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4/22 18:55:39
Name 노틸러스
Subject [LOL] Olympus LOL The Champions Spring 3주차 경기 보고서
안녕하세요 버프로 인해 깨알같은 사랑을 받기 시작한 노틸러스 입니다.
혹시나 했지만 역시나.. 롤 챔스 스프링 경기 보고서가 돌아왔습니다.
아 이놈들이 이렇게 했구나~ 쟤네는 와딩 여기에 이렇게 하네? 정글러 동선보소? 정도의 재미와 정보를 여러분께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원하시는 정보, 수정할만한 사항 있으면 언제나 말씀해주세요. 그럼, 이스포츠의 새로운 장을 여는 올림푸스와 함께하는 롤 챔스 스프링, 3주차 경기 보고서 시작합니다~
(본 글은 롤인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971&l=2502 에도 게재되었습니다. 인벤 아이디가 있으신 분들은 가셔서 댓글 또는 추천을 주시면 제게 정말로 큰 힘이 됩니다. 부탁드리고, 미리 감사드립니다.)


130417 수요일 1경기-1세트 : SKT1 #2(파랑) 승 vs MVP Blue(보라)
[1-1. 1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SKT1 #2(파랑) : 위쪽라인은 상대방 진영 방향으로, 아래쪽은 아군 진영 방향으로 와딩을 해서 시야를 밝혔으나, 위쪽 와딩이 너무 깊었던 나머지 인베이드 동선 파악 못하며 퍼블 내줌.
라인스왑 하지 않음.
케넨-나서스-제이스가 늑대를, 미스포츈-소나가 작골을 먹으며 시작.(이후 블루먹으러 올라가다 케넨 전사)

MVP Blue(보라) : 위 아래 모두 들어오는 동선쪽에 와딩으로 상대방의 움직임 포착하려 노력. 1:40경에 상대방 블루 부쉬로 잠입, 퍼블 따냄.
탑은 봇으로, 봇은 미드로, 미드는 탑으로 2중 라인스왑.
카직스-이블린-쓰레쉬가 상대방 블루진영으로 인베이드, 케이틀린-엘리스는 늑대를 먹고 시작함.

[1-2. 1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SKT1 #2(벵기-나서스) : 1.리시받아 늑대(1:40) → 2.블루갔다 식겁한 후 상대방 블루 달려봄 but 허탕(2:17) → 3.돌아와서 레드(2:37) → 4.유령(3:00) → 5.작골(3:22) → 6.봇라인 커버(3:55)

MVP Blue(츄냥-이블린) : 1.블루 인베이드(1:58) → 2.레드(2:27) → 3.작골(2:45) → 4.귀환(3:00) → 5.집에갔다가 봇 직선 갱 성공(3:45)

130417 수요일 1경기-2세트 : MVP Blue(파랑) vs SKT1 #2(보라) 승
[2-1. 2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MVP Blue(파랑) : 자이라가 핑크와드 2개를 구입하며 상대방의 시야를 차단하려 노력. 절반의 성공
봇-미드 라인스왑
제이스-카서스 늑대 시작, 엘리스-케이틀린-자이라 유령 시작

SKT1 #2(보라) : 미드를 기준으로 위편에는 수비적, 아랫편에는 공격적으로 시야 확인하려 노력.
리인 스왑 없음.
쉔-르블랑 작골 시작, 나서스-바루스-소나 늑대 시작

[2-2. 2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MVP Blue(츄냥-엘리스) : 1.리시로 유령(1:40) → 2.듀오 도움받아 레드(1:55) → 3.블루(2:26) → 4.유령(2:56) → 5.미드 뒤편 등장(3:32) → 6.탑라인 갱킹 실패(3:52)

SKT1 #2(벵기-나서스) : 1.리시로 유령(1:40) → 2.함께 블루(1:55) → 3.레드(2:31) → 4.유령(2:52) → 5.늑대(3:13) → 6.미드 커버(3:32)

[3. 1,2경기 요약]
MVP Blue(2패) : 1경기는 블루라인 들어오는 진영에 와드 집중, 그 후 상대 블루 인베이드 성공. 2경기는 상대방의 와딩을 파악해서 지우려는 시도를 중심으로. 라인스왑은 보라 진영에서 2중 스왑, 블루 진영에서는 미드-봇 라인스왑.
츄냥의 갱킹은 1경기 인베, 정글링 이후 집으로 돌아간 후 봇 직선갱 성공, 2경기는 미드 먼저 찔렀다가 탑 한번 찔러보는 움직임을 보여 줌.

