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5/30 14:46:28
Name 블랙비글
File #1 막눈레딧.JPG (46.2 KB), Download : 17
Subject [LOL] 막눈 선수가 북미로 진출했으면 합니다


이번에 막눈선수가 나진과 재계약을 하지 않아서 아마도 KT와 계약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하지만 막눈선수가 KT가 아닌 북미로 진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유는,

(1) 북미롤은 영웅이 필요하다: 현재 북미는 향후에 있을 롤드컵에 대해 꿈도 희망도 없는 상황입니다. 올스타전에서 기대 이상의 활약을 했다고는 하나, 아직은 수준이 크게 떨어진다고 대부분 보고 있을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시즌 2 이후로 국제 팀과 대결이 있을 때마다 엄청난 수준차이를 보이며 지고 있는데, 문제는 이 격차가 좁혀질 기미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막눈선수가 이런 암울한 북미에 혜성처럼 등장해서 북미팀 하나를 롤드컵에서 우승하게 할 수 있다면 마치 스타1 초창기에 테란이 저그에게 힘을 못쓰던 시절에 임요환 선수가 엄청난 컨트롤로 극복하던 것처럼 전설을 써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다(?): 한 때 세인트비셔스 선수가 자신의 연봉이 외과의사 수준이라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막눈 선수 역시 세계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어서, 북미로 진출한다면 충분히 그 이상으로 벌어들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게 정말 사실인지는 알 수 없으나, 더블리프트 선수도 CLG로 들어간 이후 돈을 엄청 많이 벌고 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기 때문에 신빙성이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한국 롤 프로팀들이 선수들에게 얼마만한 연봉을 지급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아직 스타1 전성기 만큼 주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북미에서 활동하는게 금전적으로도 이득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북미에서 이스포츠 시장은 아직 작지만, 언제 더 커질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북미 시장이 롤드컵 활약 등의 이유로 확 커지게 된다면 벌어들이는 돈은 현재보다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또 이렇게 막눈 선수가 외국에서 많이 벌어들여야 한국 기업팀들도 연봉을 그에 준하는 수준에 맞춰주기 위해 한국에 남아있는 선수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3) 프로선수 이후의 대비: 프로게이머 생활은 평생 이어지지 않습니다. 이미 스타1 선수들 중에 프로게이머 이후의 생활에 잘 대비하지 못해, 팬들의 기대에 미치치 못하는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선수 역시 많습니다. 하지만 막눈선수가 북미에 성공적으로 진출 할 수 있다면 향후에 한국과 북미 양쪽의 게임 시장에서 프로게이머 이후의 직업을 고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막눈 선수는 이미 영어실력이 생각보다 꽤 뛰어나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많은 것으로 보이는데, 만약 미국에 가서 그쪽 선수들과 같이 합숙을 한다면 영어 실력 또한 급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첨부파일에 보시면 이번 소드탈퇴 관련 레딧 글에 막눈 선수가 영어에 관련해서 깨알같이 자신감을 보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까지 잘하면 나중에 북미 이스포츠 업계나 게임회사 등으로의 진출도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막눈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onnysun
13/05/30 14:48
수정 아이콘
군대 갔다왔나요 막눈선수???
NLostPsiki
13/05/30 14:48
수정 아이콘
아닐걸요
불멸의이순규
13/05/30 14:49
수정 아이콘
군대 안갔다왔으면 취업비자 따기가 정말 하늘의 별따기일것 같은데................
블랙비글
13/05/30 14:50
수정 아이콘
군대가 문제군요;;
13/05/30 14:50
수정 아이콘
군대 안갔다 와서... 비자가....
파벨네드베드
13/05/30 14:51
수정 아이콘
미필이면 취업비자 자체를 따는게 너무 힘들꺼에요 아마도.
13/05/30 14:51
수정 아이콘
한국선수가 미국팀에 들어갈 수 있나요?

저번에 얼핏 규정을 본거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BeelZeBub
13/05/30 15:19
수정 아이콘
3인이상이면 해당팀으로 간주해 줍니다.

