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1/18 21:05:02
Name 타이밍승부
Subject [펌/해외번역] 이스포츠에 대한 외국 프로게이머의 관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이스포츠에 대한 외국 프로게이머의 관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원문 : http://www.teamliquid.net/blogs/viewblog.php?topic_id=303642

스레드 제목은 저렇지만 실제 내용은 외국 프로게이머 TT1(토기얀)이 내뱉은

요즘 외국 게임단의 한국 선수 영입질에 대한 불평이었고 결과는 포풍같이 까였습니다....



mTwTT1   Canada. January 16 2012 19:42. Posts 3537        Profile Blog #

한국인 X가 X팀을 나와 외국 팀에 들어간다는 발표는 요즘 흔한 일이 되고 있어.
나는 외국 게이머로서 우리의 이익에 대한 이야기가 부족하다고 느껴.
왜냐면 일반적으로 외국 프로게이머는 자신들의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지 않으니까.
우리는 우리끼리 이야기할 뿐이고 따라서 아무것도 달성할 수 없지.
솔직히 나는 늦건 빠르건 이 산업을 법제화하기 위해 우리의 이익을 대표할 단체를 설립할 필요를 느껴.
왜냐하면 우리들 중 많은 사람의 대우가 점차 불리한 상황에 놓이고 있기 때문이지.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보면, 나는 이스포츠의 글로벌화를 대폭 지지하고 있고,
스1선수로서 항상 한국 선수들을 존경했으며, 언젠가 한국에서 그들과 대등하게 싸울 수 있기를 꿈꾸었지.
하지만 솔직하게 말하면,
나는 항상 왜 외국인 선수들이 스1에서 지금의 한국 선수들이 스2에서 받는 대우를 받지 못했을까 하고 의문을 가져.
만약 모든 팀과 팬이 그들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인다면 좋은 일이지만
내가 알기로는 ret이 프로게이머가 되려고 했을 때 그들은 그를 한국에서 쫓아냈고 결코 기회를 주지 않았지.
그들은 우리가 쓸모가 없다는 이유로 모든 것에서 우리를 배제했어.

공정하게 말하자면 나는 우리가 그들의(한국인들의) 판에서 외면받은 이유가
케스파, 팀 선수들과 다른 무언가와 관련이 있는지는 잘 몰라.
어쨌건 이건 본론이 아니고 내가 목소리를 내고 싶은 것은 선수 관점에서 몇 가지 이슈야.

나는 너희 팬들이 아마 여기에 별로 관심이 없다는 걸 알아.
너희들은 팀 멤버의 국적에 관계없이 가장 좋아하는 팀의 대표로 실력이 높은 선수를 보고 싶어하지.
하지만 이건 선수들에게 엄청나게 예민한 이슈야.
잠재적으로 한국선수에게 더 많은 돈이 간다는 것은 잠재적으로 우리 선수들에게 돈이 오지 않는다는 거지.
대부분의 선수들이 저임금을 받고 있어.
우리가 이 판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투자하는 시간에 비해서 받는 돈을 놓고 보면 이렇게 말해도 될까...
아주 똥같다고? 그것뿐만 아니라 우리는 기반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한국인과 같은 류의 훈련을 받지 못해.
이제 갑자기 한국 선수들은 중얼거리지. "음 우리는 외국 대회들을 관광태울 뿐 아니라 팀들도 장악해버릴수도 있겠네."
5-10년동안 이런 일이 쭉 이어진다면?

많은 외국 선수들에게 있어 삶의 모든 것을 버리고 한국으로 가서 현명한 연습을 하는 그들을 따라잡는 건 엄청나게 어려운 일이야.
왜 우리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희생하지 않고는 그들이 가진 것과 같은 방식의 훈련을 하지 못하는 거지?
한국인의 실력에서 크게 뒤쳐지지 않은 외국선수는 자신의 삶을 기꺼히 포기하고 그곳에 간 사람들 뿐이지.
그리고 그들은 대게 a)어리거나 b)금전적 여유가 있거나 따라서 이런 종류의 희생은 사실상 큰 희생이 아냐.
하지만 최상위권의 20대 중초반이며 봉급도 없고 삶의 희생할 의지도 없는 유럽인 같은 경우에 그런 종류의 희생은 매우 위험이 큰 일이야.

만약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면 지금부터 3년간 최고 수준의 유럽/북미 선수들은 팀 봉급과 개인방송에 의지해서 살고
온라인 대회만 때때로 출전하겠지. 그리고 한국인과의 실력차이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벌어져
결국 외국 선수들은 대회에서 아무 의미없는 존재로 전락할거야.
한국에서 연습하는 유별난 4-5명의 외국선수들이 괜찮은 돈을 받으면서 대회에서 경쟁하겠지
(하지만 그들은 쪽수가 너무 딸리기 때문에 95%확률로 탈락하게 돼)
만약 너희들이 여기에 만족한다면 나도 좋아. 하지만 불행히도 많은 재능있는 선수들이 자신들의 진정한 가능성을 발견하지 못해.
그리고 우리들은 성장할 수 있었던 많은 가능성들을 보지 못하게 될거야. 내게 있어 이것은 이스포츠 최악의 비극이야.