SKT1 #2(2승) : 1경기 다소 깊게 와딩해서 인베이드 포착 못함. 2경기에는 중립적으로 와딩. 라인스왑은 6세트 연속으로 하지 않음.
벵기의 정글링은 두 경기 모두 츄냥의 갱킹을 따라가서 커버하는 방향으로 진행됨.


==============================================================================
130417 수요일 2경기-1세트 : SKT T1 #1(파랑) vs ahq Korea(보라) 승
[1-1. 1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SKT T1 #1(파랑) : 시야 밝힐 수 있는 다섯 포인트에 와딩.
라인스왑은 없었음.
엘리스-트페 늑대 시작. 볼리베어 유령 시작. 케이틀린-쓰레쉬 작골 시작.

ahq Korea(보라) : 네 포인트 와딩-가장 기본적인 와딩.
미드-봇듀오 라인스왑.
말파이트-나서스-소나 작골, 미스포츈-럼블 늑대 시작.

[1-2. 1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SKT T1 #1(밸재환-볼리베어) : 1.혼자서 유령(1:40) → 2.리시받아 레드(2:06) → 3.블루(2:40) → 4.늑대(3:00) → 5.유령(3:28) → 6.작골(3:57) → 7.귀환(4:16)

ahq Korea(액토신-나서스) : 1.리시받아 작골(1:40) → 2.리시받아 레드(1:56) → 3.블루(2:30) → 4.유령(2:58) → 5.봇라인 커버(3:31)

130417 수요일 2경기-2세트 : ahq Korea(파랑) vs SKT T1 #1(보라) 승
[2-1. 2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ahq Korea(파랑) : 초반 레드쪽으로 다 달려가 작골쪽에 와딩. 본진 유령쪽 와드와 함께 최소한의 와딩으로 시야를 밝힘.
라인스왑 하지 않음.
엘리스-다이애나 늑대 시작, 바이-케이틀린-소나 작골 시작.

SKT T1 #1(보라) : 초반 와딩은 쉔의 탑쪽 와딩 밖에 없을정도로 와드를 아끼는 모습을 보여 줌. 이는 쓰레쉬의 영약 시작에 기인한 것으로, 초반 쉔과 카서스가 정글몹을 못먹고 시작했다는 손해를 봄.
라인 스왑은 하지 않음.
나서스-미스포츈-쓰레쉬가 늑대를 먹고 시작. 쉔과 카서스는 상대방의 인베이드에 대비하는 움직임을 통해서 정글몹을 먹고 시작하지는 못함.

[2-2. 2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ahq Korea(액토신-바이) : 1.듀오 도움으로 작골(1:40) → 2.리시로 레드(1:55) → 3.블루(2:29) → 4.귀환(2:50) → 5.봇 직선갱으로 점멸 뺌(3:42)

SKT T1 #1(밸재환-나서스) : 1.듀오 도움으로 늑대(1:40) → 2.리시로 블루(1:55) → 3.레드(2:35) → 4.유령(2:56) → 5.미드 뒤로 돌아서 갱킹, 점멸 뺌(3:34)

[3. 1,2경기 요약]
SKT T1 #1(1승 1패) : 상황에 맞춘 와딩을 보여줌.(1경기는 기본적인, 2경기는 최소한으로 시야를 밝히는) 인베이드는 없었음.
라인스왑은 하지 않음.
밸재환은 1경기는 갱킹이 없었고, 2경기에 날카로운 미드 갱킹으로 점멸을 빼는 데에 성공.

ahq Korea(1승 1패) : 강을 따라 네 가지 포인트에 와딩. 2경기 초반에는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며, 상대방 라이너들의 초반 경험치 로스를 유발함.
2경기 초반 인베이드 or 깊숙한 5인 와딩 시도. 미드-봇 라인스왑 1회(보라진영)
액토신은 1경기 봇라인 2:1상황 라인 커버 한 번, 2경기 집에 다녀온 후 역시 봇라인 갱킹, 점멸을 빼냄.  


