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4/12 12:02:19
Name 파라디소
Subject 타싸이트에선 스1리그를 위해 모금운동을 하겠다고 하는군요.
제가 어제 타사이트에서
CCB리그의 팬들의 모금을 통한 상금후원의 예를 들며

'맨날 게시판에서 스1밖에없다! 스1이 짱이다!'라고 떠들지말고
진짜 스1리그를 살리고 싶다면 모금운동같은 진짜 도움이 될 수 있는 생산적인 행동이라도 해봐라

라고 했더니 거기에 자극을 받았는지
지금 PGR운영자님께도 협조를 요청하는 쪽지를 보낸 상태고
받아들여지면 하겠다고 하는데...  모르겠네요.

여기분들은 스1 모금운동에 대해 어찌 생각하시는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저게 만약 성공한다면, 큰 이슈가 될것이고
현 스1의 브랜드가치도 어느정도는
재고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네요.

물론 모금운동이라는게 현실적으로 돈이 오고가는거라
장벽도 많고 합니다만, 그동안 이쪽 팬들이 말로만 떠들어대고
실질적인 구매력은 별로 없다는 비판이 많았던게 사실이고 말이죠.

뭐 이제 저는 스1을 별로 안보지만, 이걸 할 수만 있다면
정말 해낼 수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어사이드
12/04/12 12:07
수정 아이콘
포모스에서 코디악불곰 닉네임 쓰시는 분이 본인이신가요?
완성형폭풍저
12/04/12 12:08
수정 아이콘
스1을 볼 수 있다면 모금이야 당연하고 소액이지만 정기적 후원도 가능하다면 하겠습니다.
불쌍한오빠
12/04/12 12:09
수정 아이콘
확정난것도 아니고 기사가 난것도 아니고...
그냥 게시판글 분위기뿐인데 굳이 이런글 쓰시는 의도를 모르겠네요
12/04/12 12:13
수정 아이콘
'요즘 연극계에서 시도하고 있는 '크라우드 펀딩'을 스타리그에 접목시켜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은 한 번 해봤었습니다.
워3팬..
12/04/12 12:14
수정 아이콘
방송은 아프리카tv??
honnysun
12/04/12 12:15
수정 아이콘
한번 스폰하는데 얼마나 필요할까요?
파라디소
12/04/12 12:16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총상금규모는 1억, + 리그진행비용 1~2억정도가 필요해보입니다.

