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3/29 14:04:42
Name 청바지
Subject 이해가 가지 않는 케스파 & 기업팀의 운영
요즘 프로리그의 스2 병행 또는 전환 가능성에 대해서 시끌시끌한데요.
저는 이 과정에서 케스파의 움직임이 '경제적 논리'에서 전혀 이해가 가지를 않더군요.
이런 측면에서는 별로 언급 또는 논의가 된 적이 없는 것 같아 새로운 글로 하나 써 봅니다.

1.
우선 게임단이 창단되는 과정부터 생각해 보겠습니다.
처음에 선수들+매니저의 형태로 아마추어 연습팀이 생겨났고, 이들의 인기를 마케팅에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의 이해와 안정적인 선수 생활을 원하는 선수들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기업팀이 하나둘씩 창단되게 된거죠. (팬들 또한 원하는 바였구요)
이후 좀 더 많은 노출을 위해서 단일 프로리그가 출범하고 경기수가 대폭 늘어나게 되었구요.

저는 애초에 기업이 프로게임팀을 창단하는 목적은 홍보 효과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충분히 좋은 효과를 거두었다고 보구요. 그런데 이후의 과정을 살펴보면 어이없게도 (얼마 되지도 않는) 직접적인 수익을 노리는 행태가 나타납니다. 직접적인 수익을 노리는게 잘못되었다는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입는 손해가 더 큰데도 불구하고 조그만 이익을 집착하는 행동이 이해가 안간다는 겁니다.

대표적인게 중계권 파동입니다. 방송사한테 몇 억 받아먹기 위해서 엄청난 이미지 손실을 감수했죠. 이것만 해도 애초에 게임단 운영을 통해서 벌어들인 홍보 효과 다 날아간 정도라고 봅니다. 개인리그 보이콧 사태도 마찬가지죠. 프로리그 1승이 중요한가요 아니면 팬들에게 우리는 게임을 사랑하는 구단이고 기업이다 이렇게 홍보하는게 중요한가요. 일련의 사태를 통해서 제가 얻은건 (대표주자인) 'SK는 못된 기업이다'라는 이미지입니다. 분명 저만 그렇게 느낀게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2.
스2로 전환 또는 병행을 시도하고 있는 지금 시점도 마찬가지입니다. 팬들의 반대 속에서 무리한 전환을 통해서 얻는게 대체 무엇일까요? 전환에 성공하면 입장료 수익이 쏠쏠할거라고 생각하는걸까요? 스1팬들에게는 신의를 저버리는 기업으로, 스2팬들에게는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기업으로 낙인찍히고 싶은건가요? 구단 운영비 투자해서 마이너스 홍보 정말 잘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3.
왜 이런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지는 걸까요. 일단 제 추측은 기업의 높은 위치에 있는 분들이 현실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혀 모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홍보효과(또는 마이너스 홍보효과)는 자기들 눈에 보이지는 않고 (게임계에 관심이 없으니), 게임단 운영 그냥 하기는 아까우니 뭔가 수익좀 내봐라 하고 아랫사람들에게 몇마디 하게 되고, 실무진에서는 기업 이미지를 깎아먹더래도 자신들 성과가 더 중요하니 이런 어이없는 운영이 나오는게 아닌가 하는거죠. 이건 순전히 제 추측이고 소설입니다. 오해는 없으시길 바래요.