==============================================================================
130419 금요일 1경기-1세트 : MVP Ozone(파랑) vs CJ Blaze(보라) 승
[1-1. 1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MVP Ozone(파랑) : 소나, 엘리스, 다이애나가 나눠서 와딩. 기본적인 네 개 포인트에 박음으로써 상대방의 들어오는 루트를 파악.
라인스왑 하지 않음.
엘리스-나서스 늑대 시작, 다이애나 유령 시작, 베인-소나 작골 시작

CJ Blaze(보라) : 쓰레쉬가 많은 와드를 구입해서 와딩. 들어오는 지역에 와딩으로 움직임 파악.
탑-봇라인 라인스왑.
제이스-라이즈 늑대, 자르반-코그모-쓰레쉬 작골 시작.

[1-2. 1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MVP Ozone(댄디-나서스) : 1.엘리스 리시받아 늑대(1:40) → 2.블루(1:55) → 3.레드(2:30) → 4.유령(2:57) → 5.늑대(3:18) → 6.탑라인 지원(3:39)

CJ Blaze(헬리오스-자르반) : 1.작골 리시 받음(1:40) → 2.듀오 도움으로 레드(1:55) → 3.블루(2:33) → 4.봇라인 지원(2:56)

130419 금요일 1경기-2세트 : CJ Blaze(파랑) 승 vs MVP Ozone(보라)
[2-1. 2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CJ Blaze(파랑) : 상대방 정글 입구쪽에 최소한의 와딩을 통해 움직임 관찰.
라인스왑은 하지 않음.
제이스-제드 늑대, 나서스 유령, 코그모-자이라 작골 시작.

MVP Ozone(보라) : 다이애나가 상대방 정글에, 소나는 본진 입구 등에 와딩.
라인스왑 하지 않음.
레넥톤-다이애나 작골 시작, 자르반 유령 시작, 이즈리얼-소나 늑대 시작.

[2-2. 2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CJ Blaze(헬리오스-나서스) : 1.유령 혼자 시작(1:40) → 2.듀오 리시받아 레드(2:00) → 3.블루(2:34) → 4.늑대(3:03) → 5.탑라인 땅굴 대기 후 라인밀기(3:32~4:35)

MVP Ozone(댄디-자르반) : 1.유령 혼자 시작(1:40) → 2.레드(2:00) → 3.블루(2:34) → 4.빙 돌아 탑라인 땅굴, 포기(3:22~31)

[3. 1,2경기 요약]
CJ Blaze(2승) : 초반 와딩은 많이 한다기보다는 적은 수로 효율적으로 잘 하고 있음.
인베이드 낌새조차 없었음. 보라진영에서 탑-봇라인 스왑.
헬리오스는 1경기 봇라인 지원을, 2경기는 탑라인에서 1분가량 대기했지만 경험치만 먹고 별 다른 이득은 가져가지 못함.  

MVP Ozone(2패) : 1경기에는 기본적인 네군데 와딩, 패배 이후 2경기에는 적극적으로 와딩을 했음.
라인스왑은 하지 않았음. 인베이드 시도 없이 안전하게 시작.
댄디는 두 경기 모두 탑으로 올라감. 1경기는 탑커버, 2경기는 탑 땅굴 10초정도 시도 후 물러남.


==============================================================================
130419 금요일 2경기-1세트 : LG-IM(파랑) vs KT Rolster B(보라) 승
[1-1. 1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LG-IM(파랑) : 미드 위쪽 부쉬에만 와딩하며 상대방 정글 인베이드 진입. 퍼블 따내고 레드 먹는 성과를 거둠.
탑-봇듀오 라인스왑.
제이스는 혼자 봇라인으로, 자르반-라이즈-케이틀린-쓰레쉬 상대방 레드 인베 시작.

KT Rolster B(보라) : 초반 미드 위쪽에 와딩을 했으나 탑라인쪽으로 둘러 오는 인베이드를 파악하지는 못했음.
미드-봇듀오 라인스왑.
럼블-리신-소나 유령, 바루스-제드 늑대 시작.

[1-2. 1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LG-IM(라일락-자르반) : 1.인베이드 후 레드(1:55) → 2.블루(2:28) → 3.늑대(2:44) → 4.미드 지원(3:02)

KT Rolster B(인섹-리신) : 1.유령 리시받음(1:40) → 2.우리편 레드 털리고 적진 레드로 달림(2:35) → 3.미드 라인스왑한 팀을 지원하여 타워 푸쉬(2:55)

130419 금요일 2경기-2세트 : KT Rolster B(파랑) 승 vs LG-IM(보라)
[2-1. 2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KT Rolster B(파랑) : 룰루와 오리아나가 미드라인을 중심으로 와딩을 했지만, 상대방의 밑쪽으로 돌아오는 인베이드를 막지 못했음.
라인 스왑은 없었음.
럼블-오리아나는 시야를 밝히고 있었고, 다이애나는 대기 후 레드, 케이틀린-소나는 작골 시작.