  padapuffis   January 16 2012 19:47. Posts 8        Profile #

결국 자기 일은 자기가 해야하는 거지. 나는 재능에 열광하고 그래서 더 나은 실력을 가진 한국인들의 플레이를 즐겨.
나는 일반적인 외국 선수들에게 별로 동정심이 들지 않아. 왜냐하면 그들의 실력은 상당히 나쁘니까.
나는 아마 그들이 어떤 개성을 보여준다면 응원하겠지만 그들 대부분은 단지 사회적으로 미숙하지.
프로게이머가 되는 대부분의 프로게이머는 그들이 사회에서는 게으르고 한심하기 때문이야.
(주:이 분이 말하는 프로게이머는 "외국"프로게이머에 한정된 것으로 보임)
나는 한국인들을 챔피언으로 만드는 것의 80%는 올바른 태도와 절제 등등이라고 생각해.
대부분의 프로는 그것을 자기 직업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나는 니가 그런 식으로는 세상에서 어떤 직업도 얻을 수 없을 거라고 보증해.
네가 더 실력을 쌓고나서 돈을 버는 것에 대해 징징대는 것이 나을 거야.
프로게이머들은 철 좀 들 필요가 있어.




  hobbstarr   Germany. January 16 2012 19:53. Posts 9        Profile #

글쎄. 조직을 만들고 네 똥 같은 외국선수들을 모아 보시지 그래.
한국인들은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있고 따라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있으며 그건 좋은 일이지.
얼마나 많은 외국 선수들이 팀 숙소에서 10명의 동료들과 함께 매일같이 연습할 정도로 노력하니?
그리고 그들은 그런 상황에서 사생활조차 크게 희생하고 있지.



PredY   Czech Republic. January 16 2012 19:53. Posts 1502        Profile #

팀들은 그들이 생각하기에 국적이 아니라 실력을 보고 선수들과 계약하지.
나는 문제가 없다고 보는데. 한국인들 역시 자기들 삶을 희생하고 팀 숙소에서 살지.
한 가지 긍정적인 것은 그들은 자국을 떠날 필요는 없다는 거지.
지금까지 한국 스2계는 외국인 환영에 자기들 숙소에서 같이 사는 것도 허락해주고 있지.
외국인들이 한국인들만큼 연습 안 하는 게 한국인 잘못은 아냐.



Seraphone   United Kingdom. January 16 2012 19:54. Posts 343

한국인들이 더 열심히 연습하고 실력이 더 나으며 그래서 돈을 더 많이 번다.
왜 일을 못해서 돈을 못 받으려 하냐?
내 직업 역시 삶의 많은 부분을 가져가지.
직업은 원래 그런거야.



  -Trippin-   United States. January 16 2012 19:57. Posts 172        Profile #

프로게이머로서 그건 니 직업이고 니가 불평하는 것은 니가 그 판에 있기 위해 니가 감당할 필요가 있는 삶의 큰 부분이야.
분명한 건 니가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거야 형씨. 헉을 봐. 아마 너는 헌신이라는 것에 대해 뭔갈 배울 수 있을거야.




  krisss   Luxembourg. January 16 2012 19:58. Posts 107        Profile #
그래서 니가 하고 싶은 말이란 게 북미/유럽 선수들은 한국인들보다 못하지만 돈은 많이 받겠다는 거냐. 크크크크크
한국 프로게이머들은 삶을 "희생"하지 않는다는 것처럼 말하네. 네 말은 그저 바보같을 뿐.
한국은 이스포츠의 메카야. Tasteless가 방송에서 매일같이 말하는데 넌 뭘 듣고 있는거냐?

탁구를 잘하려면 중국에 가야 하고 스키점프를 잘하려면 유럽에 와야지. 간단한 거 아냐.
당황스러운 건 사람이 돈 문제가 걸리면 쉽게 인종차별주의자가 된단 말이지.




1sz2sz3sz   January 16 2012 19:59. Posts 3


(해석 : 프로게이머가 될 수 있고 몇 경기쯤은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지요.
저는 그 사람들에게 그런 바보같은 걸 생각조차 못하게 만들고 싶어요.)




bgx   Poland. January 16 2012 19:59. Posts 2647        Profile #

기반시설은 마법처럼 유럽/북미에 나타나는게 아냐.
그래서 우리는 지금부터 해외에서 프로 선수들을 "고용"해야 하지. 그것은 문화적 문제이기도 해.
나는 인생을 모두 바치는 것을 프로라고 하지 않아. 그것은 정규직이나 스포츠 경력에 비견할 수 있지.
사람들이 한국 밖에서도 그렇게 취급하기 시작하면 기반시설은 나타날 거고 한국에 갈 필요가 없어지겠지.
하지만 우리는 그런 측면에서 한국에 한참 뒤떨어져 있고 지금의 정신상태로는 그걸 따라잡을 수 있을거라 생각하지 않아.
하지만 이런 측면에서 스2는 스1만큼 실력의 격차가 명확하게 벌어진 것은 아냐.