예를들어 샤이, 빠별, 매라 + 다이아몬드프록스, 더블리프트

이렇게 팀을 꾸려도 한국팀으로 출전 가능합니다.
심심합니다
13/05/30 14:51
수정 아이콘
군대문제만 해결이 된다면... 언어문제가 없다면... 미국가는게 블루오션같긴 합니다. 가서 실력이 괜히 뒤쳐지는거 아닌가 걱정되긴 하지만... 가면 당장 북미 원탑 탑솔러가 될테니....
다리기
13/05/30 14:51
수정 아이콘
상상하면 굉장히 즐거울 것 같아요. 막눈의 CLG가 롤드컵에서 나진 소드와 붙는다면!
13/05/30 14:52
수정 아이콘
제목보자마자 군대 생각났는데
윗 댓글들이 다 군대 얘기네요 흐흐
내일 향방가는 예비역으로써 미필의 앞길이 걱정되네요
블랙비글
13/05/30 14:55
수정 아이콘
만약 라이엇에서 해결해 줄 수 있는 문제라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한국 쪽 문제인가요?
불멸의이순규
13/05/30 14:57
수정 아이콘
비자 문제는 라이엇이나 한국쪽 문제가 아니죠 미국 정부 문제입니다.
라이엇에서 스폰하고 막눈이 가려고 하는팀에서 스폰해서 신청해도
아마 안나올겁니다.....
요즘 석박사 아니면 대기업 아니고서야 취업비자 받는것도 힘들고 하물며 미필임에야........
유명인의 경우 이런 상황에서 비자가 잘 나오기는 하는 편이지만,
엘오엘의 위상이 미국내에서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글쎄요 전 좀 부정적이라고 봅니다
블랙비글
13/05/30 15:0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미국정부가 문제가 될 줄은 생각도 못했네요
Siriuslee
13/05/30 15:23
수정 아이콘
미국 비자가 문제가 아니라
그전에 국방부 허가를 받아야 해요.

스티브 유씨의 사례를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스티브 유도 출국할때마다 국방부에 각서 제출하고 나가야 했습니다.
결국 이걸 어기고, 미국 국적 취극 후 입국하려다 입국 거부당한거지요.