LG-IM(보라) : 소나가 미드 윗라인 와드 후 봇라인 삼거리쪽으로 돌아가는 인베이드 시도. 상대방의 레드를 먹고 케이틀린의 점멸을 빼는 데 성공.
라인 스왑은 없었음.
케넨은 탑쪽에서 시야를 밝히고, 녹턴-리신-바루스-룰루 상대방 레드쪽으로 돌아 카정.

[2-2. 2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KT Rolster B(인섹-다이애나) : 1.레드시도, 실패 후 도망(1:55) → 2.블루(2:30) → 3.늑대(2:50) → 4.작골(3:27) → 5.미드라인 커버 겸 경험치 수입(4:08)

LG-IM(라일락-녹턴) : 1.레드 카정(2:03) → 2.유령(2:30) → 3.돌아서 본진 레드(3:08) → 4.늑대(3:31) → 5.블루. 정글 다먹고 신났음(4:06) → 6.늑대(4:26) → 7.귀환(4:35)

[3. 1,2경기 요약]
LG-IM(2패) : 적극적인 인베이드로 초반 이득을 가져오려 노력함. 소기의 성과는 거뒀으나 게임은 짐..
라인스왑은 보라진영에서 탑-봇 라인스왑.
라일락은 1경기 미드 지원, 2경기에는 정글 배불리먹고 집으로 돌아감.

KT Rolster B(2승) : 1,2경기 미드라인을 중심으로 와딩을 했음. 그 결과 멀리 돌아오는 인베이드를 막지 못했음.
라인스왑은 1경기 블루진영에서 미드-봇듀오 라인스왑.
인섹은 1경기 정글링이 말렸으나 미드 갱킹 선제 시도, 2경기에도 초반 정글링이 인베이드로 말리며 미드라인 지원 겸 경험치 수집.


==============================================================================
130420 토요일 1경기-1세트 : Najin Sword(파랑) 승 vs KT Rolster A(보라)
[1-1. 1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Najin Sword(파랑) : 들어오는 움직임을 대비한 네군데 와딩.
라인스왑은 하지 않음.
럼블-다이애나 늑대 시작, 자르반-트위치-소나 작골 시작.

KT Rolster A(보라) : 들어오는 움직임을 대비한 세 군데 와딩. 블루 뒤편엔 와딩이 없었으나, 상대방이 별 다른 움직임 없었음.
탑-봇듀오 라인스왑
케넨-제이스-리신 늑대 시작. 케이틀린-쓰레쉬 작골 시작.

[1-2. 1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Najin Sword(와치-자르반) : 1.봇듀오와 작골(1:40) → 2.리시받아 레드(1:55) → 3.블루(2:25) → 4.유령(2:52) → 5.늑대(3:13) → 6.탑라인 지원(4:10)

KT Rolster A(카카오-리신) : 1.리시받아 늑대(1:40) → 2.리시받아 블루(1:55) → 3.레드(2:29) → 4.돌아서 미드 직선갱(2:55)

130420 토요일 1경기-2세트 : KT Rolster A(파랑) vs Najin Sword(보라) 승
[2-1. 2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KT Rolster A(파랑) : 상대방 정글 입구진영에 두 군데 와딩을 하며 나오는 움직임에 대비.\
라인스왑은 하지 않음.
쉔-리신-아리 늑대시작, 바루스-룰루 작골 시작.

Najin Sword(보라) : 레오나와 다이애나의 들어오는 입구 와딩을 통해서 움직임 파악.
탑-봇듀오 라인스왑.
다이애나-트페 늑대 시작. 녹턴 혼자 유령 시작, 트위치-레오나 작골 시작.

[2-2. 2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KT Rolster A(카카오-리신) : 1.리시받아 늑대(1:40) → 2.리시로 블루(1:55) → 3.레드(2:30) → 4.유령(3:02) → 5.작골(3:20) → 6.땅굴 및 늦은 등장(3:40~4:12)

Najin Sword(와치-녹턴) : 1.혼자서 유령(1:40) → 2.리시받아 레드(1:58) → 3.블루(2:32) → 4.유령(3:13) → 5.늑대(3:31) → 6.봇라인 지원(3:52)

[3. 1,2경기 요약]
Najin Sword(2승) : 기본적으로 초반 강가 와딩은 다섯개. 상대방의 탑,봇라인 삼거리 부쉬에 와딩하는 것도 특징 중 하나.
라인스왑은 2경기 보라진영에서 탑-봇듀오 라인스왑.
와치는 1경기 탑, 2경기 봇라인 지원을 갔는데, 이는 라인스왑을 하거나 당하여서 2:1 상황일 때 숫자가 적은 라인으로 도움을 주러 가는 것이라 할 수 있음.

