥐
13/06/16 15:12
수정 아이콘
윗분이 기록으로서의 의미훼손에 대해 얘기하셨는데 덧붙이자면

지금 쓰신 기준으로 NLB 우승팀을 정리하면

2012 NLB 스프링 우승 - CJ Entus

서머 우승 - MVP 오존

윈터 우승 - MVP 블루

2013 스프링 우승 - 나진 소드

즉, 기록만 보면 mvp는 nlb 2회우승한 구단 처럼 보일 수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261 [LOL] 롤드컵 4일차 하이라이트 [3] Leeka6975 13/09/21 6975 1
52254 [LOL] 트래비스 인터뷰: 누크덕, 타베, 산, 페이커 [26] 엘에스디9896 13/09/20 9896 1
51984 [스타2] 블리자드가 벤치마킹을 잘못하고 있는거 같네요. [40] Leeka11927 13/08/20 11927 3
51907 [LOL] 롤챔스 1년 반 히스토리. [19] Leeka10428 13/08/10 10428 5
51906 [LOL] 더블리프트의 조롱 [65] Gorekawa13779 13/08/10 13779 1
51846 [LOL] 프레이 선수가 페북으로 AMA를 진행중입니다. [29] Leeka11505 13/08/03 11505 0
51525 [LOL] 프로레벨에서 가장 귀한 포지션은 어디일까? [49] Leeka11774 13/06/24 11774 1
51461 [LOL] 롤챔스. 1년 반동안의 역사. [12] Leeka9862 13/06/16 9862 2
51401 [LOL] 브론즈의 생각 [85] Cavatina10277 13/06/12 10277 0
51305 [LOL]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때, 그는 나에게 와서 충이 되었다 [33] 아이군9535 13/06/01 9535 0
51291 [LOL] 막눈 선수가 북미로 진출했으면 합니다 [73] 블랙비글10254 13/05/30 10254 0
51261 [LOL] 올스타전 감상기.. [148] 이지원13326 13/05/27 13326 1
51257 [LOL] CLG NA가 선수교체를 단행했습니다. (CEO는 경영만!) [42] 데미캣9481 13/05/27 9481 1
51255 [LOL] 롤 올스타전. 25명 선수 경기 통합 간략 평가. [61] Leeka11474 13/05/26 11474 1
51252 [LOL] 롤 올스타전으로 인한 판도의 변화 및 후기 [110] Leeka13718 13/05/26 13718 6
51248 [LOL] 롤 올스타전 2일차 경기 간략 리뷰 및 남은 일정 [37] Leeka10314 13/05/25 10314 3
51243 [LOL] 올스타전 1일차 간략 정리 및 2일차 일정. - 제드 글로벌 밴 적용 [12] Leeka10021 13/05/25 10021 0
51210 [LOL] CJ가 이끄는 현 메타의 주소. [32] 그시기10388 13/05/18 10388 0
51060 [LOL] 이 챔프하면 떠오르는 사람을 채워보아요! [65] legend13131 13/04/26 13131 0
51013 [LOL] 무수한 떡밥이 난무하던 올스타전 정보 공개! [140] 말룡13799 13/04/18 13799 1
50996 [LOL] 북미, 유럽 올스타팀 투표가 끝났습니다. [59] Chocolatier10120 13/04/16 10120 0
50995 [LOL] 더블리프트가 말하는 한국 올스타팀 [108] FoxHole22577 13/04/16 22577 0
50495 [LOL] Riot Season 3 EU Championship Spring Series 대회정보/진출팀 정리 [46] 감자튀김12964 13/02/06 129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