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10/20 16:49:59
Name legend
Subject <LOL판에 익숙치 않은 분들을 위한> 한 눈에 보는 LOL 게임단과 선수들(2)
1편 : https://pgr21.com/?b=6&n=48991
1편에서 많은 분들이 좋게 봐주셔서 감사했습니다. LOL판을 별로 접하지 않은 분들도 재밌게 봐주셨다니 이 글을 쓰는 보람이 있었습니다.
현재 LOL에서 프로게임단으로 볼 수 있는 팀은 12개 팀입니다. 이번편과 3편은 프로 12개 팀을 다루고, 4편에선 인지도 있는 아마추어 팀들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

*Xenics Storm
롤챔스 스프링시즌 3위.
롤챔스 스프링시즌에 폭풍처럼 나타난 다크호스. 그러나 서머시즌 이후 슬럼프에 빠져 패배를 거듭하고 있다. 스타1의 레전드 프로게이머
홍진호가 감독으로 있다. 주력선수는 없음. 선수 전원이 LOL에서 이름을 날렸던 유명인이었다. 라인전과 소규모 교전에 강해 거기에서 얻
은 이득을 한타까지 우세하게 끌고가는 무난한 스타일. 그러나 후반에 집중력이 떨어져 실수와 느슨한 운영으로 역전의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 단점. 상대 전략에 대한 대처가 미흡한 것도 문제다.
서포터 포지션이던 impact가 형제팀 Tempest로 옮겨가서 현재 서포터는 공석.
별칭은 콩팀. 이미지는 폭풍, 지금은 미풍.

May : 탑. 초창기 라일락, 웅, 막눈과 동급으로 놓이던 상급 탑 플레이어. 아칼리 장인으로 유명했다. 딱히 흠잡을데 없는 안정적인 모습이
지만 상황의 불리함을 뒤집는 변수가 되기엔 부족하다. 주력챔프는 이렐리아. 별명은 없음.

Nolja : 정글. 북미 시절부터 모쿠자와 함께 이름을 날린 유명 정글러. 몇몇 평가에서 세계 최고의 정글러로 인정받았지만 실제 경기에서 그
러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자신이 경기를 주도하기 보단 팀원을 보조하는 유형의 정글러. 주력챔프는 리신. 별명은 없음.

ManyReason : 미드. 북미시절 아이디 영관으로 널리 알려진 선수. 트위스티드 페이트와 애니비아로 유명했다. 기량은 출중하나 멘탈이 약
한 편. 스프링시즌엔 최상급 미드였으나 서머시즌 이후 뛰어난 미드 플레이어들이 많아지면서 위상이 하락. 주력챔프는 애니비아. 별명은 영
관장식띠.

SBS : 원딜. 바리스타를 하다가 온 개성넘치는 선수. 로코도코와의 삭발 매치 등 팬들의 시선을 끄는 이슈메이커다.주력챔프는 그레이브스.
별명은 그레이브스브스.

-----------------------------------------------------------------------------

*Xenics Tempest
NLB 서머시즌 준우승.
스톰의 정글러가 호로에서 놀자로 교체되면서 만들어진 제닉스의 두번째 팀. 아직 팀의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팀원 교체가 수시로 이루어지
고 있다. 주력선수는 로드, 임팩트. 호로를 위한 팀이었나 현재는 방출된 것인지 알 수 없음. 기존의 실력이 부족한 팀원을 교체하고 스톰의
주전 서포터 임팩트가 건너옴으로써 전력을 보강했다. 로드의 개인기와 임팩트의 공격성을 활용해야 할 팀으로 보인다.
별칭은 템페스트. 이미지는 스톰2군.

ŁØAÐ : 탑. 아마추어 팀 NEB의 에이스였고 베인으로 인상깊은 모습을 보여주며 템페스트로 영입됐다. 개인기와 미세한 컨트롤이 뛰어나고
헤카림을 고른다거나 독특한 아이템 트리를 선택하는 등 비주류에 대한 연구를 열심히 한다. 주력챔프는 베인. 별명은 없음.

TheBeast : 정글. 새로 영입된 선수. 주력챔프는 리신. 별명은 없음.

coco : 미드. 새로 영입된 선수. 주력챔프는 아리. 별명은 없음.

Robin : 원딜. 새로 영입된 선수. 주력챔프는 이즈리얼. 별명은 없음.

impact : 서포터. 러스트보이와 함께 언급되는 국내 최상급 서포터. 공격적이고 상대를 찍어누르는 압박에 능하다. 보호보단 파괴에 능한 서
포터. 주력챔프는 알리스타. 별명은 없음.

