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8/25 01:06:48
Name F1rst
Subject KeSPA 의 거대 프로젝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3&aid=0002429433

기사 中

불참 사유: "비시즌이라고는 하지만 포스트시즌 일정도 있고, 현재 협회에서 준비중인 거대 프로젝트로 인해 쉽사리 선수들의 출전을 결정지을 수 없었다."

뉴스게시판에 올라오기도 한 뉴스인데

현재 '불참'이라는 사실 하나에 이목이 집중되서인지

kespa의 거대프로젝트는 무엇일까에 대한 얘기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여태껏 협회가 해온 업보대로라면 이 거대 프로젝트는 분명 달갑지 않은 프로젝트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조금은 의논을 해야할거라보는데요.

제 생각에는 아마도 kespa주최 스타2 개인리그일거라 봅니다.

이번 일로 kespa는 곰tv와 함께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고 봅니다.

GSL 없이, 온게임넷 주최 스타리그만이 전부인 100여명의 선수들의 허전한 스케쥴을 채울려면

이만한 카드가 없겠죠.

게다가 이 대회를 염으로써 gsl과 일정이 겹친다는 핑계를 앞으로도 계속 할 수 있게 됩니다.

블리자드의 허가가 관문인데, kespa 특유의 땡깡부리기,변명대기로 열릴 확률이 은근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대회를 열겠다는게 딱히 겉으로 악의가 느껴지지 않거든요.

스폰서,비용 문제는 당장은 자체스폰으로 어떻게든 때울 수 있을거라 봅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이 거대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단순히 이번 gsl 참가 안할려고 있지도 않은 일을 거대프로젝트라고 했던걸까요?

제 생각이 틀렸으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꼬깔콘▽
12/08/25 01:07
수정 아이콘
케스파컵 시즌2에 걸어봅니다
근데 문제는 방송을 할 수 있나?
12/08/25 01:08
수정 아이콘
거대 프로젝트는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고
지금쯤 구상중이라 생각합니다
12/08/25 01:09
수정 아이콘
개스파 주최 개인리그를 연다고 치고,
그거 누가 방송합니까?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경쟁관계이고, 이제는 연맹 선수라는 대체제로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돌릴 수 있는 온게임넷?
지금 엿먹은 곰TV?
다음팟에서 개인방송?

방송할데가 없어요..
어강됴리
12/08/25 01:10
수정 아이콘
거대 프로젝트는 이미 다 까발려지지 않았습니까?

GSL 못나간다. MLG 못나간다 우리는 바쁘다.

"스타리그2일, 프로리그4일 MLG와의 '온라인'교류전 2일" 일주일에 8일 경기한다 우와아앙?

그 거대 프로젝트는 온라인 쇼매치인거로 오늘 발표로 다 공개되었는데 ..
참 오늘따라 여기저기 똥을 뿌리고 다니는 케스파입니다.
지게로봇
12/08/25 01:11
수정 아이콘
까짓꺼 우리들이 공허포격기 생산해내서
녹여버리죠...
라라 안티포바
12/08/25 01:15
수정 아이콘
케스파 주최 개인리그는 그다지 설득력이 없습니다.
있던 개인리그보다 프로리그를 중시하는 양반들인데요.
아이유
12/08/25 01:17
수정 아이콘
뭔 짓거리를 하던간에 전 안볼랍니다.
12/08/25 01:21
수정 아이콘
그냥 레디액션이 반응이 좋았으니까
자기들도 초청전해서 이목 좀 끌려고 했었을지도 모른단 생각이 듭니다.
스타리그는 떨어졌지만 네임밸류는 아주 훌륭한 연맹 선수들로.
거기에 이제동 김택용 송병구 같은 선수들 넣어주면 딱이었을테고요.
12/08/25 01:21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 죽이기를 앞장서서 하던 양반들이 개인리그를 만들리가 없지요. 그냥 말장난,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겁니다.
뚫훓쀓꿿삟낅
12/08/25 01:22
수정 아이콘
거대프로젝트

1. GSTL과 프로리그 통폐합 발표
엉?

2. 스타리그 전격 폐지
엉?

3. 케스파 전격 해체

야호!
성유리
12/08/25 01:24
수정 아이콘
지금 밤새며 미친듯이 구상하고 있을겁니다..
Eluphant Bakery
12/08/25 01:25
수정 아이콘
곰tv죽이기라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구상중이고 그 시작으로 보이콧
12/08/25 01:31
수정 아이콘
하하 오늘부터 캐스파 기획팀 밤새서 구상할듯
12/08/25 01:43
수정 아이콘
이판에서 케스파가 주도권을 잡는거 자체가 거대프로젝트죠 뭐 껄껄.
12/08/25 02:17
수정 아이콘
이판에 발을 빼고 싶은데 뺄 명분도 없고 해서 스스로 만들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드는 케스파입니다...

그래서 전 그 뜻을 존중해서 프로리그는 앞으로 안보려구요..
타테시
12/08/25 02:21
수정 아이콘
그거 MLG 온라인 대회로 밝혀졌어요.
http://esports.dailygame.co.kr/news/read.php?id=65669
오는 9월부터 MLG에 참가하는 북미, 유럽 지역 선수들과 한국e스포츠협회 소속 선수들의 온라인 대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그 대회에서 상위 입상하는 선수들을 선발해 MLG 본선 대회에 출전시킬 예정이다. 정확한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MLG와의 교류전은 프로리그 포스트 시즌 일정이 끝나는 시점에 개시할 것이다.