기반시설의 문제는 글쎄, 우리는 전문가가 부족해.
그들의 스1팀같이 선수들을 지도할 감독 코치가 없고 나쁜 평판에도 불구하고 스타크래프트 산업을
취미(우리 문화의 방식으로 말하면 "한심한 취미") 이상의 영역으로 올려놓은 케스파 같은 중심단체도 없지.
케스파는 우리들에게 공격적이었지만 사실 그들은 높은 수완을 가지고 있었어.
TV방송에 나오고 은행, 공업, 조선업자와 같은 한국 메이저 브랜드의 스폰서와 접촉하는데 프로의식은 필수불가결한 일이지.




mTwTT1   Canada. January 16 2012 19:59. Posts 3537

Seraphone >>
내가 북미에서 8시간 연습하는 것과 한국인이 팀 숙소에서 한국 래더 버프를 받으며 8시간 연습한다면 누가 훈련의 성과가 더 높을까?
답은 매우 명확하지. 선수들이 같은 시간을 연습하더라도 한쪽이 다른 한쪽에 비해 너 많은 실력향상을 거두지.
문제는 서양 이스포츠판 전체에 걸쳐 있지 선수만의 문제는 아냐.

나는 실제로 이 문제를 첫글에 언급했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갈 수밖에 없어.
그것이 과다할 정도로 높은 희생을 각오해야 하는 종류의 것이라는 거야.




robih   Austria. January 16 2012 20:00. Posts 580        Profile #
한국인은 오스트리아에 비해 스키를 못탄다고 불평할 수도 있겠지.
너와 나의 예시의 차이를 보면 그건 단지 더 나은 기반시설과 훈련이 더 나은 "운동선수"를 만든다는 거지.
원래 그런 거야.
나는 항상 외국인을 응원하지. 한국인이 판을 싹쓸이하는 것을 바라지 않으니까.
하지만 한국인이 판을 싹쓸이해도 그건 누구의 잘못도 아니야 그들은 훈련을 더 잘하고 더 나으니까.

하지만 그들은 최소한 스키는 잘 못타잖아 안그래?




Elefanto   Switzerland. January 16 2012 20:00. Posts 3479        Profile #

내가 제대로 이해했는지는 모르지만 너는 지금 한국인들과 계약하는 팀과 한국인들을 초청하는 대회를 비난하고 있는거야?
그리고 너의 요점은 그들이 지금 쓸 수 있는 돈을 외국인들을 위한 좋은 기반시설을 성장시키고 확립하는 대신에
이미 완성되고 발전가능성 및 성공가능성이 높은 한국인들에게 아웃소싱을 주는 쉬운 길을 택한다는 거지?
그래서 너는 우리가 지금 있는 기회를 잡지 못한다면 외국 판의 장기적 발전 측면에서 우려된다는 거고.

그렇다면 난 동의해. 이런 트렌드는 무서워.



winthrop   Australia. January 16 2012 20:01. Posts 157

근데 솔까
니가 한국에서 이길 수는 있냐?

PS : 실력이 좋은 선수가 돈 더 잘버는 건 당연




TheKefka   Croatia. January 16 2012 20:01. Posts 3623

mTwTT1 >>
맞는 말이긴 한데, 너네들을 위해서 우리 태도를 바꾸라고?
우리 팬들은 우리가 좋아하는 선수들을 시청하고 응원할 뿐이지 너네들을 위한 기반시설을 만들어 줄 순 없어.
이 트렌드 속에서 니가 어디로 갈지는 모르겠다. 우리 모두가 아는 건 우리가 널 도와줄 수 없다는 것 뿐이야.




drop271   New Zealand. January 16 2012 20:02. Posts 158        Profile #

나는 프로들이 이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라는 걸 인지해야 한다고 생각해.
삶은 공정하지 않아. 나는 기반시설이 한국의 연습 환경을 더 낫게 한다는 네 지적이 옳다고 확신해.
하지만 그건 원래 그런 거야. 그러한 "불공정"에 대한 외국 선수들에 대한 보상이 문제를 바꿀 수 있는 건 아냐.
외국선수 전용 대회도 가능하겠지만, 그것이 팬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경우에만 그렇겠지.


수정2 : 나는 난폭하고 몰상식한 말을 쓸 의도는 아니었어. 나는 최고와 경쟁하기 위한 네 꿈을 이해해.
그리고 경기 환경에서의 불공정하게 보이는 요소 또는 진정한 불공정경쟁에 있어 손해 보는 기분도 이해해.
그건 엿 같은 일이야. 하지만 그게 인생이야. 아마 네가 최고가 되기 위해 더 많은 추가 노력을 기울였을 때
너의 성공은 주어진 허들을 넘고 더 많이 만족할 수 있을거야.
하지만 팀이 인위적으로 경기장을 평평하지 않게 만드는 부모의 보살핌을 해주지 않는다고 비난하는 것은 공정한 일이 아냐


수정 : 위의 포인트는 오로지 북미/유럽 서버와 비교한 한국 서버만 해당하는 거야. 팀 숙소의 문제는 아냐.
넌 어른이지 안그래? 집세를 낼 수 있어? 너는 집세를 내는 다른 프로게이머들과 친구지?
그러면 왜 모두 같은 집에서 집세를 내고 컴퓨터를 거실에 두지 않는데? 뭐가 문제야?




fams   Canada. January 16 2012 20:02. Posts 589        Profile Blog #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서양 선수들을 쓰러뜨린 한국 선수들의 승리 대부분은 헌신과 프로의식의 양에서 왔다는 거야.
마케팅 측면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한국 프로게이머들은 (돈을) 더 많이 부를 수 있지.
스타크래프트의 세계에서 우리 모두의 머릿속에는 한국인들은 고수고 서양인들은 초보라는 낙인이 찍혀져 있으니까.