이 사건 이후에.. 미필자가 해외로 나가는건 더더욱 어려워 졌습니다.
불멸의이순규
13/05/30 15:33
수정 아이콘
미필자가 해외 나가는건 생각보다 어렵지 않지 않나요 ?
보증인만 확실하면요. 막눈 선수 나이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20대 초중반이라면 국방부에서 출국 못하게 하지는 않을겁니다.
13/05/30 15:47
수정 아이콘
나가는건 별 문제가 안되는데 장기체류할때 문제가 됩니당
에우레카
13/05/30 15:53
수정 아이콘
단기 여행이면 모를까 장기체류시에 여권을 내줄라나 모르겠네요.
불멸의이순규
13/05/30 16:14
수정 아이콘
저는 잘 나왔습니다. 22살에 나갔었구요.. 10년짜리 여권 만들어서 이년간 띵까띵까...
스폰서만 확실하면 질문도 몇개 안하더군요
13/05/30 17:20
수정 아이콘
22살에 10년 여권을 안줄텐데요..
잭스 온 더 비치
13/05/30 18:51
수정 아이콘
요즘은 복수 10년 주지 않나요?
13/05/30 20:23
수정 아이콘
군 미필자에게는 만 24세까지의 기한을 갖는 여권을 발급해줍니다.
StarLife
13/05/30 14:56
수정 아이콘
군대가 발목 잡나요..
CLG MakNooN이 보고 싶은 1인인데.. 흑
언어야 뭐 막눈 정도면 가서 대충 알아들을 수준은 되겠지만..
영원한초보
13/05/30 14:58
수정 아이콘
막눈 영어 좀 하나요?저는 언어가 제일 걱정인데
StarLife
13/05/30 15:00
수정 아이콘
레딧에서 ama도 하고 영어 하는 동영상 보면 그래도 기본적인 정도는 문제없지 않나 싶어요..
사실 언어야 뭐 배우면 되는건데 비자가 훨씬 큰 문제라..
13/05/30 18:46
수정 아이콘
솔랭방송때 외국 선수들이랑 낄낄거리며 문제없이 대화하는 수준으로 봤습니다.
엘롯기
13/05/30 14:57
수정 아이콘
글쎄요.
로코도코 시즌2가 되지 않을까요?
시네라스
13/05/30 15:24
수정 아이콘
로코도코의 경우엔 서폿으로 영입이 되면서 본인의 의지가 바닥을기었죠, 그것도 물론 로코 본인의 잘못된 선택이었지만...
탑으로 간다면 좋은 폼을 보여줄 수 있을것 같습니다.
13/05/30 15:05
수정 아이콘
막눈이 하향 평준화 당할 것 같은 느낌이에요.
Seize the day
13/05/30 15:05
수정 아이콘
막눈팬으로써 그냥 한국팀으로 갔으면 좋겠어요.
테페리안
13/05/30 15:09
수정 아이콘
저도 막눈이 북미가서 자기 끼를 맘껏 뽐냈으면 좋겠습니다.
13/05/30 15:10
수정 아이콘
저도 북미가는건 좀 별로같아요. 지금 당장에야 다른 탑솔보다 기량이 좋아서 괜찮을지는 몰라도. 스파링파트너가 북미라면 금방 기량 내려올 것 같아요. 샤이랑 플레임만봐도... 뭐 그냥 한 1년안에 돈땡기러 간다 하는거면 나쁘지않다고는 보지만..
13/05/30 15:11
수정 아이콘
생각 안해봤었는데 로코도코는 미국인이었나보네요?
불멸의이순규
13/05/30 15:13
수정 아이콘
얼라 그러고보니까 로코도코도 국적이 한국이라 TSM 소속으로 못나갔다고 나오네요...
로코도코 군대는 갔다왔나요?
자기 사랑 둘
13/05/30 17:50
수정 아이콘
로도도코는 본인 스스로 한국에서 게이머 생활하면서 군대간다고 했던것 같아요.
스치파이
13/05/30 15:15
수정 아이콘
막눈 선수 글이라 붙이자면, 이런 기사가 있네요.

KT 이지훈 감독은 "윤하운 선수는 탐이 나는 선수라, 우리측도 계약을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아마 2~3일 내로 결과가 나올 것 같다"라고 윤하운의 영입 의지를 드러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43611
오후의산책
13/05/30 15:16
수정 아이콘
군대때문에... 못가죠 한국 대기업팀 잡아타야죠
에우레카
13/05/30 15:20
수정 아이콘
취업비자는 크게 문제가 있을까 싶네요.
미필이라고 취업비자 안내주진 않지요. 비자스폰만 제대로 된다면야 뭐....
한국국적으로 알고 있는 로코 케이스를 보면 안 될 이유도 없다고 봅니다.
(시즌1 월드 챔피언쉽때 미국 국적이 아니라서 로코가 참가를 못한거 보면...)

문제는 군대를 어떻게 연기할 것이냐가...
13/05/30 15:23
수정 아이콘
전 한국대회에서 보고 싶습니다. 북미로 간다면 플레이하는 걸 보기가 너무 불편해요
13/05/30 15:28
수정 아이콘
비자는 큰 문제일까 싶네요. 스타크래프트2만 봐도 미필인 한국 선수들 해외에서 활동 중이죠.
레지엔
13/05/30 15:31
수정 아이콘
막눈 선수 나이가 어린데다가 스폰서쪽에서 계약서 확실하게 첨부하고 보증하면 비자 나오는 건 문제가 안될 겁니다. 국방부도 뭐...
13/05/30 15:44
수정 아이콘
일단 단체전인만큼 선수 혼자서 판도를 바꿀만한 힘은 없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영입의 가능성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북미의 강팀이 꼭 영입하리란 보장도 없고요. 그리고 높은 급여는 북미에서 손 꼽히는 몇 팀에서 그치는 정도죠. 물론 큰 시장인 북미에서 인기를 얻으면 스트림에서 얻을 수익이 꽤 높을테지만요.
석삼자
13/05/30 15:51
수정 아이콘
물론 다른게임이지만 스2에서 해외진출해서 잘된 선수들을 많이 못봐서 그런지 부정적입니다. 오히려 막눈 선수의 실력이 더 떨어질듯..
배두나
13/05/30 16:10
수정 아이콘
해외 팀에 가는 것은 좋은 이슈가 되겠지만 선수 개인에게는 모르겠습니다. 스타처럼 자기 기량만으로 믿고 갈 수 있는 게임이 아니다보니..
그리고 스2 유저들이 미필자로 해외로 많이 가는 것 보면 미필자가 해외 활동이 어렵다고는 생각이 전혀 안듭니다.