-----------------------------------------------------------------------------

*LG-IM
배틀로얄 토너먼트 우승.
아주부의 전신 MiG, 나진의 전신 EDG와 함께 국내 최고의 명문클랜이었던 Team OP 선수들을 주축으로 한 팀. 최상의 네임밸류와 인기선
수들이 포진했지만 성적이 안 좋아 껍데기만 번지르르하단 평가였다. 최근 라일락이 본래 포지션으로 복귀하고 팀을 정비하면서 팬들이 원했
던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주력선수는 라일락, 링, 미드킹. 선수 대부분이 멀티 포지션 혹은 라일락같이 올라운더로 알려져 포지션의 한계
가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실제로 포지션이 변경되니 평가와 달리 전혀 힘을 못썼다. 뛰어난 기량을 바탕으로 공격적으로 상대를 압박
하여 무너뜨린다. 대신 안정감이 부족해 쉽게 흔들리고 잦은 팀원교체, 포지션교체로 팀웍이 안 맞는다.
별칭은 엘쥐, 아이엠. 이미지는 어설픈 갈락티코.

a Lilac : 탑. 막눈과 비견되는 국내 최고의 탑 플레이어. 올라운더로 유명하고 TIG 직원 시절 숱한 LOL 공략 동영상으로 팬덤을 확보했다.
그러나 팀 리빌딩으로 정글과 서포터를 오가며 올라운더란 소리가 무색하게 수준 이하의 실력을 보여줬다. 특히 서포터는 최악의 모습만을
보이며 네임밸류에 먹칠을 했다. 최근 탑으로 복귀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주력챔프는 자르반. 별명은 라교수, 퍼블락.

Ring : 정글. 링트럴로 더 알려진 상급 정글러. 본래 MiG 출신이었으나 웅에 의해 쫓겨난다. 이로 인해 웅과 링트럴의 관계는 팬들 사이에
끊임없이 회자되는 최악의 사이다. 개소리죠 XX 등 명언을 남기고 예능감 넘치는 방송으로 팬덤이 많다. 윤기나는 장발 생머리가 매력적인
선수. 주력챔프는 리신. 별명은 링풍호, 링태희, 링여신 등.

Mid King : 미드. 솔로랭크 1위를 찍는 등 솔랭에서 무시무시한 실력으로 유명하다. 개인기가 출중하고 라인전 1:1 상황에선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다. 그러나 자기 실력을 과신해 무리를 하거나 상대를 잡는데 열중하다 역으로 당할때도 가끔 있다. 주력챔프는 아리. 별명은 없음.

Paragon : 원딜. 명성이 자자한 Team OP에서 그다지 주목을 못 받고, 실력 또한 아쉬운 점을 보여 평가가 낮았다. 최악의 서포터였던 라일
락과 함께할때 스스로 살아남는 법을 배운 것인지 최근엔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원딜의 덕목에 충실하여 딜과 생존의 밸런스를 잘 맞춘다. 주력챔프는 코르키. 별명은 우콩, 요다.

Livy : 서포터. 최근 영입된 선수. 처음 모습을 드러낸 용쟁호투에서 좋은 활약을 했다. 차승원의 아들설이 있다. 주력챔프는 소나. 별명은 없음.