여튼 요약하자면 그겁니다. 왜 이렇게 케스파 & 기업팀의 바보같은 운영이 나오는 걸까?
기업들이 자신의 이익만 쫓기 때문이라고 많이들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게시판 다른 글들을 봤을때),
제 생각엔 기업의 주인 위치에 있는 사람이 작금의 세태를 알고 있다면 오히려 이런 운영이 나올수가 없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상식적인 운영을 기대하기에는 이미 시스템이 많이 꼬여버린 걸까요.
안타깝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ainworks
12/03/29 14:06
수정 아이콘
관심 없고 아는거 없는 멍청한 상사와, 열의 없고 동기부여 없는 부하직원이 만나면 항상 최고의 시너지를 불러일으키는 법이죠
절름발이이리
12/03/29 14:09
수정 아이콘
스포츠판에서 어설프게 이미지 깎인다고 기업의 수익성이 줄어들거나 하지는 잘 않습니다. skt가 선택과 집중한다고 하거나, 개인리그 보이콧하는 문제 때문에 skt쓰던 사람이 타 통신사로 이전하거나, skt를 고르려던 사람이 타 통신사로 간 경우가 얼마나 되겠습니까? 일정한 볼륨을 확보한 대기업 입장에선, 사소한 이미지의 득실보다도 노출 효과 그 자체에 더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관리자가 현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을 수 밖에 없지만요.
청바지
12/03/29 14:14
수정 아이콘
그게 기업의 생각이라면 설명이 되긴 하죠. 하지만 전 그게 참 구시대적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반대로 블리자드 같은 경우는 중계권 파동때 직접 개입할 수 있었음에도 더 큰 그림을 위해서 놔두는.. 이런게 앞서나가는 기업의 생각이라고 보구요.
절름발이이리
12/03/29 14:21
수정 아이콘
구시대적이라 한들, 돈 버는데 지장이 없으니 유지하는 거겠지요. 더불어 저는 블리자드가 그냥 별로 안 중요하니까 놔뒀다고 보는 쪽입니다. 그간 여러 정황으로 볼 때, 블리자드도 별로 이미지 구축을 잘하는 기업 같아보이진 않습니다. 제품 잘 만드는 건 알겠지만, 경영이란 측면에서 보면 그리 현명해보이진 않네요.
청바지
12/03/29 14:26
수정 아이콘
"구시대적이라 한들, 돈 버는데 지장이 없으니 유지하는 거겠지요." 맞는 말인데 참 안타까운 말이기도 합니다.
현재 지장이 없으니 유지한다는 마인드. 한국 기업이 왜 혁신을 못하는지 딱 보여주는 마인드인거 같네요.
자유수호애국연대
12/03/29 14:11
수정 아이콘
본사 내 승진경쟁에서 밀린 임원 양반들이 스스로 자기는 게임판이라는 한직으로 좌천되었구나라며 열폭과 멘붕의 일상을 거듭하는 '케스파 유배지설'이 정말 사실인건지...
12/03/29 14:38
수정 아이콘
스타2전환은 게임판에 그나마 애정(혹은 책임)이 있기 때문에 하는겁니다. 스타1이 당장 인기는 더 많아도 승부조작같은것도 있었고 워낙 오래된 게임이라 스폰도 안 붙거든요. 케스파나 skt를 만악의 근원으로 보고 싶으신것 같은데 진짜 그랬다면 어줍잖게 자사스폰으로 생명연장 안 해주고 그냥 이 판 끝냈을겁니다
청바지
12/03/29 15:06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냥 끝내기에는 책임이 있으니(욕먹을까봐) 전환시도하는거라고 보긴 합니다.
하지만 어떤 과정으로 전환을 이끌어 내는지 두고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수의 팬들이 반대하고 있는 세트별 스타1, 스타2 이런 방식을 밀어붙일지.. 기존 스타2 선수빼오기를 하지는 않을지.. 아마 그렇다면 정말 이미지 깎아먹는 바보같은 선택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게임단 운영할 돈으로 과자나 사먹지.
그냥 끝내버리는게 매도청산 잘 하는 길이었다는 얘기가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부평의K
12/03/29 15:09
수정 아이콘
그냥 한마디로 말하면 기업에게 게임이라는게 더이상 큰 매력이 없습니다.

근래에 일때문에 규모있는 기업들을 만나서 투자관련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만.
요즘 기업들에게 한가지 기조가 있습니다.

[게임으로는 투자 하지 말아라]

덕분에 요즘 꽤 피곤하게 다니기는 합니다만, 적어도 한두곳의 기업이 아니라 많은수의 기업이
그러는걸 보면 현재 팀을 운영하거나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무차별적으로 욕먹거나 까일 일은 아닌듯합니다.

