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7/16 15:02:13
Name 어강됴리
Subject 최근 국제 대회에서 Non-Korean 게이머의 선전
<span class='bd'>[image loading]</span>





NASL 시즌 3가 끝났습니다. 우승자는 결승에서 양준식 선수를 4-0으로 셧아웃 시켜버린 스테파노, 일리예스 사토우리 선수
8강에서 시즌2 준우승자 송현덕 선수를, 4강에서 시즌1 준우승자 장민철 선수를 잡아내며 대진운이아닌 실력으로 챔피언의 자리에 올랐습니다.






우승기념 댄스 세레모니



마성의 남자 스테파노...





유럽의 메이져 토너먼트라고 볼수있는 드림핵 대회에서는 비 한국인 게이머의 약진이 더더욱 두드러집니다.
스톡홀름 대회에서는 ThorZain 선수가, 섬머 대회에서는 MaNa 선수가 각각 트로피를 차지합니다.
2011년만 해도 Huk 선수가 트로피를 가져갔던 섬머시즌을 빼곤 장민철 박수호 송현덕 선수가 각각 대회 트로피를 가져갔는데 말이죠




코드A 경기를 앞두고 있는 ThorZain선수와 승격강등전 시드를 받은 MaNa 선수 드림핵 우승은 한국행 티켓?







메이져 토너먼트라고 보기엔 조금 결을 달리하지만 국제대회로써 충분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 홈스토리컵에서도 폴란드 국적의 Nerchio선수가 우승을 차지 했습니다. GSL4회 우승자 정종현, 2회 우승자 장민철 선수까지 참여했는데 말이죠,



4강에서 장민철 선수를, 결승에서 최용화 선수를 잡아내고 우승한 Nerchio 선수 장민철선수는 이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게됩니다.
NASL에서도 3위.. 선수에게는 별로 보유하고 싶지 않은 기록이겠네요







조금 특이한 경우지만 간혹 열리는 중국대회에서 중국인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는경우가 있습니다.
지난 4월에 있었던 NVIDIA Game Festival 2012 의 초청전에서 Moon 장재호 선수를 잡아내며 MacSed선수가 우승
역시 이대회에 참가했던 정종현 선수는 4강에서 장재호 선수에게 패했습니다... 쓰다보니까 정종현 선수가 해외대회에서 유독 실력발휘를
못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MMA 문성원 선수가 출전했던 6월에 있었던 중국의 국제 게임대회 StarsWar7에서도 MacSed 선수가 우승
다른 국제대회에서는 모습을 보기 힘든 중국선수들이 유독 자국주최 대회에서는 강하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김치맨이 트로피를 싹쓸이 해갔던 2011년에 비해 2012년에는 비한국인 게이머들의 약진이 눈에띕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성역으로 남아 있는곳이 있었으니






MLG 입니다.


2011 MLG Pro Circuit Columbus         문성원 우승        
        2011 MLG Pro Circuit Anaheim         정종현 우승
        2011 MLG Pro Circuit Raleigh         최지성 우승
        2011 MLG Pro Circuit Orlando         Huk 우승
        2011 MLG Pro Circuit Providence  이동녕 우승
2012 MLG Pro Circuit
        2012 MLG Pro Circuit Winter Arena        이정훈 우승
        2012 MLG Pro Circuit Winter Championship  이정훈 우승
        2012 MLG Pro Circuit Spring Arena 1         박수호 우승
        2012 MLG Pro Circuit Spring Arena 2         김동환 우승
        2012 MLG Pro Circuit Spring Championship         박수호 우승



Huk도 반은 한국사람이니 한국인으로 쳐주자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만..







