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6/14 16:29:15
Name 캐리어가모함한다
Subject [스타2] [실전영상] 군단의 심장 캠페인 Brutal 난이도 공략 (11, 고대의 각성)
갑자기 글 리젠율이 빨라졌죠?^^ 시간 여유가 있을 때, 진도를 빨리 빼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제루스 임무 1 - 고대의 각성
주 목표 : 고대의 존재에게 먹이를 먹이고 (총 7회) 원시 저그 우두머리인 브라크를 제압할 것
보너스 목표 : 원시 정수를 획득 (총 3군데) (보상 : 케리건 레벨 +3)
임무 시작 전 유닛 변이 : 부식성 산 (맹독충의 기본 공격력 100% 증가)
임무 시작 전 케리건 능력 선택 : 저글링 부활 / 맹독충 생성 (시한부 맹독충 6기 생성)
업적 1 : 상태: 배송 완료 - "고대의 각성" 임무에서 일벌레 4기 이상 잃지 않기
업적 2 : 굴러 온 돌이 박힌 돌 뺀다 - "고대의 각성" 임무에서 원시 군락 4개 파괴 (보통 난이도)
업적 3 : 밥그릇 싸움 - "고대의 각성" 임무에서 브라크가 생체 물질을 하나도 파괴하지 못하게 막기 (어려움 난이도)


HD 720p 및 fullscreen 권장

자날의 정글의 법칙이 생각나는 미션인데, 자날에서는 테라진 개스를 캐기보다 프로토스 기지를 쓸어버리는 걸 목적으로 했었죠.
(프로토스의 기지를 쓸어버리면 개스 채취 전혀 안 해도 승리) 하지만 여기서는 원시 저그의 기지를 쓸어버려도 아군 일벌레 및
생체 물질을 파괴하는 테러부대가 항상 생성되기 때문에 생체 물질 확보 및 일꾼 보호에 총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 제법 넓은 맵에 생체 물질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으므로, 원시 저그를 상대하려면 기동력이 필수입니다. 따라서 이번 미션에서
주력 유닛은 랩터 저글링 + 사냥꾼 맹독충 (케리건의 생성 기능) + 뮤탈리스크, 일명 뮤링링입니다.
특히 다수의 뮤탈리스크를 확보하려면 가스 확보가 필수이니 빨리 앞마당을 먹어야 하죠.

- 일꾼 생성과 점막 넓히기를 계속 하면서 아군 병력들은 9시쪽 앞마당으로 내려갑니다. 앞마당을 지키고 있는 퀼고르 무리들을 가볍게
제압하세요. 다만, 그냥 무턱대고 죽이면 마치 수정탑으로 앞마당 건설을 지연하는 효과가 나타나니...-_-;; 적당히 뒤로 유인한 후에
제압하세요. 300원이 모이면 일벌레 2기를 데려와 앞마당 건설 및 첫번째 생체 물질 채집을 동시에 시작합니다.
그동안 아군 병력들은 고대의 존재 근처를 돌아다니면서 첫번째 원시 정수를 확보하고, 베스핀 가스 덩어리도 몇 개 먹습니다.
(점막 넓히기와 맹독충 생성은 미션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실시)

- 첫번째 원시 정수 확보 후, 아군 병력들은 재빨리 7시로 내려가 두번째 원시 정수를 확보합니다. 원시 저그와 교전을
하다가 병력이 많이 상하겠지만 어짜피 또 뽑으면 그만이니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이러는 와중에 본진에는 충분한 수의 일벌레가 있고,
앞마당 완성 및 첫번째 생체 물질 채집이 끝나있을 것입니다. 앞마당을 빨리 활성화시키고, 4가스 채취를 준비하세요.
지금까지의 미션은 항상 일꾼을 최대 숫자로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었는데, 이번 미션만큼은 평소 래더에서 하듯이 광물 최적화를 하면 됩니다.
또한 진화장과 둥지탑에서는 지상 근접 유닛과 공중 유닛의 공방업을 시작합니다.

- 앞마당이 활성화되면서 뮤탈리스크 부대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때, 브라크의 생체 물질 테러가 시작됩니다. 진짜 미션은 지금부터죠.
그런데 사실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것이므로 이것만 잘 지켜주시면 난이도는 무지하게 쉽습니다.
1) 점막은 피지컬이 되는 한도 내에서 마구마구 넓혀 맵핵 상태로 만드세요. 그래야 원시 저그의 움직임이 눈에 확 들어오죠.
2) 우리가 먼저 퀼고르를 파괴하려고 움직일 필요가 없습니다. 브라크의 무리가 퀼고르를 파괴하고 생체 물질을 없애려고 할 때에
아군 병력들이 재빨리 움직여 적을 제압하고, 그 자리에서 일벌레가 아군 호위 하에 생체 물질을 채집하면 됩니다.
3) 생체 물질 채집이 끝나고 브라크 무리의 다음 퀼고르 테러가 있을 때까지 쭉 맵을 훝으며 원시 저그 무리들을 청소하면 됩니다.