KT Rolster A(2패) : 기본적으로 초반 강가 와딩은 세개. KT A의 특징인 것으로 볼 수 있을듯.
라인스왑은 1경기 보라진영에서 탑-봇듀오 라인스왑.
카카오는 1경기 미드 갱킹, 별 소득은 없었으며, 2경기는 봇라인 땅굴 및 푸쉬를 시도함.


==============================================================================
130420 토요일 2경기-1세트 : CJ Frost(파랑) 승 vs Najin Shield(보라)
[1-1. 1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CJ Frost(파랑) : 탑 안쪽, 블루진영 안쪽에 와딩으로 작지만 알찬 시야 유지.
봇듀오-미드 라인스왑.
제이스-트페 늑대 시작. 람머스-코그모-쓰레쉬 작골 시작.

Najin Shield(보라) : 네 포인트 와딩.
탑-봇듀오 라인스왑.
카직스-자르반-다이애나 늑대 시작, 미스포츈-소나 작골 시작.

[1-2. 1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CJ Frost(클템-람머스) : 1.봇듀오와 작골(1:40) → 2.레드(1:55) → 3.블루(2:34) → 4.늑대(2:55) → 5.탑라인으로 올라가다 자르반과 마주침(3:15)

Najin Shield(노페-자르반) : 1.리시받아 늑대(1:40) → 2.리시받아 블루(1:55) → 3.레드(2:30) → 4.탑 상대방 부쉬 대기(2:52~3:15) → 5.람머스와 마주침

130420 토요일 2경기-2세트 : Najin Shield(파랑) 승 vs CJ Frost(보라)
[2-1. 2경기 3분까지 양팀 와딩, 라인, 정글스타트]

Najin Shield(파랑) : 세 개의 와딩으로 시야확보.
라인스왑은 없었음.
럼블-자르반-다이애나 늑대시작, 미스포츈-소나 작골 시작.

CJ Frost(보라) : 상대방 레드진영에 들어가 와딩. 적극적임.
탑-봇듀오 라인스왑.
제이스-럭스 늑대 시작, 람머스-트위치-쓰레쉬 작골 시작.

[2-2. 2경기 양팀 정글러 정글링 및 첫 갱킹]

Najin Shield(노페-자르반) : 1.리시로 늑대(1:40) → 2.블루(1:55) → 3.레드(2:31) → 4.돌아올라와 탑 지원, 쓰레쉬 점멸 뺌(3:18)

CJ Frost(클템-람머스) : 1.듀오와 작골(1:40) → 2.레드(1:55) → 3.블루(2:30) → 4.늑대(2:54) → 5.봇라인 지원(3:15)

[3. 1,2경기 요약]
CJ Frost(1승 1패) : 1경기는 포인트마다, 2경기는 상대방 진영쪽에 와딩 시도. 인베이드는 없었음.
2경기 보라진영에서 탑-봇듀오 라인스왑.
클템은 1경기 탑지원, 2경기 봇지원. 이는 모두 라인스왑시에 수적 열세를 가진 라인으로 지원을 가는 것을 목표로 함
                    
Najin Shield(1승 1패) : 보라진영에서 네 군데, 블루진영에서 세 군데. 전형적인 와딩. 인베이드는 없었음.
1경기 보라진영에서 탑-봇듀오 라인스왑.
노페는 1,2경기 모두 탑으로 먼저 진입했는데, 1경기는 3대 1상황을 만들기 위한 갱킹으로 쓰레쉬의 점멸을 뺐고, 2경기는 탑으로 지원을 가서 2대 2 싸움으로 만들어 주었음.

=============================================================================
*3주차 보고서 업데이트 사항
1. 팀 별 로고에 색깔 추가했습니다.