근데 사실상 진행비용까지 대는건 좀 무리같고
총상금만 대더라도 최소한의 리그진행은 가능하겠죠
12/04/12 12:15
수정 아이콘
불우이웃돕기 목적의 자선경기 이벤트라면
괜찮은데, 정규리그 지원은 반대합니다.
아무래도 체면이... [m]
kimbilly
12/04/12 12:17
수정 아이콘
운영진 입니다. 이 게시물은 현재 게임 게시판에 규정된 줄 수를 위반 하셨습니다.
줄 수를 채워서 수정하지 않으실 경우 규정에 의거 삭제 조치 될 수 있음을 경고 드립니다.
전준우
12/04/12 12:41
수정 아이콘
체면이 떨어지는 건 어쩔 수 없지만, 스1 리그를 볼 수만 있다면..
소액이나마 지원할 의사는 있습니다.
Electric
12/04/12 12:43
수정 아이콘
전 반대입니다. 이런 모금 운동 한다는 것 자체가 스타1는 끝물이야! 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고, 혹 이런식으 리그가 존속 된다면 그게 무슨 권위가 있겠습니까....
그리고또한
12/04/12 12:50
수정 아이콘
CCB도 사실 규모가 작으니 팬들이 상금 모으고 그걸로 충당해서 끝나고 하는 거죠.
스타리그도 모금한 상금으로 리그가 존속될 수준으로 내려앉으면 프로팀이건 협회건 남아 있겠습니까.
내가바라는나
12/04/12 12:53
수정 아이콘
제가봐선 이글이전혀 문제가안되는데 진짜PGR답다고해야되나요? 너무깐깐하게구는거아닌가요? 질문게시판에올리나? 이곳에올리나? 그건본인맘이고 글내용도전혀문제없어보이는데 이래서 글한번 쓰는게힘든것같습니다 이곳은ㅜ [m]
12/04/12 13:01
수정 아이콘
근데 마지막 문장은 무슨 의도로 쓰신거죠? 글마다 자신은 스2팬이고 스1은 거의 보지 않는다, 라고 하시면서 스1의 안좋은 분위기에
대한 글만 올리시네요.
12/04/12 13:12
수정 아이콘
찬반을 떠나서 현실적으로 어렵지 싶습니다... 아프리카 bj배 리그 정도되는 크기면 모를까 현재 온게임넷에서 방송하고 프로게이머 들이 참여하려면... 비용이 좀 어렵죠...
12/04/12 13:21
수정 아이콘
CCB 정도의 작은 규모 온라인 대회로 한다면야 가능하겠죠.
케이스트
12/04/12 13:25
수정 아이콘
프로야구 선수협의회 초창기 후원금을 모집할 때,
대한민국 최고 인기스포츠이고, 야구가 비교적 경제력이 있는 중장년층이 즐겨 보는 스포츠인데도 후원금 1억원 모으기 버거웠는데,
10~20대가 주로 보고, 야구의 10분의 1의 인기도 안 되는 스타1이 과연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요?
팬들이 후원해야 할 만큼 스타가 끝물인 것만 언론에 더 노출돼서 스폰 잡기 더 힘들어질 듯합니다.
찰진심장
12/04/12 13:45
수정 아이콘
나름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리그인데 모금으로 열리는거 자체가 모양이 좀 안좋을것 같네요.
프로리그가 아니라 스타리그는 좀 다르긴 하겠지만 이쪽도 마찬가지일것 같고요.
차라리 팬들이 작은 규모의 개인리그를 하나 새로 만드는게 어떨까요.
12/04/12 13:51
수정 아이콘
전 부정적입니다... CCB수준의 리그라면몰라도 1억원이 넘을게 보이는 상황의 스폰이라... 한번도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소위 전 빠는 아니고 그냥 재미난 경기 이슈가 되는경기만 찾아보는 스1팬입니다 예전엔 맨날 봤는데 개인적으로는 스1이 재미가 없어졌거든요
스1을 얼마나 사랑하는분이 계실지는 모르겟는데 넷심이라는게 실제로 얼마나 현실에 투영될지는 미지수에요...
성공한다고해도 스1에게는 사형선고이고 실패해도 사형선고입니다 성공하면 아 실제로 광고효과가없어서 광고가안붙는 리그라는 오명이 덧씌워질 가능성이있고요 실패하면 그냥 폭망이죠.. 가만히있는게 가장나아보이는데
12/04/12 13:51
수정 아이콘
저도 소액 후원할 의향은 있지만 그렇게까지 해서 열리는 스타리그라니.. 너무 서글픈 생각이 드네요ㅠ
12/04/12 14:10
수정 아이콘
전 찬성합니다... 몇만원정도라면 충분히 낼수있습니다.
저같은분이 1000명만 모이면 어거지로 개최되겠네요
12/04/12 14:11
수정 아이콘
.... 그 대회에 누가 나올까요
이영호? 이제동? 김택용?
아프리카 진행하는 박지호 구성훈씨(전 프로)정도나 나오는 대회가 되겠죠.
우승 가능성 낮은 대회 나오려고 연습하는 선수도 없을꺼고
그 대회 지속적으로 열리기를 희망하며 종목을 고정하는 선후도 없을겁니다

정말로 잊혀져가는 선수들을 사랑한다면
은퇴하고 다른일 하려하는 선수들 장학금을 대주거나
우선채용하는게 더 직접적이고 효과적일겁니다 [m]
파라디소
12/04/12 14:13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 하나를 새로 만들겠다는 건 아닌걸로 압니다.
단지 이미 존재하는 스타1리그를 없애지 말고 유지시켜달라는 뜻이지요.

현재 스폰없이 개최되고있는 스타리그도 그렇구요.
12/04/12 14:12
수정 아이콘
ccb야 선수들은 돈얻을때가 없었구
스타1선수들이야 연봉이 있으니깐...
12/04/12 14:12
수정 아이콘
차라리 시청률 높히기 운동을하고 동접자 늘리가 운동을 하는게 낫습니다.
저런 후원 리그 열리는순간 붙여놓은 산소호흡기 때는겁니다 [m]
rechtmacht
12/04/12 14:27
수정 아이콘
뭐 이제 저는 스1을 별로 안보지만
저는 스2 팬이지만

->이런거 부연하지 마시라구요. 왜이렇게 얄팍하게 구십니까.
12/04/12 14:30
수정 아이콘
저도 한때 성금모금을 생각해보긴했는데 아무래도 힘들것 같습니다.
그렇게해서 꺼져가는 생명을 애써 이으려 해봐야 길게 못갈거같고
결정적으로 그렇게 1-2년 그이상 어찌어찌버틴후 결국은 스1의 수명이
다하는날이 지금의 분위기처럼 오게 될텐데 그땐 기존 스2선수들 따라잡을
희망조차 없을듯 하네요.