대회 3일차쯤 되면 한국대회가 되버리는 MLG, 이번 섬머시즌에는 지각변동이 생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7/16 15:07
수정 아이콘
스테파노는 경기력으로 압도해서 더 놀라웠네요
장민철도 양준식보다는 선전했지만 스코어는 4:1이고
여튼 스테파노 우승하고 광란의 댄스파티가 인상적이었어요
12/07/16 15:18
수정 아이콘
스테파노가 93년생이었던가요...
한국 와서 활동하면 참 잘할 거 같은데.
2_JiHwan
12/07/16 15:25
수정 아이콘
전 요즘 솔직히 제대로 칼을 갈고 나온 박수호가 진다는 걸 상상할 수 없습니다.;;;
소주의탄생
12/07/16 15:32
수정 아이콘
저도 박수호 선수가 진다는게 상상이 잘 안되네요;;; [m]
12/07/16 16:02
수정 아이콘
드림핵과 NASL에서 외국인이 그나마 우승할 수 있는건, 한국 선수들이 많이 출전 안해서죠.
MLG만 해도 탑급 한국 프로게이머 총출전하면 스테파노도 조기 탈락할 경우가 너무 많아서...
스웨트
12/07/16 16:14
수정 아이콘
전 이야기로만 듣긴 하지만 이런 외국인 게이머들이 이겨나가는게 오히려 더 재미있고 좋아요.
스타1처럼 한국사람들만 해먹는 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강자들이 넘쳐나는 모습이 오히려 삼국지 군웅할거 시대보는것 같고
누가 이길지, 또 국가대항전에서 더욱 손에 땀을 쥐면서 보게 될거라 생각합니다. 예전 w3처럼요.
(스타1이었으면 wcg 우승때문에 해설자가 우는 그런일은 없을겁니다)
rechtmacht
12/07/16 18:03
수정 아이콘
브루드워처럼 한국이 유일무이한 지존인 구도는 식상하니까 뭐 이런 변화가 반갑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한국 게이머가 한국땅을 밟지도 않은 외국 게이머에게 셧아웃 당해버리는 게..당혹스럽기도 하고 뭐시기 하네요

스웨트님 말씀대로 앞으로 국제단위 경기에서 엄청나게 흥미로울것 같습니다 원래 스포츠란게 '우리나라 우리편 이겨라' 할때 제일 재밌죠. 우리편 이겨라..라는건 우리편이 질수도 있다는건데 오랫동안 스타크래프트 경기에서 '우리편이 진다는거는 있을수가 없어'였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888 [LOL] 이런 템, 꼭 있었으면 좋겠다. [38] Lilliput6655 12/07/19 6655 0
47887 디그니타스, 서포터 LOCUST 방출 결정/ 그외 LOL 단신 [17] 마빠이7341 12/07/19 7341 1
47886 2012 온게임넷 스타크래프트2 스타리그 - KeSPA 예선종료 (진출자 본문추가) [335] Marionette10720 12/07/19 10720 0
47885 [LOL] 서포터 오리아나에 대한 중간 보고서 [30] LenaParkLove8163 12/07/19 8163 0
47884 성에 따른 양대리그 우승자분포 [23] 매콤한맛6369 12/07/19 6369 1
47883 13년을 함께 했던 스타크래프트 [3] 내겐오로지원4659 12/07/19 4659 0
47882 MSL의 마지막과 스타리그의 마지막 [5] ㈜스틸야드6000 12/07/18 6000 0
47881 티빙 스타리그 2012 결승전 일정 [94] 꼬깔콘▽8501 12/07/18 8501 0
47880 선배 병행게이머를 통해 살펴보는 Kespa 병행게이머의 문제 [15] Marionette6990 12/07/18 6990 0
47879 이번 결승 '2'와 관련된 팁들~ [44] 꼴통저그6292 12/07/18 6292 1
47878 AZUBU LOL The Champions Summer 2012 16강 C조 1일차 #3 [594] The_Blues6398 12/07/18 6398 0
47877 AZUBU LOL The Champions Summer 2012 16강 C조 1일차 #2 [403] The_Blues5917 12/07/18 5917 1
47876 허영무 선수의 우승을 바랍니다. [30] 삭제됨5628 12/07/18 5628 1
47875 AZUBU LOL The Champions Summer 2012 16강 C조 1일차 #1 [393] The_Blues5999 12/07/18 5999 0
47874 댓글잠금 현 KeSPA 선수들의 스타크래프트2 실력에 대해서... [209] 스카이바람9590 12/07/18 9590 1
47873 라이엇, 더챔스 16강 B조 경기 지연에 대해 사과문 발표 [58] 마빠이6790 12/07/18 6790 0
47872 역대 최고의 커리어는 이윤열이라고 생각합니다. [162] 삭제됨8541 12/07/18 8541 0
47871 댓글잠금 원이삭 선수가 돌직구를 날렸네요. [230] 삼성전자홧팅11002 12/07/18 11002 0
47870 객나적으로 뽑아본 각 종족별 TOP 5 [24] 2'o clock6708 12/07/18 6708 0
47869 22명의 우승자 vs 22명의 준우승자 그 끝은 누가될런지 [14] 살인자들의섬5027 12/07/18 5027 0
47868 리그의 과금방식 비교 [46] 어강됴리6321 12/07/18 6321 2
47867 전 그저 씁쓸합니다. [11] 영웅과몽상가6209 12/07/18 6209 0
47866 박정석 - 강민 - 김택용 - 송병구 - 허영무 [27] 매콤한맛7352 12/07/18 735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