-----------------------------------------------------------------------------








밥도 안 먹고 썼더니 체력이 고갈되었습니다. OTL...다음편에서 나머지 5개 팀을 다루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뭘해야지
12/10/20 16:52
수정 아이콘
어제 롤러와에서 콩샐이 미드로 오고 영관이 서폿으로 간다고..
탑갱좀요
12/10/20 16:53
수정 아이콘
파라곤 선수 별명은 오공이죠 크크
Practice
12/10/20 16:58
수정 아이콘
안정감의 메이는 옛말입니다. 최근의 메이는 여자친구 버스 태워주느라 연습할 시간이 없는 듯... [m]
12/10/20 17:03
수정 아이콘
진짜 최근에 LOL리그 보기 시작한 저에겐 매우 유용한 자료네요^^ 감사합니다.
나중에 LOL게임단과 선수들이 끝나면...
LOL 리그들 종류와 위상관계, 그리고 역대 우승팀 이런것도 정리해주셨으면 하는 작은 소망이..^^;;
팀 소개에 무슨 대회 우승이라고 나오지만, 초보에겐 뭐가 더 대단한지 잘..ㅜㅠ
12/10/20 17:06
수정 아이콘
라일락 주력챔프에 자르반 정도?
대정훈신
12/10/20 17:07
수정 아이콘
라일락은 다잘하지만 역시 Team Op 시절의 라르반이...
엄의아들김명운
12/10/20 17:22
수정 아이콘
스톰 서포터 IEF에 나온 그 선수는 땜빵인가요? 아이디도 가물가물하긴 한데...
그리고 링언니 아이디 오타났네요. Ling->Ring
가루맨
12/10/20 17:26
수정 아이콘
LOL은 한 팀이 5명이라 좀 헷갈리기는 하네요. 암튼 잘 보고 있습니다.
콩쥐팥쥐
12/10/20 17:30
수정 아이콘
PSW Ares는 프로팀이라고 보기는 애매한가요?? 12팀이라면 빠져있는 것 같아서요...
하얗고귀여운
12/10/20 17:57
수정 아이콘
프로팀이 물주부, 불주부, 나진소드, 나진쉴드, 스톰, 템페스트, LG-IM, CJ, KT 1, KT 2 이팀들 말고 나머지 2팀은 어디어디인가요?
스프링때까지만 NLB랑 배틀로얄 보고 섬머부터는 챔피언스만 봐서 잘모르겠네요.
루키즈
12/10/20 18:28
수정 아이콘
라이비 차승원 아들인거로 압니다
용쟁호투 인터뷰때 홀사장이 물어봤던거로 기억....
트릴비
12/10/20 18:40
수정 아이콘
미드킹에게 별명이 없다니요 꼬찢남 아니겠습니까
물론 찢기는 쪽이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795 [LOL] 올스타전 팬투표 22시 22분 22초 현황 [48] Leeka9534 14/03/31 9534 1
53771 [LOL] HOT6ix LOL Champions Spring 조별리그 9회차 프리뷰 [13] 노틸러스5740 14/03/28 5740 0
53731 [LOL] HOT6ix LOL Champions Spring 조별리그 7회차 프리뷰 [67] 노틸러스6357 14/03/25 6357 0
53610 [LOL] HOT6ix LOL Champions Spring 조별리그 1회차 프리뷰 [33] 노틸러스7327 14/03/11 7327 2
53128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8강 C조 프리뷰 [70] 노틸러스8445 13/12/31 8445 2
51718 [LOL] 롤챔스 4경기를 치룬 현재 라인별 KDA 순위. [23] Leeka9965 13/07/20 9965 0
50925 [기타] iOS 매출 1위에 빛나는 Clash of Clans [18] 안동섭9653 13/04/03 9653 0
50714 [LOL] 차기 시즌 롤 챔스 스프링 예선에 참가하는 주요 팀들 [34] Ovv_Run!11803 13/03/04 11803 1
50532 [LOL] 모두들 아시겠지만 클럽마스터즈 라인업 정리해보겠습니다. [33] RookieKid10418 13/02/08 10418 0
50490 [기타] ASRock & Kingston 프로게임단 LG-IM 스폰서쉽 발표 [20] Gorekawa9072 13/02/05 9072 0
49018 <LOL판에 익숙치 않은 분들을 위한> 한 눈에 보는 LOL 게임단과 선수들(2) [20] legend6683 12/10/20 6683 1
47317 LOL 챌린저 서킷 Summer 리그 온라인 예선전 4강전 [222] The_Blues6752 12/06/02 6752 1
46503 2012 GSL Point Ranking & 2012 SC2 대회 일정 [7] 2_JiHwan4469 12/03/06 4469 0
45701 코드 A 자리가 걸린 Korean Weekly Finals가 내일 아침부터 시작됩니다. [14] 언데드네버다��4843 11/10/18 4843 0
45600 2011 Sony Ericsson GSL Oct. - Code S, 32강 4회차 #2 [180] kimbilly4498 11/09/28 4498 0
45599 2011 Sony Ericsson GSL Oct. - Code S, 32강 4회차 #1 [236] kimbilly4567 11/09/28 4567 0
45251 GSL Aug. Code. S. 32강 프리뷰 #2. D조. [7] Lainworks5071 11/08/10 5071 0
44752 2011 PEPSI GSL July. - Code S, 32강 2회차 [134] kimbilly4219 11/06/29 4219 0
44480 2011 LG CINEMA 3D GSL Super Tournament - 64강 대진표 공개 kimbilly5003 11/05/19 5003 0
44398 [스타2] LG시네마 3D 승강전 A, B조 [131] 훼닉5472 11/05/09 5472 0
44385 2011 LG CINEMA 3D GSL May. - 승격/강등전 대진표 [16] kimbilly4678 11/05/06 4678 0
44124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r. - 8강 1일차 [80] 훼닉5140 11/03/21 5140 0
44006 2세대 Intel® Core™ GSL 2011 Mar. - Code A, 32강 2회차 [169] kimbilly4674 11/02/23 467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