친구도 군대도 안 갔는데 해외에서 활동도 했구요. 지금은 군대 갔지만 -_-;
방과후티타임
13/05/30 16:32
수정 아이콘
군대문제나 비자문제가 다 해결되서 미국으로 간다고 해도 혼자 고공분투하다가 결국 하향평준화 될거같아요....팀플레이라 결국 혼자 잘해봤자 되는게 없어서....
곡물처리용군락
13/05/30 16:35
수정 아이콘
그동안의 사례를 봤을때 북미로가면 악영향만 끼칠확률이 높다고 사료됩니다
물론 송현덕,정종현같은 예외도 있습니다만
간다고하면 CLG보다도 세비와 최성훈이 있는 커스가 나을거같은데..흠
불굴의토스
13/05/30 17:09
수정 아이콘
막눈이 북미 가면 북미 탑중에서는 최고겠지만

결국 북미판에 동화되어서 내려갈 수밖에 없죠. 롤드컵 나와서 다른 지역 누르는건 꿈에 가깝고요.

개인방송으로 더 수입을 올릴 수 있다는 측면이라면 모를까 선수 경력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재기불능이 될 수도 있죠.
13/05/30 17:11
수정 아이콘
만 25살 전까지 충분히 해외 나갈 수 있어요; 그렇게 법이 빡빡하진 않습니다. 다들 해외 나갈 일도 없고 20살,21살에 군대 가시니깐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네요
13/05/30 17:20
수정 아이콘
Lg의 탑솔로 간다면?! 그래도 안될거야 아마...
13/05/30 17:59
수정 아이콘
로코선수는 무슨 비자로 다녀온거죠??
몽유도원
13/05/30 18:07
수정 아이콘
언어가 가장 큰 장벽일거 같습니다. 오프더 레코드만 봐도 쉴새없이 떠들던데 그걸 영어로 치환해서 이해하려면 으헣;;
Jealousy
13/05/30 18:45
수정 아이콘
북미가긴 재능이아깝죠
13/05/30 18:49
수정 아이콘
막눈 영어 꽤나 잘하는 편 아닌가요?
엔하위키만 보더라도 프로게이머중에 영어회화를 제일 활발하게 하는 선수라고 하고 있고 (http://mirror.enha.kr/wiki/%EC%9C%A4%ED%95%98%EC%9A%B4)
AMA나 영어 인터뷰도 곧잘 하고... (이것때문에 북미팬들에게 특히나 인기가많죠)
북미 솔랭방송 시절에도 문제없이 의사소통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잭스 온 더 비치
13/05/30 18:52
수정 아이콘
저도 (3) 때문에 밖에 다녀오는건 좋은 경험이 될거 같습니다 ~_~
13/05/30 19:12
수정 아이콘
(1)에서 갑자기 개드립이 생각나.. 아.. 아닙니다..