지금 스2 올인해도 따라잡기 벅찬시간인데요.
Wizard_Slayer
12/04/12 14:36
수정 아이콘
예상은 했지만..안타깝네요..
12/04/12 14:41
수정 아이콘
너무나 장애요인이 많아서 비현실적이라고 봅니다.

일단 돈이 그렇게 모이고 ,잘관리되어서 잘 전달될지도 의문이거니와
무엇보다 지금 스1게이머들이 기업팀 및 협회에 소속되어있는데,
협회의 방향에서 벗어난 대회가 열리고, 거기에 참여할수 있을지가 심히 의문이죠.

스1의 경기관람에 대한 애정이 많다면 ,차라리 아프리카에서 정규 스1리그가 열리게끔. 유도하고
그 대회에서의 별풍선을 환산해서 상금을 부여하게 하고,
거기에 별풍선을 많이 내는게 나을수도 있다고 생각하네요.
물론 이것도 좀 비현실적일 수 있지만요..
12/04/12 14:43
수정 아이콘
작년 SK 와이번스 팬들은 수천만원을 모은걸로 아는데 이 판은 전체가 합심해서 1억이 택도 없는 수준인건가요?
12/04/12 15:01
수정 아이콘
저는 찬성인데 부정적인 시각이 많네요
팬들의 리그를 향한 열정을 보여주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이는 걸요~
박완규씨의 후원 기사도 저는 스타판에 대한 애정으로 보여서 충분히 감동이었구요
엄전김이 팬들의 애정과 사랑으로 피어나는 스타리그라고 잘 포장해주실거라 믿습니다 흐흐
방관하고 있는 것보단 이런 움직임을 보여주는 게 활동적이고 의지적여 보여서 좋네요
얼마가 모일 진 모르겠지만 찬성입니다 [m]
12/04/12 15:10
수정 아이콘
기사로 접하기론 스1펜들의 열정을 못느껴서 그런것도 없다고는 못하겠지만
그것보다는 스1게임자체의 구식화된이미지 , 첨단기술, 진보적이미지 결여가 크다고 들었는데요.
기업의 스폰지원 담당관계자분중 한분이 스타크래프트1의 지원이 어려운 이유를 현장감있게
말씀좀 해주시면 좋겠네요.
넷심이랑 현실이랑 다르니깐요.
12/04/12 15:14
수정 아이콘
가능하다면 해볼 여지야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게 가능하냐의 문제겠지요. 국내에서 인기 많은 프로스포츠에서 모금을 해도 지금 스타리그의 안정적인 개최에 필요한 자금 규모를 모으는게 여의치 않은 판에 현재 e스포츠 규모에서 가능하리라고 보지 않습니다. 나이스게임티비의 경우에야 리그 자체가 완벽한 프로 대회도 아니고, 세미 프로 아래 정도의 규모이니까 가능했죠.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현실적으로 순수 모금만으로 대회를 개최할만한 여력이 안 될 듯 싶네요. 개인적으로 볼 때도 이런 모금 활동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스폰서가 매력을 느낄리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결승전 등에서 구름 인파가 나왔다느니 해도 결국 시청률 등 해서 하는거니까요.
꼬미량
12/04/12 16:04
수정 아이콘
저도 정말 저런일이 벌어진다면 후원할 의사가 있지만

글 자체에 어감이 별로 좋지 않네요..

니들이 그렇게 스1을 좋아하면 한번 해봐라 라는 느낌일까요
피로링
12/04/12 16:20
수정 아이콘
1억으로 될까요; 상금 다 빼고 해도 그 몇배는 될거같은데... 보통 공중파 프로그램 한회 제작하는데 몇천만원씩 든다던데...미니멈으로.
사티레브
12/04/12 17:34
수정 아이콘
할수있겠다싶어요
一切唯心造
12/04/12 17:38
수정 아이콘
온겜이 약을 빨지 않는 이상 어렵죠
모금으로 상금1억 겨우 만들어도 제작비는 전부 온게임넷이 짊어지라는건데 이걸 누가 하나요
충성도가 그리 높을 것 같지도 않구요 [m]
마프리프
12/04/12 17:55
수정 아이콘
모금하면 많이는 못내도 얼마라도 보내야겠내요 한시즌만이라도 제발 조금만 더...
워3팬..
12/04/12 18:01
수정 아이콘
근데 만약 모금해서 리그 열린다면 진짜 마지막이라는 의미가 될텐데 좋아보이지는 않는데요.
영웅의부활
12/04/12 18:07
수정 아이콘
파라디소님은 스타1리그가 망하길 바라시는분 같습니다.