내가 메이저 대회에 나갈 때 내가 본 경기 중간중간에 연습을 하는 사람들은 누굴까? 한국 선수들이야.
역시 이렇게 연습하는 외국인들도 있을까? 물론 있지. Strelok이 그 중 하나야.
그날 대회 일정이 끝나고 내가 무엇을 보았을까? 서양 선수들 대부분은(특히 잘 못하는 친구들) 나가서 술 마시고 파티를 벌여.
그 동안에 잘하는 서양인들(이드라, 헉 등)은 일찍 방에 가서 잠을 자.
한국인들도 마찬가지야. 또는 문성원이나 임요환 같은 슬레이어스 선수들은 새벽 2시 넘게까지 연습을 해.

추가로 한국 프로선수들 역시 많은 것을 희생해. 이드라나 헉도 어떤 측면에서는 마찬가지야.
이드라와 헉은 프로게이머가 되겠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가족과 친구들을 남겨두고 해외로 떠났지.
김동환이나 조민호는 그럴 필요가 없었지(하지만 박서용은 그랬나?)
그들은 프로게이머로서 경력을 지속하기 위해 가족과 친구들을 남겨두고 미국으로 떠났어.

한국인과 이드라, 헉같은 사람들이 프로게임단 숙소에서 보내는 시간은 말할 필요도 없지.
대부분의 서양 선수들이 게임에 투자하는 시간과 어마어마하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

나는 마음으로부터 선수들의 최고의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협회의 필요를 긍정해.
하지만 민족에 따라(역주:즉 한국인과 외국인을) 분리하는 것은 목적에 어긋난 것 같아.

나는 만약 선수들이, 세계 어느 곳 출신이라고 하더라도 프로선수가 되고 그것이 제1수입원이 되어 삶을 이어가기를 바란다면
반드시 이 산업이 최근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매우 작다는 걸 인식해야 한다고 생각해.
그리고 선택받은 소수만이 돈을 벌고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만약 그 행운의 소수가 되기를 바란다면
너는 그런 희생을 배우고 선수로서 잘 하는 것만이 아니라
산업적 측면에서 팀에게 귀중한 존재로 인식되도록 너 자신을 마케팅할 수 있도록 똑똑해져야 한다고 생각해.




Seraphone   United Kingdom. January 16 2012 20:02. Posts 343

mTwTT1 >>
그래서 외국인들을 한 다발 모아 조직을 만들고 10명으로 구성된 팀 숙소를 한국과 인터넷 접속이 잘 되는
북미 어딘가 만들면 한국인들이 가진 건 다 가질 수 있는거네.

자기 경력을 쌓으려면 누구나 다 희생을 해야하는 법이야.
나는 내가 대학 다닐때 거지소굴같은 방에서 인스턴트 라면 먹으면서 3년을 지냈다.




krisss   Luxembourg. January 16 2012 20:02. Posts 109

mTwTT1 >>
넌 그걸 모르고 프로게이머 했냐? 나도 아는 사실을? 그리고 넌 불평불만을 내뱉기 시작하고?


SgtCoDFish   United Kingdom. January 16 2012 20:03. Posts 680

mTwTT1 >>
뭔소린지 모르겠다. 한국인들이 하는 훌륭한 훈련 역시 인생의 많은 부분을 포기하는 것 아냐?
한국 스타판이 탄탄한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매일매일 하루종일 발전하기 위해 기꺼히 희생하기 때문이지.
외국 스타판은 사람들이 한국인처럼 하는 걸 싫어해서 허약한 거고.
한국인들처럼 프로게임을 하기 싫기 때문에 외국 선수들이 특별한 대답을 받아야 한다고 넌 요구하는거니?




karpo   Sweden. January 16 2012 20:04. Posts 1258
mTwTT1 >>
하지만 실제로 유럽/북미 선수들도 한국인들과 싸울 수 있잖아.
많은 낮은 수준의 "알려진" 프로들이 외국팀에 있어. 한국인들은 자신들이 최고라는 것을 증명했고
그래서 그들은 외국팀에 들어갔으며 그건 양쪽에 모두 이득되는 거래지.
외국인들은 스1 스2 통틀어 한국에서 보여준게 별로 없는데 왜 한국인들이 외국인들의 재능에게까지 관심을 가져야 할까?




edwahn   New Zealand. January 16 2012 20:04. Posts 64        Profile #

어 그래서 너는 팀들이 선택하는 선수들의 국적에 문제가 있다는 거야?
내게는 그게 인종차별주의적으로 들리는군. 나는 네 출신을 봤을 때 이해할 만 하긴 하지만
네가 실제로 인종차별주의적으로 말하려고 한 건 아니라고 생각해

하지만 그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어.
나는 실제로 한국 선수들이 외국 팀에 들어오면 외국 프로들에게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
그것은 팀 선수들을 위한 연습 파트너로서의 현실적 옵션이 되지.

그리고 외국 팀에 한두명의 한국선수가 로스터에 더해지는 것만으로도
외국 팀의 모든 외국 선수들이 없어진다는 건 말도 안되는 논쟁이야.