게임이 아닌 IT투자, 그것도 SNS서비스인데 외형이 게임과 좀 비슷하다고 해도 이정도인데 게임은 오죽할까 싶습니다.
12/03/29 15:31
수정 아이콘
ppp규정만들때부터 개스파다뭐다 하는일없다고 무쟈게깠지만... 결국 이바닥에 남은건 케스파뿐...
차사마
12/03/29 18:41
수정 아이콘
기업이 생각한 것은 게임을 통해 젊은 층에게 이미지 어필한다는 생각이 가장 컷겠죠. 이건 국민 전체를 아우르는 홍보 수단은 아닌 것입니다.
팬들의 입장에선 "니들이 이 판으로 좋은 이미지를 쌓고 싶으면, 우리들에게 잘 보여야 하는데, 왜 우리들을 실망시키느냐? 이건 너희한테도 불이익 아니냐?" 뭐 이런 내용의 글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삼성이나 sk등등의 대기업들이 국민들 개개인에게 좋은 이미지로 어필할려고 하지만, 흔히 말하는 투정 부리는 수준의 클레임이라면 무시를 하는 편입니다.
또한 주도적이고, 체계적으로 불매 운동까지 벌이는 집단에 대해서도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상황입니다. 팬들의 반발이 마치 팬 전체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 같지만, 막상 이 판에 큰 관심없고, 그냥 틀어주니까 보는 층들은 상관없는 이야기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기업에서는 그런 식으로 인식을 한다는 거고, 현실적으로 지금의 게임 판은 팬들의 원성이 마이너스 작용을 해 오지는 않았습니다.
만약에 그런 기업과 선수 또는 협회 위주의 리그(프로리그)를 팬들이 막을려고 했으면, 좀 더 구체적으로 단합된 클레임 단체를 구성해야 했었죠. 그럼 최소한 신경은 썼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789 스타크래프트2 리그 병행... 진심으로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06] 복제자7316 12/04/09 7316 0
46700 스타인 이야기 : 통신사 더비의 역사 [12] 한니발9676 12/03/31 9676 21
46681 이해가 가지 않는 케스파 & 기업팀의 운영 [28] 청바지6650 12/03/29 6650 1
46554 포스트시즌 리턴매치 CJ vs KT...과연 승자는? [33] noknow6755 12/03/15 6755 0
46463 대기업 효과는 환상에 불과하다? [36] TAMBANG7429 12/02/29 7429 1
46427 재미로 보는 LOL 팀별 내맘대로 등급 및 역사 [13] 영비천6762 12/02/26 6762 2
46401 LOL 인벤 네임드 쳄피언쉽 준결승 MiG Frost vs StarTale #2 [156] 키토5018 12/02/22 5018 0
46398 LOL 인벤 네임드 쳄피언쉽 준결승 MiG Frost vs StarTale [222] 키토5149 12/02/22 5149 0
46397 홍진호 감독에게 바라는 점 [7] abstracteller5808 12/02/22 5808 0
46395 LOL 인벤 네임드 챔피언쉽 준결승전! [270] 키토4664 12/02/22 4664 0
46278 나진산업 리그오브레전드팀 창단의 의미 [64] 마빠이7515 12/02/03 7515 0
46240 E-Sports와 경기순환이론. [12] 이노리노6068 12/01/28 6068 0
46127 왜 멀티를 먹어야 하는가 [5] Raight5853 12/01/10 5853 10
46087 제가 생각하는 2011년 최고의 경기 베스트5 [40] 운체풍신6914 12/01/02 6914 0
46085 sk플래닛배 프로리그 1라운드(11/11/26 ~ 12/1/1) 간략 리뷰 [26] 전준우6146 12/01/01 6146 2
45992 너는 질레트때부터 스타를 봤냐? -1편 [47] SKY928520 11/12/16 8520 2
45837 프로리그가 시작한다 해서 관전 포인트 몇개를 적어보겠습니다. [10] 삼성전자홧팅5333 11/11/17 5333 0
45818 G-STAR 2011 현장 취재 - 3일차, 부산 BEXCO 현장 스케치 [5] kimbilly7905 11/11/12 7905 1
45793 '드림팀'이라는 잔혹동화 [225] The xian13832 11/11/06 13832 7
45760 리그디스 이벤트전 스타테일 vs TEAM OP [109] 마빠이7116 11/10/28 7116 0
45712 리그오브레전드 심상치 않네요. [32] 신과달7591 11/10/21 7591 0
45679 예전부터 생각해 온 개인적인 제안사항들입니다. [10] 새강이5038 11/10/12 5038 0
45607 드림팀 lg유플러스에서 인수 관심 있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51] 얄구지인9125 11/09/30 912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