- 점막 넓히기를 잘 했다면, 다섯번째 생체 물질 채집이 끝나는 시점에서 아군은 이미 맵의 절반 이상을 장악한 상태일 것입니다.
뮤탈리스크 부대도 엄청난 숫자가 모여있을 테고요. 지금부터는 생체 물질 채집을 잠시 중단하고, 1시의 세번째 정수 확보 및
원시 저그의 군락을 깨 버리면 됩니다.
물론 중간중간 브라크의 테러 부대들은 잘 커트해야겠죠?^^ 군락을 모두 깨뜨렸으면
나머지 생체 물질을 채집하고, 마지막 브라크의 분노의 한방 (이라고 하기엔 약한...) 러쉬를 잘 막으면 승리하게 됩니다.

지난 글 못 다한 피드백
- 인생의 마스터 // 저도 조금은 아쉽더군요. 스카이거 기지에서 감염 임무가 비슷하긴 한데 이펙트가 약하죠.

케리건 업적
- 저글링 부활로 저글링 500기 재생성 -  이번 미션에서 72기 달성, 현재 397기 진행중
제루스에서는 더 이상 사용할 일이 없으므로, 스카이거 기지에서 업적 달성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맹독충 생성으로 적 유닛이나 구조물 100개 처치 또는 파괴 - 동영상에서 업적 달성 창이 두둥! 뜨네요.^^

p.s 생체 물질 채집이 끝난 일벌레는 고대의 존재에게 먹이를 줄 때까지 별도의 컨트롤 명령을 내리지 마세요.
광물이나 개스를 들고 있을 때와 달라서 별도의 명령을 내리면 생체 물질을 땅에 놓아버리더군요. (동영상 20분 30초~22분대 참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감자튀김
13/06/14 16:51
수정 아이콘
처음 할때도 그냥 뮤탈 써봤는데 짱짱맨이더군요 흐흐 잘봤습니다.
드디어 다음 미션이...
캐리어가모함한다
13/06/14 17:19
수정 아이콘
생각하시는 그 미션이라면 다다음이죠...^^
13/06/14 17:19
수정 아이콘
일단 리건이 누나 변신을 하셔야...
감자튀김
13/06/14 20:05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변신이 필요했지요 크흐
곡물처리용군락
13/06/14 17:39
수정 아이콘
전미션 한방에 성공하시는 분위기입니다+_+
캐리어가모함한다
13/06/14 17:46
수정 아이콘
마지막 고비인 이런 친구들과 함께라면 연습중인데
아...진짜 자치령보다, 미라 한보다 독한 미션이네요. 약육강식 못지 않군요...ㅠㅠ
13/06/14 18:04
수정 아이콘
자날 테란미션 생각하고 원시저그 쓸어버린 다음에 일벌레 한번에 보내서 채취 시켰다가 일벌레가 싹다 죽어버리는 바람에 업적 실패해서 다시 깼던 기억이 나네요.
캐리어가모함한다
13/06/14 18:23
수정 아이콘
저도 맨 처음에 쉽게 봤다가 많이 당황했죠. 원시 뮤탈, 원시 가디언이 휭~ 날아와서 테러를 할 때 어휴...
귤마법사
13/06/14 18:36
수정 아이콘
맹독 업적 때문에 맹독소환을 쓰신 것 같은데 이 임무는 야생변이를 써도 좋습니다.
쉴드 200 생성에 공격력증가인가 공속 증가인가..암튼 뮤탈이 군집성이 좋기 때문에 한번에 모였을 때 쓰면
모든 뮤탈이 야생변이를 하기 때문에 뮤탈 짱짱맨이 됩니다. 그러면 브라크든 뭐든 다 씹어먹더라고요.
캐리어가모함한다
13/06/14 19:09
수정 아이콘
이 미션에서 효율성만 따지면 당연히 야생변이가 갑이죠! 업적만 아니었어도...
인피니티
13/06/14 21:11
수정 아이콘
3곳에 동시에 일벌레 보내서 생체 물질을 채취해도 중간 길목만 지키고 있으니까 방해하러 오는 벌레들은 어찌어찌 막더군요.
그리고 저 멀리 생체 물질 파괴하러 가는 원시저그 sigh...
캐리어가모함한다
13/06/14 22:11
수정 아이콘
원시저그가 넓은 맵에서 여기저기 출몰하다 보니... 전 마지막에만 2군데 동시 채취하고, 나머지는 그냥 안전 모드로 갔죠.