행운을 빌어 친구. 너는 실력이 있고 니가 최고수준에 머무르기 위한 동기부여를 잘 하길 바래



ReignFayth   Canada. January 16 2012 20:05. Posts 2093

한국이 잘하는 거에 대한 변명으로 재능 운운은 그만해라. 이건 재능이 아니라 맹연습의 결과야.



Butcherski   Poland. January 16 2012 20:06. Posts 330        Profile #

오 그래 그는 정말 슬프지

그래 니가 매달 몇천달러를 벌면서 학교에 가고 여친이 있고 여유시간이 많으면서
세계레벨에서 톱50에 들수있다면 정말 좋겠지. 그런 일이 일어날 리가 있나.
힘은 연습과 희생이 개선과 결과적인 돈으로 변환되는 거야. 다른 방법같은 건 없어.




Pholon   Netherlands. January 16 2012 20:06. Posts 4117

mTwTT1 >>
그럼 니가 네 팀에게 있어 한국에 보내줄만한 잠재력이 있음을 증명하던지 희생을 하지마.
그리고 한국인들이 대신 희생해야 한다는 불평도 집어치우고.




discobaas   January 16 2012 20:07. Posts 187        Profile #

"그들은 우리가 쓸모가 없다는 이유로 모든 것에서 우리를 배제했어"
정확하네, 그 선수들에 비하면 실력 없는 선수들은 아무 도움도 안돼. 이건 현재 상황과 완전히 반대지.
왜냐고 하면 한국인들 경기와 소수의 선택받은 외국인들 경기만이 시청할 때 눈이 안 썩거든.

그리고 희생 문제말인데. 너 이야기의 요점이 뭐냐? 한국인도 좁은 방에서 자기 삶을 희생해가면서
24시간 일주일내내 큰 대회 우승을 못하는 이상 거의 돈을 못 받고 연습하고 있어.
오로지 소수만이 잘 벌지. 그들의 유일한 이점이란 외국에 갈 필요가 없다는 거.
왜냐하면 그들은 최고의 연습환경이 있으니까. 그리고 외국인들도 한국인들에게 인정받고 있어.
그러니까 돈 벌고 싶으면 실력 향상을 해




padapuffis   January 16 2012 20:08. Posts 8

스1때부터 스타를 했다는 인간이 이런 스레드를 세울 정도로 인터넷 IQ가 낮다는 걸 믿을 수가 없다

[이 유저는 경고 받았습니다.]


Origine   France. January 16 2012 20:08. Posts 126

mTwTT1 >>
넌 외국인들이 8시간 연습하고 저임금을 받는게 모욕이라는 거냐?
선수들은 연습량이 아니라 성과로 돈을 받아야 하지 않아?
아무 성과도 못 냈다면서 돈 더 달라는 주장은 일종의 유머군.




KicKDoG   Sweden. January 16 2012 20:08. Posts 35        Profile #

난 네 주장에 매우 동의해. 나는 오랜 시간동안 같은 생각을 해왔어!
우리 외국인들은 지금 좋은 기회가 있어. 왜냐면 대부분의 돈이 외국 대회에 지금 있기 때문에 지금 무언가를 해야 해



bgx   Poland. January 16 2012 20:08. Posts 2649

길을 닦는 것은 매우 힘들어. 우리는 숙소를 만들고 사람들을 훈련시켜 스1의 시대를 되살릴 필요가 있지.
카운터 스트라이크 팀을 봐. 왜냐면 팀 기반의 게임이기 때문에 그 효과는 사람들을 숙소에서 연습하게 만들었지.
그리고 그 팀들은 오프라인 대회에서 탁월한 기량을 발휘했어. 사실 유럽(대부분 스웨덴)은 오랫동안 상위권을 싹쓸이했지.
그것은 몇년동안 카스를 한국의 스1과 같은 환경에 놓이게 만들었어.

스1/스2의 측면에서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해야 한다는거야. 그들은 개인적으로 시작하지.
그들이 이름에 팀 태그를 달더라도 개인적인 상태에 놓여 있어.
이런 기반시설의 부재는 나쁜 전략, 나쁜 연습방법으로 이어지지. 네가 말한 것처럼.
우리에게 있어 최고가 되기 위한 의지 부족과 같은 이런 거대한 문화적 벽을 깨야 해.
그리고 한국인들의 싹쓸이는 그것을 돕거나(우리는 팀숙소와 기반시설을 만들어 다시 싸우던가)
또는 스1시절처럼 완전히 박살낼 수도 있겠지(한국에 가거나 허접하게 남거나 이외에는 아무 선택지가 없는)




mTwTT1   Canada. January 16 2012 20:10. Posts 3537

discobaas >>
한국인들은 자국에서 그들의 삶을 희생하지. 그들은 여전히 친구, 가족들과 연결되어 있어.
그리고 pholon, 내 글을 왜 스2포럼에서 블로그 섹션으로 옮긴거야?