항상 이런 논란에 소지가 되는 글들만 올리시는것이 보기 안좋군요.
12/04/12 18:40
수정 아이콘
작년인가 스2의 이정훈 선수를 mlg올랜도에 보내자며 2500달러를 하루만에 모은 일도 있고.. (준우승 했죠 제기억에...)
매스이펙트3의 엔딩 수정 요구 자선모금이 6.5만달러, 고전식 어드벤처 제작비 모금에 300만 달러등 소비자가 자기 돈내고 원하는걸 요구하는 문화가 생기고 있죠.
킥스타터니 클라우드 펀딩이니 하는데 스타리그가 같은 방식을 쓴데서 권위가 떨어지고 망하는 지름길이 되진 않을거같네요.
오히려 이정도로 소비자들이 원하고 있구나 하는 어필이 되면 모를까..

근데 성공했을때 결과가 좋으리라는건 그렇다 치고 저거 다 해외 얘기인데 우리나라 게임문화로 모금이 될지는 좀 회의적입니다. [m]
Mr.쿠우의 절규
12/04/12 19:22
수정 아이콘
후원금 할 바에야 그냥 시청료를 받는게 낫겠네요.
경기당 50%는 방송사, 50%는 팀. 경기당 100원으로 천명 볼 경우 십만원, 프로리그 경우 5전제 4경기 가정하면 일주일에 2백, 1년이면 1억2천 (2011년 와고 기준 1247경기) 500원 잡으면 6억. 1000원 잡으면 12억이네요. 나머지는 스폰으로 때우고.
스타리그는 2011 진에어가 47경기네요. 경기당 1000원에 결제 천명 잡으면 4천7백이지만 4강, 결승전 관중 생각하면 1억은 찍겠네요. 듀얼+챌린지 싸게 넣으면 좀 더 나올것이고. 36강 한 박카스는 108게임이니 기본으로 1억 넘네요. 1일 4경기는 뭐 셋트 할인으로 한 3000원이나 2000원 하거나 장기결제자에겐 선수 싸인 경기 DVD를 보내준다거나 하는 자잘한 마케팅 팁도 쓸 수 있겠습니다.
광고주 입장에서도 무료 관중과, 유료 관중은 1:1이 아니니 더 유인효과도 클 것이고.
mp3도 이제는 많이들(그래봐야 한 절반이지만) 돈내고 쓰시죠.
겜알못
12/04/12 21:31
수정 아이콘
이 분 글들은 다 읽으면 뭔가 기분이 안좋아지네요
12/04/12 21:49
수정 아이콘
완규옹의 개인 스폰 의사를 팬들이 함께 하는 모양새인데 그리 나쁠 건 없지 않나요.
12/04/12 22:04
수정 아이콘
굳이 나쁜가 합니다. 다 대자는 것도 아닌데요. 의사표시인 셈이지요. 결국 프로 스포츠란게 돈을 내고 보고싶은 사람들이 있어 유지되는 건데요.
감자해커
12/04/12 23:05
수정 아이콘
한두번은 가능하다고 쳐도 장기적으로 보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가 없습니다.
12/04/12 23:14
수정 아이콘
mbc게임 마지막 서바이버만 하고 끝내려 할때 한번 해보자라는 글을 쓰려고 했는데 막상 지금은 타이밍이 아닌 듯 합니다. 협회도 스타2로 전향하려 하는 순간이고 mbc게임 마지막처럼 사람들을 응집시키는데 힘이 역부족이라 보이네요.
정테란
12/04/13 03:04
수정 아이콘
오죽하면 이런 생각까지 했을까를 생각하니 그 정성이 갸륵합니다만...
비회원
12/04/13 13:28
수정 아이콘
술 한잔 나눈 적 없는 다른 과 직장동료가 결혼해도 3만원 내는데 10년을 함께해준 스타리그를 위해서 3만원 정도는 내고싶어요.
죽지마 스타리그야... ㅠㅠ
12/04/13 14:41
수정 아이콘
전 모금에는 반대지만 생각외로 많은금액이 모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과거 d모 사이트의 모프로야구단 갤러리에서 모금을 하는걸 봤는데 이틀 인가 삼일만에 1500만원 인가 모으더군요. [m]
sad_tears
12/04/13 15:25
수정 아이콘
모금해서 한번 개최하고 스타1이 공중분해 된다고 해도 한번만이라도 더 개최했으면 좋겟습니다.
스폰도 못잡고 진행하는 스타리그가 산소호흡기라면 그 다음은 없다고 봅니다.
체면이고 뭐고 이렇게 마지막을 알리는 신호탄이 퍼졌다면 어떤 짓을 해서라도 한번 더 열광 해보고 싶네요.
거점기계 지재군
