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2/09 17:05:01
Name The xian
Subject MBC게임이 정식으로 채널 변경 신청서를 방통위에 접수했습니다.
먼저 관련기사 두 개를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모스] MBC게임, 음악채널 변경 신청서 방통위에 접수
[스포츠서울] 전병헌 의원 "MBC게임 채널 전환 심의 신중해야"



11월에 MBC게임이 MBC뮤직의 2012년 2월 개국을 이야기하며 MBC게임의 폐지를 재확인시켜주는 사실상의 확인사살을 행한 이후, 지난 11월 30일 방송통신위원회에 정식으로 MBC게임의 채널 변경 신청서를 넣은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채널 변경 신청서에는 오는 2012년 1월 31일부로 MBC게임을 폐지하고 2012년 2월 1일부터 MBC뮤직을 개국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사안에 대해 그 전부터 게임 및 e스포츠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성명을 내고 e스포츠에 대한 지원과 MBC게임 폐지를 막을 수 있도록 문화부가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민주당 전병헌 의원의 성명인 e스포츠, 채 피지도 못한 ‘백일홍’이 되선 안된다 에서 제가 눈여겨 본 주요 발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정감사를 통해서도 지적했지만, 우리 게임 산업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산업 가운데 가장 국제경쟁력을 갖춘 분야이다. 2010년 콘텐츠 총 수출 30억 달러 중 52%(15억 9,822만 달러)를 게임이 차지하고 있다. 한류열풍의 주역이라 불리고, 이번에 채널이 변경되는 음악의 경우 8천만 달러(2.6%)에 불과하다."

"e스포츠는 좋지 않은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고, 콘텐츠 산업으로써 게임에 대한 접근, 정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는 역할도 한다. 게임이 콘텐츠산업의 대들보라면 e스포츠는 서까래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콘텐츠 주무부처로서 명확하게 방송통신위원회에 MBC게임 존치의 필요성을 설명해야 한다. 또한 방송통신위원회는 현재 검토 중인 채널변경 승인안건에 대해서 e스포츠가 지속 발전하는데 MBC게임이 지속적으로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승인 검토를 해야 할 것이다."

"문화부는 지금까지처럼 e스포츠가 자생 발전한 것에 숟가락이나 얹으려 하지말고,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e스포츠 육성에 대한 직접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다. MBC게임 채널변경 승인심사부터 적극적인 의견개진을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전에 음악채널 전환 문제가 나왔을 때에 저는 게임채널이 줄어드는 것이 게임계는 물론이고 e스포츠계에도 절대로 득이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하며, 실제로도 그럴 것이라는 취지의 의견을 밝혔습니다. 따라서 저는 이번 MBC게임 채널 변경에 대한 전병헌 의원의 언급에 찬성하고, 지당한 말이라고 생각하고, 당연히 이번 일을 문화부가 신경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셧다운제라는 악의적 법률은 게임을 즐길 자유를 부당하게 옥죄고 있고, 얼마 전 게임산업진흥법 개정안 발표 시 보여준, 게임과 e스포츠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전근대적인 태도를 보인 문화부의 태도는 흡사 여성가족부 영업부장을 자처하는 듯 했기 때문입니다.


날씨가 어느 때보다 춥게 느껴집니다. 춥기만 하면 모르겠지만, 쓸쓸합니다.


- The xian -

* 태그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NIPER-SOUND
11/12/09 17:13
수정 아이콘
케이블 채널이 100개가 넘는데 게임방송국이 딸랑 두개 . 게다가 하나는 사라진다니 정말 씁쓸합니다.
지금 기분을 어찌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지금 종편 시청률을 보면 시청률이 그렇게 낮다고 볼수도 없는데 ;;
11/12/09 17:14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 셧다운제하면서 e스포츠를 살리라니....
11/12/09 17:31
수정 아이콘
나참 안 없애면 어쩔껀데요? 수출이 어쩌구 하는데 MBC게임 온게임넷이 e스포츠채널이지 게임채널입니까? 게임에 대한 수요라도 있었다면 스타1 휘청한다고 망하지도 않았겠죠. 골든타임엔 음악과 예능 좀 넣고 나머진 재방송으로 때워도 게임채널보단 많이 버는게 엄연한 사실이고 음악채널 전환 안 하면 폐업을 하면 했지 게임은 계속 안할겁니다.
11/12/09 17:45
수정 아이콘
심정적으로는 엠겜을 응원하지만

경제적인 관심으로는 글쎄요.....
Hook간다
11/12/09 17:46
수정 아이콘
흠... 결국 이렇게 되네요. 아쉽습니다.