  Azzur   Australia. January 16 2012 20:12. Posts 3751        Profile Blog #

나는 어떤 프로게이머가 외국 팀의 한국인에 대해 불평했는지 듣고 싶다.
나는 그런 프로게이머들은 아무 성과를 못 냈고 질투가 그런 소문의 이유라고 추측해본다.
어쨌건 이건 외국인들로부터 한국인이 돈을 쓸어가는 그런 게 아냐.
TT1(그 자신을 포함해서)이 말한 많은 프로게이머들도 외국 팀에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열심히 해야해.





  hyperknight   January 16 2012 20:13. Posts 141        Profile #

믿건 안믿건 이스포츠는 다른 사람들이 보는 스포츠와 같아. 결과를 내는 자만이 돈을 얻지.
유타 재즈 선수가 LA레이커스 선수들이 돈을 많이 벌고 자기는 못 번다고 징징대는 것에 대해 의견을 함께 할수는 없겠지.

너는 네 삶의 모든 것을 희생하고 싶지 않아하고(한국인들이 진짜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해 하는)
그리고 현재 한국인과 외국인 간에 존재하는 실력과 봉급의 격차에 대해 행복하지 않은 상태인것 같군.

안타깝게도 너는 한국 문화가 유럽이나 북미보다 좀 더 게임 친화적이고 인정받는다는 것을 안정해야 해.
돈을 벌거나 실력을 높이고 싶나? 인생을 들여 스2를 만들어가는 사람들과 함께 해서 그들이 하는 것을 따라 해.

프로게이머를 물로 보지 마. 그리고  한국인들의 우승 싹쓸이나 높은 봉급에도 신경 끄고.

T_T




shabby   Norway. January 16 2012 20:14. Posts 1046

mTwTT1 >>
다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니가 최고 레벨의 지역에서 살지 않는다면 최고가 되기 위해서는
그곳에 가서 최고의 대회에 참여할 수밖에 없어.
네 스레드는 블로그성이라서 옮겨진 거겠지. 이건 토론이 아냐. 니 생각을 감정적으로 뿜어내고 있을 뿐이지.




TheKefka   Croatia. January 16 2012 20:15. Posts 3623

mTwTT1 >>
왜냐면 이 스레드는 토론이 아니라 현재 상황에 대한 니 감정을 뿜어내는 것뿐이고
우리는 모두 그렇게 알고 있으며 어쨌건 우린 널 도울 방법이 없다는 거. 아마도.




eScaper-tsunami   Canada. January 16 2012 20:15. Posts 96        Profile #

너는 대부분의 한국선수들이 외국선수와 하등 다를 거 없는 상황에 놓여 있는 거 알고 있냐?
진실은 오로지 한국에서 성과를 거든 유명 선수들만이 뽑혀서 대접받는거지.
단지 졸라 허접한 스1 프로에다가 스2방송경기 한번밖에 출연하지 못한
우리가 듣도보도 못한 아무 코드B선수 뽑아다가 10억달러 계약 맺는 거 아니거든.

한국인들은 아무 희생 안하는 것처럼 말한다?
모든 한국인들은 서울에 살고 박수호는 그럼 정종현과 경기하러 먼 길을 안 온 것처럼 말하네.
이동녕이 최고의 저그가 되기 위해 고등학교를 중퇴하지 않은 것처럼 말하네.
스2에 집중하기 위해 고등학교를 중퇴한 외국인 들은 적 있냐? 한국인들은 외국인과 같은 배를 타고 있어.
우리는 이런 젊은 선수들이 팀 숙소에 머물고, 스포츠로 플레이하기 위해 학교를 그만두는 것을 보지.
우리는 또한 이호준과 같은 선수들이 한국을 나가 팀에 들기 위해 새로운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지.
외국인들이 한국인보다 더 희생한다고 지껄이던 인간이 누구냐?



1) 3년을 고른 이유는? 숫자 3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난 전혀 모르겠으니 설명해봐
2) 실력 격차가 더 벌어진다면 많은 팬들이 외국인 개인방송은 더더욱 안보게 될거다.
3) 스2의 미래는 대회 상금 중심으로 될것처럼 말하는데. 아니거든.
미안하지만 스2의 미래는 스1프로게임계처럼 봉급기반이 될거다. 스1프로게임계보다 더욱 성숙할 수도 있지.
채정원이 말하기를 2011년은 스2가 팀들이 스폰서를 끄는 시기라고 했지.
이동녕같은 꼬마애들이 성공하건 성공하지 않건 모든 것을 걸고 학교를 중퇴하는 위험을 지지 않게 되기를 희망한다.



ZerguufOu   United States. January 16 2012 20:15. Posts 33        Profile #

푸하하 "저임금"이란 없지. 모두가 받을 만한 대우를 받는거고.
니가 실력이 있고 여러 대회를 우승했다면 넌 제대로 돈을 받았겠지.
"잠재력"은 개뿔. 잠재력 있는 사람은 많지. 코드A의 무명선수들처럼. 중요한 건 결과야.