=============================================================================
롤챔스 3주차 보고서는 여기까지였습니다.
약 3주간 데이터가 쌓이면서, 기본적으로 생각나는 것은
SKT T1 #2팀은 라인스왑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고, 파랑,보라 진영에서 와딩을 가장 효율적으로 박는 위치가 정해져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이는 추후에 특집으로 편성할 수 있으면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활기한 하루 보내시고 다음주에도 무사히 만날 수 있기를!
*읽어주시고 댓글 달아주시고 추천 눌러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4/22 19:19
수정 아이콘
다시한번 사랑받는 정글러가 되시길!!!!
노틸러스
13/04/22 20:23
수정 아이콘
사랑받으면 애틋함이 없어져서요 흑흑
사티레브
13/04/22 20:16
수정 아이콘
팀특성이 시간이지나니 약간 얼추 잡힙니다 흐흐
자료 좋아요!
노틸러스
13/04/22 20:23
수정 아이콘
슬 팀별로 준비해보려 합니다만
바빠 죽겄네요 흑흑
사티레브
13/04/22 20:49
수정 아이콘
전 앰비션 관련해서 자료모으다가 이번 스프링 첫경기 분석하는데 세시간반 쏟고 아 이건 못해먹겠다 하고 그냥 접었...
가을독백
13/04/22 22:06
수정 아이콘
이제 공중을 나는 노틸러스를 다시 보게 되는건가요..흐흐
잘 봤습니다. 수고하셧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062 [LOL] IM LOL팀 해체해라... [90] 레몬맥콜13432 13/04/26 13432 3
51060 [LOL] 이 챔프하면 떠오르는 사람을 채워보아요! [65] legend13102 13/04/26 13102 0
51054 [LOL] Olympus LOL Champions Spring 11회 간략 프리뷰 [87] 노틸러스8986 13/04/26 8986 0
51031 [LOL] Olympus LOL The Champions Spring 3주차 경기 보고서 [6] 노틸러스7448 13/04/22 7448 4
51027 [LOL] 올스타전 순위별 팀을 만들면 누가 제일 강해보이나요?? [40] 아사8529 13/04/22 8529 1
51015 [LOL] Olympus LOL Champions Spring 8회 간략 프리뷰 [96] 노틸러스10226 13/04/19 10226 0
50986 [LOL] Olympus LOL The Champions Spring 2주차 경기 보고서 [20] 노틸러스12485 13/04/14 12485 33
50967 [LOL] Olympus LOL Champions Spring 4회 간략 프리뷰 [55] 노틸러스10172 13/04/10 10172 4
50960 [LOL] Olympus LOL The Champions Spring 1주차 경기 보고서 #2 [17] 노틸러스11301 13/04/09 11301 31
50951 [LOL] LOL Champions Spring 2013. CJ Frost VS T1 1팀 리뷰 [20] 세느12647 13/04/07 12647 3
50943 [LOL] OLYMPUS LOL The Champions Spring 2013 2회 간략 프리뷰 [38] 노틸러스9930 13/04/05 9930 4
50933 [LOL] 라일락 전호진. 진정한 프로게이머... [34] 레몬맥콜13793 13/04/03 13793 4
50930 [LOL] 롤챔스 참가 선수들이 본 강/중/약팀. [13] 불굴의토스9680 13/04/03 9680 2
50813 [LOL] 롤챔스 스프링 시즌 프로팀들 전력 정리 [26] Leeka12761 13/03/16 12761 0
50686 [LOL] 스프링시즌 참전 프로팀 간략 프리뷰 - 1 [11] Leeka9709 13/02/28 9709 2
50685 [LOL] LG-IM, MLG 출전 포기 [35] Made in Winter9489 13/02/28 9489 0
50490 [기타] ASRock & Kingston 프로게임단 LG-IM 스폰서쉽 발표 [20] Gorekawa9070 13/02/05 9070 0
49911 [LOL] 라일락, 미드킹 두 선수에게 조금 아쉬운 점이 느껴졌습니다. [55] 불굴의토스8381 12/12/29 8381 0
49903 불주부 vs LG-IM 간단 경기 감상문 [4] 루크레티아7107 12/12/29 7107 0
49901 LOL The Champions Winter LG-IM의 라인별 픽 발자취 [6] 노틸러스6392 12/12/29 6392 1
49775 인벤에서 LOL 올스타 투표를 진행중입니다. [27] Leeka7742 12/12/23 7742 2
49614 LOL 각 라인 별.. 현재 국내 스타급 프로게이머들.. [45] Leeka9393 12/12/10 9393 1
49549 [LOL] IPL5가 끝났습니다. [28] 세느8031 12/12/03 803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