아마 GSL 견제용일 가능성이 높아요. 제 생각에는...
레드얼렛
12/08/25 08:23
수정 아이콘
그 거대 프로젝트라는 게 겨우 온라인 대회라면 하하하하 이거 진짜 웃음 밖에 안 나오네요. 현 스2판에는 온라인 대회가 차고 넘치고 또 선수들은 거기에 참여하지만 그렇다고 그거 때문에 그슬을 포기한다거나 해외 프리미어 대회를 포기 하지 않습니다. 온라인 대회인만큼 어디든 경기를 할 수 있고(심지어 해외 대회 가서도 호텔에서 할 수 있으니까요), 시간 조절도 자유로우며(선수 둘만 동의하면 그만이니까요) 무엇보다도 온라인 대회는gsl이나 해외 프리미어 대회같은 메이저 오프라인 대회보단 아무래도 권위가 딸립니다. (메이저급 온라인 대회도 4강 내지 결승은 오프로 치릅니다. 큰 대회장 빌려서요.)
뭐 협회 선수들이 외국인 선수와 붙는 걸 보여주면 팬들도 납득하겠지 이런 생각인가 본데... 그렇다면 케스파가 바보이든가 아니면 팬들을 바보로 본다든가 둘 중 하나임을 인증하는 꼴밖에 안됩니다. 해외팬들도 이런 게 거대 프로젝트라면 '와우 택뱅리쌍이 외국인 선수들과 붙는다고?' 이렇게 반응하는 게 아니라 케스파 욕을 할겁니다. 그들도 온라인이 아니라 오프라인에서 붙기를 바랄테니까요.
하여튼 이런 뭐같은 것이 거대 프로젝트가 아니길 빕니다.
The xian
12/08/25 09:40
수정 아이콘
제가 뉴스게시판에 저 뉴스를 링크하긴 했습니다만. 지난 몇 년간 KeSPA가 했던 프로젝트 중 성공한 게 무엇이 있는지 기억에 없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006 [스타1] 패치해줬으면 하는 2가지 [44] 고진감래13135 17/03/28 13135 1
61005 [LOL] IG 루키선수 상해희극학원 연설고(번역) [22] Otaru25558 17/03/28 25558 18
61004 [스타1] 스타1 유닛들의 DPS및 흥미로운점들 [77] 나른한오후19288 17/03/27 19288 0
61003 [하스스톤] 나의 등급은? - 돌알못이 5급을 찍기까지의 여정 [20] BitSae10179 17/03/27 10179 1
61002 [스타1] 키보드 씹힘 현상. [23] 앙큼 상큼 응큼22756 17/03/27 22756 5
61001 [스타1] ASL 통계로 본 테사기 논란 [151] 말코비치18704 17/03/27 18704 4
61000 [기타] 스타가 나왔으니 디아도 나와야죠 [56] 꽃보다할배11476 17/03/27 11476 1
60999 [기타] [클래시로얄] 무과금으로 5000점에 도달했습니다 [35] 틈새시장8439 17/03/27 8439 2
60998 [스타2] 2017 핫식스 GSL 시즌1 코드S 결승전 우승 "김대엽" [8] 김치찌개8040 17/03/27 8040 2
60997 [스타1]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29] 랜디존슨11376 17/03/27 11376 0
60996 [스타1] 스타 리마스터 이후 스타리그 예상해봤습니다. [19] 삭제됨22078 17/03/27 22078 3
60995 [스타1] 밸런스패치가 안될것을 알면서도 리마스터되서 싱숭생숭한 마음에 써보는 주관적 밸런스 이슈 [167] 수부왘18162 17/03/27 18162 28
60993 [스타1] 제가 생각하는 드라군의 문제 [800] 레스터28885 17/03/27 28885 4
60992 [기타] BJ가 다른 유저와 게임하고 게임한 영상을 업로드 할때 허락을 받아야 하는가..? [167] ZeroOne38689 17/03/27 38689 6
60991 [LOL] 끝없는 KT의 추락 - 마지막 주차를 앞둔 현황 [129] Leeka16226 17/03/26 16226 1
60990 [스타2] 김대엽,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16] VKRKO9199 17/03/26 9199 7
60989 [스타2] gsl최종 김대엽 우승, 어윤수 준우승 및 밸런스 토론 [40] 사고회로11419 17/03/26 11419 0
60988 [스타1] 스타2처럼 건물 그룹지정이 되면 테저전의 밸런스는 붕괴될 겁니다. [108] ZeroOne20172 17/03/26 20172 7
60987 [스타1] 사후지원없는 게임내용의 변경은 신중해야 합니다 [45] 천호동35세백영호14232 17/03/26 14232 3
60986 [스타1] 스타1 1.18a 패치노트 입니다. [101] 영원이란21038 17/03/26 21038 8
60985 [LOL] 간만에 두가지 소식 [5] 후추통8970 17/03/26 8970 1
60984 [스타1] 리마스터에 캠페인 추가/수정은 어렵겠죠? [30] RookieKid15184 17/03/26 15184 0
60983 [스타1] 과거 명경기도 리마스터링으로 방송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4] Alan_Baxter38467 17/03/26 38467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