박수호 - "먹을 때랑 잘때 빼고는 항상 스2를 해요."
최고가 되고 싶으면, 최고처럼 훈련하라고





  1sz2sz3sz   January 16 2012 20:17. Posts 3        Profile #

나는 왜 이렇게 많은 외국팀들이 허접한 선수를 한국에 보내는데 돈 낭비하는지 모르겠다.
한국어를 못해서 한국 프로와 제대로 된 전략 토론도 못할테고
곰하우스에서 외국인들과 어울리면서 술이나 먹고 다닐테고




KeksX   Germany. January 16 2012 20:19. Posts 824

1sz2sz3sz >>
내가 알기로는 대부분의 팀이 선수들을 GSL예선통과 시도해보기 위해서라는데





  krisss   Luxembourg. January 16 2012 20:19. Posts 109

mTwTT1 >>
좀 그만하지 그래? 갈수록 말이 안되는 소릴 하네.
영화 Cool Running을 본 적 있어? 왜 자메이카 선수들은 다른 나라들처럼 봅슬레이 기반시설이 없을까?
왜 여기 유럽에는 북미와 같은 미식축구나 야구 기반시설이 없을까? 졸라 불공평하네 모두 징징대자



HuK   Korea (South). January 16 2012 20:20. Posts 1391

블로그 섹션에 있을만한 내용은 아닌데


  ReignFayth   Canada. January 16 2012 20:20. Posts 2093

1sz2sz3sz   >>
여기서는 랙 때문에 한국 서버에서 래더하는건 의미없어...





출처는 Fancug 스타크래프트 게시판의 ManaTea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18 21:25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잘 읽다가 [이 유저는 경고 받았습니다.]에서 빵~
여간해서
12/01/18 21:25
수정 아이콘
외국팬들이 우리 게이머들의 열정을 과잉 으로 보지 않아서 다행이네요
스포츠다 하는 인식은 우리나라 팬들보다 더 자리 잡혀있는듯 하네요
토기얀 게이머씨 글은 프리미어리그에 외국선수 너무 많다고 푸념하는 영국선수같네요
거기는 국대라는 중요한 명분이라도있지만 우리꺼 제네가 막 가져가요 이런거는 글쎄요...

니가 사는 그집? 그남자는 나 였어야해? 그 아이는 내 아이 였어야해?
JYP노래생각나네요;;;
그리고또한
12/01/18 21:45
수정 아이콘
흔한_아마추어의_징징

그는 왜 게임을 잘하는게 김치맨의 종특이라고 생각하는 걸까요. 뭐 이미 인종주의적인 생각이라고 까이고 있긴 하지만.
the hive
12/01/18 21:50
수정 아이콘
그와중에 등장하는 흑느님
지니-_-V
12/01/18 21:52
수정 아이콘
robih씨의 말에 정말 공감하게 되네요.

인프라가 구성되어 있으면 당연히 좋은선수가 많이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야구를 하는 미국이나
축구를 하는 유럽쪽 남미쪽을 보면 대번에 알수 있죠.
:D
그만큼 우리나라의 인프라가 잘되어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라고 생각되어 지네요. :D
12/01/18 22:21
수정 아이콘
이글 자체는 좀 난센스가 있군요 확실히 종특이라고 할정도로 많은 게임들에서 한국선수들이 많은 연봉을 받고 우승을 하는건 사실이지만

꼭 다그런것만도 아니고 솔직히 중소규모 대회자체는 해외가 더많은거같은데 멍청한글인거같네요

스1과 스2에 대한 팀기반자체는 확실히 국내가 안정적이고 인프라가 좋다고하지만... 다른종목은 글쎄요..

국내에 스폰있다가 사라져서 무너진팀이 몇개인지 알면 이런 소리 못하죠
그럭저럭하루
12/01/18 22:24
수정 아이콘
한국인들의 노력은 정말 대단하죠..
게임뿐만 아니라 공부량도 아마 전세계 탑급일겁니다..
우리나라가 큰 땅덩어리와 천연자원같은거만 있었어도 탑3안에 들어가는 선진국이 되었을듯...
마바라
12/01/18 22:25
수정 아이콘
문득.. 큰 땅덩어리와 천연자원이 있었으면..
이렇게 노력하지는 않았겠구나 하는 생각이.. ^_^;;
12/01/18 23:08
수정 아이콘
게임에대한 인식이 좋다는 댓글을 보니 마음이 아프네요. 강제 셧다운제 선택적 셧다운제에 언론에서 맨날 게임은 마약 게임 하면 뇌가
파괴가된다고 주구장창 떠들고 있는데 말이죠.. 오늘 헬스하는데 mbc뉴스보니까 또 게임하면 지능이 떨어진다고 까더군요;;
12/01/18 23:09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저 tt1이란 사람 비매너이고 저렇게 징징거린 것 한 두번 아닙니다.. 한국인에 대한 엄청난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선수죠
Impression
12/01/19 01:00
수정 아이콘
멘탈이 참..
너무 많이 지면 저래 될라나?
처음부터 끝까지 징징징.....
언데드네버다��
12/01/19 01:38
수정 아이콘
음, 오늘 술을 좀 많이 먹고 와서 본문을 찬찬히 읽어보지는 못했습니다만, TT1 저 선수는 엄청나게 '오만'하고 '건방'지기로 팀리퀴드에서 유명한 선수입니다. 실제 실력은 한국에서 마스터 상위권 유저에게도 지는 수준에서, 자신의 말이 무조건 옳고, 다른 팀리퀴드 모든 유저들은 브론즈 리거이고 자신의 말을 무조건적으로 신봉해야한다고 믿는 수준이죠. 그 단적인 예가 박성준 선수가 유일한 타종족으로 4강에 진출했을 때 박성준 선수는 어떠한 실력도 없으면서 그저 빌드랑 스타일 빨로 4강에 올랐다고 까고, 누가 그에 대한 반박글을 올리자 "나보다 겜도 못하는 너네 허접들이 뭘 아냐"라는 투로 댓글을 달았고,