게임이 돈이 안되어서 그러는 것일 테지요. 그럼에도 아쉬운 것은 게이머로서 게임을 사랑하는 유저로서는.....

그래도 좀 버텨주었으면 했는데 말입죠.
글로리
11/12/09 18:01
수정 아이콘
게임은 아직 돈이 됩니다. 다만 스타1이 망했을뿐
레지엔
11/12/09 18:01
수정 아이콘
게임을 육성하는 것이 게임 방송사 지원과 큰 관계가 있을까... 의 문제도 있고, 국가에서 지원한다고 잘될까의 우려도 있고... 솔직히 이건 그냥 흘러가는대로 간다는 생각만 듭니다. 사라지는 건 아쉽지만... 결국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사라지니 뭐라 하기도 그렇네요.
나름쟁이
11/12/09 18:04
수정 아이콘
요즘 MBC계열 케이블채널들 보다보면 2월1일 음악방송개국한다는 광고 빵빵 터뜨리더군요.
라울리스타
11/12/10 03:09
수정 아이콘
그래도 국회의원 중에 게임을 '문화'로 봐주는 분이 계시긴 했군요...
11/12/10 07:56
수정 아이콘
철권 크래시만 그냥 좀 유지 시켜주면 안되남;
11/12/10 08:53
수정 아이콘
전병헌 의원님은 참 꾸준히 게임과 E-Sports에 관심 보여주시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982 패치전후 라이즈에 관해서 [23] 태연효성수지7033 12/05/03 7033 1
46955 스타크래프트2 e스포츠 공동 비전 선포식 - "이제 모두가 함께 합니다!" [58] kimbilly11389 12/05/02 11389 0
46917 엄재경 해설위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219] 스키드10852 12/04/27 10852 0
46848 댓글잠금 디아블로3 베타 설치/실행 가능합니다. (종료) [92] 몽유도원7579 12/04/18 7579 0
46806 [LOL] 전문 팀에서 와드 포인트 시간을 제대로 체크한다면. [38] LenaParkLove7387 12/04/12 7387 0
46714 역대 프로리그 결승들을 떠올리며...... [4] SKY925161 12/04/01 5161 0
46607 이영호선수의 원팩더블 후 3-4탱러쉬 & 배럭더블 후 타이밍러쉬 영상모음 [33] meon11061 12/03/21 11061 22
46585 [스타2] 오늘 새벽에 흥미로운 대결이 있었습니다. [9] 신예terran6424 12/03/19 6424 0
46503 2012 GSL Point Ranking & 2012 SC2 대회 일정 [7] 2_JiHwan4470 12/03/06 4470 0
46470 [LOL] 서포터 잔나의 A to Z # 2/2 [36] LenaParkLove5685 12/03/01 5685 1
46462 [lol]ip로 연명하는 분들을 위한 챔피언 등장시점 정리 [27] Nitin Sawhney7636 12/02/29 7636 0
46183 [펌/해외번역] 이스포츠에 대한 외국 프로게이머의 관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20] 타이밍승부7944 12/01/18 7944 0
46101 [LOL] 각 라인별 챔프들을 알아봅시다! [44] 뚫훓쀓꿿삟낅9399 12/01/05 9399 1
46052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 각 부문별 수상자를 발표 합니다. [1] kimbilly6616 11/12/27 6616 0
45975 `MBC 게임` 폐지를 바라보며 [16] Onviewer6990 11/12/13 6990 0
45943 MBC게임이 정식으로 채널 변경 신청서를 방통위에 접수했습니다. [19] The xian5752 11/12/09 5752 0
45930 sk플래닛배 프로리그 2주차(12/06~12/07) 간략 리뷰 및 맵별 전적 정리 [4] 전준우4272 11/12/07 4272 1
45927 2011 e스포츠신인왕에 대한 투표 [11] Crossport5150 11/12/07 5150 0
45921 2011 스타크래프트2 상금랭킹 TOP 20 (12.3) [2] sleeping0ju5324 11/12/06 5324 0
45869 전상욱선수의 은퇴를 보며.... 회고해보는 전상욱선수의 2번의 메이저 대회 4강전. [30] SKY928531 11/11/22 8531 3
45772 [펌]케스파는 스스로를 개혁하지 않는 이상 스타2 판에 들어와선 안 됩니다. [18] 리멤버8750 11/11/01 8750 0
45769 2011 스타크래프트2 상금랭킹 TOP 20 (10.31) [4] sleeping0ju4871 11/10/31 4871 0
45675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전체 일정표와 행사 내용 공개 : 일정 종료 [8] kimbilly5008 11/10/12 50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