북미 팬 : 우리에겐 영웅이 필요없어. (we do not need superstar here) 성리했을때 영웅이 나타나.
13/05/30 19:18
수정 아이콘
승리를 못한다는건 함정.
WhistleSky
13/05/30 19:27
수정 아이콘
현시점에서 막눈이 북미로 가는건 박지성이 다음시즌 중동이나 미국으로 가는거랑 비슷한 개념 같네요 막눈이 선수생활을 길게 안보고 1~2년 뛰다가 코치나 해설, 군대쪽으로 갈 생각이라면 나쁘진 않다고 봅니다만 선수로써 의지가 더 있다면 국내팀 들어가야죠
13/05/30 19:31
수정 아이콘
재능이 아깝고 기량저하가 걱정됍니다
롤드컵가는건 좋지만..롤드컵에서 한국팀만나서 기량저하로 발리게되면 후폭풍은 어찌감당하나요. 가더라도 여기서 버티고 다시 최고의자리를 찍고가야죠
블루 워커
13/05/30 19:35
수정 아이콘
반대입니다...북미를 가면 평균적인 실력이 우리보다 많이 낮은곳이라 막눈 자신의 실력이 늘지 않을거라 보고 이로인해 앞으로 정상급 탑솔러로써 경쟁력을 상실하게 될거라 봅니다...
아직도 막눈은 싼다고 하지만 아직도 충분히 우리나라 탑솔러중에선 상위권이고 발전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아직 막눈이 북미를 가기엔 아깝다고 봅니다..
박준모
13/05/30 20:01
수정 아이콘
일단 합법적으로 시간당 $14 이상 받으면 취업스폰서 받을수 있습니다. H비자를 받거나 게임을 문화산업이니 O특기자 비자 같은경우도 가능합니다. 중요한건 스폰서 받아서 가도 돈은 벌어도 개인의 미래는...
Practice
13/05/30 21:05
수정 아이콘
북미 갔으면 좋겠습니다. 막눈 선수 제발 미국 가세요...
13/05/30 21:59
수정 아이콘
저도 막눈 선수 북미 갔으면 좋겠어요. 한국에서 조롱당하는 거 보면 가슴 아픕니다. KT A 간다 해도 잘 풀리면 좋겠지만 잘 안 되면... 그거 보고 싶지 않아요.
독수리의습격
13/05/30 22:14
수정 아이콘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국내에 있는게 훨씬 도움될겁니다. 북미 가서 뭘 배우겠습니까.
우리나라만큼 게임단 시스템이 잘 되어있는 곳이 없습니다. 미국에서 생활비같은것 생각하면 딱히 여기보다 많은 돈을 벌 것 같지도 않고.
13/05/30 23:13
수정 아이콘
영어 어학연수 하러 간다고 치면 그리 나쁘지만은 않은 것 같네요.
무엇보다 막눈의 성향이 우리나라 문화와 그렇게 맞는 것 같지 않습니다.
탑솔빵 뜨자고 했을 뿐인데 그렇게 극딜을 먹는 걸 보고 실망했을 것 같네요.
뒷짐진강아지
13/05/30 23:30
수정 아이콘
군문제가 걸림돌이 될거 같습니다...
(미필이 과거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무지무지 편해졌지만...)

그리고 실력이 떨어질거라는건 누가봐도 뻔할뻔자...
(이후에 한국에 오면 그냥 평범한 게임 좀 하는 즐겜유저 레벨이 될지도...)
전인민의무장
13/05/30 23:52
수정 아이콘
게이머로서의 막눈은 분명 하향세를 겪겠지만 개인적으론 LOL판이 그렇게 오래 갈거라는 예측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북미에 어학연수겸 다녀오는게 막눈이 아닌 윤하운 개인에게는 훨씬 좋은 경험이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Zenosblead
13/05/31 03:13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합니다. 막눈 선수 올스타 전에서던가요? 언제였는지는 모르겠으나.. 영어로 말하는 거 본 적 있었는데 꽤나 유창하더군요.
북미에 어학연수겸 다녀오는게 막눈이 아닌 윤하운 개인에게는 훨씬 좋은 경험이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2)
피지알러
13/05/31 00:24
수정 아이콘
저도 북미로갔으면 좋겠습니다. 북미팀이 최상급 대우를 해준다면 말이죠....
기시감
13/05/31 01:54
수정 아이콘
대우야 최상급 대우를 받겠지만 커리어는 거기서 끝날꺼 같습니다.

최상급 풀에서 계속 놀아야 최상급이 유지되는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북미가면 실력은 결국 떨어질꺼구요.