지난번 JYP 선수의 경기 때에도 모두가 이미 JYP 선수가 테란전이 매우 약하므로 아마 김승철 선수에게 질 것이라고 예측했음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아이고 허접들, 그냥 자기네들이 다 고수인 줄 알고 자기네들 말이 맞는 줄 알고 다 JYP가 이길 거라고 말을 했지."라고 말을 하다가 누가 거기에 대해 모두가 JYP가 질 것이라고 기록을 보고 예측했다고 반박하자 "그냥 TLPD (기록) 좀 열어보면 모두가 전문가지 쯧쯧" 식으로 답하는 등, TT1 저 선수는 진짜 말을 귀 기울여 들을 하등의 가치도 없는 그냥 보통 어그로꾼입니다. 선수라고 붙여주기도 싫네요. 그냥 자신이 일반인들보다 게임 좀 잘한다고 자신의 말이 어떤 방면의 언급이든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는 그런 사람입니다. 제가 좀 극단적으로 댓글을 단 것 같습니다만, 팀리큇을 해외 반응이 몹시 궁금해서 오래 눈팅을 한 바로 느낀 점입니다... 아 혹시나 제가 실언을 했다면 아침까지만 참아주세요 ㅠㅠ 댓글과 본문 다 읽어보고 이상하다고 판단되거나 여러분들이 자삭하라는 댓글을 달아주시면 자삭하겠습니다 ㅠㅠ
12/01/19 08:56
수정 아이콘
그냥 언급해줄 필요성을 못 느끼겠어요.
12/01/19 10:22
수정 아이콘
이성은 캡쳐 말이 딱 맞네요. 몇 판 이겼다고 자신이 프로 자격 있다고 생각하는 프로게이머의 탈을 쓴 아마추어네요..
12/01/21 00:08
수정 아이콘
이드라도 한마디 했네요.

sc1 teams didnt want foreigners cuz we sucked
sc2 teams want koreans cuz we suck
got to korea or get a different job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982 패치전후 라이즈에 관해서 [23] 태연효성수지6994 12/05/03 6994 1
46955 스타크래프트2 e스포츠 공동 비전 선포식 - "이제 모두가 함께 합니다!" [58] kimbilly11321 12/05/02 11321 0
46917 엄재경 해설위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219] 스키드10810 12/04/27 10810 0
46848 댓글잠금 디아블로3 베타 설치/실행 가능합니다. (종료) [92] 몽유도원7542 12/04/18 7542 0
46806 [LOL] 전문 팀에서 와드 포인트 시간을 제대로 체크한다면. [38] LenaParkLove7361 12/04/12 7361 0
46714 역대 프로리그 결승들을 떠올리며...... [4] SKY925123 12/04/01 5123 0
46607 이영호선수의 원팩더블 후 3-4탱러쉬 & 배럭더블 후 타이밍러쉬 영상모음 [33] meon11004 12/03/21 11004 22
46585 [스타2] 오늘 새벽에 흥미로운 대결이 있었습니다. [9] 신예terran6387 12/03/19 6387 0
46503 2012 GSL Point Ranking & 2012 SC2 대회 일정 [7] 2_JiHwan4443 12/03/06 4443 0
46470 [LOL] 서포터 잔나의 A to Z # 2/2 [36] LenaParkLove5641 12/03/01 5641 1
46462 [lol]ip로 연명하는 분들을 위한 챔피언 등장시점 정리 [27] Nitin Sawhney7601 12/02/29 7601 0
46183 [펌/해외번역] 이스포츠에 대한 외국 프로게이머의 관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20] 타이밍승부7899 12/01/18 7899 0
46101 [LOL] 각 라인별 챔프들을 알아봅시다! [44] 뚫훓쀓꿿삟낅9379 12/01/05 9379 1
46052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 각 부문별 수상자를 발표 합니다. [1] kimbilly6584 11/12/27 6584 0
45975 `MBC 게임` 폐지를 바라보며 [16] Onviewer6969 11/12/13 6969 0
45943 MBC게임이 정식으로 채널 변경 신청서를 방통위에 접수했습니다. [19] The xian5728 11/12/09 5728 0
45930 sk플래닛배 프로리그 2주차(12/06~12/07) 간략 리뷰 및 맵별 전적 정리 [4] 전준우4232 11/12/07 4232 1
45927 2011 e스포츠신인왕에 대한 투표 [11] Crossport5109 11/12/07 5109 0
45921 2011 스타크래프트2 상금랭킹 TOP 20 (12.3) [2] sleeping0ju5300 11/12/06 5300 0
45869 전상욱선수의 은퇴를 보며.... 회고해보는 전상욱선수의 2번의 메이저 대회 4강전. [30] SKY928475 11/11/22 8475 3
45772 [펌]케스파는 스스로를 개혁하지 않는 이상 스타2 판에 들어와선 안 됩니다. [18] 리멤버8698 11/11/01 8698 0
45769 2011 스타크래프트2 상금랭킹 TOP 20 (10.31) [4] sleeping0ju4844 11/10/31 4844 0
45675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전체 일정표와 행사 내용 공개 : 일정 종료 [8] kimbilly4981 11/10/12 49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