12/04/13 18:46
수정 아이콘
십여년전 마냥 어렸던 그들이 이제는 경제력을 갖고 있습니다. 어린시절의 좋은 추억을 유지하고 계속 살려보자는데 시청자 모금한다고 모냥 빠지는게 뭐 어떻습니까.
전 오히려 그동안 공짜로 본 것이 미안할 지경입니다.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210 댓글잠금 다른건 둘째치고 디아블로가 온라인게임이 아니라고 하긴 힘듭니다. [342] 파라디소9487 12/05/23 9487 0
47187 불지옥 난이도 원하는 액트 뚫는 방법입니다. [14] 파라디소7072 12/05/22 7072 0
47178 댓글잠금 악사로 불지옥 액트2 체험기 [255] 파라디소8316 12/05/22 8316 0
47100 대체 블리자드에서 디아블로3의 시점을 고정시킨 이유가 무엇일까요? [71] 파라디소8909 12/05/17 8909 0
47084 난이도에 대한 비판은 헬지옥 클리어 나오고나서 해야하지 않을까요? [70] 파라디소7013 12/05/16 7013 0
47050 드디어 지옥문이 열리는군요 [16] 파라디소5122 12/05/14 5122 0
47010 기존 스1 에이스급 선수들이 스2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나봅니다. [72] 파라디소10755 12/05/08 10755 0
46985 스2 저그의 문제는 사실상 밀리종족이라는 점입니다. [40] 파라디소6908 12/05/04 6908 0
46957 온게임넷 스타리그 문호개방한다고 합니다!(예정) [44] 파라디소8381 12/05/02 8381 0
46903 데일리e스포츠가 또 이상한 짓을 하고 있군요. [84] 파라디소7631 12/04/27 7631 0
46895 최근 스타2 전환 관련 동향 정리 [36] 파라디소8209 12/04/26 8209 0
46870 댓글잠금 앞으로 캐스파의 계획은 이렇게 될 것 같습니다. [174] 파라디소8406 12/04/21 8406 0
46840 댓글잠금 어차피 이렇게 전환을 선택할거였다면 차라리 진작에 할 것이지. [135] 파라디소6886 12/04/18 6886 0
46808 타싸이트에선 스1리그를 위해 모금운동을 하겠다고 하는군요. [81] 파라디소7624 12/04/12 7624 0
46800 병행에 있어 스1선수들의 스2경기력은 전혀 걸림돌이 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57] 파라디소6824 12/04/11 6824 1
46799 데일리e스포츠 기사에 왜 스타1은 스폰이 안잡히는지 직접적이유가 떴네요. [61] 파라디소8792 12/04/11 8792 0
46680 처음 프로게이머 자격이라는게 생긴다고 했을때 사람들 반응이 기억나네요 [111] 파라디소8332 12/03/29 8332 2
46651 스1을 스2로 전환함에 있어서 스2팬들이 가장 걱정해야할 점. [18] 파라디소6066 12/03/26 6066 0
46624 캐스파의 병행의도는 이게 아닐지요? [56] 파라디소6610 12/03/24 6610 0
46571 곰TV의 스2에 대한 폐쇄적 정책이 여기저기서 욕을 많이 먹더군요. [28] 파라디소6172 12/03/18 6172 1
46056 캐스파가 주는 상이라고 해서 꼭 공정하리란 법도 없지요. [98] 파라디소6236 11/12/28 6236 0
44881 현재 포모스에서 인터넷 투표페이지를 만들어서도 투표중입니다만 [44] 파라디소5145 11/07/14 5145 0
44877 개인리그 준우승 VS 프로리그 다승왕. 어느쪽의 위상(가치)가 더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 <II> [487] 파라디소8242 11/07/13 824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