나중에 타임어택 도전하는 분이 나오신다면 아마 과감한 채취가 필요하겠죠?^^
13/06/14 21:40
수정 아이콘
이런친구들과함께라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원하시면 좀 도움드릴수있을거같으니 쪽지주세요~

팁이라면 지속적으로 차원도약하면서 빠르게 이동하는것과 차원도약으로 지뢰등을 잘피해주면 좋고
요격기로 자기지뢰를 유인하는것도 가능합니다. 물론 요격기는 수리로봇이용해서 채워주고요
야마토포로는 주로 건물들을노려서 빠르게부숴줍니다.

마지막 기지부술때는 시간이 모자라게되는데
이때 차원도약으로 기지 뒤편으로 이동해서 수리로봇 계속먹으면서 기지 부수면 클리어가능합니다..
수리로봇이 기지 우측하단 구석에 계속 생성되거든요.

제생각엔 약육강식과는 비교가안될정도로 쉬운미션입니다.
세시간연습해서 깼거든요.. 약육강식 어떻게클리어하시는지 빨리 보고싶네요!
캐리어가모함한다
13/06/14 22:13
수정 아이콘
좋은 팁 감사드립니다. 오늘 두 시간 정도 연습했을 때는 13분 초반대 나왔거든요. 주신 팁을 바탕으로 꼭 클리어 할겁니다.^^

마지막 기지 팁은 정말 대박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446 [스타2] 프로리그 1라운드 정리 [7] 저퀴6978 14/02/12 6978 0
53405 [스타2] 2월 5일자 Q&A [17] 저퀴7247 14/02/06 7247 0
53359 [스타2] 프로리그 2014시즌 1R - 2부(SKT T1,삼성,진에어,IM) 성적 리뷰 [13] 삼성전자홧팅7257 14/01/29 7257 2
53140 [스타2] 차기 밸런스 테스트 예고 [40] 저퀴8220 14/01/03 8220 0
53022 [스타2] 간단히 적어보는 차기 프로리그 순위 예상 [59] 저퀴8015 13/12/13 8015 2
52473 [스타2] [T vs Z] vs 바링링 [5] azurespace7329 13/10/14 7329 3
52429 [스타2] 블리자드는 왜 좋은 재료를 가지고도 좋은 요리를 못 만들었을까 [110] 캐리어가모함한다13402 13/10/10 13402 8
52144 [스타2] WCS 시즌3 조군샵 GSL 32강 죽음의 F조 프리뷰 [61] 하후돈10242 13/09/06 10242 0
52111 [스타2] 현역 게이머로써 조심스러운 용기 [89] SKMC44859 13/09/02 44859 100
51992 [스타2] 스타2 유닛 디자인에 대한 아쉬움. [89] 돌프12147 13/08/20 12147 1
51968 [스타2] 나는 왜 스타2를 하지 않았던가 [44] 쌈등마잉9441 13/08/18 9441 3
51918 [스타2] 처음 써 보는 리뷰. 정윤종과 조성주의 결승전 [12] 해명10127 13/08/11 10127 4
51902 [스타2] Auction ALL-KILL 스타리그 결승전 마지막 프리뷰 [73] 하후돈10828 13/08/09 10828 9
51743 [스타2] 옥션 올킬 스타리그 8강 1회차 프리뷰 [67] 하후돈11707 13/07/23 11707 1
51740 [스타2] 이번 벤큐 GSTL의 또 다른 문제점 (담대찬바람님 의견에 대한 추가글) [12] 하후돈8506 13/07/22 8506 1
51590 [스타2] 옥션 올킬 스타리그 16강 2회차 프리뷰 및 승자예측 이벤트 [68] 하후돈9953 13/07/04 9953 3
51467 [스타2] 2013 WCS Season 2 : 옥션 올킬 스타리그 A/B조 소개 [23] 저퀴9789 13/06/17 9789 3
51437 [스타2] [실전영상] 군단의 심장 캠페인 Brutal 난이도 공략 (11, 고대의 각성) [14] 캐리어가모함한다9387 13/06/14 9387 1
51362 [스타2] WCS 시즌1 파이널 끝나고...짧은 소견 [29] 캐리어가모함한다10598 13/06/09 10598 3
51110 [스타2] [인물열전] 테란 편 [12] 눈시BBbr14472 13/05/03 14472 5
51081 [스타2] 테란, 그리고 멩스크 부자 [18] 눈시BBbr13680 13/04/30 13680 14
51056 [스타2] WCS Korea 시즌1 망고식스 GSL 16강 관전포인트 [22] 하후돈10354 13/04/26 10354 1
51039 [스타2] 반드시 너프 먹어야 할 땅거미 지뢰... 올바른 밸런스 패치 방안은 어떤 것일까요? [158] 창이14446 13/04/23 1444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