또, 최상급을 유지한다고 쳐도, 스타 같이 개인이 하는 리그라면 모를까 lol은 팀이 하는 리그고 본인 한명이 하드캐리 할 확율보다 팀에 묻혀서 같이 끌어내려질 확율이 몇배는 높겠죠.
곡물처리용군락
13/05/31 12:42
수정 아이콘
CLG 더블리프트가 한국섭으로 오는걸 보면 꼭 최상급풀에서 못노는건 아닌거같다고 할까요
13/05/31 07:0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도 S급으로 평가받던 탑솔러에게.. 세계 메이저리그중 가장 수준떨어지는 리그로 이적하라는 말은 솔직히 굴욕감을 줄것 같습니다
13/05/31 08:28
수정 아이콘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몇년 갈지도 모를 lol판인데 같은 대우를 받고 이적 한다면 북미가 훨씬 나은거 아닐까요??
어차피 한국에서는 워낙 판 자체가 치열 한데...
낭만토스
13/05/31 15:33
수정 아이콘
Kt a로 갔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261 [LOL] 롤드컵 4일차 하이라이트 [3] Leeka6974 13/09/21 6974 1
52254 [LOL] 트래비스 인터뷰: 누크덕, 타베, 산, 페이커 [26] 엘에스디9896 13/09/20 9896 1
51984 [스타2] 블리자드가 벤치마킹을 잘못하고 있는거 같네요. [40] Leeka11926 13/08/20 11926 3
51907 [LOL] 롤챔스 1년 반 히스토리. [19] Leeka10427 13/08/10 10427 5
51906 [LOL] 더블리프트의 조롱 [65] Gorekawa13779 13/08/10 13779 1
51846 [LOL] 프레이 선수가 페북으로 AMA를 진행중입니다. [29] Leeka11503 13/08/03 11503 0
51525 [LOL] 프로레벨에서 가장 귀한 포지션은 어디일까? [49] Leeka11774 13/06/24 11774 1
51461 [LOL] 롤챔스. 1년 반동안의 역사. [12] Leeka9861 13/06/16 9861 2
51401 [LOL] 브론즈의 생각 [85] Cavatina10277 13/06/12 10277 0
51305 [LOL]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때, 그는 나에게 와서 충이 되었다 [33] 아이군9535 13/06/01 9535 0
51291 [LOL] 막눈 선수가 북미로 진출했으면 합니다 [73] 블랙비글10254 13/05/30 10254 0
51261 [LOL] 올스타전 감상기.. [148] 이지원13326 13/05/27 13326 1
51257 [LOL] CLG NA가 선수교체를 단행했습니다. (CEO는 경영만!) [42] 데미캣9480 13/05/27 9480 1
51255 [LOL] 롤 올스타전. 25명 선수 경기 통합 간략 평가. [61] Leeka11473 13/05/26 11473 1
51252 [LOL] 롤 올스타전으로 인한 판도의 변화 및 후기 [110] Leeka13717 13/05/26 13717 6
51248 [LOL] 롤 올스타전 2일차 경기 간략 리뷰 및 남은 일정 [37] Leeka10313 13/05/25 10313 3
51243 [LOL] 올스타전 1일차 간략 정리 및 2일차 일정. - 제드 글로벌 밴 적용 [12] Leeka10021 13/05/25 10021 0
51210 [LOL] CJ가 이끄는 현 메타의 주소. [32] 그시기10387 13/05/18 10387 0
51060 [LOL] 이 챔프하면 떠오르는 사람을 채워보아요! [65] legend13129 13/04/26 13129 0
51013 [LOL] 무수한 떡밥이 난무하던 올스타전 정보 공개! [140] 말룡13799 13/04/18 13799 1
50996 [LOL] 북미, 유럽 올스타팀 투표가 끝났습니다. [59] Chocolatier10119 13/04/16 10119 0
50995 [LOL] 더블리프트가 말하는 한국 올스타팀 [108] FoxHole22576 13/04/16 22576 0
50495 [LOL] Riot Season 3 EU Championship Spring Series 대회정보/진출팀 정리 [46] 감자튀김12963 13/02/06 129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